KR200287859Y1 -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7859Y1
KR200287859Y1 KR2020020016450U KR20020016450U KR200287859Y1 KR 200287859 Y1 KR200287859 Y1 KR 200287859Y1 KR 2020020016450 U KR2020020016450 U KR 2020020016450U KR 20020016450 U KR20020016450 U KR 20020016450U KR 200287859 Y1 KR200287859 Y1 KR 200287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lard
anchor bolt
assembled
hol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재영
Original Assignee
주재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재영 filed Critical 주재영
Priority to KR2020020016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78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7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7859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력이 발생되었을 때 횡방향으로 소정각도까지 유동되고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등과의 충돌시 볼라드의 파손은 물론 충돌물의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캡에 대한 설계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외관도 보다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는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그 구성은 조경용 볼라드에 있어서, 설치위치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앙카볼트와; 상기 앙카볼트에 끼움조립되어 지면과 맞닿는 평와셔와; 탄성력을 갖는 고무제로써 중앙부에 상기 앙카볼트와 조립되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앙카볼트와 조립되어 상기 평와셔의 상면에 적층되는 탄성판과; 상면에 요부를 갖는 판상으로써 중앙부에 관통형성되어 연부를 따라 요부진 만곡면을 갖고 상기 앙카볼트와 조립되는 관통공과, 측면부 소정위치에 내주면에 나사부를 갖는 다수개의 볼트공을 갖고, 상기 관통공이 앙카볼트와 조립되어 상기 탄성판상에 적층되는 조립블록과; 하부가 반구상을 갖는 너트로써, 상기 관통공의 만곡면과 미끄럼가능하게 맞닿도록 상기 앙카볼트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평와셔, 탄성판 및 조립블록을 적층된 상태로 지면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와; 내부에 중공을 갖는 하단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써 하단부측 측면부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볼트공을 갖고 상기 조립블록에 끼움조립되는 볼라드본체와; 상기 조립블록 및 볼라드본체의 각각의 볼트공에 일축으로 나사결합되어 볼라드본체를 조립블록과 결합시키는 다수개의 결합볼트와; 상기 볼라드본체의 평면보다 큰 조립공을 갖고 상기 볼라드본체에 조립되어 볼라드 하단부의 결합된 부위를 덮는 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An install construction of bollard for landscape}
본 고안은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력이 발생되었을 때 횡방향으로 소정각도까지 유동되고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등과의 충돌시 볼라드의 파손은 물론 충돌물의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캡에 대한 설계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외관도 보다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는 구조를 갖도록 한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나 건물 또는 공원의 입구 등에 보행자의 통행은 허용하고 차량 등의 출입 또는 침범을 막기 위하여 기둥형태의 볼라드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볼라드는 석재 또는 금속제로 제작되어 석재로 제작된 경우에는 하단부를 지중에 묻어 설치하고, 금속제의 경우에는 볼라드의 하단부에 플랜지를 형성시켜 앙카볼트로 고정시키거나 또는 하단부를 지중에 묻어 설치하는 설치구조를 갖도록 제작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설치구조를 갖는 종래의 볼라드는 유동성이 전혀 없기 때문에 차량 등이 충돌하였을 때 볼라드가 파손됨은 물론 충돌한 차량 등도 심하게 파손되어 보수비용이 과다하게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다양한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 노력의 결과로써 2001년 6월 7일자에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라는 명칭으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하여 특허출원번호 제 2001 - 31658 호(이하, "선출원"이라 칭함)를 부여 받았다.
상기 선출원의 개략적인 구성은 설치위치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앙카볼트와; 판상으로써 중앙부에 상기 앙카볼트가 조립되는 관통공을 갖고, 앙카볼트와 조립되어 지면상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1차평철과; 탄성력을 갖는 고무제의 판으로써 중앙부에 상기 앙카볼트와 조립되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앙카볼트와 조립되어 상기 1차평철상에 적층되는 탄성판과; 판상으로써 중앙부에 상기 앙카볼트와 조립되는 관통공과, 연부를 따라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볼트공을 갖고, 상기 관통공이 앙카볼트와 조립되어 상기 탄성판상에 적층되는 2차평철과; 상기 앙카볼트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1차 및 2차평철과 탄성판을 적층된 상태로 지면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와; 내부에 중공을 갖는 통형상으로써 하면 연부를 따라 소정폭의 플랜지가 형성되고, 하면 중앙부에 소정직경을 갖고 관통형성되는 너트수납공과, 상기 플랜지를 따라 관통형성되어 상기 2차평철의 볼트공과 일축상에 배치되는 다수개의 볼트공을 갖고 상기 2차평철상에 적층되는 볼라드본체와; 상기 볼라드본체의 볼트공과 상기 2차평철의 볼트공을 일축으로 결합하는 다수개의 볼트-너트쌍과; 상기 볼라드본체의 평면보다 큰 조립공을 갖고 상기 볼라드본체에 조립되어 볼라드 하단부의 결합된 부위를 덮는 캡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선출원은 볼라드본체의 플랜지와 2차평철을 볼트-너트쌍으로 일일이 결합시켜야 함으로 작업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플랜지와 평철의 반경으로 인해 캡의 부피가 커지게 됨은 물론 캡의 설계도에도 많이 제약이 따른 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선출원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력이 발생되었을 때 횡방향으로 소정각도까지 유동되고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등과의 충돌시 볼라드의 파손은 물론 충돌물의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캡에 대한 설계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외관도 보다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는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은 조경용 볼라드에 있어서, 설치위치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앙카볼트와; 상기 앙카볼트에 끼움조립되어 지면과 맞닿는 평와셔와; 탄성력을 갖는 고무제로써 중앙부에 상기 앙카볼트와 조립되는 관통공을 갖고, 상기 앙카볼트와 조립되어 상기 평와셔의 상면에 적층되는 탄성판과; 상면에 요부를 갖는 판상으로써 중앙부에 관통형성되어 연부를 따라 요부진 만곡면을 갖고 상기 앙카볼트와 조립되는 관통공과, 측면부 소정위치에 내주면에 나사부를 갖는 다수개의 볼트공을 갖고, 상기 관통공이 앙카볼트와 조립되어 상기 탄성판상에 적층되는 조립블록과; 하부가 반구상을 갖는 너트로써, 상기 관통공의 만곡면과 미끄럼가능하게 맞닿도록 상기 앙카볼트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평와셔, 탄성판 및 조립블록을 적층된 상태로 지면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와; 내부에 중공을 갖는 하단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써 하단부측 측면부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볼트공을 갖고 상기 조립블록에 끼움조립되는 볼라드본체와; 상기 조립블록 및 볼라드본체의각각의 볼트공에 일축으로 나사결합되어 볼라드본체를 조립블록과 결합시키는 다수개의 결합볼트와; 상기 볼라드본체의 평면보다 큰 조립공을 갖고 상기 볼라드본체에 조립되어 볼라드 하단부의 결합된 부위를 덮는 캡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볼라드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볼라드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볼라드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설치상태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볼라드의 설치구조를 적용하여 설치한 볼라드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볼라드 11: 앙카볼트
12: 평와셔 13: 탄성판
14: 조립블록 15: 고정너트
16: 볼라드본체 17: 결합볼트
18: 캡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볼라드의 설치구조를 적용한 볼라드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볼라드의 설치구조를 도시한 설치상태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볼라드의 설치구조를 적용하여 설치한 볼라드의 작동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조경용 볼라드(10)의 설치구조는 앙카볼트(10)와, 평와셔(12)와, 탄성판(13)과, 조립블록(14)과, 고정너트(15)와, 볼라드본체(16)와, 다수개의 결합볼트(17)와, 캡(18)으로 구성된다.
상기 앙카볼트(11)는 볼라드(10)가 설치될 위치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고, 상기 평와셔(12)는 상기 탄성판(13)과 지면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면이 지면과 맞닿도록 상기 앙카볼트(11)에 끼움조립된다.
상기 탄성판(13)은 탄성력을 갖는 소정두께의 고무제로써 중앙부에 상기 앙카볼트(11)와 조립되는 관통공(13a)을 갖고, 상기 앙카볼트(11)와 조립되어 상기 평와셔(12)의 상면에 적층된다.
상기 조립블록(14)은 상면에 요부를 갖는 판상으로써 중앙부에 관통형성되어 연부를 따라 요부진 만곡면을 갖고 상기 앙카볼트(11)와 조립되는 관통공(14a)과, 측면부 소정위치에 내주면에 나사부를 갖는 다수개의 볼트공(14b)을 갖고, 상기 관통공(14a)이 앙카볼트(11)와 조립되어 상기 탄성판(13)상에 적층된다.
상기 고정너트(15)는 하부가 반구상으로 형성된 너트로써, 상기 평와셔(12), 탄성판(13) 및 조립블록(14)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상기 앙카볼트(11)에 조립되었을 때 상기 앙카볼트(11)의 상단부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평와셔(12), 탄성판(13) 및 조립블록(14)을 적층된 상태로 지면상에 고정시키는데 이때 고정너트(15)의 하부 구면은 상기 관통공(14a)의 만곡면과 미끄럼가능하게 맞닿는다.
상기 볼라드본체(16)는 내부에 중공을 갖는 하단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써 하단부측 측면부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볼트공(16a)을 갖고 하단부가 상기 조립블록(14)에 끼움조립되며, 상기 다수개의 결합볼트(17)는 상기 조립블록(14) 및 볼라드본체(16)의 각기 일치된 볼트공(14b)(16a)에 각각 일축으로 나사결합되어 볼라드본체(16)를 조립블록(14)과 결합시킨다.
상기 캡(18)은 상기 볼라드본체(16)의 평면보다 큰 조립공(18a)을 갖고 상기 볼라드본체(16)에 조립되어 볼라드 하단부의 결합된 부위를 덮도록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볼라드(10)는 볼라드본체(16)를 상기 조립블록(14)에 고정시킬 때 다수개의 결합볼트(17)를 볼라드본체(16)의 하단부 측면부에서 나사결합시켜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우수하여 조립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랜지가 없기 때문에 상기 캡(18)의 부피를 작게 설계하여 제작할 수 있어 보다 세련된 외관을 갖도록 디자인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외력이 발생되었을 때 횡방향으로 소정각도까지 유동되고 외력이 제거되었을 때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등과의 충돌시 볼라드의 파손은 물론 충돌물의 파손을 최소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고, 캡에 대한 설계도 자유롭게 할 수 있어 외관도 보다 미려하게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조경용 볼라드에 있어서, 설치위치에 수직으로 고정설치되는 앙카볼트(11)와; 상기 앙카볼트(11)에 끼움조립되어 지면과 맞닿는 평와셔(12)와; 탄성력을 갖는 고무제로써 중앙부에 상기 앙카볼트와 조립되는 관통공(13a)을 갖고, 상기 앙카볼트(11)와 조립되어 상기 평와셔(12)의 상면에 적층되는 탄성판(13)과; 상면에 요부를 갖는 판상으로써 중앙부에 관통형성되어 연부를 따라 요부진 만곡면을 갖고 상기 앙카볼트(11)와 조립되는 관통공(14a)과, 측면부 소정위치에 내주면에 나사부를 갖는 다수개의 볼트공(14b)을 갖고, 상기 관통공(14a)이 앙카볼트(11)와 조립되어 상기 탄성판(13)상에 적층되는 조립블록(14)과; 하부가 반구상을 갖는 너트로써, 상기 관통공(14a)의 만곡면과 미끄럼가능하게 맞닿도록 상기 앙카볼트(11)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평와셔(12), 탄성판(13) 및 조립블록(14)을 적층된 상태로 지면상에 고정시키는 고정너트(15)와; 내부에 중공을 갖는 하단면이 개방된 통형상으로써 하단부측 측면부 소정위치에 관통형성되는 다수개의 볼트공(16a)을 갖고 상기 조립블록(14)에 끼움조립되는 볼라드본체(16)와; 상기 조립블록(14) 및 볼라드본체(16)의 각기 일치된 볼트공(14b)(16a)에 각각 일축으로 나사결합되어 볼라드본체(16)를 조립블록(14)과 결합시키는 다수개의 결합볼트(17)와; 상기 볼라드본체(16)의 평면보다 큰 조립공(18a)을 갖고 상기 볼라드본체(16)에 조립되어 볼라드 하단부의 결합된 부위를 덮는 캡(1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
KR2020020016450U 2002-05-29 2002-05-29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 KR200287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450U KR200287859Y1 (ko) 2002-05-29 2002-05-29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450U KR200287859Y1 (ko) 2002-05-29 2002-05-29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7859Y1 true KR200287859Y1 (ko) 2002-09-05

Family

ID=73123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450U KR200287859Y1 (ko) 2002-05-29 2002-05-29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785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304B1 (ko) * 2008-12-02 2009-07-13 주식회사 엠씨에스코리아 탄성볼라드
KR200486452Y1 (ko) * 2017-11-16 2018-05-18 김용오 차선 규제봉
WO2019017685A1 (ko) * 2017-07-18 2019-01-24 김용오 주차관리 ars 서버, 주차 관리 시스템, 차선 규제봉, 및 차량의 역주행 방지 시스템
KR20220074378A (ko) * 2020-11-27 2022-06-03 안지영 다기능 시선유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304B1 (ko) * 2008-12-02 2009-07-13 주식회사 엠씨에스코리아 탄성볼라드
WO2019017685A1 (ko) * 2017-07-18 2019-01-24 김용오 주차관리 ars 서버, 주차 관리 시스템, 차선 규제봉, 및 차량의 역주행 방지 시스템
KR200486452Y1 (ko) * 2017-11-16 2018-05-18 김용오 차선 규제봉
KR20220074378A (ko) * 2020-11-27 2022-06-03 안지영 다기능 시선유도장치
KR102456665B1 (ko) * 2020-11-27 2022-10-19 안지영 다기능 시선유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8760Y1 (ko) 탄성 볼라드
CA2474268A1 (en) Cable guardrail release system
KR200287859Y1 (ko)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
KR200491930Y1 (ko) 무단횡단 방지용 휀스
CN110499851A (zh) 一种装配式抗震隔墙
KR200418381Y1 (ko) 조립식 안전펜스
KR100397618B1 (ko)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
KR200248414Y1 (ko) 조경용 볼라드의 설치구조
KR100604339B1 (ko) 도로용 펜스의 펜스설치구조
KR20120050798A (ko) 차선 표시블록
CN201031366Y (zh) 具有连接机构的系桩
KR20100025666A (ko) 볼라드
KR100990234B1 (ko) 굴곡블록
KR100812621B1 (ko) 휀스용 프레임 조립체
CN103003511A (zh) 用于护栏的铰接支架
EP1666682B1 (en) Device for fastening posts on a surface, erection kit and fence
KR102099353B1 (ko) 강성보강 가로등
KR200388829Y1 (ko) 조립식 블록
KR200258611Y1 (ko) 조립식 강관 전주용 기초부와 지상부의 플랜지 구조
CN217000199U (zh) 一种新型模块化装配式柱长细比调节装置
KR100623076B1 (ko) 도로용 방음벽
CN210737425U (zh) 一种升降柱举升结构
KR200308574Y1 (ko) 볼라드 기능을 갖는 조립식 벤치
KR200428444Y1 (ko) 중앙분리대
KR100528068B1 (ko) 건축용 비탈면 보호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