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056Y1 - 원주조절형 반지 - Google Patents

원주조절형 반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056Y1
KR200286056Y1 KR2020020015096U KR20020015096U KR200286056Y1 KR 200286056 Y1 KR200286056 Y1 KR 200286056Y1 KR 2020020015096 U KR2020020015096 U KR 2020020015096U KR 20020015096 U KR20020015096 U KR 20020015096U KR 200286056 Y1 KR200286056 Y1 KR 2002860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
ring
circular member
protrud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50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니셍 쿠오
Original Assignee
니셍 쿠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셍 쿠오 filed Critical 니셍 쿠오
Priority to KR20200200150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0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0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056Y1/ko

Links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원주조절형 반지는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과, 이들 반원형 부재의 일단부를 결합하는 가요성 연결구조로 구성되어, 반원형 부재들을 벌릴 수 있으며 반지를 사용자의 손가락에 슬라이딩 하지 않고도 끼우거나 빼낼 수 있다.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의 타단부에는 원주조절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반원형 부재들을 결합하여 단단한 원형으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 필요에 따라 사용자 손가락 굵기에 맞도록 반지의 원주를 조절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원주조절형 반지{Adjustable Circumference Finger Ring}
본 고안은 반지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피봇하여 벌릴 수 있으면서도 원주를 변화시킬 수 있는 원주조절형 반지에 관한 것이다.
반지는 현재 가장 널리 볼 수 있는 장신보석으로서, 새로운 변화로 소비자들을 더 유혹하기 위해 많은 제조업자들은 반지의 외관과 반지를 끼는데 있어서의 문제점을 최소화하는데 관심을 집중하고 있다. 가장 일반적인 문제점은 손가락 굵기와 환형밴드의 직경이 일치하지 않아 반지가 쉽게 분실되거나 끼기가 어렵다는데 있다.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조업자들이 이용한 방법은 같은 모델의 반지를 여러가지 원주로 제공하고 사용자가 반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 결과, 반지 제조비가 상승되어 경제적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다른 방법은 반지의 환형 밴드를 팽창 가능하게 고안하여 굵기가 다른 여러 손가락들에 맞는 반지를 제조할 수 있는 재료를 환형밴드에 적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런 환형밴드는 비틀리기 때문에 매력적인 원형을 유지할 수 없다.
본 고안의 주목적은 사용자가 반지를 손가락에 슬라이딩하지 않으면서도 반지를 끼거나 뺄 수 있음은 물론, 반지의 원주를 손가락 굵기에 맞게 조절하여 착용감을 증가시키며 반지가 빠지지 않는 문제를 방지하는 원주조절형 반지를 제공하는데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상기 반지는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과, 이들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이 벌어질 수 있도록 이들 반원형 부재의 일단부들을 서로 결합하는 가요성 연결구조로 구성되고, 착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맞게 필요에 따라 반지의 원주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반원형 부재의 타단부에는 원주조절구조가 형성된다.
이하,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반지의 제1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가요성 연결구조의 제1 실시예의 사시도;
도 3a는 본 고안의 가요성 연결구조의 제2 실시예의 전개도;
도 3b는 본 고안의 가요성 연결구조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4a는 본 고안의 가요성 연결구조의 제3 실시예의 사시도;
도 4b는 본 고안의 가요성 연결구조의 제3 실시예의 단면도;
도 5a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5b는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의 원주조절을 보이는 부분단면도;
도 6a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6b는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7a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7b는 본 고안의 원주조절구조의 제6 실시예의 부분단면도;
도 8a는 본 고안의 제7 실시예의 사시도;
도 8b는 본 고안의 원주조절구조의 제7 실시예의 단면도;
도 9a는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의 사시도;
도 9b는 본 고안의 제8 실시예의 단면도.
본 고안의 원주조절형 반지에 있어서, 환형 밴드(10)는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20,30); 두개의 반원형 부재(20,3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이들 부재들을 피봇운동시킬 수 있는 가요성 연결구조(40); 및 상기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20,30)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이들 부재들을 단단한 원형 구조로 만들거나 필요에 따라 착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맞도록 환형밴드(10)의 원주를 조정할 수 있는 원주조절구조(50);로 구성된다.
상기 가요성 연결구조(40)와 원주조절구조(50)는 여러가지로 구성해도 된다. 이하의 여러 실시예는 설명을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고, 이들은 실용신안권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고, 따라서, 상기 원리들에 의거한 모든 변형과 적용들은 본 고안의 범위와 청구범위내 있다고 볼 수 있다.
본 고안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 1, 2에 따르면, 가요성 연결구조(40)는 제1 반원형 부재(20)의 일단부에서 돌출한 텅(211)과, 제2 반원형 부재(30)의 일단부에서 돌출하여 상기 텅(211)의 양측면에 끼워지는 고리(313)로 구성되고, 피봇핀(311)이 텅(211)과 고리(313) 둘다에 관통 삽입되어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20,30)의 일단부를 결합하므로, 이들 반원형 부재들은 서로 벌어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원주조절구조(50)는 제1 반원형 부재(20)의 타단부에서 노치(213)를 형성하면서 돌출하는 분절부(212)를 포함한다. 상기 분절부(212)의 개방단부는 예각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인장구간(215)으로 인해 노치(213)를 마주본다. 상기 인장구간(215)에는 꼬리블록(216)과, 인장구간(215)의 윗면에 배치된 다수의 주름홈(217)이 있다. 제2 반원형 부재(30)의 타단부는 비어 있으며, 그 내벽의 상부에 돌기(312)가 형성되고, 인장구간(215)을 좁혀 제2 반원형 부재(30)의 공동에 삽입하면 돌기(312)가 주름홈(217)에 맞물리며, 인장구간(215)의 탄력에 의해 돌기(312)가 주름홈(217)에 맞물려 있게 된다. 반대로, 꼬리블록(216)을 눌러 분절부(212)와 인장구간(215) 사이의 각도를 좁히면, 제2 반원형 부재(30)에서 인장구간을 빼낼 수 있거나, 또는 주름홈(217)을 따라 돌기(312)를 움직이면서 재결합시켜 착용자의 손가락 굵기에 맞는 원주크기로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 3a, 3b에 따르면, 상기 가요성 연결구조(40)는 제1 반원형 부재(20)의 일단부에서 돌출한 고리(23)를 포함하고, 이 고리(23)의 두개의 평행 아암들 각각에는 일단이 개방된 스냅결합공(231)이 형성된다. 제2 반원형 부재(30)의 일단부에서는 가로방향 헤드부(33)가 돌출한다. 이 헤드부(33)의 단부에는 원통형 팁(34)이 배치된다. 이 팁(34)은 상기 고리(23)의 스냅결합공(231)에 결합되고, 스냅결합공(231)에서 피봇할 수 있음은 물론 빠질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제3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4a, 4b에 따르면, 상기 가요성 연결구조(40)는 제1 반원형 부재(20)의 일단부에서 튀어나온 S자형 걸쇠(22)와, 제2 반원형 부재(30)의 일단부에서 돌출한 원통형 헤드(32)로 구성되고, 원통형 헤드(32)가 걸쇠(22)의 길이를 따라 측방으로 배치된 개구부에 삽입되면, 걸쇠(22)가 원통형 헤드(32)를 둘러싸, 원통형 헤드(32)가 피봇 가능하므로,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20,30)을 벌릴 수 있다.
본 고안의 제4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5a, 5b에 따르면, 원주조절구조(50)는 제2 반원형 부재(30)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고정폴(36), 제1 반원형 부재(20)의 일단부에서 돌출한 고정구간(24), 및 고정구간(24)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고정공들(241)로 구성되고, 고정폴(36)을 고정공(241)에 삽입하면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20,30)을 결합할 수 있으며, 고정공들(241)을 적절히 선택하여 반지의 원주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제5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6a, 6b에 따르면, 원주조절구조(50)는 환형밴드(10)의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20,30)로부터 상하 겹쳐지게 돌출되는 두개의 톱니구간들(11,12)로 구성되고, 이들 톱니구간들의 톱니를 서로 맞물려 원형 몸체로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 맞물림 위치를 조절하여 반지의 원주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제6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7a, 7b에 따르면, 원주조절구조(50)가환형밴드(10)의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20,30)로부터 상하 겹치도록 돌출되는 두개의 결합구간들(13,14)로 구성되는바, 아래쪽 결합구간(14)의 윗면에는 다수의 노치(141)가 형성되어 있고, 윗쪽 결합구간(13)에는 나사공(131)이 관통되어 있다. 나사공(131)에 체결되는 나사(15)를 원하는 노치(141)에 결합하여 반지의 원주를 변화시킬 수 있다.
본 고안의 제7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8a, 8b에 따르면, 원주조절구조(50)는 환형밴드(10)의 제2 반원형 부재(30)의 일단부에서 돌출하는 짧은 돌기(17)와, 이 돌기(17)상에 위치하는 너트(18)로 구성되는데, 상기 너트(18)는 돌기(17)상에서 회전하지만 전진/후진은 할 수 없고, 환형밴드(10)의 제1 반원형 부재(20)에는 나사구간(16)이 있고, 이 나사구간(16)은 너트(18)에 체결되며, 너트(18)를 회전시키면 나사구간(16)의 전후진을 조절하여 환형밴드(10)의 원주를 조절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제8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 9a, 9b에 따르면, 상기 원주조절구조(50)는 제1 반원형부재(20)의 일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하는 핀(51,52), 환형밴드(10)의 타단부와 정렬되도록 형성된 홀딩채널(53), 홀딩채널(53)의 양측에 형성된 다수의 핀 슬롯(54)으로 구성된다. 이들 핀 슬롯(54)의 하단부는 수평으로 편향되어있으며, 핀(51,52)을 핀슬롯(54)에 끼운 뒤 슬롯의 수평편향 바닥부에 삽입하면, 핀(51,52)이 고정되어 환형밴드(10)가 결합되고, 핀 슬롯들(54)을 적절히 선택하면 반지의 원주를 변화시킬 수 있다.
가요성 연결구조(40)와 원주조절구조(50)는 모두 교환 가능한 배열로 구성된다. 가요성 연결구조(40)로 인해 환형밴드(10)를 벌리거나 좁힐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환형밴드(10)를 벌려 손가락에 위치시킨 다음 손가락에 맞게 결합할 수 있으며, 원주조절구조(50)를 이용해 반지 착용자에게 가장 잘 맞도록 조금씩 조절할 수 있다. 반대로, 원주조절구조(50)를 풀면, 환형밴드(10)를 벌려 손가락에서 반지를 빼낼 수 있다. 반지를 뺄 때 손가락에서 슬라이딩할 필요가 없기때문에, 아무런 불편함이 없음은 물론, 원주조절구조(50)를 어떤 손가락에도 맞도록 조절할 수 있으므로 착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되고 반지가 빠지지 않는 사고도 방지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구조는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 모든 반지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10)

  1. 서로 결합되어 반지의 환형밴드를 형성하는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
    상기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이 피봇될 수 있도록 두개의 반원형 부재의 일단부에 형성된 가요성 연결구조; 및
    두개의 반원형 부재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이들 부재들을 단단한 환형밴드로 결합할 수 있음은 물론 환형밴드의 원주를 필요한대로 변화시킬 수 있는 원주조절구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조절형 반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구조는 제1 반원형 부재의 일단부에서 돌출한 텅과, 상기 텅의 양측면에 끼워맞춤되고 제2 반원형 부재의 일단부에서 돌출한 고리로 구성되고, 상기 텅과 고리에 피봇 핀이 관통 삽입되어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의 상기 일단부들을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조절형 반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구조는 제1 반원형부재의 일단부에 돌출한 S자형 걸쇠와, 제2 반원형 부재의 일단부에서 돌출한 원통형 헤드로 구성되고, 상기 걸쇠가 원통형 헤드를 감싸 원통형 헤드가 걸쇠 내부에서 피봇하여 상기 반원형 부재들을 벌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조절형 반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연결구조는 제1 반원형 부재의 일단부에서 돌출한 고리, 이 고리의 두개의 평행한 측방 아암들 각각에 일단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스냅결합공, 제2 반원형 부재의 일단부에서 돌출한 가로 헤드부, 및 상기 헤드부의 측방 단부에 배치된 원통형 팁으로 구성되고, 상기 원통형 팁이 상기 고리의 스냅결합공에 삽입되고 이 스냅결합공에서 피봇 가능하여 상기 반원형 부재들을 벌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조절형 반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조절구조는 제1 반원형 부재의 일단부에서 돌출하는 분절부, 상기 분절부의 개방단부에서 예각으로 구부러져 형성된 인장구간, 및 상기 인장구간의 윗면에 형성된 다수의 주름홈으로 구성되고, 제2 반원형 부재의 일단부에는 공동이 형성되고 그 내벽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분절부와 인장구간을 제2 반원형 부재의 공동으로 삽입하고 상기 돌기를 주름홈에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조절형 반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조절구조는 제2 반원형 부재의 일단부에 수직으로 형성된 고정폴, 제1 반원형 부재의 일단부에서 돌출하는 고정구간, 및 고정구간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고정공들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폴이 고정공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조절형 반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조절구조는 상기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로부터 상하로 겹치게 돌출되는 두개의 톱니구간들로 구성되어, 서로 마주보는 결합면들을통해 이들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을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조절형 반지.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조절구조는 두개의 반원형 부재들로부터 상하로 겹치게 돌출하는 두개의 결합구간들, 상기 아랫쪽 결합구간의 윗면을 따라 형성된 다수의 노치, 윗쪽 결합구간에 형성된 관통공, 상기 관통공을 통해 체결되고 상기 노치에 결합되는 나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조절형 반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조절구조는 제2 반원형 부재의 일단부에서 돌출한 짧은 돌기, 상기 돌기상에 위치하는 너트, 및 제1 반원형 부재에 형성된 나사구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나사구간이 상기 너트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조절형 반지.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주조절구조는 제1 반원형 부재의 일단부 양측면에서 돌출한 핀, 제2 반원형 부재의 정렬된 삽입을 위해 제2 반원형 부재와 나란하게 제2 반원형 부재에 형성된 홀딩채널, 및 상기 핀의 삽입과 정위치를 위해 상기 홀딩채널 양측면에 형성된 다수의 핀 슬롯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주조절형 반지.
KR2020020015096U 2002-05-17 2002-05-17 원주조절형 반지 KR2002860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96U KR200286056Y1 (ko) 2002-05-17 2002-05-17 원주조절형 반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5096U KR200286056Y1 (ko) 2002-05-17 2002-05-17 원주조절형 반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056Y1 true KR200286056Y1 (ko) 2002-08-22

Family

ID=73084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5096U KR200286056Y1 (ko) 2002-05-17 2002-05-17 원주조절형 반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05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2052A1 (en) * 2005-11-23 2007-05-31 David South Sizable titanium 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62052A1 (en) * 2005-11-23 2007-05-31 David South Sizable titanium r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77787A1 (en) Adjustable circumference finger ring
KR100449314B1 (ko) 플라스틱 집게
EP1020752A1 (en) Turning mechanism of a temple with respect to a bracket and eyeglasses using the same
CN108685291A (zh) 具有狭槽孔柄脚的带扣
KR100445545B1 (ko) 착탈식 링크를 구비한 시계줄
US20210045501A1 (en) Flat bracelet clip
WO2013102983A1 (ja) 装身具用連結構造
KR200286056Y1 (ko) 원주조절형 반지
KR100715804B1 (ko) 각도가 조절되는 연결체의 연결구조
JP2014158633A (ja) フリーサイズ装身具
US20080185015A1 (en) Bobby pin (1)
US6053630A (en) Adjustable band
KR200397429Y1 (ko) 귀마개용 프레임
US11006707B2 (en) String-type jewelry having snap-fit segments
JP6157766B1 (ja) こぶ付紐用の先端固定具
JP4587280B2 (ja) リング状耳飾り
JP4366459B2 (ja) 装身具用バンドの連結構造
JP3214654U (ja) フリーサイズ指輪
JP6432011B1 (ja) 装身具の長さ調整機能付き留め具
JP3095728B2 (ja) 衣服用ハンガー
JP2005034512A (ja) 環状装身具
JP2000296007A (ja) 時計バンドの連結構造
KR200220162Y1 (ko) 조립식 훌라후프
JP2007195606A (ja) 装身具用留め具及びこれを備える装身具
JP2022123793A (ja) イヤリン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25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