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920Y1 - 회전축연결용커플링구조 - Google Patents

회전축연결용커플링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920Y1
KR200285920Y1 KR2019960049148U KR19960049148U KR200285920Y1 KR 200285920 Y1 KR200285920 Y1 KR 200285920Y1 KR 2019960049148 U KR2019960049148 U KR 2019960049148U KR 19960049148 U KR19960049148 U KR 19960049148U KR 200285920 Y1 KR200285920 Y1 KR 2002859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key
shaft
rotary shaf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9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151U (ko
Inventor
백선현
한성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2019960049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920Y1/ko
Publication of KR199800361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1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9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920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F16D1/087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axial keys and no other radial clam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06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 F16D1/08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 F16D1/0852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clamping between the mating surfaces of the hub and shaft
    • F16D1/0864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for attachment of a member on a shaft or on a shaft-end with clamping hub; with hub and longitudinal key with radial clamping between the mating surfaces of the hub and shaft due to tangential loading of the hub, e.g. a split hub

Abstract

본 고안은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여 회전시킬 때 유격발생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결합할수 있도록 한 연결용 커플링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인 구성은, 회전축(2)과 연결축(3)에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키이홈(3')에형상의 키이(7)를 삽입하며, 상기 키이(7)의 상측에 커플링(4)이 삽착되고, 상기 커플링(4)은 내측 주연 상측부에 폭방향 상향으로 일정량 절개 되어 그 단부에

Description

회전축 연결용 커플링구조
본 고안은 회전축과 연결축을 상호 연결하여 회전시킬 때 유격발생을 방지하여 견고하게 결합시키도록 하는 회전축의 커플링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회전축과 연결축을 연결 고정하는 커플링 연결 작업시 회전축과 연결축 및 커플링사이에 삽입 고정되는 키이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키이가 삽입되는 회전축과 연결축 및 커플링의 키이홈이및,형상으로 형성됨으로서, 회전축과 연결축의 연결작업을 위한 커플링 고정시, 각 요소들간의 정밀한 공차가 형성되지 않아도 용이하게 조립작업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회전축과 연결축의 반복적인 조립 및 분해 작업시에도 키이는 물론, 이에 접촉하는 축과 커플링의 마모를 방지함으로서 유격 및 진동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시킬 수 있는 회전축 연결용 커플링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종래의 회전축 연결용 커플링구조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면 회전하는 모터(51)의 일측에 회전축(52)이 일체로 돌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52)의 단부 일측에 길이방향의 키이홈(53)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축(52)에 연결되는 연결축(57)의 단부 일측에 키이홈(53)을 형성하고, 상기 회전축(52) 및 연결축(57)에 형성된 키이홈(53)과, 그 상측으로 위치되고 상기 커플링(56)의 내측 주연에 형성되는 키이홈(53')에 상기 키이(58)가 삽입되어 상기 커플링(56)이 삽착되며, 상기 커플링(56)의 키이홈(53')의 외주연에 고정볼트(55)가 결합되는 볼트홈(54)이 각각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종래의 회전축 연결용 커플링 구조에 있어서는, 전원이 공급되면 회전하는 모터(51)의 일측에 회전축(52)이 일체로 회전하고, 이에 커플링(56)으로서 연결된 연결축(57)이 일체로 회전하는데, 상기 회전축(52)과 이에 연결되는 연결축(57)은 각각의 축(52)(57)에 형성된 키이홈(53)과 상기 커플링(56)에 형성된 키이홈(53')에 삽입되는 키이(58)로서 회전축(52)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커플링(56)으로서 그 연결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회전축 연결용 커플링구조에 있어서는,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52)과 이에 연결되는 연결축(57)에 형성된 키이홈(53)과, 그 상측으로 결합되는 커플링(56)에 형성된 키이홈(53')에 통상적인 사각 키이(58)가 삽입 고정됨으로 인하여, 키이 조립시 키이의 사각모서리부분에 의하여 정밀한 공차가 키이홈(53)(53')에 형성되어야 하며, 이는 결국 키이 조립에 따른 커플링(56)의 축연결 작업을 어렵게 하는 한편, 키이(58)의 모서리부분은 물론, 키이홈(53)(53')이 형성된 축(52)(57)과 커플링(56)도 손쉽게 마모되면서, 키이(58)와 각각의 키이홈(53)(53')사이에 유격이 발생되면서 축의 회전시 진동이 발생하고, 이와 같은 진동으로 키이(58)를 고정하는 결합볼트(55)가 느슨하게 되면서 회전축(52) 및 연결축(57)의 회전력이 완벽하게 전달하기 힘들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회전축과 연결축의 연결작업을 위한 커플링 연결 작업시, 키이가 삽입되는 키이홈등의 요소들이 정밀한 공차를 유지하지 않아도 조립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회전축과 연결축의 반복적인 조립 및 분해 작업시에도 키이는 물론, 이에 접촉하는 축과 커플링의 마모를 방지함으로서 마모에 따른 유격 및 진동발생을 방지하여 회전축과 연결축사이의 커플링 연결구조가 느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회전축 연결용 커플링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회전축 연결용 커플링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 연결용 커플링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모터 2... 회전축
3... 연결축 4... 커플링
5... 결합볼트 6,6'... 키이홈
7... 키이 8... 볼트홈
9... 절개부 10... 고정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모터로서 회전하는 회전축과 연결축은 내측으로 삽입되는 키이를 개재하여 커플링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플링의 일측을 절개하여 절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의 일측에 형성된 볼트홈에는 결합볼트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과 연결축이 연결하는 회전축 연결용 커플링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과 연결축에는형상의 키이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은 내측 주연 상측부에 폭방향으로 일정부분 절개되는 고정부를 갖추며, 상기 커플링의 고정부 하단부에는 상기 키이홈과 연결되는형상의 키이홈이 형성되고, 상기 키이는 상기 각각의 키이홈사이에 조립이 용이하고 마모가 방지토록 삽입 고정되는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축 연결용 커플링구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 연결용 커플링 구조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로서 본 고안은, 전원이 공급되면 회전하는 모터(1)의 일측에 회전축(2)이 일체로 돌출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의 단부 일측으로 그 원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형상의 키이홈(6')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에 연결되는 연결축(3)의 단부 일측으로 그 원주면에는형상의 키이홈(6')이 일체로 연결토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축(2)과 연결축(3)의 각 키이홈(6')에는형상으로 형성된 키이(7)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키이(7)의 상측에는 상기 회전축(2)과 연결축(3)을 연결하는 커플링(4)이 삽입 장착되고, 상기 커플링(4)은 내측 주연 상측부에 폭방향 상향으로 일정부분 절개되는 고정부(10)를 갖추고, 상기 고정부(10)의 하단부에는 상기 키이(7)가 삽입되는형상의 키이홈(6)이 형성되며, 상기 커플링(4)의 일측을 절개하여 형성된 절개부(9)의 일측에는 볼트홈(8)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홈(8)에는 결합볼트(5)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2)과 연결축(3)이형상으로 된 키이(7)를 개재하여 커플링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고안의 작용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면 회전 작동하는 모터(1)의 일측에 일체로 설치된 회전축(2)의 단부 일측으로 원주면에는 길이방향으로형상의 키이홈(6')이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회전축(2)에 연결되는 연결축(3)의 단부 즉, 상기 회전축(2)에 연결되는 타측 단부 원주면에도형상으로 형성된 키이홈(6')이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축(2)과 연결축(3)에 서로 연결되어 직선상을 이루는 상기 형상의 키이홈(6')에는형상으로 형성된 키이(7)가 삽입되며, 상기 키이홈(6')에 삽입되는 키이(7)의 상측에는형상으로 형성된 키이홈(6)이 형성되는 커플링(4)이 상기 회전축(2)과 연결축(3)에 삽입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2)과 연결축(3)은형상으로 된 키이(7)를 개재하여 커플링(4)으로서 연결 고정되어, 상기 모터(1)의 회전시 일체로 회전하는 회전축(2)의 회전력이 연결축(3)에 전달되어 상기 연결축(3)은 회전 작동되는데, 상기 커플링(4)의 내측 주연이 두께방향 외측으로 일정부 절개되어 그 단부에는 고정부(10)가 설치되어 있다.
결국, 상기 고정부(10)는 일정부분이 커플링(4)의 폭방향으로 내주연부에서 상방향으로 절개됨으로써, 상기 키이(7)가 각각의 축(2)(3) 및 커플링(4)의 내주연에 형성된 키이홈(6')(6)사이에 용이하게 삽입 및 이탈될 수 있게 한다.
더하여, 상기 커플링(4)의 하측에는 절개부(9)를 형성하여 그 일측에 설치되는 볼트홈(8)에 결합볼트(5)가 삽입 고정됨으로서, 초기 키이(7)를 상기 키이홈(6')(6)사이에 삽입시키는 조립작업시 상기 절개부(9)의 폭만큼 여유간격이 있어 용이하게 삽입 고정시키어 키이(7)의 조립작업이 용이하게 되는 한편, 상기 결합볼트(5)를 회전시키어 절개부(9)가 밀착되면 상기형상의 키이(7)를및,형상으로 된 키이홈(6')(6)에 압착시키는 동시에, 상기 회전축(2) 및 연결축(3)을 압입하면서 견고하게 연결시키게 되며, 상기 커플링(4)의 상측에 형성되는 고정부(10)가 상기 키이(7)를 또한 견고하게 지지하게 하는데, 상기형상의 키이(7)는 키이홈(6')(6)과의 접촉면적이 증대되어 압입되기 때문에 커플링(4)의 연결구조가 견고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키이(7)는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통상의 사각키이보다 키이홈(6')(6)에 삽입후 고정시키는 조립작업 또는 그 반대의 분해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특히형상으로 된 키이(7)에는 통상적인 사각키이와 같은 사각모서리부분이 없기 때문에, 각 요소(2)(3)(4)들간의 마모발생이 방지되고, 결국 마모발생에따른 키이(7)와 키이홈(6')(6)사이의 유격발생을 방지되어 유격으로 인한 진동발생이 방지되고, 이는 회전시 회전축(2)과 연결축(3)의 연결상태가 느슨하게 되는 것도 방지시키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회전축 연결용 커플링구조에 의하면, 회전축과 연결축의 연결작업을 위한 커플링 작업시, 각 요소들간에 정밀한 공차가 형성되지 않아도 용이하게 조립작업이 수행될 수 있음은 물론, 특히 회전축과 연결축의 반복적인 조립 및 분해 작업시에도 키이는 물론, 이에 접촉하는 축과 커플링의 마모가 방지됨으로서, 마모에 따른 유격 및 진동발생으로 인한 회전축과 연결축사이의 연결상태가 느슨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여 회전력의 전달을 항상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1)

  1. 모터로서 회전하는 회전축(2)과 연결축(3)은 내측으로 삽입되는 키이(7)를 개재하여 커플링(4)으로 연결되고, 상기 커플링(4)의 일측을 절개하여 절개부(9)를 형성하고, 상기 절개부(9)의 일측에 형성된 볼트홈(8)에는 결합볼트(5)가 삽입되어 상기 회전축(2)과 연결축(3)을 연결하는 회전축 연결용 커플링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과 연결축(3)에는형상의 키이홈(6')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커플링(4)은 내측 주연 상측부에 폭방향으로 일정부분 절개되는 고정부(10)를 갖추며, 상기 커플링(4)의 고정부(10) 하단부에는 상기 키이홈(6')과 연결되는형상의 키이홈(6)이 형성되고, 상기 키이(7)는 상기 각각의 키이홈(6)(6')사이에 조립이 용이하고 마모가 방지토록 삽입 고정되는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축 연결용 커플링구조
KR2019960049148U 1996-12-14 1996-12-14 회전축연결용커플링구조 KR2002859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148U KR200285920Y1 (ko) 1996-12-14 1996-12-14 회전축연결용커플링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9148U KR200285920Y1 (ko) 1996-12-14 1996-12-14 회전축연결용커플링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151U KR19980036151U (ko) 1998-09-15
KR200285920Y1 true KR200285920Y1 (ko) 2003-08-19

Family

ID=49397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9148U KR200285920Y1 (ko) 1996-12-14 1996-12-14 회전축연결용커플링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92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062A (ko) 2020-02-13 2021-08-23 이진완 축이음 커플링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3062A (ko) 2020-02-13 2021-08-23 이진완 축이음 커플링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151U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626B1 (ko) 나사 및 그것과 드라이버 비트의 조합
US20020006332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achably connecting an impeller to a pinion shaft in a high speed fluid compressor
KR200285920Y1 (ko) 회전축연결용커플링구조
US7905024B2 (en) Drive wheel
US6183136B1 (en) Floating sleeve bearing for electric motor
KR200229250Y1 (ko) 에이비에스모터의스톱부싱구조
KR200151323Y1 (ko) 송풍기
JPH1162875A (ja) キャンドモータポンプ
JPS6214421Y2 (ko)
JPS5834233A (ja) 回転軸の連結装置
KR200285623Y1 (ko) 유니버셜 조인트용 스플라인축이음의 유격보상장치
JP2002349484A (ja) 圧縮機
KR100339111B1 (ko) 수작업식공작기계에설치된공구를회전운행하는장치
KR200241930Y1 (ko) 플렉시블 커플링
KR970045909A (ko) 유격방지용 유니버셜 조인트
JPH0323177Y2 (ko)
KR200185576Y1 (ko) 커플링을 이용한 다이렉트 드라이브 스핀들 조립구조
SU1814150A1 (ru) Конструкция соединения пластмассового вентилятора с валом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ы 2
JPH026733Y2 (ko)
KR0159468B1 (ko) 베어링부의 방진을 위한 그라인더
JP3644999B2 (ja) 円筒形状穿孔工具
US20030072606A1 (en) Joint assembly and joint socket sleeve
KR19990080264A (ko) 예취기용 칼날의 회전방법 및 칼날구조
JP4475531B2 (ja) 回転軸連結機構
KR200153534Y1 (ko) 세탁기용 기어조립체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