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582Y1 -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 - Google Patents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582Y1
KR200285582Y1 KR2020020016056U KR20020016056U KR200285582Y1 KR 200285582 Y1 KR200285582 Y1 KR 200285582Y1 KR 2020020016056 U KR2020020016056 U KR 2020020016056U KR 20020016056 U KR20020016056 U KR 20020016056U KR 200285582 Y1 KR200285582 Y1 KR 2002855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isphere
rim
tightening
indicator device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0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성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성일렉스
Priority to KR20200200160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55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5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582Y1/ko

Link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주간에 저공 비행중인 비행사에게 철탑에 연결된 전선의 존재를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가 개시된다. 속이 빈 제1 및 제2 반구체를 접합하여 구형의 표시구로 되며, 각 반구체에는 접합부의 측면의 마주보는 두 지점에서 바깥으로 플랜지가 연장되며, 각 반구체의 상기 두 플랜지 사이의 양쪽 반원을 따라 림이 바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항공장애물 표시구 장치에 있어서, 서로 접해있는 상기 제1 반구체의 제1림과 상기 제2 반구체의 제1림 사이를, 그리고 서로 접해있는 상기 제1반구체의 제2림과 상기 제2반구체의 제2림 사이를, 서로 조여서 더욱 밀착시켜주는 조임부재를 더 부가한다. 이에 의해 제1 반구체와 제2 반구체는 틈이 벌어지지 않게 단단히 결합된다. 그 결과 풍력에 의한 충돌이 일어나지 않아 그로 인한 소음이 전혀 발생되지 않는다.

Description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 {AIRCRAFT OBSTRUCTION WARNING SPHERE APPARATUS}
본 고안은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형 철탑들 간에 연결된 고공 송전선에 설치되어 비행사들에게 송전선의 존재를 육안으로 식별시키기 위한 항공장애물 표시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는 저공 비행중인 항공사에게 장애물의 존재를 알려줌으로써 비행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송전탑의 송전선에 현수되어 비행사에게 송전선의 존재를 알 수 있도록 해준다. 원거리에서도 잘 보이도록 하기 위해 그 표면색이 주로 주황색으로 되어 있고, 햇빛을 잘 반사할 수 있도록 표면 처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는 고공에 현수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바람의 영향을 받아 상하 좌우로 심하게 요동한다. 또한 송전선도 역시 바람에 의해 크고 작은 진동과 출렁임을 일으킨다. 따라서 바람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의 외형은 구형 내지 유선형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a와 1b는 구형 구조를 갖는 종래의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100)가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절단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항공장애물 표시구 장치의 일 측의 클램프 근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종래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100)는 서로 맞대어서 구(10)를 형성하는 상부 반구체(10a)와 하부 반구체(10b)를 포함한다. 상부 및 하부 반구체(10a, 10b)에는 바람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빗물 유입 시 이를 배수시키는 다수개의 관통구(19)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 반구체(10a)의 양 측부에는 한 쌍의 상부 플랜지(14a, 16a)가 각각 형성되며, 또한 상기 하부 반구체(10b)의 양 측부에도 한 쌍의 하부 플랜지(14b, 16b)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각 플랜지에는 볼트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상부 및 하부 플랜지(14a, 14b, 16a, 16b)는 각 체결공에 볼트-너트(18a, 18b)가 체결된다. 이에 의해 상부 반구체(10a)와 하부 반구체(10b)가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된다.
또한, 상부 및 하부 반구체(10a, 10b)가 맞닿는 외주부에는 상부 림(12a)과 하부 림(12b)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부 림(12a)의 저면과 하부림(12b)의 상면에는 각각 돌기(15)와 홈(13)이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서로 접하는 상부 및 하부 림의 돌기(15)와 홈(13)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결합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는 상부 및 하부 반구체(10a, 10b)의 결합력을 보강해준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 및 하부 플랜지(14a, 14b, 16a, 16b)의 내면에는 클램프(22)가 장착된다. 그리고 클램프(22)는 가운데로 전선관통로(24)가 형성되어 있다.
종래에는 이 클램프(22) 각 플랜지의 내면에 장착되고, 상기 전선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전선(2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의 전선관통로(24)가 음각되어 클램프(22)의 가운데를 통과한다. 상부 반구체(10a)와 하부 반구체(10b)의 한쪽 플랜지(14a, 14b)와 다른 한쪽 플랜지(16a, 16b)를 볼트-너트(18a, 18b)로 체결하면 전선(20)은 상하의 클램프에 의해 단단히 파지되는데, 이 때 클램프(22)의 전선관통로(24) 형상은 전선(20)의 형상에 대응되므로 표시구(5)의 슬립이나 회전이 방지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갖는 종래의 표시구 장치(5)를 고공 송전선에 설치하여 사용한 결과, 개구리 울음소리 또는 딱따구리 소리와 같은 소음이 자주 발생하고 그것도 인근 지역 주민이 시끄럽다고 느낄 정도로 큰 소음(공진현상에 의한 것으로 추정됨)이어서 민원이 자주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런데 표시구 장치(5)는 고공의 송전선(20)에 설치되므로 무슨 원인으로 인해 그러한 소음이 발생하는지를 규명하기가 쉽지 않아 수 년 동안이나 문제해결을 하지 못한 채로 방치되었었다.
하지만, 본 고안자는 소음 발생의 원인 규명을 위한 노력을 꾸준히 기울인결과, 최근에 소음의 주된 발생원이 상부 반구체(10a)와 하부 반구체(10b)의 충돌이라는 사실을 알아내게 되었다. 림(12a, 12b)이 수평으로 위치할 때에는 표시구 장치(5)에서 위와 같은 소음이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림(12a, 12b)이 수직으로 위치할 때에는 소음이 많이 발생한다는 현상을 발견하게 되었다. 고공에서의 바람은 주로 수평으로 불지 수직으로 불지는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면, 바람이 림(12a, 12b)에 어떤 영향을 주기 때문에 소음이 발생하는 것으로 가정할 수 있었고, 이러한 가정은 본 고안에 의해 옳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이에 대해서는 본 고안의 설명에서 상설함).
표시구 장치(5)는 지름 사이즈가 510mm, 610mm, 910mm 등 상당히 큰 구형이므로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을 수 없다. 두 반구체(10a, 10b)가 완전하게 밀접되어 있으면 상호간의 충돌로 인한 소음은 발생되지 않을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표시구 장치(5)는 양쪽 플랜지(14a, 14b, 16a, 16b)의 볼트 결합만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플랜지와 플랜지의 중간 부분의 상부 및 하부 림(12a, 12b)은 틈이 존재한다.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반구체(10a, 10b) 자체에 변형이 일어나기도 하므로 그 틈은 최초 설치 시의 틈에 비해 더 많이 벌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바람이 상부 반구체(10a)와 하부 반구체(10b) 중 어느 하나에 힘을 가하면 밀려서 두 반구체(10a, 10b)는 충돌하게 되는데, 바람이 힘을 가하는 주파수와 표시구 장치(5) 스스로가 갖는 자연주파수가 비슷해지면 비록 바람이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공진에 의해 반구체(10a, 10b)는 계속 진동을 하면서 상부 림(12a)과 하부 림(12b) 간에 충돌을 일으킨다. 그리고 이러한 충돌에 의해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두 반구체(10a, 10b)의 진동과 충돌은 바람이 강할 때도 발생하지만 강한 바람이 아닌 경우에도 일어나는 것으로 관찰되는 것이 이를 입증해준다.
한편, 바람은 송전선(20)에도 힘을 가해 송전선이 크고 작은 진동과 흔들림을 일으키게 한다. 플랜지(14a, 14b, 16a, 16b) 안쪽에 설치하는 클램프(22)를 금속재로 만들면 송전선(20)의 진동이 표시구 장치(5)에 전달되어 이로 인한 소음도 발생한다.
본 고안은 비교적 간단한 구성과 설치방식에 의해 상술한 종래 표시구 장치가 갖는 소음 발생이라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항공장애물 표시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a와 도 1b는 각각 종래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의 측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절단선 A-A'를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항공장애물 표시구 장치의 일 측의 클램프 근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를 "A" 방향에서 바라 본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서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를 "B" 방향에서 바라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D"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2: 방진 클램프 50a: 상부 반구체
50b: 하부 반구체 52a: 제1 상부 림
52b: 제1 하부 림 53a: 제2 상부 림
53b: 제2 하부 림 54a: 제1 상부플랜지
54b: 제1 하부플랜지 56a: 제2 상부플랜지
56b: 제2 하부플랜지 58a, 58b: 볼트-너트
59: 관통구 60a: 제1 조임부재
60b: 제2 조임부재 62a, 62b: 선회축
64a, 64b: 선회 볼트 66a, 66b: 너트
68a, 68b: 돌기 100: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고공 송전선에 설치되는 항공장애물 표시구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속이 빈 제1 및 제2 반구체를 접합하여 구형의 표시구로 되며, 각 반구체에는 접합부의 측면의 마주보는 두 지점에서 바깥으로 플랜지가 연장되며, 각 반구체의 상기 두 플랜지 사이의 양쪽 반원을 따라 림이 바깥으로 돌출되는 항공장애물 표시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항공장애물 표시구 장치는 서로 접해있는 상기 제1 반구체의 제1림과 상기 제2 반구체의 제1림 사이를, 그리고 서로 접해있는 상기 제1반구체의 제2림과 상기 제2반구체의 제2림 사이를, 서로 조여서 더욱 밀착시켜주는 조임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물 표시구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항공장애물 표시구 장치는, 각 플랜지의 내면에 장착되고, 상기 전선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전선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의 전선관통로가 그 가운데를 통과하면서 음각되어 상기 전선을 단단히 파지하는 클램프를 더 구비한다.
본 고안의 일면에 따르면,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제1 반구체의 제1림과 상기 제2 반구체의 제1림의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외경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가운데에 홈이 파인 형상의 제1 한 쌍의 돌기; 상기 제1 반구체의 제2림과 상기 제2 반구체의 제2림의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외경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가운데에 홈이 파인 형상의 제2 한 쌍의 돌기; 상기 제1 반구체의 상기 제1림의 돌기와 상기 제2 반구체의 상기 제2림의 돌기 각각의 안쪽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및 제2 볼트; 상기 제1 반구체의 제1림에서 상기 제1 한 쌍의 돌기의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반구체의 제1림의 돌기의 바깥쪽까지 연장된 상기 제1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반구체의 제1림과 상기 제2 반구체의 제1림을 더욱 밀착되도록 조여 주는 제1 너트; 및 상기 제1 반구체의 제2림에서 상기 제2 한 쌍의 돌기의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반구체의 제2림의 돌기의 바깥쪽까지 연장된 상기 제2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반구체의 제2림과 상기 제2 반구체의 제2림을 더욱 밀착되도록 조여 주는 제2 너트를 구비한다.
본 고안의 다른 면에 따르면, 상기 조임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반구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반구체의 상기 제1림과 제2림을 각각 가로질러 덮으면서 외경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단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클램프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반구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반구체의 상기 제1림과 상기 제2림을 각각 가로질러 덮으면서 외경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단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 클램프부재; 서로 대면하는 상기 제1 클램프부재와 상기 제2 클램프부재의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볼트;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조임으로써 상기 제1 반구체의 제1 및 제2 림과 상기 제2 반구체의 제1 및 제2 림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너트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100)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표시구 장치(100)는 종래의 표시구 장치(5)와 비교할 때 조임부재(60a, 60b)를 더 구비한다는 점에서 가장 큰 차이가 있다. 나아가 후술할 클램프 재질이 탄성물질로 만들어진다는 점도 차이가 있다. 그 밖의 점들은 종래의 표시구 장치(5)와 동일하다.
양쪽 플랜지(54a와 54b, 56a와 56b)의 볼트(58a, 58b)에 의한 결합력만으로 상부 및 하부 반구체(50a, 50b)를 조립한 경우 플랜지로부터 멀어질수록 상부 림(52a, 53a)과 하부 림(52b, 53b) 간의 결합력은 약해져서 그 틈이 생길 수 있고, 이러한 틈이 존재함으로 인해 상부 및 하부 반구체(50a, 50b)는 풍력에 의한 공진 충돌을 일으켜 소음을 발생시킨다는 사실은 앞서 종래기술의 문제점으로 지적한 바와 같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조임부재(60a, 60b)가 더 제공되는 것이다.
조임부재(60a, 60b)는 상부 반구체(50a)와 하부 반구체(50b) 간의 결합력을 보다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시간의 경과에 의해서도 상부와 하부 반구체(50a, 50b)를 단단히 조여 주어 이들 두 반구체 간의 틈이 더 벌어지지 않도록 해주는 역할을 한다. 조임부재(60a, 60b)는 나아가 설치작업성이 좋아야 한다. 왜냐하면 철탑에 연결된 고공의 송전선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작업환경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조임부재(60a, 60b)는 작업자가 아주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임부재(60a, 60b)는 상부 반구체(50a)와 하부 반구체(50b)의 접합면 선상의 림에 설치되는데, 양쪽 플랜지(54a와 54b, 56a와 56b)를 잇는 선을 기준으로 양측에 각각 적어도 하나의 조임부재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양쪽 플랜지(54a와 54b, 56a와 56b)의 연결선 양쪽에 각각 하나의 조임부재(60a, 60b)를 설치한 경우를 도시한다.
하나의 조임부재(60a)에 대하여 설명하면, 조임부재(60a)는 상부 반구체(50a)의 제1 림(52a)과 하부 반구체(50b)의 제1 림(52b)의 대략 중간 지점에서 외경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가운데에 홈이 파인 형상의 한 쌍의 돌기(68a)를 포함한다. 또한 조임부재(60a)는 이 돌기(68a)의 안쪽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볼트(64a)와 이 볼트(64a)에 체결되는 너트(66a)를 포함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68a) 안쪽의 림(52a)에는 선회축(62a)이 리벳(63a, 63b)에 의해 고정되고, 볼트(64a)는 그 한쪽이 이 선회축(62a)에 선회가능하게 결합된다. 볼트(64a)는 돌기(62a)의 홈을 관통하여 하부 반구체(50b)의 제1 림(52b)의 돌기의 바깥쪽까지 연장되는 길이를 갖는다. 작업자는 표시구 장치(100)를 전선(20)에 설치작업을 할 때, 이 볼트(64a)를 아래로 내려 너트(66a)를 체결하여 상부 반구체(50a)의 제1 림(52a)과 하부 반구체(50b)의 제1 림(52b)을 더욱 밀착되도록 조여 주면된다.
생산성 향상을 위해 상부 반구체(50a)와 하부 반구체(50b)를 동일한 구조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표시구(50)의 한 쪽의 선회축(62a)과 볼트(64a)는 상부 반구체(50a)에 고정되며 다른 한 쪽의 선회축(62b)과 볼트(64b)는 하부 반구체(50b)에 고정되게 된다.
이러한 조임부재(60a, 60b)는 표시구 장치(100)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수로 설치하면 된다.
한편 바람에 의해 전선(20)은 끊임없이 진동과 출렁거림을 일으키는데 이러한 전선(20)의 움직임은 표시구 장치(100)의 접촉부에 그대로 전달된다. 전선(20)과 접촉하는 것은 플랜지(54a와 54b, 56a와 56b) 안에 장치된 클램프(40, 도 3의 22에 해당)이므로, 이 클램프(40)를 예컨대 고무나 폴리우레탄수지재 등과 같은 탄성물질로 만들어 전선(20)으로부터 전해오는 진동력을 흡수하여 마찰 내지 충돌에 따른 소음 발생을 억제하도록 한다. 물론 클램프(40)는 종래와 같이 전선(20)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의 전선관통로가 그 가운데를 통과하면서 음각되도록 만들어 전선(20)을 단단히 파지하는 구조를 갖는 것은 동일하다.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구 장치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는조임부재를 앞의 실시예와는 다르게 구성한 것이다. 도면은 어느 반쪽에 두 개의 조임부재(80a,80b)를 설치한 경우를 도시하는데 조임부재의 개수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표시구 장치(100)의 크기에 따라 적절히 정하면 될 것이다.
하나의 조임부재(80a)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조임부재(80a)는 상부 반구체(50a)에 고정되고 제1 림(52a)을 가로질러 덮으면서 외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클램프부재(83a)와 하부 반구체(50b)에 고정되고 그 제1림(52b)을 가로질러 덮으면서 외경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클램프부재(82a)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1 및 제2 클램프부재(83a, 82a)의 연장 단부는 서로 맞접하게 되며, 각각 에는 볼트 삽입을 위한 체결공이 형성된다. 이 체결공에 볼트를 삽입하여 볼트-너트(84a)로 조임으로써 상부 및 하부 반구체(50a, 50b)의 각 제1 림(52a, 52b)을 단단히 조여 주어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해준다. 이 실시예는 앞의 실시예에 비해 설치작업성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점은 있다. 왜냐하면 앞의 실시예는 볼트가 반구체에 고정된 구조인데 비해, 이 실시예는 볼트와 너트 어느 것도 반구체에 고정되지 않아 작업자가 공중에서 설치 작업 시 다소 불편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두 실시예에 따른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는 상부 및 하부 반구체(50a, 50b)의 접합면에 마련된 림들을 조임부재로 더욱 조여 주어 틈이 벌어지지 않도록 해준다. 상부 및 하부 반구체(50a, 50b)가 틈이 없이 긴밀히 결합되므로 설사 풍력에 전달되더라도 부딪힘에 의한 소음은 발생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그간의 송전선 근처의 주민을 괴롭혔던 소음 문제가 획기적으로개선될 수 있다. 비록 간단한 구성의 조임부재를 부가한 것이지만 이와 같은 해결방법을 알아내기가 쉽지 않은 특수한 사정을 감안하면 본 고안이 가져다주는 소음 장지 효과는 그 의미가 매우 크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고공의 송전선에서도 간단하고 쉽게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조임부재를 만들었기 때문에, 조임부재를 더 부가하더라도 표시구 장치의 설치 작업의 효율성은 크게 나빠지지 않는다.
또한 표시구 장치와 전선이 접하는 부분인 클램프를 탄성재질로 만드는 것을 위 조임부재와 함께 적용함으로써 전선의 진동력에 의한 마찰음 내지 충돌음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고공 송전선에 설치되는 항공장애물 표시구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속이 빈 제1 및 제2 반구체를 접합하여 구형의 표시구로 되며, 각 반구체에는 접합부의 측면의 마주보는 두 지점에서 바깥으로 플랜지가 연장되며, 각 반구체의 상기 두 플랜지 사이의 양쪽 반원을 따라 림이 바깥으로 돌출되는 항공장애물 표시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항공장애물 표시구 장치는 서로 접해있는 상기 제1 반구체의 제1림과 상기 제2 반구체의 제1림 사이를, 그리고 서로 접해있는 상기 제1반구체의 제2림과 상기 제2반구체의 제2림 사이를, 서로 조여서 더욱 밀착시켜주는 조임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물 표시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각 플랜지의 내면에 장착되고, 상기 전선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해 탄성 재질로 만들어지고, 상기 전선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의 전선관통로가 그 가운데를 통과하면서 음각되어 상기 전선을 단단히 파지하는 클램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물 표시구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상기 제1 반구체의 제1림과 상기 제2 반구체의 제1림의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외경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가운데에 홈이 파인 형상의 제1 한 쌍의 돌기;
    상기 제1 반구체의 제2림과 상기 제2 반구체의 제2림의 적어도 어느 한 지점에 외경방향으로 돌출되고 그 가운데에 홈이 파인 형상의 제2 한 쌍의 돌기;
    상기 제1 반구체의 상기 제1림의 돌기와 상기 제2 반구체의 상기 제2림의 돌기 각각의 안쪽에 선회가능하게 고정되는 제1 및 제2 볼트;
    상기 제1 반구체의 제1림에서 상기 제1 한 쌍의 돌기의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반구체의 제1림의 돌기의 바깥쪽까지 연장된 상기 제1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반구체의 제1림과 상기 제2 반구체의 제1림을 더욱 밀착되도록 조여 주는 제1 너트; 및
    상기 제1 반구체의 제2림에서 상기 제2 한 쌍의 돌기의 홈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반구체의 제2림의 돌기의 바깥쪽까지 연장된 상기 제2 볼트에 체결되어 상기 제1 반구체의 제2림과 상기 제2 반구체의 제2림을 더욱 밀착되도록 조여 주는 제2 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물 표시구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부재는,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반구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반구체의 상기 제1림과 제2림을 각각 가로질러 덮으면서 외경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단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1 클램프부재;
    일측 단부가 상기 제2 반구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반구체의 상기 제1림과 상기 제2림을 각각 가로질러 덮으면서 외경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단부에는 체결공이 형성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제2 클램프부재;
    서로 대면하는 상기 제1 클램프부재와 상기 제2 클램프부재의 상기 체결공에 삽입되는 볼트; 및
    상기 볼트에 체결되어 조임으로써 상기 제1 반구체의 제1 및 제2 림과 상기 제2 반구체의 제1 및 제2 림 간의 결합력을 강화시키는 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공장애물 표시구 장치.
KR2020020016056U 2002-05-25 2002-05-25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 KR2002855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056U KR200285582Y1 (ko) 2002-05-25 2002-05-25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056U KR200285582Y1 (ko) 2002-05-25 2002-05-25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582Y1 true KR200285582Y1 (ko) 2002-08-13

Family

ID=73084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056U KR200285582Y1 (ko) 2002-05-25 2002-05-25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58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785B1 (ko) * 2002-10-28 2005-05-03 한국전력공사 선로용 항공 장애 표시구
KR100847246B1 (ko) * 2008-01-18 2008-07-22 (주)에이치엘 종합기술단 송전 및 배전선로용 항공 장애 표시구
RU2783554C1 (ru) * 2022-09-12 2022-11-1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Спбаэролаб" Аэродромный сигнальный маркировочный знак
KR20230157074A (ko) 2022-05-09 2023-11-16 한국전력공사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및 그의 설치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785B1 (ko) * 2002-10-28 2005-05-03 한국전력공사 선로용 항공 장애 표시구
KR100847246B1 (ko) * 2008-01-18 2008-07-22 (주)에이치엘 종합기술단 송전 및 배전선로용 항공 장애 표시구
KR20230157074A (ko) 2022-05-09 2023-11-16 한국전력공사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및 그의 설치방법
RU2783554C1 (ru) * 2022-09-12 2022-11-14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Центр "Спбаэролаб" Аэродромный сигнальный маркировочный зна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52596B2 (ja) タワー連結バー構造
JP2007283890A (ja) 配管固定構造
KR200285582Y1 (ko) 항공 장애물 표시구 장치
JP2008296823A (ja) 車両骨格部材の結合構造
KR101540581B1 (ko) 건식 덕트용 덕트 연결수단
JP2003278838A (ja) ホイールバランスウエイト
KR20220067728A (ko) 앙카볼트
JPH07272573A (ja) ポリマー碍子用コロナリングの取付方法及び取付構造並びにコロナリング
JP2009149234A (ja) 車両用ホイール
CN210985492U (zh) 一种道路桥梁电缆铺设用保护装置
JP2006275161A (ja) プロペラシャフト用ブーツ、プロペラシャフト、プロペラシャフト用ブーツの取付方法及びプロペラシャフトのシール方法
JP2000008651A (ja) 中空管の接合機構
JP2003194021A (ja) 部材同士のボルト接合構造、ナット及び金具
JP6947612B2 (ja) 防振装置用ブラケット
KR100405494B1 (ko) 배선 고정용 클립 어셈블리
KR20190051380A (ko) 휠가드 조립구조
KR20000020889U (ko) 항공 장애물 표시장치
JP3218691U (ja) 太陽光発電装置支持架台の連結キット
JP2910502B2 (ja) Rcセグメント覆工体及びrcセグメント
KR100444059B1 (ko) 전기자동차의 에어컨 컴프레서와 전동모터의 결합구조
CN115848283A (zh) 司机室防护装置
KR200286079Y1 (ko) 밴드형 클램프
JP2006283793A (ja) スプリングシートラバー
KR100405480B1 (ko) 구동축용 튜브와 요크 결합 구조
JP2005240873A (ja) 管路の接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