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4703Y1 -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4703Y1
KR200284703Y1 KR2020020002908U KR20020002908U KR200284703Y1 KR 200284703 Y1 KR200284703 Y1 KR 200284703Y1 KR 2020020002908 U KR2020020002908 U KR 2020020002908U KR 20020002908 U KR20020002908 U KR 20020002908U KR 200284703 Y1 KR200284703 Y1 KR 20028470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die
crt
fram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재우
Original Assignee
손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재우 filed Critical 손재우
Priority to KR2020020002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470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47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4703Y1/ko

Links

Landscapes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블랭킹(Blanking) 작업과 피어싱(Piercing)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제1 금형과 드로잉(Drawing) 작업과 포밍(Forming)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제2 금형으로 구성되어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을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DEVICE OF MOLDING MONITOR PICTURE TUBE FRAME}
본 고안은 모니터용 브라운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브라운관을 지지하는 프레임을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모니터에 화상을 비춰주는 브라운관은 금속의 소재로 성형되는 프레임과 브라운관과의 공차 및 사방면에 굴곡된 부분간의 치수에 따른 공차의 정확도에 따라 브라운관에서 조사되는 화상의 정도에 지대한 영향을 주므로 프레임의 성형에는 고도의 정밀성이 요구되는 장치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종래에는 프레임을 제조하기 위한 공정을 4단계로 나누어 성형하였다. 즉, 블랭킹(Blanking)작업, 드로잉(Drawing)작업, 피어싱(piercing)작업, 포밍(Forming)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모니터용 브라운관의 프레임을 성형하였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성형방법은 상기의 공정들을 수행하기 위해 각기 1대씩의 프레스 장치와 상기 프레스 장치를 제어할 인원이 최소 4명까지 필요로 함에 따라 경제적 손실은 물론 작업 사이클도 길어질 수 밖에 없었다. 또한 상호 라인간의 오작동이 빈번히 생겨나 제품의 품질이 현저히 떨어질 뿐만 아니라 상기 제품들의 불량률로 인해 소재의 불필요한 손실이 많았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공정을크게 3가지로 나누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의 정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견지에 있어 본 고안은 소재의 내/외부를 절단하여 펀칭하는 제1 금형과, 상기 제1 금형에 의해 성형된 소재를 프레임 형상으로 성형하는 제2 금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을 성형하기 위한 제1 금형의 구성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을 성형하기 위한 제2 금형을 보이고 있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반 가공된 제품을 도시한 도면.
도 4a와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의 완성품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상부홀더 12: 제1 상부다이
14: 펀칭다이 16: 제2 상부다이
24: 스프링 30: 탈착핀
32: 스토퍼 34: 가이드핀
40: 하부다이 42: 하부홀더
500: 제1 금형 700: 제2 금형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혹은 금형 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본 고안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의 개념을 살펴보면, 블랭킹(Blanking) 작업과 피어싱(Piercing)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제1 금형과 드로잉(Drawing) 작업과 포밍(Forming)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제2 금형으로 구성되어 브라운관용 프레임을 성형하는 장치를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을 성형하기 위한 제1 금형(500)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1 금형(500)은 펀치와 다이를 이용해 소재의 내부와 외부를 판금 가공하는 블랭킹(Blanking)작업과 피어싱(Piercing)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금형이다.
즉, 상기 제1 금형(500)은 크게 상/하부 금형(500a, 500b)으로 나뉘어지고, 상기 상부금형(500a)은 실린더(1)에 부착되어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실린더(1)의 끝단에는 상부홀더(10)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홀더(10)의 저면에는 제1 상부다이(12)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상부다이(12)의 외주면으로 펀칭다이(14)가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홀더(10)와 펀칭다이(14)에는 스프링(24)이 삽입되고, 이 스프링(24)은 고정너트(22)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펀칭다이(14)의 외주면으로는 제2 상부다이(16)가 끼워지고 상부홀더(10)의 하면에 고정 설치된다.
한편, 전술한 하부금형(500b)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받침대(41a)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대(41a)의 상단면에는 하부홀더(42)가 안착된다. 상기 하부홀더(42)의 위로는 중앙에 공간부(26)가 형성된 펀칭기(28)가 설치된다. 상기 펀칭기(28)의 상면에는 탈착핀(30)이 결합되며, 상기 탈착핀(30)의 위에는 브라운관을 고정하는 프레임으로 성형하기 위한 소재(50a)가 안착되어 진다.
또한, 전술한 펀칭기(28)의 외주면으로는 하부다이(40)가 끼워지며. 상기 하부다이(40)에는 스토퍼(32)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32)는 소재(50a)가 탈착핀(30)에 안착될 때 상기 소재(50a)의 위치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하부다이(40)의 하면에는 홈이 형성되고, 이 홈에는 스프링(36)이 삽입된다.
즉, 상기 제 1금형에 의해 소재(50a)는 내, 외부가 절단되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소재 (50b)로 성형되는 것이다.한편,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인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을 성형하기 위한 제2 금형(7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제2 금형(700)은 전술한 제1 금형(500)에 의해 성형된, 바람직하게는 블랭킹 작업과 피어싱 작업을 동시에 수행한 평평한 형태이며 내, 외부가 절단된 소재(50b)를 브라운관의 형상으로 만드는 드로잉(Drawing)작업과 포밍(Foaming)작업에 해당된다 하겠다.
즉, 상기 제2 금형(700)은 드로잉 작업과 포밍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금형으로서, 이 금형은 크게 상/하부 금형(700a,700b)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금형(700a)은 실린더(3)에 부착되어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실린더(3)의 끝단에는 상부홀더(90)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홀더(90)의 하면의 중앙에는 제1 상부다이(96)가 설치된다. 상기 제1 상부다이(96)의 둘레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으로 스프링(103)과 탈착핀(101)이 순차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1 상부다이(96)의 외주면과 하면부에는 다수의 제1,2 삽입턱(120,122)이 형성된다.
전술한 제1 상부다이(96)의 외주면에는 제2 상부다이(98)가 끼워진다. 이때 상기 제2 상부다이(96)의 상면에는 다수의 실린더(92)가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92)의 옆으로 다수의 가이드 핀(94)이 상부홀더(90)에 부착된 후 제2 상부다이(96)에 끼워진다.
또한, 전술한 하부금형(700b)에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받침대(41c)가 설치되고, 이 받침대(41c)의 위로 하부홀더(105)가 설치된다. 상기 하부홀더(105)의 상면에는 제1 하부다이(108)가 놓여지는데, 이때 상기 제1 하부다이(108)의 하면에는 다수의 실린더(116)와 안내관(112)이 설치되며, 상기 실린더(116)는 하부홀더(105)를 관통해 전술한 받침대(41c)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하부다이(108)의 상면과 외주면에는 다수의 제 1,2 돌출턱(124,1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제1 하부다이(108)의 외주면에는 중앙에 공간부(113)가 형성된 제2 하부다이(110)가 끼워져 하부홀더(105)의 상면에 설치된다. 상기 제2 하부다이(110)의 상면에는 다수의 스토퍼(104)가 결합되며, 상기 스토퍼(104)의 내부로 전술한 제1 금형(500)에 의해 성형된 소재(50b)가 안착된다.즉, 상기 제 2금형에 의해 상기 소재(50b)는 외주면에 테두리가 형성되게 절곡되어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은 브라운관을 고정할 수 있는 프레임(50c)으로 성형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제1,2 금형(500,700)을 이용하여 브라운관용 프레임을 성형하는 방법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판재로 된 소재(50a)를 펀칭기(28)의 상부에 안착시키고, 실린더(1)를 작동시켜 상부금형(500a)을 하강시킨다. 그러면, 상기 상부금형(500a)의 하단에 부착된 펀칭다이(14)와 제2 상부다이(16)는 각기 하부금형(500b)에 설치된 펀칭기(28)와 하부다이(40)에 접촉된다. 이때 상기 펀칭다이(14)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칭기(28)와 하부다이(40)의 높이 차로 인해 상기 펀칭다이(14)의 상부에 형성된 공간부(15)로 밀려 올라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하부다이(40)는 아래로 내려간 소재(50a)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하는 형상으로 내/외부가 절단된 형상을 가진 소재(50b)로 성형되게 된다.즉, 상기 제1 금형(500)에서 블랭킹 작업과 피어싱 작업은 동시에 수행되어진다.
이후, 상기 실린더(1)를 승강시키면 상기 펀칭다이(14)와 제2 상부다이(16)에 삽입된 스프링(24,36))에 의해 원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상기 상부금형(500a)이 승강함과 동시에 전술한 펀칭기(28)에 끼워진 안착핀(30)도 스프링(38)의 탄성으로 위로 올라오게 된다.
다음, 전술한 제1 금형(500)에 의해 1차 가공된 소재(50b)는,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한 소재(50b)는 드로잉 작업과 포밍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제2 금형(700)으로 이동된다. 즉, 상기 소재(50b)를 하부금형(700b)에 설치된 제1 하부다이(108)에 안착시킨다. 그리고 상부금형(700a)을 하강시키면, 상기 상부금형(700a)에 부착된 제 1,2 상부다이(96,98)는 하부금형(700b)의 제 1,2 하부다이(108,110)에 접촉된다.
이후,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하부다이(108)는 하면에 부착된 실린더(116)가 밀려나면서 하강하게 된다. 또한 전술한 제2 상부다이(98)도 상면에 부착된 실린더(92)가 밀려나면서 상승하게 됨으로서 소재(50b)는 도 4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이 상기 제1 상부다이(96)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접혀짐으로서 완전한 성형품인 프레임(50c)이 완성되게 되는 것이다.이때 상기 제1 상부다이(96)의 하면과 외주면에 형성된 제1,2 삽입턱(120,122)과 제1 하부다이(108)의 상면과 외주면에 형성된 제1,2 돌출턱(124,126)이 접촉됨으로서 상기 프레임(50c)의 내/외주면에는 소정의 길이 만큼의 제1,2 접힘부(130,132)가 형성되어 진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블랭킹 작업과 피어싱 작업을 하나의 프레스 장치에서 작업하고 또한 드로잉 작업과 포밍 작업 역시 하나의 프레스 장치에서 작업을 함에 따라 공정 사이클이 줄어들어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또한 모든 공정들을 자동화시켜 제품의 정밀성을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3)

  1.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라운관을 고정하는 프레임(50c)으로 성형되는 소재(50a, 50b)와;
    상부금형(500a)에는 중앙과 외주면으로 상부다이(12, 16)가 설치되며, 상기 각 상부다이(12, 16)의 사이에는 상, 하로 이동하는 펀칭다이(14)로 구성되며, 하부금형(500b)에는 펀칭기(28)와, 상기 펀칭기(28)의 외주면으로 상, 하로 이동되는 하부다이(40)가 설치됨으로서, 상기 상, 하부금형(500a, 500b)에 의해 소재(50a)의 내, 외부를 절단하는 제 1금형(500)과;
    상부금형(700a)에는 제1, 2상부다이(96, 98)를 구비하며, 하부금형(700b)에는 제 1, 2하부다이(108, 110)를 구비함으로서, 상기 상, 하부금형(700a, 700b)에 의해 소재(50b)의 테두리면을 절곡하여 프레임(50c)형상으로 성형하는 제 2금형(7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금형(500)은 상/하부 금형(500a,500b)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금형(500a)의 상부홀더(10)에는 제1,2 상부다이(12,16)가 설치되며, 상기 제1,2 상부다이(12,16)의 사이로 스프링(24)이 삽입된 펀칭다이(14)가 끼워지며, 상기 하부금형(500b)의 하부홀더(42)에는 중앙에 공간부(26)가 형성된 펀칭기(28)가 부착되며, 상기 펀칭기(28)에는 스프링(38)과 탈착핀(30)이 삽입되며,상기 펀칭기(28)의 외주면으로 하부다이(40)가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금형(700)은 상/하부금형(700a,700b)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금형(700a)의 상부홀더(90)의 중앙에는 제1 상부다이(96)가 설치되며, 상기 제1 상부다이(96)의 하면과 외주면에는 제1,2 삽입턱(120,122)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상부다이(96)의 외주면으로 제2 상부다이(98)가 끼워져 실린더(92)에 부착되며, 상기 하부금형(700b)의 하부홀더(105)에는 중앙에 공간부(113)가 형성된 제2 하부다이(110)가 설치되며, 상기 제2 하부다이(110)의 공간부(113)로 제1 하부다이(108)가 끼워지며, 상기 제1 하부다이(108)의 상면과 외주면에는 제1,2 돌출턱(124,126)이 형성되어 실린더(116)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
KR2020020002908U 2002-01-30 2002-01-30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 KR2002847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908U KR200284703Y1 (ko) 2002-01-30 2002-01-30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908U KR200284703Y1 (ko) 2002-01-30 2002-01-30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4703Y1 true KR200284703Y1 (ko) 2002-08-10

Family

ID=73072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908U KR200284703Y1 (ko) 2002-01-30 2002-01-30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470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300178A (zh) 中空管之沖孔加工方法
KR101550024B1 (ko) 프레스 금형장치 및 프레스 방법
CN105710209A (zh) 摇臂体折弯成形侧冲类级进模
KR200284703Y1 (ko)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
JP2005021945A (ja) プレス成形用金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パネル製造方法
JPH0433527B2 (ko)
JP2007118017A (ja) ダブルアクションプレス装置とプレス方法
KR200274293Y1 (ko)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장치
US2148906A (en) Tool for the manufacture of container caps of sheet metal
KR20200033528A (ko) 전철 창틀 성형방법
KR20030065749A (ko) 모니터의 브라운관용 프레임 성형방법
JP2000210721A (ja) パイプの曲げ加工装置
JP3099035B2 (ja) プレス成形機
JPH08215770A (ja) プレス成形方法及びそのプレス装置
CN213002164U (zh) 一种服务器侧板零件的正反面拉伸成型模具
JP2002248526A (ja) 順送り型
JP2002346646A (ja) プレス装置
JPH0760374A (ja) プレス装置
CN219899899U (zh) 一种级进模的定位翻边成型模具
JP2004017156A (ja) 凹凸のあるアルミ材料使用製品のプレス製造過程におけるドロー&コイニング金型装置
CN116274563B (zh) 一种金属加工用冲压设备
KR200363973Y1 (ko) 드로오잉 금형장치
JP2004098128A (ja) パンチプレスにおける曲げ方法及びその金型
CN217647290U (zh) 一种分步成型工艺代替整体拉延成型装置
KR20060023264A (ko) 펀치 프레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