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3524Y1 -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3524Y1
KR200283524Y1 KR2020020011829U KR20020011829U KR200283524Y1 KR 200283524 Y1 KR200283524 Y1 KR 200283524Y1 KR 2020020011829 U KR2020020011829 U KR 2020020011829U KR 20020011829 U KR20020011829 U KR 20020011829U KR 200283524 Y1 KR200283524 Y1 KR 200283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pansion joint
connection
connection flange
expansion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8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륜
김갑수
고훈종
최동철
Original Assignee
최영륜
보국산업(주)
김갑수
고훈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륜, 보국산업(주), 김갑수, 고훈종 filed Critical 최영륜
Priority to KR20200200118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352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3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3524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구를 상호 연결시킬 때 사용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신축이음구를 상호 연결시킴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구의 연결부위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동시에, 빗물의 누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그 구성을 설명하면 신축이음구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접속플랜지와, 상기 접속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이음구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신축이음구의 사이에 구비되며 그 접촉면에 대응되는 격판이 형성된 방수커플링을 포함하는 신축이음구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플랜지는 상기 신축이음구의 단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고정되고; 상기 방수커플링의 격판은 상기 접속플랜지의 면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종래와는 달리 신축이음구의 연결부위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어, 그 연결부위의 파손 및 탈락현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신축이음구의 수명 및 나아가 교량의 수명이 현저하게 연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방수커플링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해 확실한 방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연결장치{Coupling device between two expansion joint for the upper plate of bridge}
본 고안은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구를 상호 연결시킬 때 사용되는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상기 신축이음구의 연결부위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동시에, 빗물의 누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지면에 세워지는 다수의 교각과, 상기 교각의 상측에 설치되는 슈(shoe)와, 상기 슈의 상측에 올려지는 상판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상판은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상판블록이 상호 연결됨으로써 구성된다.
이때 상판블록들의 단부에는 이를 상호 연결하며, 온도의 변화에 따른 상기 상판블록들의 팽창 및 수축작용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신축이음구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신축이음구는 통상적으로 1.8m의 길이로 제조되며, 상판의 폭에 따라 다수개가 연결되어 사용되는데, 그 연결부위의 고정과 빗물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본고안의 대상인 신축이음구 연결장치이다.
도 5는 종래의 일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B-B'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구(100)를 상호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구(100)의 양측면에는 접속플랜지(20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신축이음구(100)의 사이에는 그 접촉면에 대응되는 격판(410)이 형성된 방수커플링(40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접속플랜지(200)에는 고정볼트(300)가 체결되어 신축이음구(100)를 상호연결 및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신축이음구는 상호 결합하였을 때 접속플랜지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며, 각각 하나의 고정볼트에 의해서만 고정이 이루어지므로, 상기 신축이음구의 연결부위에 강력한 고정력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외력이 작용하였을 때 그 연결부위의 파손 및 탈락현상이 쉽게 발생됨으로써, 신축이음구의 수명 및 나아가 교량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신축이음구를 상호 연결시킴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구의 연결부위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는 동시에, 빗물의 누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신축이음구의 연결부위에 구비된 접속플랜지의 후방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연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고안은 신축이음구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접속플랜지와, 상기 접속플랜지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이음구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부재와, 상기 신축이음구의 사이에 구비되며 그 접촉면에 대응되는 격판이 형성된 방수커플링을 포함하는 신축이음구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플랜지는 상기 신축이음구의 단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고정부재에 의해 상호 고정되고; 상기 방수커플링의 격판은 상기 접속플랜지의 면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속플랜지의 후방에는, 일측이 상기 신축이음구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접속플랜지의 배면에 고정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가 다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는, 압축에 강한 스틸소재로 이루어진 환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은 종래의 일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는 도 5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신축이음구 11 : 고무부재
20 : 접속플랜지 21 : 관통공
30 : 고정부재
40 : 방수커플링
41 : 격판 41a : 관통공
50 : 지지대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로써,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이음구(10)의 양측면에는 접속플랜지(20)가 구비되고, 상기 신축이음구(10)의 사이에는 그 접촉면에 대응되는 격판(41)이 형성된 고무재질의 방수커플링(4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접속플랜지(20)에는 고정부재(30)가 결합되어 신축이음구(10)를 상호 연결 및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신축이음(10)구의 내측에는 고무부재(11)가 구비되어, 교량 상판이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여도, 상기 고무부재(11)의 신축력에 의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접속플랜지(20)는 상기 신축이음구(10)의 단부에 일체로 구비되고, 그 면적이 종래에 비하여 넓게 형성되며, 다수의 고정부재(30)에 의해 상호 고정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30)는 산업현장에서 널리 사용되는 각종 체결수단을말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였다.
또한, 상기 방수커플링(40)의 격판(41)은 접속플랜지(20)의 면적과 대응되게 형성되며, 상기 접속플랜지(20)와 상기 격판(41)에는 볼트가 삽입되는 관통공(21,41a)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결합상태를 보인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격판(41)을 사이에 두고 접속플랜지(20)는 상호 완전히 밀착되며, 다수의 고정부재(30)에 의해 고정되므로, 종래에 비해 강력한 고정력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격판(41)이 접속플랜지(20)의 밀착면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방수커플링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해 확실한 방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차량통과시 신축이음구의 상측에 생기는 진동 및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구조의 신축이음구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의 신축이음구에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로써, 본 고안에 따른 신축이음구 연결장치가 다른 타입의 신축이음구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신축이음구(10A)는 상부고무부재(11A)와 하부고무부재(12A)에 의해 위,아래가 밀폐된 구조이며, 방수커플링(40A)은 상기 신축이음구(10A)의 단부와 대응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타입의 신축이음구와 함께 건설현장에서 널리 통용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신축이음구(10A)의 양측면으로 접속플랜지(20A)를 형성하고, 방수커플링(40A)의 격판(41A)은 상기 접속플랜지(20A)의 면적과 대응되게 형성하며, 상기 접속플랜지(20A)를 다수의 고정부재(30A)로 상호 고정함으로써, 본 고안에 따른 신축이음구 연결장치가 다양한 타입의 신축이음구에도 호환성있게 적용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이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로써, 신축이음구(10)를 상호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접속플랜지(20)의 후방에는 일측이 신축이음구(10)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접속플랜지(20)의 배면에 고정되는 지지대(50)가 다수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지지대(50)는 압축에 강한 스틸소재등으로 이루어진 환봉으로 형성되며, 그 이외에도 기타 다양한 구조의 지지대가 적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신축이음장치를 교량에 설치하는 경우, 신축이음구(10)를 연결한 다음 그 주위에 콘크리트 후타제를 타설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대(50)와 신축이음구(10) 및 접속플랜지(20) 사이의 공간으로 상기 콘크리트 후타제가 메워지게 되므로, 타설된 콘크리트 후타제가 고화된 후에는 접속플랜지(20)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접속플랜지가 격판을 사이에 두고 상호 완전히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다수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므로, 종래와는 달리 신축이음구의 연결부위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어, 그 연결부위의 파손 및 탈락현상을 최소화시킴으로써, 신축이음구의 수명 및 나아가 교량의 수명이 현저하게 연장되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방수커플링의 격판이 접속플랜지의 밀착면까지 연장되게 형성되어, 결과적으로 방수커플링의 접촉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종래에 비해 확실한 방수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고, 차량통과시 신축이음구의 상측에 생기는 진동 및 충격을 보다 효과적으로 흡수함으로써 연결부위의 내구성을 극대화함과 동시에 소음의 발생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접속플랜지의 후방에 다수의 지지대를 설치하여, 콘크리트와 더불어 이를 견고하게 지지함으로써,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한 상기 접속플랜지의 변형 및 파손을 최소화하여, 신축이음구의 연결부위를 2중으로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모든 타입의 신축이음구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신축이음구(10)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접속플랜지(20)와, 상기 접속플랜지(20)에 결합되어 상기 신축이음구(10)를 상호 고정하는 고정부재(30)와, 상기 신축이음구(10)의 사이에 구비되며 그 접촉면에 대응되는 격판(41)이 형성된 방수커플링(40)을 포함하는 신축이음구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접속플랜지(20)는 상기 신축이음구(10)의 단부에 구비되며, 다수의 고정부재(30)에 의해 상호 고정되고;
    상기 방수커플링(40)의 격판(41)은 상기 접속플랜지(20)의 면적과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플랜지(20)의 후방에는,
    일측이 상기 신축이음구(10)의 측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접속플랜지(20)의 배면에 고정되어 이를 지지하는 지지대(50)가 다수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연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50)는,
    압축에 강한 스틸소재로 이루어진 환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연결장치.
KR2020020011829U 2002-04-18 2002-04-18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연결장치 KR20028352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829U KR200283524Y1 (ko) 2002-04-18 2002-04-18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829U KR200283524Y1 (ko) 2002-04-18 2002-04-18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3524Y1 true KR200283524Y1 (ko) 2002-07-26

Family

ID=7312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829U KR200283524Y1 (ko) 2002-04-18 2002-04-18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352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03B1 (ko) 2008-07-10 2009-02-05 대경산업(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75436Y1 (ko) * 2014-06-24 2014-12-02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용 고무시트 연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1203B1 (ko) 2008-07-10 2009-02-05 대경산업(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475436Y1 (ko) * 2014-06-24 2014-12-02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신축이음장치용 고무시트 연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2713B1 (ko) 내진 방음터널 및 그 시공방법
JP4966439B2 (ja) 耐震伸縮継手
KR101095959B1 (ko) 교량용 면진 신축이음장치
KR200283524Y1 (ko)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연결장치
JP2009235847A (ja) 橋梁用伸縮装置及び橋梁用伸縮構造
KR100830554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2007146472A (ja) 弾性連結部材による落橋防止装置
KR10073858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536406B1 (ko) 레일형 신축이음장치
JP4347514B2 (ja) 橋梁の防音装置
KR100870085B1 (ko) 교량용 신축이음 장치
KR200245373Y1 (ko) 교체가능한 교량신축이음구조
KR100957039B1 (ko) 교량용 방수 내진 신축이음장치
KR20070115472A (ko) 기존교량의 내진보강공법
KR10103272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신축이음장치
JP4858848B2 (ja) 桁間連結装置
KR200335445Y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429377B1 (ko) 교체가능한 교량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210019264A (ko) 교량용 풀림 방지 신축이음장치
KR100564093B1 (ko) 발포성 고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JP3677405B2 (ja) トンネル中空接続体等接続用可撓継手
KR200310957Y1 (ko)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KR200172515Y1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신축이음재 어셈블리
KR200149202Y1 (ko)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용 연결구
KR102632112B1 (ko) 강관 연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