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797Y1 -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 - Google Patents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797Y1
KR200282797Y1 KR2020020010464U KR20020010464U KR200282797Y1 KR 200282797 Y1 KR200282797 Y1 KR 200282797Y1 KR 2020020010464 U KR2020020010464 U KR 2020020010464U KR 20020010464 U KR20020010464 U KR 20020010464U KR 200282797 Y1 KR200282797 Y1 KR 200282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driving
frame
embroidery
enga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석태
Original Assignee
강석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석태 filed Critical 강석태
Priority to KR2020020010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7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797Y1/ko

Links

Landscapes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 하부의 원단틀에 설치된 상태에서 특정형태의 자수문양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공급되는 원단이 프로그래밍 된 자수문양에 맞추어 좌우로 반복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상, 하부 원단틀을 하나의 감속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기(同期)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연결된 상, 하부 원단에 대한 움직임을 일치시켜 자수문양이 형성되는 제품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자수장치(a)의 자수문양 형성부측으로 원단(e')이 공급되도록 다수의 원단 이송롤(d)과 원단롤(e)이 각각 설치되는 상, 하부 원단틀(b)(c)을 좌, 우 구동시키기 위한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자수장치(a)의 프레임(f) 일측에는 그 선단에 작동기어(11)가 축설된 감속모터(1)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기어(11)에는, 타단이 제1 내지 제4구동기어(21)(22)(23)(24)를 갖는 상부 구동축(2)의 제1구동기어(21)와 치합되는 상부 작동벨트(11a)의 일단이 치합되게 하며, 상기 제2 및 제3구동기어(22)(23)에는, 타단이 아이들기어(22')(23')에 각각 치합된 채 도중에 상부 원단틀(b) 하부에 부착 고정된 작동구(31)(31)와 치합되는 상부 구동벨트(3)(3)의 일단을 결합하고, 상기 제4구동기어(24)에는, 타단이 제5 내지 제7구동기어(41)(42)(43)를 갖는 하부 구동축(4)의 제5구동기어(41)와 치합되는 하부 작동벨트(41a)의 일단이 치합되게 하며, 상기 제6 및 제7구동기어(42)(43)에는, 타단이 아이들기어(42')(43')에 각각 치합된 채 도중에 하부 원단틀(e) 하부에 부착 고정된 작동구(51)(51)와 치합되는 하부 구동벨트(5)(5)의 일단을 결합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이다.

Description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upper and rower frame synchronously operation apparatus for an embroidery frame}
본 고안은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 하부의 원단틀에 설치된 상태에서 특정형태의 자수문양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 공급되는 원단이 프로그래밍 된 자수문양에 맞추어 좌우로 반복적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상, 하부 원단틀을 하나의 감속모터의 구동에 의해 동기(同期) 작동되도록 함으로써 서로 연결된 상, 하부 원단에 대한 움직임을 일치시켜 자수문양이 형성되는 제품의 품질 및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단에 대해 특정문양의 자수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수장치의 경우, 상부 및 하부 원단틀에 원단을 서로 연결된 상태로 설치하여 항상 일정한 텐션이 유지되는 상태로 풀리면서 공급되도록 하여 원단면에 특정문양의 자수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롤형태의 원단이 설치되는 상, 하부 원단틀은 프로그래밍 된 자수문양에 맞추어 원단을 좌우방향으로 서로 다른 진폭 및 주기로 반복하여 이동시켜야 하는 구성특성상 원단롤이 설치되는 상, 하부 원단틀을 반복적으로 좌우 구동시켜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자수장치에 적용되는 상, 하부 원단틀 좌우 구동장치는 상부 원단틀과 하부 원단틀을 각각 별도의 구동모터와 연결되게 하여 각 구동모터에 대해 프로그래밍 된 자수문양과 연계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이들 구동모터와 연결된 상, 하부 원단틀이 좌, 우로 반복하여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므로, 이 경우 상, 하부 원단틀과 각각 연결되는 감속모터에 대해 정밀한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한다하더라도 어쩔 수 없이 구동수단이 복수이기 때문에 상, 하부 원단틀의 정확하고 정밀한 동기작동이 불가능하게되어 자수문양의 형성과정에서 공급되는 원단의 움직임이 일치되지 않고 순간순간 뒤틀리게 되는 문제로 인해 원단에 형성되는 자수문양의 정교함이 떨어져 자수 제품의 품질저하를 초래하게될 뿐만 아니라 원단의 공급 및 배출이 원할하지 못해 자수 작업효율을 크게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상, 하부 원단틀에 대한 좌, 우 구동이 각각 별개의 감속모터에 의해 독립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따라 발생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 하로 서로 연결된 상태로 공급되는 원단이 원할하게 공급되어 원단에 특정형태의 자수문양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한 상, 하부 원단틀에 대한 좌, 우 구동이 복수가 아닌 하나의 감속모터의 구동에 의해 서로 연계하여 동기식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공급되는 원단의 뒤틀림을 방지하여 보다 정교한 자수문양을 얻을 수 있게 하여 자수 품질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수 작업효율을 높여 생산성을 좋게 한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동기작동장치가 적용된 자수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동기작동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동기작동장치의 부분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동기작동장치의 측면도.
도 5a 및 5b는 본 고안에 의한 동기작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동기작동장치가 적용된 자수장치의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감속모터 2:상부 구동축
3:상부 구동벨트 4:하부 구동축
5:하부 구동벨트 11:작동기어
11a:상부 작동벨트 21:제1구동기어
22:제2구동기어 23:제3구동기어
24:제4구동기어 22',23',42',43':아이들기어
31,51:작동구 41:제5구동기어
41a:하부 작동벨트 42:제6구동기어
43:제7구동기어 a:자수장치
b:상부 원단틀 c:하부 원단틀
d:원단 이송롤 e:하부 원단롤
e':원단 f:프레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는, 자수장치(a)의 자수문양 형성부측으로 원단(e')이 공급되도록 다수의 원단 이송롤(d)과 원단롤(e)이 각각 설치되는 상, 하부 원단틀(b)(c)을 좌, 우 구동시키기 위한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자수장치(a)의 프레임(f) 일측에는 그 선단에 작동기어(11)가 축설된 감속모터(1)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기어(11)에는, 타단이 제1 내지 제4구동기어(21)(22)(23)(24)를 갖는 상부 구동축(2)의 제1구동기어(21)와 치합되는 상부 작동벨트(11a)의 일단이 치합되게 하며, 상기 제2 및 제3구동기어(22)(23)에는, 타단이 아이들기어(22')(23')에 각각 치합된 채 도중에 상부 원단틀(b) 하부에 부착 고정된 작동구(31)(31)와 치합되는 상부 구동벨트(3)(3)의 일단을 결합하고, 상기 제4구동기어(24)에는, 타단이 제5 내지 제7구동기어(41)(42)(43)를 갖는 하부 구동축(4)의 제5구동기어(41)와 치합되는 하부 작동벨트(41a)의 일단이 치합되게 하며, 상기 제6 및 제7구동기어(42)(43)에는, 타단이 아이들기어(42')(43')에 각각 치합된 채 도중에 하부 원단틀(e) 하부에 부착 고정된 작동구(51)(51)와 치합되는 하부 구동벨트(5)(5)의 일단을 결합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본 고안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중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가 적용된 자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고, 도 4은 본 고안에 의한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5a 및 5b는 본 고안에 의한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가 적용된 자수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그 구성은 감속모터(1)와, 상부 구동축(2)과, 상부 구동벨트(3), 하부 구동축(4) 및 하부 구동벨트(5)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감속모터(1)는 자수장치(a)의 프레임(f) 일측에 설치되어 별도의 제어수단(도시생략)에 의해 프로그래밍 정, 역회전이 가능한 감속모터로서, 그 모터축의 선단에는 작동기어(11)를 설치하여 그 외면에, 상부 구동축(2)의 제1구동기어(21)와 연결되어 감속모터(1)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타이밍벨트형태의 상부 작동벨트(11a)가 걸려 치합되도록 하고 있다.
상기한 상부 구동축(2)은, 그 외면에 다수의 제1 내지 제4구동기어(21)(22)(23)(24)를 고정 설치한 채 프레임(f)의 상부 바닥면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구동기어(21)에 의해 감속모터(1)로부터의 구동력을 작동기어(11)와 상부 작동벨트(11a)에 의해 전달받아 회전 구동되도록하고 있다.
이렇게 상부 구동축(2)으로 전달된 감속모터(1)의 회전 구동력은, 제2 및 제3구동기어(22)(23)에 의해 상부 구동벨트(3)(3)를 개재하여 상부 원단틀(b)을 좌우 구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상기한 상부 구동벨트(3)(3)는 타단이 각각 아이들기어(22')(23')에 치합 연결된 채 일단이 상기 제2 및 제3구동기어(22)(23)에 치합 연결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상부 구동벨트(3)(3)의 일정부분이 상부 원단틀(b) 하단에 부착 고정된 작동구(31)(31)에 치합된 상태로 설치됨으로 인해 상부 구동벨트(3)(3)의 구동력은 작동구(31)(31)에 의해 상부 원단틀(b)에 그대로 작용하여 상부 원단틀(b)이 지속적이며 반복적으로 좌우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하부 구동축(4)은 그 외면에 다수의 제5 내지 제7구동기어(41)(42)(43)(44)를 고정 설치한 채 프레임(f)의 하부 바닥면에 회전 구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제5구동기어(41)에는 상기 상부 구동축(2)의 제4구동기어(24)와 치합, 연결되는 하부 작동벨트(41a)가 치합, 연결되어 감속모터(1)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상부 구동축(2)의 회전 구동력을 전달받도록 하고 있다.
이렇게 하부 작동벨트(41a)에 의해 하부 구동축(4)으로 전달된 감속모터(1)의 회전 구동력은 제6 및 제7구동기어(42)(43)에 의해 하부 작동벨트(5)(5)를 개재하여 하부 원단틀(c)을 좌우 구동시키는 구동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또한 하부 구동벨트(4)(4)는 타단이 각각 아이들기어(42')(43')에 치합 연결된 채 일단이 상기 제6 및 제7구동기어(42)(43)에 치합 연결되는 것으로, 이때 상기 하부 구동벨트(5)(5) 역시 상부 구동벨트(3)(3)에서와 같이 벨트의 일정부분이 하부 원단틀(c) 하단에 부착 고정된 작동구(51)(51)에 치합된 상태로 설치됨으로 인해 하부 구동벨트(5)(5)의 구동력은 작동구(51)(51)에 의해 하부 원단틀(c)에 그대로 작용하여 하부 원단틀(c)이 지속적이며 반복적으로 좌, 우 구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되는 본 고안에 의한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의 실시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수장치(a)의 프레임(f)의 상, 하부에 각각 좌우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및 하부 원단틀(b)(c) 중 하부 원단틀(c)에는, 선단이 상부 원단틀(b)의 원단 이송롤(d)에 협지되어 이송 가능한 상태로 원단(e')을 일정두께만큼 롤형태로 감겨진 원단롤(e)을 설치한 상태에서 원단의 선단을 자수장치(a)의 다수의 원단 이송롤(d)를 거쳐 자수문양 형성부로 공급되게 하여 공급되는 원단에 특정형태의 자수문양이 형성되도록 한 것인바, 이때 원단에 자수문양이 형성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공급되는 원단은 형성될 자수문양에 맞추어 프로그래밍 제어되는 감속모터(1)의 정, 역회전에 의해 다양한 진폭과 주기로 지속적이며 반복적으로 좌우 이동되면서 공급되게 된다.
이와 같은 좌우 이동동작은, 감속모터(1)가 정, 역회전을 반복함에 따라 그 회전 구동력은 상부 작동벨트(11a)를 거쳐 제1구동기어(21)에 의해 상부 구동축(2)에 전달되게되고, 이렇게 전달된 구동력은 상부 구동축(2)에 설치된 제2 및 제3구동기어(22)(23)에 의해 상부 구동벨트(3)(3)를 거쳐 상부 원단틀(b) 하부에 설치된작동구(31)(31)를 구동시키게되므로 상부 원단틀(b)이 좌우 구동되게됨에 따라 상부 원단틀(b)을 좌우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 구동축(2)에 전달된 구동력은 상부 구동축(2)에 설치된 제4구동기어(24)에 치합, 연결된 하부 작동벨트(41a)에 의해 하부 구동축(4)에 그대로 전달되게 되고, 이렇게 전달된 구동력은 하부 구동축(4)에 설치된 제6 및 제7구동기어(42)(43)에 의해 하부 구동벨트(5)를 거쳐 하부 원단틀(c) 하부에 설치된 작동구(51)(51)를 구동시키게 되므로 하부 원단틀(c)이 좌우 구동되게 됨에 따라 하부 원단틀(c)에 설치된 원단롤(e)을 좌우 이동시키게되어 자수장치(a) 상부의 원단 이송롤(d)에 협지된 원단(e')과 원단롤(e)은 하나의 감속모터(1) 작동만으로 상부 및 하부 작동벨트(11a)(41a)가 동기 구동되어 이들 작동벨트(11a)(41a)와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구동축(2)(4)이 동기 구동되면서 상부 및 하부 구동벨트(3)(5)를 구동시키게되어 상부 및 하부 원단틀(b)(c)을 동시에 함께 좌우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 하부 원단틀(b)(c)이 동시에 함께 좌, 우로 이동되는 상태로 자수문양부측으로 원단(e')이 공급되게 됨에 따라 공급되는 원단(e')은 공급과정에서 좌우 방향으로 일치된 움짐임을 보임에 따라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게 되어 공급되는 원단(e')에 대해 보다 정교하고 정밀한 자수문양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 상, 하부 원단틀(b)(c)을 좌, 우 이동시키기 위해 상부 및 하부 구동축(2)(4)에 설치되는 구동기어(22)(23)(42)(43)와 이들 구동기어(22)(23)(42)(43)에 연결되는 상부 및 하부 구동벨트(3)(5) 및 상, 하부원단틀(b)(c) 하측에 설치되어 상부 및 하부 구동벨트(3)(5)와 결합되도록 하는 작동구(31)(51)의 설치개수를 특정하는 것은 아니며 자수장치(a)의 전체적인 규모에 따라 그 설치개수를 증감할 수 있는 등 얼마든지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의 설명에서 분명히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의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에 의하면, 원단롤이 각각 설치되는 상, 하부 원단틀을 하나의 감속모터와 연결되는 다수의 구동축과 작동벨트 및 구동벨트에 의해 지속적으로 좌우 이동 가능하게 하여 자수문양 형성을 위해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원단에 대해 상, 하부 원단롤이 함께 동기 좌우 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일치되는 움직임으로 원단이 뒤틀리지 않고 좌우 이동되는 상태로 공급되게 하여 원단에 형성되는 다양한 형태의 자수문양이 보다 정교하고 미려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수 제품의 품질향상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만큼 자수 제품의 생산성도 높여 원가절감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자수장치(a)의 자수문양 형성부측으로 원단(e')이 공급되도록 다수의 원단 이송롤(d)과 원단롤(e)이 각각 설치되는 상, 하부 원단틀(b)(c)을 좌, 우 구동시키기 위한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A)를 구성함에 있어서,
    자수장치(a)의 프레임(f) 일측에는 그 선단에 작동기어(11)가 축설된 감속모터(1)를 설치하고 상기 작동기어(11)에는, 타단이 제1 내지 제4구동기어(21)(22)(23)(24)를 갖는 상부 구동축(2)의 제1구동기어(21)와 치합되는 상부 작동벨트(11a)의 일단이 치합되게 하며, 상기 제2 및 제3구동기어(22)(23)에는, 타단이 아이들기어(22')(23')에 각각 치합된 채 도중에 상부 원단틀(b) 하부에 부착 고정된 작동구(31)(31)와 치합되는 상부 구동벨트(3)(3)의 일단을 결합하고, 상기 제4구동기어(24)에는, 타단이 제5 내지 제7구동기어(41)(42)(43)를 갖는 하부 구동축(4)의 제5구동기어(41)와 치합되는 하부 작동벨트(41a)의 일단이 치합되게 하며, 상기 제6 및 제7구동기어(42)(43)에는, 타단이 아이들기어(42')(43')에 각각 치합된 채 도중에 하부 원단틀(e) 하부에 부착 고정된 작동구(51)(51)와 치합되는 하부 구동벨트(5)(5)의 일단을 결합하여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
KR2020020010464U 2002-04-08 2002-04-08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 KR200282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464U KR200282797Y1 (ko) 2002-04-08 2002-04-08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464U KR200282797Y1 (ko) 2002-04-08 2002-04-08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18990A Division KR100434184B1 (ko) 2002-04-08 2002-04-08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797Y1 true KR200282797Y1 (ko) 2002-07-23

Family

ID=7312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464U KR200282797Y1 (ko) 2002-04-08 2002-04-08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279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0207566A (ja) 縫製機械の本体前後移動装置
KR100434184B1 (ko)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
KR200282797Y1 (ko) 자수장치용 상, 하부 원단틀 동기작동장치
JP3810422B2 (ja) ミシンの布張装置
KR100502015B1 (ko) 장식사와 스팽글 봉착장치
US7497178B2 (en)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JP2002028388A (ja) 縫製装置
KR100609317B1 (ko) 스팡글 부착장치의 다중스팡글 부착구조
JP2008104786A (ja) 多針式キルティングマシンにおける針駆動装置
KR200434506Y1 (ko) 자수기의 원단고정장치
KR890004809B1 (ko) 퀼팅 머시인(Quilting Machine)에 있어서의 직물 이송장치
KR200401332Y1 (ko) 스팽글의 간헐 봉착장치
KR100463392B1 (ko) 자수기 니들헤드부의 바늘대 승하강 동력제어장치
KR200286515Y1 (ko) 자수기 니들헤드부의 바늘대 승하강 동력제어장치
KR101117667B1 (ko) 가죽원단에 크랙무늬를 형성하는 장치
KR200366376Y1 (ko) 장식사의 장식보풀 성형장치
JP2935734B2 (ja) ローラトラバース式刺繍機
KR200170228Y1 (ko) 자수 및 누비 복합기의 원단장력 유지장치
KR200379201Y1 (ko) 스팡글 부착장치의 다중스팡글 부착구조
KR100589562B1 (ko) 원단 이송장치의 원단 장력 생성 및 유지 장치
JP2002102567A (ja) ミシンの縫製枠駆動装置
KR200270425Y1 (ko) 인조모피 무늬성형장치
KR100463108B1 (ko) 스팽글 부착장치의 원단 이송장치
KR100486721B1 (ko) 직물에 3색의 무늬를 형성하는 장치
JP4546634B2 (ja) 縫製物送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