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2152Y1 -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 - Google Patents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2152Y1
KR200282152Y1 KR2020020011752U KR20020011752U KR200282152Y1 KR 200282152 Y1 KR200282152 Y1 KR 200282152Y1 KR 2020020011752 U KR2020020011752 U KR 2020020011752U KR 20020011752 U KR20020011752 U KR 20020011752U KR 200282152 Y1 KR200282152 Y1 KR 2002821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 line
upper inclined
triangular
main panel
triangular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17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광열
Original Assignee
문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광열 filed Critical 문광열
Priority to KR20200200117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21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2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2152Y1/ko
Priority to AU2003219601A priority patent/AU2003219601A1/en
Priority to CNA038080737A priority patent/CN1646378A/zh
Priority to PCT/KR2003/000747 priority patent/WO2003089317A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0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 B65D5/0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 or erecting a single blank to form a tubular body with or without subsequent folding operations, or the addition of separate elements, to close the ends of the body with end-closing or contents-supporting elements formed by folding inwardly a wall extending from, and continuously around, an end of the tubular body
    • B65D5/067Gable-top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66Folding lines, score lines, crease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액체를 담기위한 포장용기 및 그 포재가 개시된다. 액체 포장용기는 절곡 및 봉합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사각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패널부분과, 메인 패널부분의 앞면과 뒷면으로부터 연장되되 메인패널부분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져 상호 대향되게 봉합 처리되는 제1 및 제2 상부 경사 부분과, 메인패널부분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부 경사 부분 각각의 안측으로 3개의 삼각형이 상호 접한 형태로 절곡되어 상부 경사부분과 접합되는 제1 및 제2 삼각 절곡부분과, 상부 경사부분의 모서리부분을 확장되게 벌릴때 삼각 절곡부분의 개봉이 용이하도록 메인패널부분, 상부 경사부분 및 삼각절곡부분이 상호 만나는 꼭지점으로부터 상부 경사부분의 중앙부분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봉용 1단 접힘선 및 삼각 절곡부분과 상부 경사부분이 상호 접하는 경계선과 개봉용 1단 접힘선 사이에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다단 메인 접힘선이 구비된다. 이러한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는 개봉 및 개봉 후 내용물의 섭취가 용이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별도의 보조부재 없이 종래의 구조의 포재에 압인 성형처리된 접힘선만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Package for storing liquid and package structure thereof}
본 고안은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에 관한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봉합처리된 내용물을 섭취하기 위한 용기의 개봉이 용이하게 구조된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우유, 쥬스와 같은 액체음료를 담기 위한 액체 포장용기는 주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게 여러겹으로 적층된 종이에 내용물이 종이에 스며들지 않도록 합성수지 또는 방수용 코팅재료로 코팅처리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액체 포장용기는 통상적으로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길이 상방으로 연장되어 규빅형 내부공간을 만들수 있도록 형성되고, 큐빅형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각도 경사지게 상호 맞대어 봉합되되 경사부분 사이는 내측으로 함몰되되 삼각형 형상을 갖도록 절곡되어 결합되어 있다.
종래의 액체 포장용기에 담긴 내용물을 섭취하고자 할 때는 경사지게 상호 맞대어 봉합된 부분을 열어 젖힌 상태에서 내측으로 함몰되게 접혀져 봉합된 삼각형 절곡 부분이 밖으로 인출되도록 조작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액체 포장용기는 봉합처리된 삼각형 절곡 부분을 밖으로 인출하기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액체 포장용기의 개봉시 조작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 별도의 손잡이를 형성하는 음료팩이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256173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 밖에도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 220390호, 국내 실용신안 등록 제 206581호에 개봉용 손잡이를 갖는 액체 포장용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개시된 액체 포장용기들은 별도의 손잡이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제작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제작이 간단하면서도 개봉이 용이한 구조를 갖는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개봉 후 내용물이 유출되는 부분의 편평도를 증가시켜 내물물의 섭취가 용이한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개봉상태에서 내용물이 유출되는 부분으로 잘 모일 수 있도록 구조된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포장용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액체 포장용기를 전개하여 나타내 보인 포재의 평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도 1의 액체 포장용기에 적용되는 선의 종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1의 액체 포장용기의 개봉을 위해 개봉용 날개를 2단으로 젖힌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액체 포장용기의 개봉용 날개를 조작하여 개봉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액체 포장용기 21: 1단 접힘선
23: 다단 메인 접힘선 24: 다단 보조 접힘선
25: 중앙 접힘선 27: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르면, 절곡 및 봉합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사각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패널부분과, 상기 메인 패널부분의 앞면과 뒷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메인패널부분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져 상호 대향되게 봉합 처리되는 제1 및 제2 상부 경사 부분과, 상기 메인패널부분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경사 부분 각각의 안측으로 3개의 삼각형이 상호 접한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 경사부분과 접합되는 제1 및 제2 삼각 절곡부분과, 상기 상부 경사부분의 모서리부분을 확장되게 벌릴때 상기 삼각 절곡부분의 개봉이 용이하도록 상기 메인패널부분, 상기 상부 경사부분 및 상기 삼각절곡부분이 상호 만나는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경사부분의 중앙부분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봉용 1단 접힘선을 구비하는 액체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삼각 절곡부분과 상기 상부 경사부분이 상호 접하는 경계선과 상기 개봉용 1단 접힘선 사이에 소정길이 연장되게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다단 메인 접힘선;을 더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삼각 절곡부분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메인패널부분의 일정부분까지 소정 길이 연장되게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내용물 집중용 중앙 접힘선;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삼각절곡부분의 상기 3개의 삼각형이 상호 만나는 지점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나란하게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부분을 갖게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을 더 구비한다.
상기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의 나란하게 연장된 부분의 각 하단은 상호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삼각 절곡부분과 상기 상부 경사부분이 상호 접하는 경계선을 중심으로 상기 다단 접힘선과 대칭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삼각절곡부분에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다단 보조 접힘선;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절곡 및 봉합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사각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패널부분과, 상기 메인 패널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공간의 앞면과 뒷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메인패널부분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져 상호 대향되게 봉합 처리되는 제1 및 제2 상부 경사 부분과, 상기 메인패널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공간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경사 부분 각각의 안측으로 3개의 삼각형이 상호 접한 형태로절곡되어 상기 상부 경사부분과 접합되는 제 1 및 제2 삼각 절곡부분과, 봉합처리됐을 때의 상기 상부 경사부분의 모서리부분을 확장되게 벌릴때 상기 삼각 절곡부분의 개봉이 용이하도록 상기 메인패널부분, 상기 상부 경사부분 및 상기 삼각절곡부분이 상호 만나는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경사부분의 중앙부분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봉용 1단 접힘선을 구비하는 액체 포장용기의 포재에 있어서, 상기 삼각 절곡부분과 상기 상부 경사부분이 상호 접하는 경계선과 상기 개봉용 1단 접힘선 사이에 소정길이 연장되게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다단 메인 접힘선;을 더 구비한다.
상기 삼각 절곡부분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메인패널부분의 일정부분까지 소정 길이 연장되게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내용물 집중용 중앙 접힘선;이 더 구비되고, 상기 삼각절곡부분의 상기 3개의 삼각형이 상호 만나는 지점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나란하게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부분을 갖게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삼각 절곡부분과 상기 상부 경사부분이 상호 접하는 경계선을 중심으로 상기 다단 접힘선과 대칭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삼각절곡부분에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2단 보조 접힘선;이 더 구비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 포장용기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액체 포장용기(10)는 큐빅형 메인패널부분(12)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된 제1 및 제2 상부 경사 부분(13)(15)과, 제1 및 제2 상부 경사부분(13)(15) 사이 내측으로 소정길이 함몰되게 결합된 제1 및 제2 삼각 절곡부(14)(16)를 갖는다.
패인패널부분(12)은 바닥부(11)로부터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사각형 큐빅공간을 형성한다.
상부 경사부분(13)(14)에는 1단 접힘선(21)과 다단 메인 접힘선(23)이 압인 성형 처리되어 젖힘이 용이하도록 외측면에 대해 소정 깊이 음각골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봉용으로 이용되는 삼각 절곡부(16) 중앙부분에서 상부 경사부분(13)(15) 상단의 봉합부(13a)(15a)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내용물 집중용 중앙 접힘선(25)이 형성되어 있다. 내용물 집중용 중앙 접힘선(25)은 하방으로 메인 패널부분(12)의 일정부분 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중안 접힘선(25)은 외측으로 확장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그 내측면이 골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각도에서는 가려 안보이지만, 상부 경사부분(13)(15) 사이의 삼각 절곡부(16)의 첨두부근에는 중앙 접힘선(25)을 중심으로 소정간격 이격되는 위치에서 유출 부분이 골을 형성할 수 있도록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이 형성되어 있다.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도 외측으로 확장이 용이하게 될 수 있도록 그 내측면이 골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액체 포장용기가 봉합 처리되기 전 상태를 전개한 전개도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기능을 하는 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하였다.
도 2를 참조하면, 포재(10a)는 절곡과 봉합에 의해 도 1의 액체 포장용기를 제작할 수 있도록 외형라인과 접힘선이 형성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성과 이해를 돕기위해, 도면에서 양각 및/또는 음각골 형태로 형성되는 접힘선중 포장용기 제작중에 이용되는 선은 일점쇄선과 점선으로 표시하였고, 개봉시 이용되는 접힘선은 실선으로 표시하였다. 여기서, 일점쇄선으로 표기한 선은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접는선을 의미하고, 점선으로 표기한 선은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접는선을 의미한다. 또한 외형라인 이외의 내부에 표기한 실선은 개봉시 젖히거나 굽혀지도록 이용되기 위한 선으로 본 고안을 특징짖는 접힘선을 나타낸다.
먼저, 바닥부분(11)은 접힘선을 따라 접게 되면 바닥면이 형성되는 부분이고, 메인패널부분(12)도 접힘선을 따라 접게되면 바닥면과 함께 내부에 큐빅형 사각 공간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도면에서 x자로 마킹된 부분은 용기 제작시 그 앞면 또는 뒷면에 접착제로 접착될 부분을 표기한 것이다.
이러한 포재(10a)에서 바닥부분(11) 및 메인 패널부분(12)의 구조는 공지된 구조와 동일하게 적용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시된 예와 다르게 바닥부분이 구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 경사 부분(13)(15) 각각에는 제2 삼각 절곡부(16)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1단 접힘선(21)과 다단 메인 접힘선(2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 경사부분(13)(15)에 형성된 2단 메인 접힘선(23)과 대칭되는 위치상의 제2 삼각 절곡부분(16)상에도 다단 보조 접힘선(24)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삼각 절곡부분(16)과 상부 경사부분(13)(15)과 각각 접하는 경계선(28)과 제2 삼각 절곡부분(16) 형성용 삼각 접힘선(16c) 사이에 다단 보조 점힘선(24)이 형성되어 있다. 삼각 접힘선(16c)이 접히게 되면 3개의 삼각형이 형성되고 이 3개의 삼각형이 상호 접하는 지점 즉, 삼각 접힘선(16c)이 만나는 지점이 두개의 삼각 절곡부분(14)(16)이 상호 맞 닺는 지점이 된다.
다단 메인 접힘선(23)과 다단 보조 접힘선(24)은 경계선(28)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단 보조 접힘선(24)은 1단 접힘선(21) 방향으로 접힐 수 있도록 양각골 즉, 안쪽면이 골을 갖도록 압인성형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1단 접힘선(21)은 개봉시 젖힘이 용이하면서도 인장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경계선(28)을 중심으로 삼각 절곡부분(16)의 삼각 접힘선(16c)이 만나는 중앙의 꼭지점과의 이격 거리보다 약간 짧게 예를 들면 1내지 2밀리미터 정도 짧게 되도록 형성된다.
각 접힘선(21)(23)(24)은 개봉시 이용되는 것으로서 삼각 절곡부분(16)과 상부 경사부분(13)(15) 및 메인 패널부분(12)이 상호 만나는 꼭지점(H)으로 수렴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는 다르게 꼭지점(H)으로부터 약간 이격되게 접힘선(21)(23)(24)가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액체 누출에 지장을 주지않는 경우 접힘선(21)(23)(24)중 일부 또는 전부는 접합부(13a)(15a)(16a)의 끝단까지 연장시킬 수도 있다.
제2삼각 절곡부분(16)의 상측 중앙부분에는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27)이 중앙 접힘선(25)을 중심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나란하게 연장된 부분(27a)과 나란한 부분이 상호 v자형으로 연결된 부분(27c)을 갖게 형성되어 있다.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27)은 나란한 부분(27a)만 형성시킬 수도 있고, 연결부분(27c)을 U자형으로 형성할 수 도있고, 또 다르게는 일자로 즉, 수평으로 연결되게 형성시킬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27)의 나란한 부분(27a)의 이격거리는 12밀리미터 이내 정도로, 나란한 부분(27a)의 길이는 25밀리미터 이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27)은 삼각 절곡부(16)의 끝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밀봉 후 내용물이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27)을 따라 누출될 염려가 없는 경우에는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27)은 삼각 절곡부(16)의 끝단까지 연장시킬 수도 있다.
중앙 접힘선(25)은 삼각 절곡부분(16)로부터 패인패널부분(12)의 일정부분까지 연장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접힘선(25)도 삼각 절곡부(16)의 끝단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밀봉 후 내용물 누출에 대한 지장을 미치지 않는 경우 삼각 절곡부(16)의 끝단까지 연장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부 경사 부분(13)(15)의 모서리 양방향 모두에서 개봉 구조를 제공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나머지 하나의 삼각 절곡부(14) 및 결합시 이 삼각 절곡부(14)와 최종적으로 접하게되는 상부 경사부분(13)(15)의 대응되는 부분에도 앞서 설명된 동일한 구조의 1단 접힘선, 다단 메인 접힘선, 다단 보조 접힘선, 중앙 접힘선,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을 형성하면 된다.
여기서 접힘선은 접거나 젖히고자 하는 방향에 맞게 압인 성형한다. 즉, 액체 포장용기 형성 과정 또는 개봉 과정에서 이용될 접힘선의 접힘방향에 맞게 바깥쪽면 및/또는 안쪽면에 도 3a 및/또는 도 3b와 같이 바깥쪽면이 노출되고 안쪽면이 골을 갖는 양각 골(31) 또는 바깥쪽 면이 골을 갖고 안쪽면이 노출되는 음각 골(32)의 형태로 포재에 압인 성형하여 형성한다. 또 다르게는 필요에 따라 접힘선을 양쪽면이 노출되는 선을 갖게 형성되도록 하거나, 양쪽면에 골을 갖게 형성되도록 형성할 수 도 있다.
앞서 도 2에서 설명된 접힘선의 방향에 따라 포재(10a)를 접고 측면 접합부(12a) 및 바닥부분(11)의 접착부분(11a)의 접착대상면이 되는 앞면 또는 뒷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접합하면 상부가 열린 용기가 1차로 형성된다.
이후, 내용물을 열린 개구부분을 통해 담고 상부 경사부분(13)(15) 및 삼각 절곡부분(14)(16)의 접합 대상부분(13a)(14a)(15a)(16a)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접합하면 내용물의 포장처리가 완료된 도 1과 같은 액체 포장용기가 된다.
이러한 액체 포장용기(10)에 담긴 내용물을 섭취하고자 개봉할 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1단 접힘선(21)에 의해 구획되는 삼각형 날개부분(40)을 먼저 양쪽으로 젖힌 다음, 다시 다단 접힘선(23)(24)을 다시 젖힌다. 그러면, 다단 접힘선(23)(24)의 젖힘에 의해 내용물 섭취용 입구용으로 이용될 삼각 절곡부분(16)의 3개의 삼각형이 만나는 꼭지점으로부터의 2단으로 접혀진 부분까지의 이격거리가 짧아져 삼각 절곡부분(16)을 인출하는 방향으로의 가압력을 보다 강하게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삼각 날개부분(40)을 2단으로 개봉구의 인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젖힐 때 삼각형 날개부분(40)이 라운드 형태로 다단으로 젖혀지게 됨으로써, 삼각 절곡부분(16)의 꼭지점 부분이 외측으로 돌출 될려는 인장력을 보다 강하게 받아 쉽게 튀어나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삼각 절곡부분(16)이 상부 경사부분(13)(15)으로부터 인출되어 개봉방향으로 확장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27)이 외측으로 확장되게 굽혀짐에 의해 유출용으로 이용하기 부분이 내용물을 마시기 용이한 반원형 골의 유출구(29)를 형성한다. 또한, 중앙 접힘선(25)은 메인패널부분(12)이 확장되는 외측 방향으로 이완되어 내용물이 중앙접힘선(25)을 따라 잘 수집될 수 있게 해준다.
내용물을 마시기 위해 표장 용기(10)의 바닥면이 위를 향하도록 소정 각도록 경사지제 세워서 마시게 되면, 내용물의 자중에 의해 확장되는 중앙 접힘선(25)이 골을 형성하여 이 중앙접힘선(25)을 따라 내용물이 모이게 되고, 중앙 접힘선(25)에 의해 형성된 골과 연결된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27)에 의해 형성된 유출구(29)를 통해 내용물이 확산되지 않고 집중되어 유출된다. 따라서, 내용물을 마시기가 용이하고, 내용물이 조금 남아 있을 경우에도 내용물을 모으기 위해 포장 용기(10)의 모서리 부분이 입에 닿도록 용기의 방향을 돌릴 필요가 없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일 실시예로서 다단 접힘선(23)이 1단 접힘선 사이에 하나만 형성된 것을 설명하였으나, 1단접힘선(21)과 경계선(28) 사이에 상호 이격되게 복수의 다단 메인 접힘선을 형성시킬 수 도 있고, 다단 메인 접힘선의 개수 및 형성 방향에 대칭되게 다단 보조 접힘선(24)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설명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는 개봉 및 개봉 후 내용물의 섭취가 용이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별도의 보조부재 없이 종래의 구조의 포재에 압인 성형처리된 접힘선만 추가하면 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한 장점을 제공한다.

Claims (10)

  1. 절곡 및 봉합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사각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패널부분과, 상기 메인 패널부분의 앞면과 뒷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메인패널부분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져 상호 대향되게 봉합 처리되는 제1 및 제2 상부 경사 부분과, 상기 메인패널부분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경사 부분 각각의 안측으로 3개의 삼각형이 상호 접한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 경사부분과 접합되는 제1 및 제2 삼각 절곡부분과, 상기 상부 경사부분의 모서리부분을 확장되게 벌릴때 상기 삼각 절곡부분의 개봉이 용이하도록 상기 메인패널부분, 상기 상부 경사부분 및 상기 삼각절곡부분이 상호 만나는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경사부분의 중앙부분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봉용 1단 접힘선을 구비하는 액체 포장용기에 있어서,
    상기 삼각 절곡부분과 상기 상부 경사부분이 상호 접하는 경계선과 상기 개봉용 1단 접힘선 사이에 소정길이 연장되게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다단 메인 접힘선;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포장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절곡부분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메인패널부분의 일정부분까지 소정 길이 연장되게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내용물 집중용 중앙 접힘선;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포장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절곡부분의 상기 3개의 삼각형이 상호 만나는 지점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나란하게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부분을 갖게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포장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의 나란하게 연장된 부분의 각 하단은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포장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절곡부분과 상기 상부 경사부분이 상호 접하는 경계선을 중심으로 상기 다단 접힘선과 대칭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삼각절곡부분에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다단 보조 접힘선;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포장용기.
  6. 절곡 및 봉합에 의해 바닥면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사각 공간을 형성하는 메인 패널부분과, 상기 메인 패널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공간의 앞면과 뒷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메인패널부분에 대해 소정 각도 경사져 상호 대향되게 봉합 처리되는 제1 및 제2 상부 경사 부분과, 상기 메인패널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사각 공간의 양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상부 경사 부분 각각의 안측으로 3개의 삼각형이 상호 접한 형태로 절곡되어 상기 상부 경사부분과 접합되는 제 1 및 제2 삼각 절곡부분과, 봉합처리됐을 때의 상기 상부 경사부분의 모서리부분을 확장되게 벌릴때 상기 삼각 절곡부분의 개봉이 용이하도록 상기 메인패널부분, 상기 상부 경사부분 및 상기 삼각절곡부분이 상호 만나는 꼭지점으로부터 상기 상부 경사부분의 중앙부분을 향해 연장되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개봉용 1단 접힘선을 구비하는 액체 포장용기의 포재에 있어서,
    상기 삼각 절곡부분과 상기 상부 경사부분이 상호 접하는 경계선과 상기 개봉용 1단 접힘선 사이에 소정길이 연장되게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다단 메인 접힘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포장용기의 포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절곡부분의 중앙부분으로부터 상기 메인패널부분의 일정부분까지 소정 길이 연장되게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내용물 집중용 중앙 접힘선;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포장용기의 포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절곡부분의 상기 3개의 삼각형이 상호 만나는 지점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나란하게 소정 길이 연장 형성된 부분을 갖게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포장용기의 포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골 형성용 접힘선의 나란하게 연장된 부분의 각 하단은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포장용기의 포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삼각 절곡부분과 상기 상부 경사부분이 상호 접하는 경계선을 중심으로 상기 다단 접힘선과 대칭되는 방향을 따라 상기 삼각절곡부분에 압인 성형하여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다단 보조 접힘선;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포장용기의 포재.
KR2020020011752U 2002-04-18 2002-04-18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 KR2002821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752U KR200282152Y1 (ko) 2002-04-18 2002-04-18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
AU2003219601A AU2003219601A1 (en) 2002-04-18 2003-04-12 Package for storing liquid and package structure thereof
CNA038080737A CN1646378A (zh) 2002-04-18 2003-04-12 存储液体用封装及其封装结构
PCT/KR2003/000747 WO2003089317A1 (en) 2002-04-18 2003-04-12 Package for storing liquid and package structure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1752U KR200282152Y1 (ko) 2002-04-18 2002-04-18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2152Y1 true KR200282152Y1 (ko) 2002-07-22

Family

ID=29244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1752U KR200282152Y1 (ko) 2002-04-18 2002-04-18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282152Y1 (ko)
CN (1) CN1646378A (ko)
AU (1) AU2003219601A1 (ko)
WO (1) WO20030893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146B1 (ko) * 2014-01-27 2014-05-08 고한덕 우유팩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1801022T3 (da) * 2005-12-21 2012-02-13 Stora Enso Oyj Emballage, der er beregnet til at modtage en åbningsindretning
EP2298656B1 (en) * 2008-06-30 2013-11-20 Nippon Paper Industries Co., Ltd Paper container
CN103466157B (zh) * 2013-10-09 2015-08-05 王岩泽 一种包装盒
DE102016003826A1 (de) 2016-04-04 2017-10-05 Sig Technology Ag Packungsmantel, Verpack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packung
DE102016003827A1 (de) * 2016-04-04 2017-10-05 Sig Technology Ag Zuschnitt, Packungsmantel, Verpack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Zuschnitts, eines Packungsmantels und einer Verpackung
JP6759694B2 (ja) * 2016-05-11 2020-09-23 凸版印刷株式会社 ゲーベルトップ型包装容器
JP6922201B2 (ja) * 2016-12-06 2021-08-18 凸版印刷株式会社 包装容器及び包装容器用ブランク
WO2019068384A1 (de) * 2017-10-04 2019-04-11 cSIG TECHNOLOGY AG Packungsmantel, verpack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verpackung
WO2019127583A1 (zh) * 2017-12-30 2019-07-04 厉彦明 一种用于制造液体包装容器的胚料及其包装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6643A (en) * 1984-06-01 1986-05-06 Weyerhaeuser Company Reinforced container
JPS6352717U (ko) * 1986-09-25 1988-04-09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146B1 (ko) * 2014-01-27 2014-05-08 고한덕 우유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646378A (zh) 2005-07-27
WO2003089317A1 (en) 2003-10-30
AU2003219601A1 (en) 2003-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75957A (en) Food scoop with condiment compartment
EP0997391B1 (en) Pouch
KR200282152Y1 (ko) 액체 포장용기 및 그 포재
CN101734406A (zh) 包括由挠性材料形成的可移除上部的容器
WO2007142530A1 (en) Pouring package as well as a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the same
CN104717911A (zh) 可折叠容器以及采用可折叠容器的施配器
CN101426695A (zh) 包装体
JP2004537478A (ja) 4/5面体の包装容器
JP4436325B2 (ja) ストローを具えた押圧変形可能な紙パック容器
JP5035569B2 (ja) 紙容器
JPH0221378Y2 (ko)
CN2658084Y (zh) 固体物料的多容腔多物料包装袋
JP4135336B2 (ja) 電子レンジ用紙容器
JP2006199371A (ja) 段ボール製包装箱
CN100457560C (zh) 可以打开的包装元件及其坯件
CN113928739B (zh) 一种可变色和口味互搭的趣味饮料包装
CN212172876U (zh) 一种牛奶包装箱
JP3591787B2 (ja) カートン
JP2694848B2 (ja) 特に乾燥した流動性製品用の包装容器
KR200261046Y1 (ko) 열기쉬운 우유팩
JPH0733820U (ja) 紙容器
JP2002179053A (ja) 収納容器
JPH0716588Y2 (ja) 包装箱
JP2023149594A (ja) 紙容器
JP3047354U (ja) 開封する紙片を連結した紙パックのような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