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498Y1 -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498Y1
KR200281498Y1 KR2020010026442U KR20010026442U KR200281498Y1 KR 200281498 Y1 KR200281498 Y1 KR 200281498Y1 KR 2020010026442 U KR2020010026442 U KR 2020010026442U KR 20010026442 U KR20010026442 U KR 20010026442U KR 200281498 Y1 KR200281498 Y1 KR 2002814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brake
frame
vehicle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64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웅
Original Assignee
배상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상웅 filed Critical 배상웅
Priority to KR20200100264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49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4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498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후미의 일정 공간내에 제동등(10)을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제동등(10)의 수용공간 주위에 결착되는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에 하우징(32)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복수의 LED(38)가 구비된 기판(34)을 수용하는 보조등(30); 상기 보조등(30)의 LED(38)와 전선(40)으로 연결되고, 브레이크 작동시 설정된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자동차 후미의 제동등과 함께 부착되어 브레이크를 작동할 때 후방의 자동차를 위한 경보기능을 강화함에 있어 신뢰성이나 내구성이 저하됨이 없이 저전력 소모 구조로 경보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 {Auxiliary break lamp device for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제동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후미의 제동등과 함께 부착되어 브레이크를 작동할 때 후방의 자동차를 위한 경보기능을 강화하는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제동 상태를 표시하는 제동등은 자동차 주행에 있어서 필수적인 부품으로서 KS 등 관련 규정에 따라 차체의 후방에 설치되고 소정의 조도를 유지하도록 의무화되고 있다. 이러한 제동등은 브레이크에 답력이 작용할 때 소정의 위치에서 작동되는 스위치에 의해 자동차의 배터리 전압이 인가되거나 차단되면서 온오프된다.
이와 같이 제동등이 자동차 운행에 있어서 중요한 안전장치의 하나로 인식되면서 자동차의 후방에서 후방 윈도우, 범퍼, 트렁크 등에 별도의 보조 제동등을 설치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작동을 위한 스위치와 배터리는 상기와 공유되고 회로는 병렬적으로 연결된다.
그런데 이러한 보조 제동등을 자동차 출고후에 추가로 설치하는 경우 전력소모가 증가하는 것은 물론 장기간 사용후 결선부에서 누전이 발생될 우려가 크기 때문에 배터리의 수명에 영향을 끼친다. 즉, 자동차 운행의 안전성 향상을 위해 작동 신뢰성과 내구성을 희생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자동차 후미의 제동등과 함께 부착되어 브레이크를 작동할 때 후방의 자동차를 위한 경보기능을 강화하는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조등에서 저전력을 소모하면서도 후속 차량에 대한경보 기능이 강화되도록 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전체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등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등을 절단하여 결합 상태를 부분 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프레임의 또다른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제동등 15: 램프
20, 20': 프레임 22: 브라케트
30: 보조등 32: 하우징
34: 기판 35: 보조판
36: 커버 38: LED
40: 전선 50: 제어기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후미의 일정 공간내에 제동등(10)을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제동등(10)의 수용공간 주위에 결착되는 복수개의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에 하우징(32)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복수의 LED(38)가 구비된 기판(34)을 수용하는 보조등(30); 상기 보조등(30)의 LED(38)와 전선(40)으로 연결되고, 브레이크 작동시 설정된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프레임(20)은 양끝단이 서로 맞물리는 복수개로 형성하되, 일측프레임(20)의 적정지점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브라케트(22)와, 상기 브라케트(22) 위치에 절개되는 요홈(20a)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을 복수개로 형성하는 대신, 제조 및 보관·운반상의 어려움은 다소 있으나 단일화된 하나의 프레임(20')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등(30)의 하우징(32)은 일측에 ㄷ자형 통로(32a)를 구비하고, 전방으로 발광하도록 LED(38)를 노출하고, 후방으로 커버(36)를 이용하여 기판(34)을 밀폐하는 구조이다.
본 고안의 제어기(50)는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동안 복수의 LED(38)를 개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하는 기능부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기구의 전체적인 배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후미의 일정 공간내에 제동등(10)을 구비하는 자동차에 관련되며, 상기 제동등(10)의 수용공간 주위에 결합되는 프레임(20)을 사용한다. 통상 제동등(10)은 차체의 후미에서 일정 부위를 절곡하여 공간을 형성하고, 여기에 램프(15)와 적색의 반투명 케이스(도시 생략)를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본 고안의 프레임(20)은 이러한 제동등(10)의 설치공간 주위로 결합되며, 반투명 케이스 내측에 위치하는 크기 또는 반투명 케이스와 동일한 크기로 성형될 수도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프레임(20)의 형상 및 크기는 달라진다.
또한 상기 프레임(20)은 복수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나 하나의 일체화된 형태로도 형성할수 있다(도4참조).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의 LED(38)가 구비된 기판(34)을 수용하는 보조등(30)이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에 하우징(32)을 개재하여 결합된다. 보조등(30)은 프레임(20) 상에 결합되어 반투명 케이스 내부에 수용된다. 보조등(30)의 식별력을 높이기 위해 가급적 램프(15)로부터 최대한 이격시킨다. 보조등(30)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하는 도 2를 참조한다.
또, 본 고안에 따르면 브레이크 작동시 설정된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50)가 상기 보조등(30)의 LED(38)와 전선(40)으로 연결된다. 제어기(50)는 자동차 후방의 차체 내부에 설치되고, 전술한 배터리, 브레이크 스위치 및 보조등(30)과 전선(40)으로 연결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보조등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프레임(20)은 내측으로 연장되는 브라케트(22)와, 상기 브라케트(22) 위치에 절개되는 요홈(20a)을 구비한다. 이때 프레임(20)의 일지점을 〓형으로 절개하여 펴면 브라케트(22)가 생성되는 동시에 같은 위치에 요홈(20a)도 생성된다. 그리고 브라케트(22)는 보조등(30)이 결합되는 부분이고, 요홈(20a)은 전선(40)이 통과되는 부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보조등(30)의 하우징(32)은 일측에 ㄷ자형 통로(32a)를 구비한다. 하우징(32)과 통로(32a)는 일체로 성형되며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전기 절연성이 보장되어 누전이나 쇼트를 근원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통로(32a)는 프레임(20)의 브라케트(22)와 맞물리는 폭과, 통과되는 전선(40)을 보호할 수 있는 높이로 형성된다. 하우징(32)과 브라케트(22)의 결합은 볼트(33)를 사용한다.
이때, 하우징(32)은 전방으로 발광하도록 LED(38)를 노출하는 구조이다. 도시처럼 3개(1개 또는 다수개이상 형성가능)의 LED(38)를 사용하는 경우 이에 대응하는 동일한 위치에 3개의 홀을 구비하여 LED(38)가 노출되도록 한다. 기판(34)에는 각각의 LED(38)가 연결로 고정되고, LED(38)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전선(40)도 접속된다. LED(38)는 대표적인 저전력 소자로서 일반적인 램프(15)에 비하여 조도가 낮으므로 램프(15)와 함께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이와 동시에 하우징(32)은 후방으로 커버(36)를 이용하여 기판(34)을 밀폐하는 구조이다. 기판(34)은 별다른 고정 구조를 지니지 않으며 커버(36)를 이용하여 긴밀하게 결합된다. 커버(36)는 나사(37)를 이용하여 하우징(32)의 내부 공간에수용되도록 결합된다. 나사(37)는 커버(36), 기판(34)을 거쳐 하우징(32)에 이른다. 하우징(32)에서 나사(37)와 체결되는 암나사부는 두께를 증가시켜 보강한다. 커버(36)는 전선(40)을 가압한 상태로 지지하기 때문에 전선(40)의 진동으로 인한 기판(34)의 납땜부 파손을 방지하기도 한다. 커버(36)의 소재는 절연재질로 하여 기판(34)의 쇼트가 방지되도록 한다.
한편, 하우징(32)과 기판(34) 사이에 보조판(35)을 두는 것도 가능하다. 보조판(35)은 LED(38)와 나사(37)가 통과하는 관통공을 구비하고 LED(38)를 긴밀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카바(36)의 내측편에 기판(34)을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등을 절단하여 결합 상태를 부분 단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로서, 브라케트(22)에 보조등(30)을 조립한 상태에서 브라케트(22)를 절단하여 보조등(30)의 측면 상태를 도시한다. 기판(34)과 전선(40)의 결선이 완료된 상태로 생산에 투입되면 이를 하우징(32)에 끼우고 커버(36)를 덮은 다음 나사(37)를 조여 보조등(30) 조립체를 완성한다. 이후 프레임(20)(20')을 접착제 또는 양면테이프등으로 제동등(10)의 테두리부분에 설치하고 상기 보조등(30) 조립체를 브라케트(22)에 끼운 다음 볼트(33)로 조이고, 제어기(50)를 설치하여 배터리 및 브레이크 스위치와 연결하면 조립이 완료된다. 물론 프레임(20)(20'), 보조등(30), 전선(40), 제어기(50)가 일체로 조립된 상태로 자동차의 제동등(10)부분에 투입될 수도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제어기(50)는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동안 복수의 LED(38)를개별적 또는 전체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가장 간단한 제어 방식은 모든 LED(38)가 램프(15)와 동시에 연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 LED(38)는 적색이 아닌 다른 색상(예컨대 황색이나 청색)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약간 변형된 방식으로 모든 LED(38)가 램프(15)와 연동되어 점멸하도록 하는 것이다. 점멸기능은 발진 IC나 캐패시터를 이용한 공지의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기(50)가 크지 않아도 되므로 별도로 설치하지 않고 기판(34) 상에 함께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다 진보된 형태로서 LED(38)가 순차적으로 점등되도록 제어하는 방식이 제안된다. 즉, 3개의 LED(38) 중 상측의 것이 점등되고 다음으로 중간의 것이 점등되고 마지막으로 하측의 것이 차례로 점등되도록 한다. 순차적 점등을 위한 회로도 공지의 IC를 사용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마이콤을 사용하는 경우 더욱 복잡한 프로그램 제어가 가능하다. 이에 의해 생동감있는 신호를 생성하므로 제동상태의 식별이 용이해진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따르면 본 고안은 자동차 후미의 제동등과 함께 부착되어 브레이크를 작동할 때 후방의 자동차를 위한 경보기능을 강화함에 있어 신뢰성이나 내구성이 저하됨이 없이 저전력 소모 구조로 경보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후미의 일정 공간내에 제동등(10)을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제동등(10)의 수용공간 주위에 결착되는 프레임(20);
    상기 프레임(20)의 일측에 하우징(32)을 개재하여 결합되고, 복수의 LED(38)가 구비된 기판(34)을 수용하는 보조등(30);
    상기 보조등(30)의 LED(38)와 전선(40)으로 연결되고, 브레이크 작동시 설정된 출력 신호를 발생하는 제어기(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내측으로 연장되는 브라케트(22)와, 상기 브라케트(22) 위치에 절개되는 요홈(20a)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등(30)의 하우징(32)은 일측에 ㄷ자형 통로(32a)를 구비하고, 전방으로 발광하도록 LED(38)를 노출하고, 후방으로 커버(36)를 이용하여 기판(34)을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50)는 브레이크가 작동되는 동안 복수의 LED(38)를 개별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을 복수개 또는 단일화 형태의 프레임(20')으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34)상에 제어기(50)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바(1)의 내측편에 기판(34)을 일체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
KR2020010026442U 2001-08-30 2001-08-30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 KR2002814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442U KR200281498Y1 (ko) 2001-08-30 2001-08-30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6442U KR200281498Y1 (ko) 2001-08-30 2001-08-30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498Y1 true KR200281498Y1 (ko) 2002-07-12

Family

ID=7310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6442U KR200281498Y1 (ko) 2001-08-30 2001-08-30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4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271B1 (ko) * 2018-04-27 2019-07-31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Lgf 모듈이 적용된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271B1 (ko) * 2018-04-27 2019-07-31 주식회사 에이엠에스 Lgf 모듈이 적용된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6822B1 (en) Method of replacing a conventional vehicle light bulb with a light-emitting diode array
US5193895A (en) Warning light
US7775694B2 (en) Vehicle interior illumination lamp unit
US9187026B2 (en) Lighting control system for vehicle lamp
JP2001294083A (ja) 車両の室内照明装置
KR200281498Y1 (ko) 자동차용 보조 제동등 기구
JP2001345014A (ja) 照明器具
JP3873665B2 (ja) ターンシグナルランプ、ターンシグナルランプシステム及びターンシグナルランプ用負荷調整装置
KR100989957B1 (ko) 자전거 안전등
KR101628833B1 (ko) 차량용 램프 시스템
KR0132562B1 (ko) 경고등
CN219655939U (zh) 一种便于组装的汽车日行灯
JP2001158283A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01294079A (ja) 車両の室内照明装置
CN219728413U (zh) 一种自动发光logo及警示灯的尾箱
KR200319467Y1 (ko) 차량용 시그널 램프
CN109466432B (zh) 一种驻车灯光系统及车辆
KR102246802B1 (ko) 차량용 조명 기구
CN219305253U (zh) 一种汽车led灯泡驱动器
KR100444159B1 (ko)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구급차량의 차폭등 겸용 경광등
JP3096845U (ja) 発光体を有する自動車用リアウイング
US20040080402A1 (en) Windshield wiper spoiler structure
KR20070091403A (ko) 에스엠디 엘이디를 이용한 자동차용 보조등
KR200277840Y1 (ko) 광원이 구비된 차량의 아웃 사이드 미러
KR19990019625U (ko) 자동차용 비상 삼각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