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1000Y1 -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리대 - Google Patents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1000Y1
KR200281000Y1 KR2020020010815U KR20020010815U KR200281000Y1 KR 200281000 Y1 KR200281000 Y1 KR 200281000Y1 KR 2020020010815 U KR2020020010815 U KR 2020020010815U KR 20020010815 U KR20020010815 U KR 20020010815U KR 200281000 Y1 KR200281000 Y1 KR 2002810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ist
crane
sides
repair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08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홍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진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진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진정공
Priority to KR20200200108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10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10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1000Y1/ko

Links

Landscapes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크레인의 일측에 호이스트가 진입하여 들어올 수 있도록 수리대를 설치하여 안정된 자세로 호이스트를 수리하므로서 수리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고안은 등간격으로 고정설치된 소정 높이의 지주가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고, 양측 지주의 상단에 레일이 전,후방으로 설치되어지며, 상기 레일상에 이를 따라 전,후진이 가능하게 롤러가 양측으로 구비되어진 크레인이 설치되고, 상기 크레인에는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롤러를 구비한 호이스트가 설치되며, 상기 호이스트에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로프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 로프가 설치됨과 아울러 와이어 로프의 하단에는 지정된 이동대상물을 권상시킬 수 있는 걸고리나 마그네트자석과 같은 권상수단이 설치된 호이스트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20)의 일측에서 그 하방으로 세로지지대(41)와 가로지지대(42)로서 사각형태의 수리대(40)를 형성하되, 상기 호이스트(30)가 그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수리대(40) 양측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수리대(40)의 하부 양측에 작업자가 설 수 있게 발판(43a)(43b)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발판(43a)(43b)의 일측에서 반대편 발판(43a)까지 일측 경첩(45)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보조발판(4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리대{a repair stand of hoist crane}
본 고안은 호이스트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호이스트의고정시 이의 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호이스트 크레인은 주로 공장내의 천장밑에 설치하여 두개의 레일을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기기이며, 이 크레인에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와이어 로프가 로프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와이어 로프의 권상 및 권하에 의해 이동하는 호이스트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호이스트 크레인은 도 1과 같이 등간격으로 고정설치된 소정 높이의 지주(1)가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고, 양측 지주(1)의 상단에 레일(2)이 전,후방으로 설치되어지며, 상기 레일(2)상에 이를 따라 전,후진이 가능하게 롤러(4)가 양측으로 구비되어진 크레인(3)이 설치되고, 상기 크레인(3)에는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롤러(6)를 구비한 호이스트(5)가 설치되며, 상기 호이스트(5)에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로프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는 외이어 로프가 설치됨과 아울러 와이어 로프의 하단에는 지정된 이동대상물을 권상시킬 수 있는 걸고리나 마그네트자석과 같은 권상수단(7)이 설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크레인에 연결된 리모콘을 동작시켜 이동대상물을 권상수단(7)으로 인양한 다음, 호이스트(5)를 상하, 좌,우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크레인(3)을 전,후진시킴으로써 이동대상물을 소망하는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호이스트 크레인은 호이스트(5)가 매우 높은 지주(1)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호이스트(5)가 고장날 시에는 사다리를 이용하여 호이스트(5)를 수리하거나 별도의 승강장치를 타고 올라가 수리를 하여야 하므로 호이스트(5)의 수리작업이 매우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추락사고와 같은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의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크레인의 일측에 호이스트가 진입하여 들어올 수 있도록 수리대를 설치하여 안정된 자세로 호이스트를 수리하므로서 수리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리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크레인의 개략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리대가 설치된 크레인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리대에 호이스트가 진입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수리대에 호이스트가 진입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지주 11:레일
20:크레인 30:호이스트
40:수리대 41:세로지지대
42:가로지지대 43a,43b:발판
44:보조발판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으 호이스트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의 일측에서 그 하방으로 세로지지대와 가로지지대로서 사각형태의 수리대를 형성하되, 호이스트가 그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수리대 양측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수리대의 하부 양측에 작업자가 설 수 있게 발판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발판의 일측에서 반대편 발판까지 일측 경첩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보조발판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참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수리대가 설치된 크레인의 요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리대에 호이스트가 전입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수리대에 호이스트가 진입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등간격으로 고정설치된 소정 높이의 지주(10)가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고, 양측 지주(10)의 상단에 레일(11)이 전,후방으로 설치되어지며, 상기 레일(11)상에 이를 따라 전,후진이 가능하게 롤러(21)가 양측으로 구비되어진 크레인(20)이 설치되고, 상기 크레인(20)에는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롤러를 구비한 호이스트(30)가 설치되며, 상기 호이스트(30)에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로프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 로프가 설치됨과 아울러 와이어 로프의 하단에는 지정된 이동대상물을 권상시킬 수 있는 걸고리나 마그네트자석과 같은 권상수단이 설치된 호이스트 크레인에 있어서,
먼저, 상기 크레인(20)의 일측에서 그 하방으로 세로지지대(41)와 가로지지대(42)로서 사각형태의 수리대(40)를 형성하되, 상기 호이스트(30)가 그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수리대(40) 양측을 개방한다.
그런 다음, 상기 수리대(40)의 하부 양측에 작업자가 안전하게 서서 작업할 수 있게 발판(43a)(43b)을 설치하고, 상기 발판(43a)(43b)중 하나의 발판(43b)에 경첩(45)에 의해 개폐되면서 그 끝단이 또 하나의 발판(43a)에 지지될 수 있게 보조발판(44)을 설치한다. 즉, 수리대(40) 내부로 호이스트(30)가 진입할 시에는 호이스트의 와이어 로프가 간섭받지 않도록 보조발판(44)을 도 2의 확대 도면의 실선과 같이 개방시킨 다음, 상기 와이어 로프가 보조발판(44)을 지나 수리대(40) 내측으로 완전히 진입을 하면 상기 보조발판(44)을 도 2의 확대 도면의 가상선과 같이 내려 작업자가 이를 밟고 작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리대(40)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이스트 크레인을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할 시에는 도 3과 같이 수리대(40) 내부로 호이스트(30)의 진입시 호이스트(30)의 와이어 로프가 간섭받지 않도록 보조발판(44)을 개방하여 둔다.
그리고, 상기 호이스트(30)가 고장나게 되면, 이를 수리대(40) 내측으로 유도하게 되는데, 상기 호이스트(30)가 보조발판(44)을 지나 완전히 진입하게 되면 상기 보조발판(44)을 도 4와 같이 내려 그 단부가 일측 발판(43a)에 설치되도록 하므로서 작업자가 이를 밟고 안전하게 작업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크레인(20)의 일측에 호이스트(30)가 진입하여 들어올 수 있도록 수리대(40)를 설치하여 안정된 자세로 호이스트(30)를 수리하므로서 수리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동시에 추락과 같은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등간격으로 고정설치된 소정 높이의 지주가 양측으로 각각 설치되고, 양측 지주의 상단에 레일이 전,후방으로 설치되어지며, 상기 레일상에 이를 따라 전,후진이 가능하게 롤러가 양측으로 구비되어진 크레인이 설치되고, 상기 크레인에는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롤러를 구비한 호이스트가 설치되며, 상기 호이스트에는 모터의 회전에 의해 로프드럼에 감기거나 풀리는 와이어 로프가 설치됨과 아울러 와이어 로프의 하단에는 지정된 이동대상물을 권상시킬 수 있는 걸고리나 마그네트자석과 같은 권상수단이 설치된 호이스트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20)의 일측에서 그 하방으로 세로지지대(41)와 가로지지대(42)로서 사각형태의 수리대(40)를 형성하되, 상기 호이스트(30)가 그 내부로 진입할 수 있게 수리대(40) 양측을 개방함과 동시에 상기 수리대(40)의 하부 양측에 작업자가 설 수 있게 발판(43a)(43b)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발판(43a)(43b)의 일측에서 반대편 발판(43a)까지 일측 경첩(45)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보조발판(4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리대.
KR2020020010815U 2002-04-08 2002-04-08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리대 KR2002810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815U KR200281000Y1 (ko) 2002-04-08 2002-04-08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0815U KR200281000Y1 (ko) 2002-04-08 2002-04-08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1000Y1 true KR200281000Y1 (ko) 2002-07-13

Family

ID=73120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0815U KR200281000Y1 (ko) 2002-04-08 2002-04-08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100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42A1 (en) * 2013-07-26 2015-01-29 Kg Inc. Collapsible crane capable of being transported by contai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12542A1 (en) * 2013-07-26 2015-01-29 Kg Inc. Collapsible crane capable of being transported by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27222A (ja) 建築物の建築に使用される装置
JP2008144544A (ja) 機械式駐車装置における作業装置とその作業方法
JP4753932B2 (ja) ゴンドラ装置
JP2006299559A (ja) セルフクライミング足場およびそれを用いたセルフクライミング方法
JP4138864B1 (ja) クレーン式ゴンドラ構造
KR200281000Y1 (ko)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리대
KR20200057303A (ko) 가변형 카메라 지주대 구조체
KR102204933B1 (ko) 고소 작업대 승강장치
JP2002046951A (ja) エレベーターの保守用足場装置
KR100925864B1 (ko) 고층작업용 기능성 곤도라 작업대
JPH08100517A (ja) 昇降式作業台
JP5581476B2 (ja) 昇降式移動足場
JP5132080B2 (ja) エレベータ用品据え付け用ゴンドラ装置及びエレベータ用品据え付け作業方法
JP3841242B2 (ja) エレベータパーキング用昇降作業台とこれを用いた工法
JP5360645B2 (ja) 折り畳み式作業用ゴンドラ
KR20210081929A (ko) 격납건물의 돔부 라이너플레이트 접근설비
JPH0628548Y2 (ja) 自走式高所作業台車の吊り装置
KR101614655B1 (ko) 승하강식 활주로 진입등주
JPH0240076Y2 (ko)
JP2006144402A (ja) 高層建築用足場の構築方法及び解体方法
KR102590849B1 (ko) 이중레일구조의 곤돌라장치
JP5418948B2 (ja) 可動式点検架台
KR200201613Y1 (ko) 교각점검난간 설치용 고소작업장치
JPH07257892A (ja) 高所作業車
KR20170127689A (ko) 다단 승강형 족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