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720Y1 - 케이블록커 - Google Patents

케이블록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720Y1
KR200279720Y1 KR2020020008742U KR20020008742U KR200279720Y1 KR 200279720 Y1 KR200279720 Y1 KR 200279720Y1 KR 2020020008742 U KR2020020008742 U KR 2020020008742U KR 20020008742 U KR20020008742 U KR 20020008742U KR 200279720 Y1 KR200279720 Y1 KR 2002797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nut
case
locker
fl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87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원재
이문재
Original Assignee
이원재
이문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원재, 이문재 filed Critical 이원재
Priority to KR20200200087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7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7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720Y1/ko

Links

Landscapes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헐거워지지 않도록 된 케이블록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일단부에 케이스(2)의 케이블 인출공(5)에 삽입되는 나사부(15)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15)의 내측단에는 케이스(2)의 벽면에 걸려지는 플랜지(18)가 구비된 바디(10)와, 상기 케이블 인출공(5)에 삽입된 바디(10)의 나사부(15)에 체결되어 이 바디(10)를 케이스(2)에 고정하는 너트(20)를 포함하는 케이블록커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8) 또는 너트(20)의 케이스(2)와 마주하는 면에는 다수개의 마찰돌기(40)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10)와 너트(20)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록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케이블록커{cable locker}
본 고안은 케이블록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헐거워지지 않도록 된 케이블록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록커는 분전반, 배전반, 제어반, 발판스위치와 같은 전기 전자장치 등의 케이스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기 전자장치의 내부 회로 등에 연결된 케이블을 상기 케이블록커의 내부를 통해 장치의 외부로 인출하게 된다. 이에 사용되는 케이블록커는 통상,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 둘레에 상기 전기전자장치 등의 케이스(2)에 형성된 케이블 인출공(5)에 삽입되는 나사부(15)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15)의 내측단에는 케이블 인출공(5)의 둘레벽에 걸려지는 플랜지(18)가 구비된 바디(10)와, 상기 케이블 인출공(5)에 삽입된 바디(10)의 나사부(15)에 체결되는 너트(20)와, 상기 바디(10)의 타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분할 형성된 조임편(13)과, 이 조임편(13)을 감싸도록 상기 바디(10)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선단부로 갈수록 축경되는 테이퍼부(27)가 마련된 캡(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10)의 나사부(15)를 케이블 인출공(5)의 내부에 끼워 바디(10) 둘레부의 플랜지(18)가 케이블 인출공(5)의 둘레벽에 걸려지도록 한 다음, 상기 나사부(15)에 너트(20)를 체결하면 바디(10)가케이블 인출공(5)에 고정된다. 그리고, 이렇게 고정된 바디(10)의 타단부에 상기 캡(25)을 나사 결합하고, 상기 캡(25)과 바디(10) 및 너트(20)를 관통하도록 케이블(3)을 삽입하여 상기 전기전자장치의 내부 회로 등에 접속한 다음, 상기 바디(10)의 타단부에 나사 결합된 캡(25)을 조이게 되면, 상기 바디(10)의 조임편(13)이 캡(25)의 테이퍼부(27)를 따라 반경방향 내측으로 조여지면서 케이블(3)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밀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블 인출공(5)을 통하여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장치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통상 상기 케이블 인출공(5)의 둘레벽과 플랜지(18) 및 너트(20) 사이에는 패킹링(7)을 개재시키고, 상기 케이블(3)과 조임편(13) 사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패킹링(8)을 개재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 케이블록커는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상기 너트(20)가 바디(10)의 나사부(15)로부터 풀어지면서 상기 케이스(2)의 케이블 인출공(5)과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 인출공(5)과 케이블록커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전기전자장치의 내부로 침투하면서, 상기 장치의 고장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공작기계와 같이 자체의 진동이 많이 발생되는 장치의 경우에 적용될 경우, 장기간 사용하다보면 이러한 장치의 자체 진동 때문에 상기 너트(20)가 바디(10)의 나사부(15)로부터 풀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처럼 헐거워진 케이블록커를 다시 체결하기 위해서는 상기 장치의 케이스(2)를 뜯어내고, 상기 바디(10)의 나사부(15)에 너트(20)를 다시 조여주어야 하므로, 유지관리가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헐거워지지 않도록 된 케이블록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케이블록커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케이블록커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록커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케이블록커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케이스 3. 케이블
5. 케이블 인출공 10. 바디
13. 조임편 15. 나사부
18. 플랜지 20. 너트
25. 캡 40. 마찰돌기
43. 경사부 45. 단턱
본 고안에 따르면, 일단부에 케이스(2)의 케이블 인출공(5)에 삽입되는 나사부(15)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15)의 내측단에는 케이스(2)의 벽면에 걸려지는 플랜지(18)가 구비된 바디(10)와, 상기 케이블 인출공(5)에 삽입된 바디(10)의 나사부(15)에 체결되어 이 바디(10)를 케이스(2)에 고정하는 너트(20)를 포함하는 케이블록커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8) 또는 너트(20)의 케이스(2)와 마주하는 면에는 다수개의 마찰돌기(40)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10)와 너트(20)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록커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마찰돌기(40)는 너트(20)의 잠금 방향으로는 경사면(43)이 구비되고, 너트(20)의 풀림 방향으로는 단턱(45)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록커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케이블록커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케이블록커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록커는 일단부 둘레에 분전반, 배전반, 발판스위치 등과 같은 전기 전자장치의 케이스(2)에 형성된 케이블 인출공(5)에 삽입되는 나사부(15)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15)의 내측단에는 케이블 인출공(5)의 둘레벽에 걸려지는 플랜지(18)가 구비된 바디(10)와, 상기 케이블 인출공(5)에 삽입된 바디(10)의 나사부(15)에 체결되는 너트(20)와, 상기 바디(10)의 타단부에 소정 간격으로 분할 형성된 조임편(13)과, 이 조임편(13)을 감싸도록 상기 바디(10)의 타단부에 나사결합되며 그 내부에는 선단부로 갈수록 축경되는 테이퍼부(27)가 마련된 캡(25)으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상기 너트(20)의 케이스(2)와 마주하는 면에는 다수개의 마찰돌기(40)가 형성된다.
상기 마찰돌기(40)는 바디(10)를 케이스(2)의 케이블 인출공(5)에 결합할 때, 상기 케이스(2)의 벽면과 마주하는 너트(20)나 플랜지(18)의 면에 소정 간격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디(10)의 나사부(15)를 케이스(2)의 케이블 인출공(5)에 삽입하여, 상기 바디(10) 둘레부의 플랜지(18)가 케이블 인출공(5)의 둘레벽에 걸려지도록 한 후, 상기 너트(20)를 나사부(15)에 체결하여 바디(10)를 케이블 인출공(5)에 고정하게 되면, 상기 너트(20)와 플랜지(18)가 케이스(2)의 벽면에 가압 밀착된다. 그리고, 이렇게 서로 가압 밀착된 너트(20) 및 플랜지(18)의 면과 케이스(2)의 벽면 사이에는 상기 마찰돌기(40)에 의해 마찰력이 작용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마찰력에 의해 장기간이 소요되더라도 상기 너트(20)와 바디(10)가 서로 헐거워지지 않으므로, 상기 케이블 인출공(5)과 케이블록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는다. 특히,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상기 너트(20)와 케이스(2)의 가압 밀착면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이면서, 상기 케이스(2)의 벽면에 너트(20)와 플랜지(18)가 더욱 고착되므로, 상기 너트(20)와 바디(10)가 서로 헐거워지면서 케이블 인출공(5)과 케이블록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 경우는 더더욱 없게 된다.
이때, 상기 마찰돌기(40)는 너트(20) 또는 플랜지(18) 중의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너트(20)와 플랜지(18)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찰돌기(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20)의 잠금 방향으로는 45°로 경사진 경사면(43)이 구비되고, 상기 너트(20)의 풀림 방향으로는 90°로 경사진 단턱(45)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경사면(43)을 따라 너트(20)가 용이하게 회전되므로, 상기 너트(20)를 용이하게 조일 수 있는 반면, 상기 너트(20)를 풀고자 할 때에는, 상기 단턱(45)에 의해 너트(20)가 걸져지면서 용이하게 풀어지지 않으므로, 상기 너트(20)의 풀림 방향으로 강제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이 너트(20)가 풀어지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상기 케이블록커는 바디(10)의 나사부(15)를 케이스(2)의 케이블 인출공(5)에 삽입하고, 이 나사부(15)에 너트(20)를 체결하여 바디(10)를 케이블 인출공(5)에 고정하게 되면, 서로 가압 밀착된 너트(20) 및 플랜지(18)의 면과 케이스(2)의 벽면 사이에 상기 마찰돌기(40)에 의해 상당한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사용중에 상기 너트(20)와 바디(10)가 서로 헐거워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처럼 상기 케이블록커가 헐거워지는 경우가 없어서, 상기 케이스(2)의 케이블 인출공(5)과의 케이블록커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물이나 기타 이물질이 전기전자장치의 내부로 침투하면서 유발되는 장치의 고장 등이 근절될 수 있다. 특히, 장기간 사용할수록 상기 너트(20)와 케이스(2)의 가압 밀착면 사이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이면서, 상기 케이스(2)의 벽면에 너트(20)와 플랜지(18)가 더욱 고착되므로, 상기 너트(20)와 바디(10)가 서로 헐거워지는 경우가 더더욱 방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처럼 상기 마찰돌기(40)에 의해 너트(20)가 바디(10)의 나사부(15)로부터 헐거워지는 경우가 없으므로, 공작기계와 같이 자체의 진동이 많이 발생되는 장치에 설치할 경우, 그 효과를 더욱 크게 발휘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종래와 같이, 상기 케이블록커를 다시 체결하기 위해, 전기전자장치의 케이스(2)를 뜯어내고, 상기 바디(10)의 나사부(15)에 너트(20)를 다시 조여주어야 하는 등의 유지관리상의 번거로움을 해소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케이블록커는 그 너트 또는 바디의 플랜지에 구비된 마찰돌기에 의해 전기전자장치의 케이스와 너트 및 플랜지의 가압 밀착면 사이에 상당한 마찰력이 작용하므로, 사용중에 상기 너트와 바디가 서로 헐거워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처럼 상기 케이블록커가 헐거워지지 않으므로, 상기 케이블록커를 다시 조여주기 위해 장치의 케이스를 뜯어내야 하는 등의 유지관리상의 번거로움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일단부에 케이스(2)의 케이블 인출공(5)에 삽입되는 나사부(15)가 형성되고 이 나사부(15)의 내측단에는 케이스(2)의 벽면에 걸려지는 플랜지(18)가 구비된 바디(10)와, 상기 케이블 인출공(5)에 삽입된 바디(10)의 나사부(15)에 체결되어 이 바디(10)를 케이스(2)에 고정하는 너트(20)를 포함하는 케이블록커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8) 또는 너트(20)의 케이스(2)와 마주하는 면에는 다수개의 마찰돌기(40)가 형성되어, 상기 바디(10)와 너트(20)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록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돌기(40)는 너트(20)의 잠금 방향으로는 경사면(43)이 구비되고, 너트(20)의 풀림 방향으로는 단턱(45)이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록커.
KR2020020008742U 2002-03-25 2002-03-25 케이블록커 KR2002797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742U KR200279720Y1 (ko) 2002-03-25 2002-03-25 케이블록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8742U KR200279720Y1 (ko) 2002-03-25 2002-03-25 케이블록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720Y1 true KR200279720Y1 (ko) 2002-06-24

Family

ID=73119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8742U KR200279720Y1 (ko) 2002-03-25 2002-03-25 케이블록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72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9720Y1 (ko) 케이블록커
EP2493040B1 (en) Cable gland
JPS6298015A (ja) ボルトの脱落又は紛失防止装置
KR100796728B1 (ko) 배선관 고정용 연결구
JPH11248731A (ja) 回転値発生器のための封印装置
JPH07311886A (ja) 火災感知器などの取付構造
JPH07310725A (ja) ねじの脱落防止構造
KR0124707Y1 (ko) 전기,통신용 노출박스
JP2003031969A (ja) ケーブル固定装置
JPH031862Y2 (ko)
JP3965004B2 (ja) 防水パッキン構造
JP7455395B2 (ja) 器具取付具および器具の取付方法
KR200202611Y1 (ko) 도어용 힌지장치의 힌지축 체결장치
JPH04341770A (ja) 回路遮断器の端子装置
KR19980054075U (ko) 풀림 방지 기능을 갖는 너트
CN111725770A (zh) 电缆压盖及具有其的电气设备
JPS6323896Y2 (ko)
JPH059551Y2 (ko)
JP3072663U (ja) 締結装置における締結ナットの取り外し防止装置
JPH0477071A (ja) Crtワッシャ固定装置
JPS5834528U (ja) ケ−ブル固定具
KR19980031495U (ko) 차량의 와이어 하니스용 채널 마운팅 구조
JPH09233759A (ja) 回転電機の端子箱
JP3088316B2 (ja) 電気部品
SU1752532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т жки резьбовых соединени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