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9151Y1 -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9151Y1
KR200279151Y1 KR2020020006448U KR20020006448U KR200279151Y1 KR 200279151 Y1 KR200279151 Y1 KR 200279151Y1 KR 2020020006448 U KR2020020006448 U KR 2020020006448U KR 20020006448 U KR20020006448 U KR 20020006448U KR 200279151 Y1 KR200279151 Y1 KR 2002791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fixed
operating shaft
locking portion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64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식
Original Assignee
유경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경식 filed Critical 유경식
Priority to KR20200200064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91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91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9151Y1/ko

Links

Landscapes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하단에 헤드부가(12)가 형성된 고정나사부(11)와, 상기 헤드부(12)의 하부에 작동축(13)으로 연장형성된 원판형의 걸림부(15)와, 상기 작동축(13)에 탄성부재(14)로 하향인장력을 부여하도록 관통설치된 가압링(16)으로 구성되어 벽체(W)에 고정된 레일(R)내부의 호차(S)에 연결되는 연결축(1)과; 상기 걸림부(15)를 삽입안내하는 안내구멍(21)과, 상기 안내구멍(21)의 일측으로 중앙과 하면이 절개되어 작동축(13)과 걸림부(15)의 미끄럼이동을 안내하는 제1, 2안내홈(22, 23)과, 상기 걸림부(15)와 가압링(16)이 이동완료후 삽입되는 제1, 2 안착홈(24, 25)으로 구성되어 도어(D)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판(2)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구성이 단순하여 고장발생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의 신속용이함에 의해 작업성향상과 공수절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장시간 경과후에도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작동소음이 방지되어 사용자들의 제품신뢰도와 선호도를 대폭향상시킬 수 있게된 유용한 고안이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Connecting part for slidding door}
본 고안은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이 용이하여 작업성 향상과 공수절감을 구현할 수 있고 조립상태가 견고하여 안전성 확보를 도모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근래에 각종 건물, 주택, 설비 또는 가구 등에는 작동이 원활하고 소음발생이 적으며 고장발생율이 낮은 슬라이딩 도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음은 주지와 같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종래 슬라이딩 도어에서는, 레일에 내장되는 호차에 고정너트를 구비한 고정볼트를 체결하고 상기 고정볼트의 헤드부를 도어에 고정되는 고정판의 연결구멍에 끼워고정한 후 고정너트로 조여 고정볼트와 고정판이 연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립작업시에 상기 고정너트의 체결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요구됨은 물론, 이에 따라 작업인원과 공수의 증가로 인해 작업성 저하, 원가상승 등의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종래 슬라이딩 도어에서의 또 다른 문제점은 고정볼트와 고정판의 고정상태가 견고하지 못하여 도어의 개폐작동시에 금속성 소음을 유발하게 되며, 심지어는 체결상태의 이완으로 인한 도어의 분리우려도 있으므로 안전사고 발생요인이 상존한다는 점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조립작업을 단시간내에 극히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고, 장시간 경과후에도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호차에 고정되는 연결축의 하단에 걸림부와 함께 가압링을 설치하여 탄성에 의해 고정판에 걸림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판에는 상기 고정부와 가압링이 삽입고정되는 안착홈을 형성시켜 줌으로써 작업성 향상과 안전성 확보를 실현하였다.
도 1은 본 고안 연결구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연결구의 조립설치상태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 연결구의 조립 설명도로서,
A는 조립대기상태의 정단면도.
B는 조립진행상태의 정단면도.
C는 조립완료상태의 정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결축 2 : 고정판
11 : 고정나사부 13 : 작동축
14 : 탄성부재 15 : 걸림부
16 : 가압링 21 : 안내구멍
22, 23 : 제 1,2 안내홈 24,25 : 제 1, 2 안착홈
D : 도어 R : 레일
S : 호차
이하에서 상기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예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2에서는 그 조립 설치상태를 측단면도로 나타내었다.
본 고안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는, 벽체(W)에 고정된 레일(R)내부의 호차(S)에 연결되는 연결축(1)과, 도어(D)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판(2)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축(1)은, 호차(S)의 나사구멍(S1)에 나사결합하며 하단에 헤드부가(12)가 형성된 고정나사부(11)와, 상기 헤드부(12)의 하부에 작동축(13)으로 연장형성된 원판형의 걸림부(15)와, 상기 작동축(13)에 탄성부재(14)로 하향인장력을 부여하도록 관통설치된 가압링(16)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판(2)은, 상기 걸림부(15)를 삽입안내하는 안내구멍(21)과, 상기 안내구멍(21)의 일측으로 중앙과 하면이 절개되어 작동축(13)과 걸림부(15)의 미끄럼이동을 안내하는 제1, 2안내홈(22, 23)과, 상기 걸림부(15)와 가압링(16)이 이동 완료후 삽입되는 제1, 2 안착홈(24, 25)으로 구성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26)은 고정판(2)을 도어(D)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구멍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3A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연결축(1)과 고정판(2)을 각각 조립대기상태로 위치시킨 것으로, 이를 위해 우선 연결축(1)의 고정나사부(11)를 호차(S)의 나사구멍(S1)에 최대한 체결시키고, 고정판(2)은 그 양측의 고정구멍(26)을 도어(D)의 상면에 도시되지 않은 체결부재로 고정시켜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연결축(1)의 걸림부(15)가 고정판(2)의 안내구멍(21)과 일치되도록 맞춘후 도어(D)를 약간 들어올리게 된다.
이 경우에 연결축(1)의 가압링(16)은 고정판(2)의 상면과 접촉된 상태로서 도어(D)의 상향이동에 의해 탄성부재(14)를 압축시키면서 상향이동하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은 가압링(16)의 외경이 안내구멍(21)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가능하게 된다.
도 3B는 상기 작동에 의해 가압링(16)이 탄성부재(14)를 압축시키며 상향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도어(D)를 도면상 좌측으로 밀어주게 된다.
이에 따라 작동축(13)과 걸림부(15)는 고정판(2)의 제 1,2 안내홈(22, 23)을 따라 이동(실제로는 고정판(2)이 이동)하게 되며, 이동완료후에는 도어(D)의 하중에 의해 걸림부(15)는 고정판(2)의 하면에 형성된 제 1안착홈(24)에 삽입고정되고, 가압링(16)역시 탄성부재(14)의 하향인장력에 의해 고정판(2) 상면에 형성된 제 2안착홈(25)에 안착되어 도 3C에서와 같이 조립완료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설치된 본 고안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는 장시간이 경과하거나 도어(D)에 무리한 충격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걸림부(15)와 가압링(16)이 제 1,2안착홈(24, 25)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작동소음 또는 도어(D)의 분리우려는 근본적으로 해소되며 연결축(1)과 고정판(2)을 고정시키기 위한 너트조임공정이 삭제되므로 작업을 신속히 완료할 수 있게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고안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는 그 구성이 단순하여 고장발생율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의 신속용이함에 의해 작업성향상과 공수절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장시간 경과후에도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함은 물론 작동소음이 방지되어 사용자들의 제품신뢰도와 선호도를 대폭향상시킬 수 있게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하단에 헤드부가(12)가 형성된 고정나사부(11)와, 상기 헤드부(12)의 하부에 작동축(13)으로 연장형성된 원판형의 걸림부(15)와, 상기 작동축(13)에 탄성부재(14)로 하향인장력을 부여하도록 관통설치된 가압링(16)으로 구성되어 벽체(W)에 고정된 레일(R)내부의 호차(S)에 연결되는 연결축(1)과;
    상기 걸림부(15)를 삽입안내하는 안내구멍(21)과, 상기 안내구멍(21)의 일측으로 중앙과 하면이 절개되어 작동축(13)과 걸림부(15)의 미끄럼이동을 안내하는 제1, 2안내홈(22, 23)과, 상기 걸림부(15)와 가압링(16)이 이동완료후 삽입되는 제1, 2 안착홈(24, 25)으로 구성되어 도어(D)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판(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도어용 연결구.
KR2020020006448U 2002-03-05 2002-03-05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 KR2002791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448U KR200279151Y1 (ko) 2002-03-05 2002-03-05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6448U KR200279151Y1 (ko) 2002-03-05 2002-03-05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9151Y1 true KR200279151Y1 (ko) 2002-06-21

Family

ID=73118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6448U KR200279151Y1 (ko) 2002-03-05 2002-03-05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915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267B1 (ko) * 2008-09-11 2011-01-26 유광식 레일용 슬라이더 장치
KR101132206B1 (ko) 2009-04-23 2012-04-19 유광식 레일용 슬라이드 장치
KR101239726B1 (ko) 2011-07-21 2013-03-06 이효정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267B1 (ko) * 2008-09-11 2011-01-26 유광식 레일용 슬라이더 장치
KR101132206B1 (ko) 2009-04-23 2012-04-19 유광식 레일용 슬라이드 장치
KR101239726B1 (ko) 2011-07-21 2013-03-06 이효정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06842B1 (fr) Dispositif d'assemblage sans vis apparente pour des lames de bois
CA2434979A1 (en) Quick connect blade iron system
US4671016A (en) Glass fasteners
EP1957742A1 (en) Closure frame corner joint
CA2411773A1 (en) Anchor attachment for a roof panel rib
MXPA06014439A (es) Sistema y metodo de acoplamiento de bisagra.
JPH1051155A (ja) 電気部品収納体
KR200279151Y1 (ko)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
CA23679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inforcing a door
KR100358949B1 (ko) 조립용 가구 연결구
CA2001290A1 (en) Adjustable fastener
EP0623705B1 (en) Fastener assemblies for railway rails
CN219578679U (zh) 一种连接件、安装结构件和窗帘
KR200167061Y1 (ko) 조립용가구연결구
EP0722033B1 (de) Eckpfosten für eine Wandverkleidung aus mit einem Kunststoffrahmen versehenen Verkleidungselementen
JP2532539Y2 (ja) 引戸用レール付き下枠と竪枠との連結部構造
JP3550387B2 (ja) 組立ハウス用サッシ枠
KR200341307Y1 (ko) 철재문틀 조립 장치
KR100376778B1 (ko) 격자식 이중 창호프레임의 체결구조
JP6876346B1 (ja) 遮音板の固定構造
JPS608062Y2 (ja) 改装サツシ窓枠の取付構造
KR200487371Y1 (ko) 현장 시공이 용이한 도어힌지 결합구조를 갖는 도어 프레임
JPS6040787Y2 (ja) 改装窓枠用の新旧窓枠取付け装置
JPH0246626Y2 (ko)
KR20010001788A (ko) 에스컬레이터의 내측 데크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