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9726B1 -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9726B1
KR101239726B1 KR1020110072621A KR20110072621A KR101239726B1 KR 101239726 B1 KR101239726 B1 KR 101239726B1 KR 1020110072621 A KR1020110072621 A KR 1020110072621A KR 20110072621 A KR20110072621 A KR 20110072621A KR 101239726 B1 KR101239726 B1 KR 101239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oor
roller
groove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458A (ko
Inventor
박상철
이효정
Original Assignee
이효정
박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효정, 박상철 filed Critical 이효정
Priority to KR1020110072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9726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9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9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0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horizont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0621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 E05D15/0626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 E05D15/063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 E05D15/0634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 E05D15/0639Details, e.g. suspension or supporting guides for wings suspended at the top on wheels with fixed axis with height adjustment by vertical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32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 E06B3/34Arrangements of wing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Arrangements of movable wings in openings; Features of wings or frames relating solely to the manner of movement of the wing with only one kind of movement
    • E06B3/42Sliding wings; Details of frames with respect to guiding
    • E06B3/46Horizontally-sliding wings
    • E06B3/4636Horizontally-sliding wings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upport Devices For Sliding Do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하여 개폐하는 도어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를 매우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는, 중간부분에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결속홈부(12)와 상기 결속홈부의 양측 내벽에 마주하게 돌출되는 걸이편(13)들과 상기 결속홈부의 후측의 상부에 원호형태로 수직형성되는 제1 관통구(14)와 상기 제1 관통구의 하면에 빙 둘러 형성되어 연결볼트의 머리를 걸어주는 제1 걸림턱(15)을 구비는 몸체부재(10)와, 상기 결속홈부의 개방된 전면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후면 상측부에 제1 관통구에 대응하게 수직으로 형성되어 서로 합쳐지면 연결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30)이 형성되게 하는 원호형태의 제2 관통구(21)와 상기 제2 관통구의 하부 양측면과 전면벽(22)의 상부 양측면 사이에 상기 걸이편들에 걸어지게 요입 형성되는 걸림홈(23)들과 상기 걸림홈에 의해 그 상부에 걸이편들의 각 상면에 받쳐지게 형성되는 받침턱(23')과 상기 제2 관통구의 하면에 연결볼트의 머리를 걸어주게 형성되는 제2 걸림턱(24)을 구비하는 봉합부재(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Combination structure for the door and rolleror}
본 발명은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하여 개폐하는 도어와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를 매우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하여 이동개폐하는 도어의 상면에는 천장에 부설하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롤러를 결합고정하여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도어와 롤러를 용이하게 결합고정할 수 있게 하는 별도의 결합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런데, 종래에는 도어와 롤러를 결합하기 위해 두께가 얇은 금속판재로 되며 중간에는 일측으로 개방되는 연결홈이 형성된 고정판을 도어의 상면에 부착하고 상기 연결홈에 머리가 하면에 걸어지게 관통결합하는 길이가 긴 연결볼트로 고정판을 롤러에 결합함으로써 도어가 천장에 매달리게 설치는 결합구조가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결합구조는, 고정판으로 도어와 롤러를 결합하였기 때문에 결합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음은 물론 고정판이 금속판재로 되어 있어도 도어의 하중이나 사용시 부주의 등으로 인해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연결볼트가 연결되는 연결홈이 쉽게 변형 또는 손상되어 그 수명이 단축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연결홈의 변형이나 손상으로 인해 연결볼트의 연결상태가 헐거워지게 되면 도어가 흔들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였음은 물론 심한 경우에 연결홈의 개방된 일측으로 연결볼트가 빠져나오게 되어 도어가 떨어지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도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도어와 롤러를 매우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기간 사용하여도 도어와 롤러의 결합상태가 헐거워지거나 도어가 떨어지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도어와 롤러의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두께가 두꺼운 중간부분과 상기 중간부분에 전면이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결속홈부와 상기 결속홈부의 개방된 전면의 양측 내벽 중간부분에 서로 마주하게 돌출되는 걸이편들과 상기 결속홈부의 개방되지 않은 후면의 상측부에 지름이 결속홈부의 양측 내벽의 간격보다 작은 원호형태로 수직형성되는 연결볼트의 제1 관통구와 상기 제1 관통구의 지름과 양측 내벽의 간격과의 차이에 비례하며 하면이 걸이편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제1 관통구의 하면에 빙 둘러 형성되어 연결볼트의 머리를 걸어주는 제1 걸림턱과 상기 중간부분의 양측에 상면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며 복수의 고정공이 형성된 양측부분을 구비하는 몸체부재와, 상기 결속홈부의 개방된 전면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전면을 막아주게 결합하며 후면 상측부에 상기 제1 관통구의 개방된 전면을 막아주게 수직으로 형성되어 서로 결합하면 롤러에 체결하는 연결볼트가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게 하는 원호형태의 제2 관통구와 상기 제2 관통구의 하부 양측면과 전면벽의 상부 양측면 사이에 각각 요입 형성되는 걸림홈들과 상기 걸림홈에 의해 그 상부에 각각 걸이편의 상면에 받쳐지게 형성되는 받침턱과 상기 제2 관통구의 하면과 전면벽의 후면 사이에 제1 결속턱과 동일한 높이로 빙 둘러 형성되어 연결볼트의 머리를 걸어주는 제2 걸림턱을 구비하는 봉합부재로 구성되는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에에 따른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는, 몸체부재의 개방된 결속홈부에 상방에서 봉합부재를 결합하고 하방에서 머리가 관통공의 하주면에 걸어지게 연결볼트를 관통시킨 상태에서 너트를 체결하면 너트와 연결볼트의 머리에 의해 간단히 개방된 결속홈부가 막히게 몸체부재와 봉합부재가 한 몸체와 같은 상태로 견고하게 결속되어 도어의 하중이나 강한 충격이 가해져도 결합상태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도어와 롤러를 매우 신속하고도 용이하게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게 되는 장점은 물론 장기간 사용하여도 이들의 결합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도어와 롤러의 결합상태가 헐거워지거나 도어가 떨어지게 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됨과 동시에 그 수명단축이 방지되는 등의 효과도 얻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의 일 사용 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에서 결합구조와 롤러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서 결합구조를 발췌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2에서 일부분을 발췌하여 일부 절취확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2에서 결합구조와 롤러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 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결합구조의 결합상태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측 단면도
도 7a는 도 5에서 결합구조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평 단면도
도 7b는 도 3에서 결합구조의 결합상태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저면도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의 일 사용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는, 연결볼트(1)와 너트(1')로 도어(3)와 롤러(2)를 연결하여 레일(4)을 따라 이동개폐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데 사용하는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 결합구조와 롤러를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서 결합구조를 발췌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일부분을 발췌하여 일부 절취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서 결합구조와 롤러의 결합상태를 보인 정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서 결합구조의 결합상태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측 단면도이고, 도 7a는 도 5에서 결합구조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확대 평 단면도이며, 도 7b는 도 3에서 결합구조의 결합상태 일부를 발췌하여 보인 저면도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는, 중간부분(11)에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결속홈부(12)와 상기 결속홈부의 개방된 전면의 양측 내벽 중간부분에 서로 마주하게 돌출되는 걸이편(13)들과 상기 결속홈부의 후측 상부에 지름이 결속홈부의 양측 내벽의 간격보다 작은 원호형태로 수직형성되는 연결볼트(1)의 제1 관통구(14)와 상기 제1 관통구의 지름과 양측 내벽의 간격과의 차이에 비례하며 걸이편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제1 관통구의 하면에 빙 둘러 형성되어 연결볼트의 머리(1a)를 걸어주는 제1 걸림턱(15)을 구비하는 몸체부재(10)와, 상기 개방된 결속홈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막아주게 결합하며 후면 상측부에 제1 관통구의 개방된 전면을 막아주게 대응하는 형태로 수직으로 형성되어 서로 합쳐지면 연결볼트가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공(30)이 형성되게 하는 원호형태의 제2 관통구(21)와 상기 제2 관통구의 하부 양측면과 전면벽(22)의 상부 양측면 사이에 각각 요입 형성되어 상기 걸이편들에 걸어지는 걸림홈(23)들과, 상기 제2 관통구의 하면과 전면벽의 후면 사이에 제1 결속턱과 동일한 높이로 빙 둘러 형성되어 연결볼트의 머리를 걸어주는 제2 걸림턱(24)을 구비하는 봉합부재(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몸체부재(10)는 두께가 두꺼운 중간부분(11)과 상기 중간부분의 양측에 상면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양측부분(11')으로 형성되게 주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양측부분에는 몸체부재를 도어(3)의 상면에 볼트로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공(16)이 형성된다.
걸이편(13)은 평면에서 보면 대략 삼각형상으로 되게 수평으로 돌출형성하고, 이에 대응하여 걸림홈(23)은 역 삼각형태로 요입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는 것은, 봉합부재(20)를 결속홈부(12)에 상부에서 결합하여 걸이편(13)과 걸림홈(23)이 서로 맞물리게 결합되어 상기 봉합부재가 전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걸림홈(23)의 상부에는 받침턱(23')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봉합부재(20)를 결속홈부(12)에 상부에서 결합하여 걸이편(13)과 걸림홈(23)이 서로 맞물리게 하면, 상기 받침턱이 걸이편의 상면에 받쳐지게 되어 봉합부재는 전방으로는 물론 하방으로도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볼트(1)의 머리(10)가 제1,2 관통구(14)(21)의 하주면 제1,2 걸림턱(15)(24)을 걸어주게 상기 연결볼트에 너트(1')를 체결하여 상기 제1,2 관통구의 상주면을 가압하게 결속시켜 주면 봉합부재(20)는 몸체부재(10)와 한 몸체로 되게 견고하게 결합고정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너트(1')를 풀어서 봉합부재(20)는 몸체부재(10)의 고정상태를 해제시켜 주지 않는 한 도어(3)의 하중이나 강한 외부충격이 가해져도 이들의 결합상태는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된다.
봉합부재(20)도 주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속홈부(12)에 상부에서 결합하면 걸이편(13)과 걸림홈(23)이 서로 맞물리게 되면서 받침턱(23')이 상기 걸이편의 상면에 받쳐지게 되므로 전방과 하방으로는 분리되지 않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는, 몸체부재(10)의 개방된 결속홈부(12)에 봉합부재(20)를 결합할 때에는 먼저 제1 관통구(14)의 하면의 제1 걸림턱(15)에 머리(1a)가 걸어지게 연결볼트(1)를 상기 제1 관통구에 관통하게 결합한 상태에서 봉합부재(20)를 상기 결속홈부에 상방에서 수직으로 결합한다.
이렇게 하면, 결속홈부(12)의 개방된 전면의 양측 내벽 중간부분에 서로 마주하게 돌출된 걸이편(13)들에 제2 관통구(21)의 하부 양측과 전면벽(22)의 상부 양측 사이에 각각 요입 형성된 걸림홈(23)들이 서로 맞물리게 걸어져 봉합부재(20)는 전방과 하방으로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결합홈부에 결속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1,2 관통구(14)(21)가 합쳐져서 형성되는 관통공(30)을 관통하여 상부로 노출된 연결볼트(1)에 너트(1')를 체결하여 상기 관통공의 상주면에 밀착되게 조여주면 상기 관통공 상주면은 너트에 의해 하주면은 연결볼트의 머리(1a)에 의해 밀착고정되므로 봉합부재(20)와 몸체부재(10) 및 상기 연결볼트는 서로 한 몸체와 같이 견고하게 결속고정된다.
그리고, 몸체부재(10)는 양측부(11')에 형성된 고정공(16)을 통해 볼트로 도어(3)의 상면 양쪽에 각각 고정하고, 연결볼트(1)의 상단부는 롤러(2)에 내장된 너트에 체결하면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걸이편(13)과 걸림홈(23)을 대략 삼각형상과 역 삼각형상으로 되게 형성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걸이편과 걸림홈을 서로 맞물리게 결합하였을 때 봉합부재(20)가 전방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형상이면 사각형이나 반구형 또는 톱니형상 등 어떠한 형상으로 되게 형성하여도 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10 : 몸체부재 12 : 결속홈부
13 : 걸이편 14 : 제1 관통구
15 : 제1 걸림턱 20 : 봉합부재
21 : 제2 관통구 22 : 전면벽
23 : 걸림홈 23' : 받침턱
24 : 제2 걸림턱 30 : 관통공

Claims (3)

  1. 중간부분(11)에 전방으로 개방되게 형성되는 결속홈부(12)와, 상기 결속홈부(12)의 개방된 전면의 양측 내벽 중간부분에 서로 마주하게 돌출되는 걸이편(13)들과, 상기 결속홈부(12)의 개방되지 않은 후측 상부에 지름이 결속홈부(12)의 양측 내벽의 간격보다 작은 원호형태로 수직형성되는 제1 관통구(14)와, 상기 제1 관통구(14)의 지름과 양측 내벽의 간격과의 차이에 비례하며 하면이 걸이편(13)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게 제1 관통구(14)의 하면에 빙 둘러 형성되어 연결볼트의 머리를 걸어주는 제1 걸림턱(15)을 구비하는 몸체부재(10)와;
    상기 결속홈부(12)의 개방된 전면부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후면 상측부에 상기 제1 관통구(14)에 대응하게 수직으로 형성되어 서로 합쳐지면 연결볼트가 관통하는 관통공(30)이 형성되게 하는 원호형태의 제2 관통구(21)와, 상기 제2 관통구(21)의 하부 양측면과 전면벽(22)의 상부 양측면 사이에 각각 걸이편(13)들에 걸어지게 요입 형성되는 걸림홈(23)들과, 상기 걸림홈(23)에 의해 그 상부에 걸이편(13)들의 각 상면에 받쳐지게 각각 형성되는 받침턱(23')과, 상기 제2 관통구(21)의 하면과 전면벽(22)의 후면 사이에 제1 결속턱(15)과 동일한 높이로 빙 둘러 형성되어 연결볼트의 머리를 걸어주는 제2 걸림턱(24)을 구비하는 봉합부재(2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재(10)는, 두께가 두꺼운 중간부분(11)은 두께가 두껍고, 상기 중간부분(11)의 양쪽에 상면이 하향경사지게 연장되는 양측부분(11)에는 복수의 고정공(16)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편(13)과 걸림홈(23)은, 삼각형이나 사각형상 또는 반구형이나 톱니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
KR1020110072621A 2011-07-21 2011-07-21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 KR1012397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21A KR101239726B1 (ko) 2011-07-21 2011-07-21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621A KR101239726B1 (ko) 2011-07-21 2011-07-21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458A KR20130011458A (ko) 2013-01-30
KR101239726B1 true KR101239726B1 (ko) 2013-03-06

Family

ID=47840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621A KR101239726B1 (ko) 2011-07-21 2011-07-21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972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151Y1 (ko) 2002-03-05 2002-06-21 유경식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
KR20100030854A (ko) * 2008-09-11 2010-03-19 유광식 레일용 슬라이더 장치
KR20100064188A (ko) * 2008-12-04 2010-06-14 이은하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9151Y1 (ko) 2002-03-05 2002-06-21 유경식 슬라이딩 도어용 연결구
KR20100030854A (ko) * 2008-09-11 2010-03-19 유광식 레일용 슬라이더 장치
KR20100064188A (ko) * 2008-12-04 2010-06-14 이은하 도어용 슬라이더 장착 브래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458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83770B2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building members
JP6366163B2 (ja) 2つのプロファイル部分を取り外し可能に接続するためのクランプ装置
KR200476580Y1 (ko) 비계발판
EP3865634B1 (en) Insertion device
US20100192484A1 (en) Joining system for two building elements
USRE46844E1 (en) Connector assembly for connecting building members
JP6454724B2 (ja) 組立式柵
KR101239726B1 (ko) 도어와 롤러의 결합구조
JP2004270438A (ja) 吊り金具、これを用いた吊り上げ方法
KR101853619B1 (ko) 탈착형 걸림부를 가지는 교량용 스페리컬 베어링
JP2008101688A (ja) 形鋼用吊ボルト支持金具
KR101823574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JP5181270B2 (ja) 振れ止め用下地材の固定金具
KR101097180B1 (ko) 볼트 체결용 인서트
JP5319426B2 (ja) 天井裏足場支持用金具およびこれを用いた天井裏足場支持構造
TWI714970B (zh) 樓承板懸掛座
JP728690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吊下げ用ファスナ
KR20100074794A (ko) 행어케이블 연결구조
KR102579516B1 (ko) 건축용 석재판 고정장치
KR101170542B1 (ko) 수직재와 횡재의 체결구
JP2014070471A (ja) 壁面に対するベース材の固定方法および長押レール
KR200490757Y1 (ko) 덮개가 구비된 커튼레일 조립체
JP4671708B2 (ja) 天井点検口の外枠吊り下げ用ハンガー金具
KR100604371B1 (ko) 파티션
JP5848632B2 (ja) 吊りボルト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