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383Y1 -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 - Google Patents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383Y1
KR200277383Y1 KR2020020007692U KR20020007692U KR200277383Y1 KR 200277383 Y1 KR200277383 Y1 KR 200277383Y1 KR 2020020007692 U KR2020020007692 U KR 2020020007692U KR 20020007692 U KR20020007692 U KR 20020007692U KR 200277383 Y1 KR200277383 Y1 KR 2002773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tube
driver
a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6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청규
Original Assignee
백청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청규 filed Critical 백청규
Priority to KR2020020007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38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3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383Y1/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운전자가 운전을 할 때 착용하는 목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자가 운전을 할 때 운전집중을 위해 목부분을 수직으로 세워 운전하는 경향이 있고 목부분은 시트 백(seat back)의 상단부 및 헤드 레스트(head rest)에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자동차 탑승자가 피로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교통사고 발생시 목의 충격을 보다 완화시켜 주는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는 공기의 주입에 의해 인체의 목부분의 굴곡에 맞는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U자 형상의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구(20)와, 상기 튜브(10)의 외부를 덮는 외피(30)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The neck air cushion for car rider}
본 고안은 자동차 운전자가 운전을 할 때 착용하는 목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전자가 운전을 할 때 운전집중을 위해 목부분을 수직으로 세워 운전하는 경향이 있고 목부분은 시트 백(seat back)의 상단부 및 헤드 레스트(head rest)에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자동차 탑승자가 피로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고 교통사고 발생시 목의 충격을 보다 완화시켜 주는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 제조업체에서는 향상되는 소비자의 취향 및 기호를 고려하여 인체 공학적이며 감성공학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자동차를 제조하고 있는 추세이다.
일례로, 차량 내부의 구조 중, 운전자가 착석하는 시트의 구조는 종래 전후로만 이동이 가능하였던 것을 전후좌우 사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운전자가 편안하고 안락하게 운전할 수 있도록 편리성을 더욱 더 증대시키고 있다.
또한, 운전자가 앉는 시트 백 상단에는 헤드 레스트(Head Rest)를 구비하여 운전 중, 운전자의 머리부분을 지지해줌으로써, 목부분의 근육경직을 방지하여 운전자의 피로를 최소화하여 주며 후방에서 추돌사고가 발생하는 경우에 목을 보호하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자동차 실내의 운전자의 일반적인 운전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운전 중에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자동차 시트백(1) 상단에 헤드 레스트(2)가 설치되고, 설치된 헤드 레스트(2)는 운전자의 신체조건을 고려하여 다단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기능이외에도 시트백(1) 상단에 설치된 헤드 레스트(2)는상술한 기능 이외에도 교통사고 시, 추돌에 의해 발생하는 충격으로 목관절 부분이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여 피해를 최소화 시켜주는 기능도 제공한다.
그러나, 운전자는 신호등 판별, 차선변경, 전방향(前方向)의 시야 확보, 앞차간 일정간격 유지에 의한 안전운행 등등으로 인하여 운전 시에 정신을 집중해야 하므로 대부분의 운전자는 통상적으로 머리를 헤드 레스트(2)에 기대지 않고 목부분에 힘을 주어 수직으로 세우고 운전을 한다.
따라서 운전중에는 운전자의 머리부분 및 목부분을 지지하지 않으므로 운전자의 목부분의 근육경직으로 인하여 피로가 누적되고, 더욱이 교통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도 운전자의 머리부분 및 목부분은 헤드 레스트(2)와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받은 충격을 최소화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 운전자 및 동행자 등 탑승자가 목부분을 기댈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가 편안하게 자동차를 이용할 수 있게 하고, 자동차 후방에서 추돌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탐승자의 목부분을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줌으로써 교통사고의 피해를 최소화시키는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는 공기의 주입에 의해 인체의 목부분의 굴곡에 맞는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U자 형상의 튜브와, 상기 튜브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구와, 상기 튜브의 외부를 덮는 외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외피에는 상기 튜브를 내입가능하게 하고, 상기 공기주입구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있다.
도 1은 자동차 실내의 운전중인 운전자의 일반적인 운전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a는 본 고안의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의 튜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b는 본 고안인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 튜브에 외피를 입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b에서 A-A선으로 절단한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를 운전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시트백 2: 헤드 레스트
10 : 튜브 20 : 공기주입구
30 : 외피 40 : 절개부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는 본 고안의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의 튜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고안인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 튜브에 외피를 입힌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b에서 A-A선으로 절단한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를 운전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 탑승자용 목베개는 공기의 주입에 의해 인체의 목부분의 굴곡에 맞는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U자 형상의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구(20)와, 상기 튜브(10)의 외부를 덮는 외피(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외피(30)는 상기 튜브(10)를 내입가능하게 하고, 튜브(10)의 공기주입구(20)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개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튜브(10)는 신체의 목둘레 부분의 굴곡에 맞게 라운드형상으로 제작되어지고, 재질은 합성수지 계통의 우레탄 수지(PU), PVC 필름,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 비닐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튜브(10)의 외관을 투명 또는 불투명으로 처리할 수 도 있다.
공기주입구(20)는 공기를 주입할 때에는 외부로 돌출시켜 마개를 개방한 후 공기를 불어넣고 다시 덮개를 막고 튜브(10)내부로 집어넣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공기주입구(20)는 외피(30)의 절개부(40) 부분에 형성되어 공기주입시 접근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튜브(10)에 공기를 불어넣으면 쿠션이 있는 탄성체가 된다.
외피(30)의 재질은 사용자가 착용 시, 안락한 접촉감을 주기 위해 부드러운 천인 면이 사용될 수 있으며, 절개부(40)는 그 양측부를 서로 겹치게 하여 미관상 보기 좋게 하면서도 내부에 튜브(10)를 용이하게 집어넣고 빼낼 수 있으며, 또한 튜브(10)에 공기를 불어넣을 때 절개부(40)를 벌려 공기구입구(20)에 접근이 용이하도록 되어 있다.
튜브(10)를 외피(30)에 내입하는 과정은 튜브(10)에 공기를 제거한 상태에서 외피(30)의 절개부(40)를 통하여 내입한 후, 튜브(10)에 부착된 공기주입구(20)를 통하여 공기를 주입하면, 내입된 튜브(10)에 공기가 주입되어 외피(30)의 내면과 밀착된다.
외피(30)가 더러워져 세탁을 하기 위하여 튜브(10)를 뺄 때에는 공기주입구(20)의 덮개를 개방하여 공기를 배출시킨 후 절개부(40)를 통하여 튜브(10)를 빼낸다.
도 4는 운전자가 본 고안인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를 착용하여 운전하는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이다.
운전자가 운전 시, 운전집중을 위해 목부분을 수직으로 세워도 목부분과 시트백(1)상단 및 헤드 레스트(2) 사이에 이격된 부분을 탑승자용 목 베개가 끼워져 밀착되어지므로 운전중에 목부분을 자연스럽게 기댈 수 있으며 또한 목베개는 공기에 의한 탄성을 갖고 있으므로 착용자에게 안락감을 줄 수 있으며, 목부분에 힘이 들어가지 않아 근육의 피로를 최소화 시켜줄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목베개를 탐승자가 착용을 하고 시트백(1) 상단 및 헤드 레스트(2)에 기대지 않더라도 목베게 자체에 의하여 목부분을 지지하므로 피로를 느끼지 않게 된다.
그리고 후방추돌사고가 발생할 경우에도 탑승자용 목 베개에 의해 운전자의 목부분를 1차적으로 완충하여 주므로 충격을 최소화함으로써 교통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의 목베게는 운전자뿐 아니라 조수석 및 뒷좌석에 탑승한 동행자들도 착용하면 편안하고 안전하게 자동차를 타고 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 탑승자에게 편안하고 안락감을 주고 피로를 최소화시키며, 또한 교통사고 발생시 목부분의 충격을 완화시켜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할 것이다.

Claims (2)

  1. 공기의 주입에 의해 인체의 목부분의 굴곡에 맞는 일정한 형상을 가지는 U자 형상의 튜브(10)와,
    상기 튜브(10)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공기를 주입시키는 공기주입구(20)와,
    상기 튜브(10)의 외부를 덮는 외피(3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피(30)는 상기 튜브(10)를 내입가능하게 하고, 튜브(10)의 공기주입구(20)에 접근이 가능하도록 하는 절개부(4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
KR2020020007692U 2002-03-15 2002-03-15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 KR2002773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692U KR200277383Y1 (ko) 2002-03-15 2002-03-15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692U KR200277383Y1 (ko) 2002-03-15 2002-03-15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383Y1 true KR200277383Y1 (ko) 2002-06-03

Family

ID=73074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692U KR200277383Y1 (ko) 2002-03-15 2002-03-15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383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979A (ko) 2015-04-09 2016-10-19 윤다진 창가 좌석용 베개
KR101672365B1 (ko) 2015-07-17 2016-11-04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목 베개
KR101890991B1 (ko) * 2016-09-12 2018-08-22 정혜선 목베개
KR102606372B1 (ko) 2023-02-20 2023-11-23 노광수 목쿠션 겸용 베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0979A (ko) 2015-04-09 2016-10-19 윤다진 창가 좌석용 베개
KR101672365B1 (ko) 2015-07-17 2016-11-04 전남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목 베개
KR101890991B1 (ko) * 2016-09-12 2018-08-22 정혜선 목베개
KR102606372B1 (ko) 2023-02-20 2023-11-23 노광수 목쿠션 겸용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77383Y1 (ko) 자동차 탑승자용 목 베개
KR101096739B1 (ko) 자동차용 테이블
KR0128700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높낮이 조절구조
KR200147093Y1 (ko) 헤드레스트를 이용한 후방충돌 완충장치
KR19990035662A (ko) 내장형 리어 센터 헤드레스트
KR100499779B1 (ko) 자동차의 안전 시트
KR200346887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US20010042272A1 (en) Travel pillow
KR0134235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KR200330595Y1 (ko) 보조 헤드레스트
KR20000020282U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950001759Y1 (ko) 차량의 승객용 머리받침대
KR0130761Y1 (ko) 안정장치가 구비된 자동차 시트
KR19980031625U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CN116061787A (zh) 用于靠背的头枕和靠背
KR19980045633U (ko) 자동차의 리어시트에 구비된 보조헤드레스트
KR19980045236U (ko) 버스의 암레스트
KR200179857Y1 (ko) 쿠션을 탈부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시트카바.
CN114604153A (zh) 头枕、座椅及车辆
KR200149569Y1 (ko) 자동차의 시트백에 내장되는 헤드레스트
KR100570068B1 (ko) 자동차 리어 시트용 사이드 헤드레스트
KR0125231Y1 (ko) 자동차용 드라이버 시트
KR19980042623U (ko) 자동차용 프론트시트의 헤드레스트
KR19990035691A (ko) 가요성 고정식 헤드레스트
KR19980046634U (ko) 자동차 시트백의 요추받침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26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