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333Y1 - 초고압용 절연통 일체형 에폭시유니트 - Google Patents

초고압용 절연통 일체형 에폭시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333Y1
KR200277333Y1 KR2019990004152U KR19990004152U KR200277333Y1 KR 200277333 Y1 KR200277333 Y1 KR 200277333Y1 KR 2019990004152 U KR2019990004152 U KR 2019990004152U KR 19990004152 U KR19990004152 U KR 19990004152U KR 200277333 Y1 KR200277333 Y1 KR 2002773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unit
epoxy
epoxy unit
stress c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1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251U (ko
Inventor
백주흠
김석구
최수걸
Original Assignee
권문구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문구,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문구
Priority to KR20199900041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333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25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25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3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333Y1/ko

Links

Landscapes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초고압 씨브이(CV)케이블 조립형(Prefabricated Type)중간 접속함으로 사용되며 종래의 구조에서 절연통, 에폭시밀대가 없는 절연통 일체형인 에폭시유니트에 스프링력에 의해 압축금구로 스트레스콘에 압력을 가하는 절연 방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초고압용 절연통 일체형 에폭시유니트{An integrated Epoxy unit with insulator for EHV system}
본 고안은 초고압용 조립형 절연접속함 절연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절연통, 에폭시밀대가 없는 절연통 일체형인 에폭시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초고압용 조립형 절연접속함은 주 절연부품인 에폭시 유니트, 절연통, 및 밀대를 제조하기 위하여 각각의 금형이 필요하며 절연통 내부에 사용되어지는 밀대의 경우, 내부 차폐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내 표면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는 공정이 필요하여 이와 같은 조립 과정은 조립 공정이 복잡한 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이 절연 제품인 에폭시유니트, 절연통, 밀대등으로 구성되는 조립형 절연접속함을 에폭시유니트와 절연통을 일체로 형성하고 에폭시밀대를 스프링유니트의 압축금구로 대체하여 조립형 절연접속함의 간단한 조립으로 생산 경비를 절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초고압 절연접속함조립도
도 2는 본 고안의 초고압절연접속함조립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1 : 매입금구 12 : 스프링유니트
13 : 압축금구 16 : 스트레스콘
17 : 에폭시유니트 18 : 스토파
19 : 케이블 20 : 도체
21 : 절연통 22 : 밀대(a,b)23 : 플랜지 24 : 중간플랜지
이하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고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고안은 케이블(19)의 접속 부분인 도체(20)의 외부를 보호하는 에폭시유니트(17)와 상기 도체(20)를 절연시키는 스트레스콘(16)과 상기 스트레스콘(16)을 압착하는 스프링유니트(12)와 에폭시유니트(17)를 압착하는 압축금구(1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한다.도 1은 종래의 초고압 절연접속함 조립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조립도로서 도 1과 차이점을 도시하고자 한 것이다.
케이블(19) 양단의 도체(20)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된 부분을 절연시키기 위하여 스트레스콘(16)과 매입금구(11)와 에폭시유니트(17)의 순으로 조립되며, 상기 에폭시유니트(17)와 케이블(19)사이에 스트레스콘(16)을 삽입 유지하기 위해 스프링유니트(12)의 압력으로 압출금구(13)를 압박하고 압출금구(13)는 스트레스콘(16)을 압박하는 구조로 구성된다.실시예로,초고압 케이블(19)을 접속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케이블(19) 양단의 피복을 제거한 도체(20)를 접속하면 접속 부분은 큰 스트레스가 발생하므로 이 스트레스를 분산 시킬 필요가 있고, 스트레스를 분산시키기 위해 도체(20)를 접속한 부위에 매입금구(11)가 압착되고 상기 매입금구(11)의 외부에는 케이블(19)과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에폭시유니트(17)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19)과 에폭시유니트(17) 사이에 그 양측으로 스트레스콘(16)이 압입되고 스트레스콘(16) 사이에는 양 스트레스콘(16)을 견제하는 스토퍼(18)가 형성되며 상기 스트레스콘(16)의 외측에는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트레스콘(16)을 압착하는 압착금구(13)가 형성되고 압착금구(13)의 다른 일측에는 밀대(22)가 형성되며 상기 밀대는 스프링유니트(12)와 결합된다.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폭시유니트(17)의 일측은 절연통(21)과 결합되고 상기 절연통(21) 내부에는 밀대(22a)가 형성되어 중간플렌지(24)와 에폭시유니트(17) 사이에 형성된다.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스프링유니트(12)와 연계된 밀대(22b)는 압착금구(13)와 연계되고 상기 압착금구(13)는 스트레스콘(16)과 연계되어 스프링유니트(12)의 탄성으로 스트레스콘(16)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거나, 통전시 케이블(19)의 변형에 의해 스트레스콘(16)의 변형을 상기 스프링유니트(12)의 탄성의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며, 상기 에폭시유니트(17) 일측에 형성된 절연통(21)의 밀대(22a)는 상기 에폭시유니트(17)를 지지하고 전기적 연결을 목적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절연부품인 에폭시 유니트, 절연통, 및 밀대를 제조해야 하며 절연통 내부에 사용되어지는 밀대의 경우, 내부 차폐층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내 표면에 도전성 물질을 도포하는 별도의 공정이 필요하는 문제점이 있다.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부품중에서 일부를 생략하고 잔여 부품의 일부를 변형하므로서 종래의 접속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도 1에 도시된 도시된 스트레스콘(16)과 압착금구(13)와 밀대(22b)와 스프링유니트(12)로 구성되는 부분에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밀대(22b)를 생략하고 밀대(22b)의 길이 만큼 스트레스콘(16)을 신장시키고 압착금구(13)을 스프링유니트(12)에 연결시키므로서 절약되는 밀대(22b)에 의해 조립공정이 감소되고 경비가 절감되며, 도 1 과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에폭시유니트(17) 일측에 형성된 절연통(21)과 절연통(21) 내부에 형성된 밀대(22a)와 중간 플랜지(24)를 생략하고 생략한 부분 만큼 에폭시유니트(12)를 신장시켜 에폭시유니트(17)와 플랜지(23)와 스프링유니트(12)가 직접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가능하므로 절연통(21)과 밀대(22a)와 중간플랜지(24)가 생략되므로서 조립공정이 감소되고 경비가 절감된다.
본 고안에 의한 접속함은 절연통과 그 내부의 밀대와 중간플랜지, 압착금구(13)와 스프링유니트(12)와 연계되는 밀대(22b)가 생략되어 부품이 절감되고 경비가 절약될 뿐 아니라 부품의 수가 감소되어 조립과정이 간편하여 현장에서 신속한 작업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체의 외부에 밀착하여 형성되는 스트레스콘(16)과 양 스트레스콘(16)의 견제하기 위한 스토퍼(18)와 상기 스토퍼(18)의 외부에 도체를 지지하기 위한 매입금구(11)와 상기 매입금구(11) 외부에 케이블(19)과 간격을 유지하고 형성되는 에폭시유니트(17)와 상기 케이블(19)과 에폭시유니트(17) 사이에 압입되는 스트레스콘(16)과 상기 스트레스콘(16)과 연계되는 압착금구(13)와 상기 압착금구(13)와 연계되는 밀대(22b)와 상기 밀대(22b)와 연계되는 스프링유니트(12)와 상기 에폭시유니트(17) 일측에 형성된 절연통(21)과 상기 절연통(21) 내부에 형성된 밀대(22a)와 상기 밀대(22a)와 연계되는 중간플랜지(24)로 구성되는 초고압 케이블 조립형 중간직선 접속함의 절연접속함에 있어서,
    절연통(21)과 그 내부의 밀대(22a)와 상기 밀대(22a)와 연계되어 전기적 연결을 하기 위한 중간플랜지(24)와 압축금구(13)와 연계되고 스프링유니트(12)와 연계된 밀대(22b)가 생략되고 상기 밀대(22b)의 길이 만큼 스트레스콘(16)이 신장되고 압착금구와 스프링유니트(12)가 직접연결되는 구성과, 절연통(21) 부분 만큼 에폭시유니트(17)가 신장되고 에폭시유니트(17) 일부가 직접 플랜지(23)에 결합되는 구성을 특징으로하는 초고압용 절연통 일체형 에폭시유니트.
KR2019990004152U 1999-03-16 1999-03-16 초고압용 절연통 일체형 에폭시유니트 KR2002773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152U KR200277333Y1 (ko) 1999-03-16 1999-03-16 초고압용 절연통 일체형 에폭시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152U KR200277333Y1 (ko) 1999-03-16 1999-03-16 초고압용 절연통 일체형 에폭시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251U KR20000018251U (ko) 2000-10-16
KR200277333Y1 true KR200277333Y1 (ko) 2002-06-03

Family

ID=54760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152U KR200277333Y1 (ko) 1999-03-16 1999-03-16 초고압용 절연통 일체형 에폭시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3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109B1 (ko) * 2010-08-31 2011-11-25 대한전선 주식회사 광복합 전력케이블용 접속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6109B1 (ko) * 2010-08-31 2011-11-25 대한전선 주식회사 광복합 전력케이블용 접속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251U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3102685A (ja) 一体式結合取付部材
US3165575A (en) Insulated splicer with end seals
US20070149065A1 (en) Integral bonding attachment
JP2008517577A (ja) 幾何学的な応力緩和要素を高電圧ケーブル終端部に付与する方法
JP2008021646A6 (ja) ケーブルコネクタ
KR200277333Y1 (ko) 초고압용 절연통 일체형 에폭시유니트
US6997758B2 (en) Connector for connecting two electrical power cables and a connection including the connector
KR101580792B1 (ko) 절연관통형 리드선 접속 전력용 피뢰기
US6149461A (en) Solderless coaxial cable termination mounting device
CN110890176A (zh) 同轴电缆及其端部连接方法
KR100291666B1 (ko) 초고압 케이블 접속장치
CN210778017U (zh) 同轴电缆
JP3224109B2 (ja) ケーブル接続部
JPH0548380Y2 (ko)
JPH0326765Y2 (ko)
KR100214094B1 (ko) 고분자 애자 금구 접속 방법
JPH0134513Y2 (ko)
KR200378171Y1 (ko) 전선 연결용 볼트형 터미널
US20020182904A1 (en) Cable connecting device
JPS5840746Y2 (ja) ケ−ブル接続部
JPH0727571Y2 (ja) ケーブル導体接続部
CN116742446A (zh) 一种装配式建筑电气快装管线的自接地方法及管线
JP3259035B2 (ja) ケーブル接続部
JPS5828428Y2 (ja) 電力ケ−ブル接続箱
CN117855982A (zh) 一种电缆组件转接结构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