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868Y1 - 금속피막돌솥 - Google Patents

금속피막돌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868Y1
KR200276868Y1 KR2020010038697U KR20010038697U KR200276868Y1 KR 200276868 Y1 KR200276868 Y1 KR 200276868Y1 KR 2020010038697 U KR2020010038697 U KR 2020010038697U KR 20010038697 U KR20010038697 U KR 20010038697U KR 200276868 Y1 KR200276868 Y1 KR 2002768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container
metal
pot
meta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6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상오
김종의
Original Assignee
도상오
김종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상오, 김종의 filed Critical 도상오
Priority to KR20200100386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8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8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868Y1/ko

Links

Landscapes

  • Cook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취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석 용기와 금속체가 2중으로 융착되어 구성된 복합 취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윗면이 개방된 자연석용기와 상기 자연석용기의 외부에 융착된 금속체로 구성되는 금속이 피막된 돌솥에 있어서, 상기 돌솥의 상단부 둘레는 상기 금속체만으로 구성되어 상기 자연석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되, 솥의 중앙 저부의 자연석 용기의 저면에는 스텐레스 스틸판을 덧대어 그 외부로 금속체를 피막시켜서 된 금속피막돌솥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예로써, 솥의 중앙 저부의 자연석 용기에는 구멍을 형성하여 금속체로 채워진 금속피막돌솥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체 내측의 상부에는 뚜껑단턱이 형성되어 뚜껑이 상기 뚜껑단턱에 안착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금속피막돌솥에 의하면 상기 금속체 용기 상부 주연과 뚜껑의 구성을 주지의 압력 밥솥의 기능을 구비하여 달성할 수도 있다.

Description

금속피막돌솥{A stone pot molded with metal}
본 고안은 취사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연석 용기와 금속체가 2중으로 융착되어 구성된 복합 취사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는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실용신안등록번호 1992-0008012 및 실용신안등록번호 1996-0009351의 인용고안에서와 같이 용기본체의 내부에는 보온효과가 우수하고 광물질이 풍부한 자연석을 소재로 하며, 상기 자연석의 외부에는 열전도율이 우수한 알루미늄 금속을 융착시켜 구성하므로써 맛이 좋은 음식물을 즐길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 금속이 외부로부터의 온도변화에 따라 팽챙 수축되는 성질을 감안하여 상기 알루미늄 금속의 하단부에 원형의 열팽창 구멍을 형성시켜 이러한 난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금속이 융착된 돌솥은 내부의 내용물이 쉽게 끓어 넘치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이유로 본 출원인이 2001년 05월 25자로 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015536호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과 본 출원인의 고안에 대한 개량 고안으로 창작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솥의 저면이 돌로 되어 화원을 없애고도 오랫동안 끓게 하는 것은 나름대로의 목적과 효과가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오히려 빠른 취사와 취식에 방해요인으로 작용됨에 따라 그 단점을 해소시키면서 취식시의 보온효과는 지속되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윗면이 개방된 자연석 용기와 상기 자연석용기의 외부에 융착된 금속체로 구성되는 금속이 피막된 돌솥에 있어서, 상기 돌솥의 상단부 둘레는 상기 금속체만으로 구성되어 상기 자연석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되, 솥의 중앙 저부의 자연석 용기의 저면에는 스텐레스 스틸판을 덧대어 그 외부로 금속체를 피막시켜서 된 금속피막 돌솥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고안의 다른 예로써, 윗면이 개방된 자연석 용기와 상기 자연석 용기의 외부에 융착된 금속체로 구성되는 금속이 피막된 돌솥에 있어서, 상기 돌솥의 상단부 둘레는 상기 금속체만으로 구성되어 상기 자연석 용기 내부의 내용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되, 솥의 중앙 저부의 자연석 용기에는 구멍을 형성하여 금속체로 채워진 금속피막 돌솥에 의하여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금속체 내측의 상부에는 뚜껑단턱이 형성되어 뚜껑이 상기 뚜껑단턱에 안착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상기 금속피막 돌솥에 의하면 상기 용기의 상부 금속체의 주연과 대응되는 뚜껑의 구성을 주지의 압력밥솥의 구성으로 하여 고압하에서도 내용물을 취사할 수 있는 기술도 응용하고자 한다.
한편 본 고안에서 용기의 바닥 저면에는 다수의 동심원상에 방사상으로 구획한 V형 홈을 형성함으로써 화원의 열전달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고안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피막돌솥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피막돌솥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돌솥 하부 구조를 보인 도 1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돌솥 하부 구조를 보인 도 1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따른 본 고안의 저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자연석 용기 11: 구멍
12 : 절단부 20 : 금속체
21: 스텐레스 스틸 22 : 단턱
24 : 뚜껑단턱 30 : 뚜껑
32 : 뚜껑손잡이 40 : 손잡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금속피막돌솥(5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윗면이 개방된 자연석 용기(10)와 상기 자연석 용기(10)의 외부에 융착된 금속체(20)로 구성되는 금속이 피막된 돌솥에 있어서,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돌솥의 상단부 둘레는 상기 금속체(20)만으로 구성하되 중앙 저면에 스텐레스 스틸판(26)을 개재하여서 금속이 피막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예로써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중앙의 스텐레스 스틸판을 제거하고, 자연석 용기(10) 중앙에 구멍(11)을 형성하여 금속체(20)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솥의 상부구조는 도 1에서와 같이, 상기 상부 금속체(20) 내측의 상부에는 뚜껑단턱(24)이 형성되어 뚜껑(30)이 상기 뚜껑단턱(24)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금속체(20)의 상주연 부분에는 주연과 대응되는 뚜껑의 구성을 주지의 압력밥솥의 구성으로 하여 고압하에서도 내용물을 취사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도 5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서 용기의 바닥 저면에는 다수의 동심원상에 방사상으로 구획한 V형 홈을 형성함으로써 화원의 열전달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속피막돌솥(50)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피막 돌솥(50)은 크게 용기본체와 뚜껑(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용기본체는 내측면에 있는 자연석 용기(10)와 외측면에 있는 금속체 (2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연석 용기(10)는 윗면이 개방된 용기형태이며 그 재질은 광물질이 풍부한 맥반석이나 옥돌 등을 주요 소재로 한다. 상기 자연석 용기(10)의 외부에는 상기 금속체(20)가 융착되어 있다. 상기 금속체(20)의 재질은 알루미늄이나 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중량이 가벼운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체(20)의 상주연 부분에는 2개의 손잡이(40)가 체결수단에 의하여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의 내측에는 뚜껑단턱(24)이 형성되어 상기 뚜껑(30)이 상기 뚜껑단턱(24)에 안착된다. 상기 뚜껑(30)의 상부 중심에는 뚜껑손잡이(32)가 결합되어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금속피막돌솥(50)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체(20) 내부의 소정의 부위에는 상기 자연석 용기(10)의 상단부와 맞물리도록 단턱(22)이 형성되어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금속피막돌솥(50)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체(20)의 상주연상의 일정한 부분에는 6개의 체결돌출부(6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뚜껑(30)의 하주연상의 일정한 부분에는 상기 체결돌출부(60)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6개의 체결삽입홈(62)이 형성되어 있어,상기 체결수단(60,62)을 통하여 상기 금속체(20)와 상기 뚜껑(30)이 밀봉된다.
상기 금속체(20)의 상단부의 일측과 상기 뚜껑(30)의 하주연의 일측에는 각각 잠금장치(70)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잠금장치(70)는 노브(72)에 의하여 잠겨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금속피막돌솥(50)의 결합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체(20)의 내부에는 상기 자연석 용기 (10)의 상단부와 맞물리도록 단턱(22)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단턱(22)은 상기 자연석 용기(10)가 상기 금속체(20)에 꽉 맞물리도록 결합되어 상기 자연석 용기 (10)가 상기 금속체(20)로부터 잘 빠지지 아니하는 기능을 한다.
아울러 상기 금속체(20)가 상기 자연석 용기(10)의 외부에 융착될 때 상기 자연석 용기(10)의 상단부 내측면에는 절단부(12)인 여분의 자연석이 돌출되어 있는 관계로 상기 자연석을 절단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상기 금속체(20)를 성형할 때 상기 자연석 용기(10)의 안쪽면과 일치시켜 성형할 수도 있으나,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어려운 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절단부(12)인 자연석을 절단하므로써 상기 금속체(20)의 두께를 줄여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의 둘레에는 상기 금속체(20)만이 구성되어 있는 바, 이는 상기 자연석 용기(10) 속의 내용물이 끓어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은 전체적으로 상기 용기본체의 무게를 줄이는 역할도 한다.
한편 도 3에서와 같이 자연석 용기(10)의 금속층(20)의 용기 저면 사이에 개재된 스텐레스 스틸은 자성이 있는 24종 스텐레스 스틸로써 인덕션렌지용 용기로 사용된다.
한편 도 4와 같은 구성은 화원을 차단하여도 돌솥으로만 된 것을 끓어 넘치는 현상이 발생되나 본 고안은 화원을 차단하면 일반 솥과 같이 끓어넘침을 예방하여 취식을 바로 할 수 있는 장점과, 또한 측면둘레로는 돌층을 가지고 있어서 장시간의 취식에도 음식물이 쉽게 식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금속피막돌솥(50)에 의하면, 용기본체 내부의 내용물이 끓어도 잘 넘치지 아니하는 효과가 있다.
인덕션렌지에 효과적이고, 보다 주요하게는 일반 솥과 같이 끓어넘침을 예방하여 취식을 바로 할 수 있는 장점과, 또한 측면둘레로는 돌층을 가지고 있어서 장시간의 취식에도 음식물이 쉽게 식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는 본 고안의 요지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한다.

Claims (5)

  1. 윗면이 개방된 자연석 용기(10)와 상기 자연석 용기(10)의 외부에 융착된 금속체(20)로 구성되는 금속이 피막된 돌솥에 있어서,
    상기 돌솥의 상단부 둘레는 상기 금속체(20)만으로 구성하되 자연석 용기 (10) 중앙에 구멍(11)을 형성하여 금속체(20)로 채워진 것을 특징으로 한 금속피막돌솥.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금속체(20) 내측의 상부에는 뚜껑단턱(24)이 형성되어 뚜껑(30)이 상기 뚜껑단턱(24)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피막돌솥.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체(20)의 상주연 부분에는 다수개의 체결돌출부(6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뚜껑(30)의 말단부분에는 상기 체결돌출부 (60)에 대응되어 결합되는 다수개의 체결삽입홈(62)이 형성된 체결수단에 의한 주지의 압력밥솥의 뚜껑부 구성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피막돌솥.
  5. 제 1항에 있어서, 용기의 바닥 저면에는 다수의 동심원상에 방사상으로 구획한 V형 홈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금속피막돌솥.
KR2020010038697U 2001-12-14 2001-12-14 금속피막돌솥 KR2002768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697U KR200276868Y1 (ko) 2001-12-14 2001-12-14 금속피막돌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697U KR200276868Y1 (ko) 2001-12-14 2001-12-14 금속피막돌솥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868Y1 true KR200276868Y1 (ko) 2002-05-27

Family

ID=73114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697U KR200276868Y1 (ko) 2001-12-14 2001-12-14 금속피막돌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8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150A (ko) * 2017-07-12 2019-01-22 박경문 전자유도가열 조리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150A (ko) * 2017-07-12 2019-01-22 박경문 전자유도가열 조리기구
KR101971345B1 (ko) * 2017-07-12 2019-04-22 박경문 전자유도가열 조리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78349A (en) Insulated dish and lid for microwave cooking
WO1980001483A1 (en) Insulated dish and lid for microwave cooking
JPH06138A (ja) 金属製器具
KR200276868Y1 (ko) 금속피막돌솥
KR200245643Y1 (ko) 금속피막돌솥
CN209315529U (zh) 一种锅具
KR200352161Y1 (ko) 넘침 방지용 냄비
KR20060095426A (ko) 항아리 가마솥
JPS628151Y2 (ko)
JP2003093238A (ja) 片手鍋保温調理具
CN209629493U (zh) 一种可支撑锅盖的功能锅
JPH0752675Y2 (ja) 断熱調理容器
CN211748764U (zh) 一种可加热的真空保温锅
JP2502254B2 (ja) 断熱調理器具
JP2010268929A (ja) 炊飯調理具
JPH0317791Y2 (ko)
JP2528619Y2 (ja) 電子レンジ用釜
JPH07177988A (ja) 断熱調理器具
JPH06165727A (ja) 高温保温調理装置
CN207734040U (zh) 盖以及包含所述盖的烹饪器具
KR200328008Y1 (ko) 수육냄비
KR20030038363A (ko) 음식물 넘침방지용 조리용기
KR20240031802A (ko) 보온조리기
CN207370563U (zh) 双层电热壶
TW396026B (en) Fast heat-conductive stewing/warm keeping p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