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776Y1 -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 Google Patents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776Y1
KR200276776Y1 KR2020020004569U KR20020004569U KR200276776Y1 KR 200276776 Y1 KR200276776 Y1 KR 200276776Y1 KR 2020020004569 U KR2020020004569 U KR 2020020004569U KR 20020004569 U KR20020004569 U KR 20020004569U KR 200276776 Y1 KR200276776 Y1 KR 2002767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xiliary storage
kitchen furniture
shelf
fixing plate
guide ra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5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맥시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맥시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맥시멈
Priority to KR20200200045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7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7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776Y1/ko

Links

Landscapes

  • Combinations Of Kitchen Furni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를 개시한다.
본 고안은, 하부 주방가구의 수납대 바닥면상에 복수의 고정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힌지홈이 마련된 고정판과; 후방 중심 하면이 고정판의 힌지홈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좌,우 양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마련된 보조 수납대와; 보조 수납대의 가이드 레일에 각각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용기와 선반;을 포함하여 된 것으로서, 불필요한 공간부로 존재하는 수납대들의 교차 부위에 고정판과 보조 수납대 및 선반을 마련할 수 있게됨으로써 공간 활용을 충분히 행할 수 있게되어 좀더 많은 량의 물품 수납 및 취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물품수납이 가능한 보조 수납대가 고정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선반의 설치가 용이하고, 선반이 보조 수납대를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물품의 취출 및 수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채용한 전체 주방 가구의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되며, 이에따른 소비자의 만족감 향상과 구매력 향상을 도모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A spare receiving equipment of a kitchen furniture}
본 고안은 주방 가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 가구의 하나인씽그대의 하부 수납부에 마련되어 보다 많은 물품을 수납시킬 수 있는 보조 수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 가구의 하나로써 상부 씽그대와 하부 씽그대로 크게 나누어진다. 즉, 상부 주방 가구와 하부 주방 가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주방 가구에서 상부 주방 가구상에는 그릇등을 수납하고 있으며, 하부 주방 가구에는 물을 받아 그릇을 씻을 수 있는 수납대가 마련되고 하부면에는 어느정도의 크기가 있는 그릇 예컨대 냄비등을 수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주방 가구 중 특히 비교적 큰 부피의 물품을 수납하도록 된 하부 주방 가구의 내부 공간부가 충분하지 못함으로써 많은 량의 물품을 수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이 가장 크게 대두되고 있는 부분은 수직으로 교차되는 하부 주방기구 부분이다.
이와 같이 수직으로 교차되는 부분상에는 거의 어떠한 물품의 수납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물품을 수납시킬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고 할 지라도, 그 공간이 매우 협소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공간부로 존재하게 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부 주방 가구의 내부를 충분히 활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많은 량의 물품 수납이 가능하며, 특히 수직으로 교차되는 부분상에도 충분한 량의 물품의 수납 및 취출을 행할 수 있어 하부 주방기구의 공간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조 수납대에 대한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보조수납대를 하부주방가구에 설치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선반을 채용하지 않을 때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보조수납대에 대한 전체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하부 주방가구 2 : 수납대
10 : 고정판 11 : 힌지홈
20 : 보조 수납대 21 : 힌지축
22 : 가이드 레일 30 : 선반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는, 하부 주방가구의 수납대 바닥면상에 복수의 고정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힌지홈이 마련된 고정판과; 후방 중심 하면이 고정판의 힌지홈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좌,우 양측 내외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마련된 보조 수납대와; 상기 보조 수납대의 가이드 레일에 각각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선반;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고정판과 보조 수납대 및 선반은, 하부 주방가구의 상호 수직으로 교차되는 부분에 위치되는 수납대상에 마련된 것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고, 도 2는 선반을 채용하지 않을때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전체 정면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는, 크게 고정판(10)과 보조 수납대(20) 그리고 선반(30)으로 대별된다.
고정판(10)은 하부 주방가구(1)의 수납대(2) 바닥면상에 복수의 고정 스크류(S)를 통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특히 일측 후방에는 힌지홈(11)이 형성된다.
보조 수납대(20)는, 실질적으로 물품이 수납되는 부분으로써, 수납대(2)상에 내장 설치되며, 특히 후방 일측 하면에 힌지축(21)이 마련되어 이 힌지축(21)이 고정판(10)의 힌지홈(11)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고정판(10)을 중심으로 좌,우로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보조 수납대(20)에는 고정케이스(25)를 형성하여 내외부에 가이드레일(22)을 설치고정하고, 내측가이드레일(22)에는 용기(23)를 설치고정하고, 외측가이드레일(22)에는 선반(30)을 설치한다.
이 보조 수납대(20)의 좌,우 양측면에는 상,하에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22)이 마련된다.
선반(30)은, 보조 수납대(20)상에 수납되지 않은 비교적 작은 부피의 물품을 수납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보조 수납대(20)의 가이드 레일(22)에 결합되어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선반(30)은 적어도 2단 이상 다단으로 설치되며, 보조 수납대(20)의 가이드 레일(22)의 개수를 늘릴 경우 다단으로도 설치 가능할 것이다.
한편, 전술한 고정판(10)과 보조 수납대(20) 그리고 선반(30)이 설치되는 하부 주방가구(1)의 수납대(2)의 위치는 정상적인 위치도 무방하지만, 효과적인 공간 활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수납대(1)끼리 교차되는 부분 즉, 수직으로 교차되는 부분에 적용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4는 용기(23)의 개구를 가로막는 뚜껑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판(10)은 수직으로 교차되는 부분측의 수납대(2)상에 다수의 고정 스크류(S)로 고정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조 수납대(20)를 고정판(10)상에 안착시킨다.
이때 고정판(10)에는 힌지홈(11)이 마련되고, 보조 수납대(20)에는 힌지축(21)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보조 수납대(20)는 고정판(10)을 중심으로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각도 즉, 설치 공간부만큼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한편, 보조 수납대(20)의 좌,우 양측면 내외측에는 가이드 레일(22)이 마련되어 있는 바, 이에 용기(24)와 선반(30)을 전,후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선반(30)을 설치함에 있어서는, 보조 수납대(20)의 양측면이 일정부분 가려진 상태이기 때문에 장착 공간부가 협소하게 되어 설치가 용이치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보조 수납대(20)를 고정판(1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일측면이 노출되게 되고, 따라서 선반(30)이 장착이 용이하게 된다.
즉, 보조 수납대(20)를 좌,우로 회전시키면서 선반(30)을 장착하게 되면, 충분한 설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한편, 이와같은 동작에 의해서는, 선반(30)상에 물품을 수납시키거나 취출할때에도 동일하게 보조 수납대(20)를 회전시키게 되면 용기(23)에 물품을 수납할 수있는 것과 동일하게 물품의 수납 및 취출이 이루어지며, 특히 선반(30)이 보조 수납대(20)를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기 때문에 수납대(2) 외측에서 선반(30)상에 물품의 적재 및 취출 동작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에 의하면, 불필요한 공간부로 존재하는 수납대들의 교차 부위에 고정판과 보조 수납대 및 선반을 마련할 수 있게됨으로써 공간 활용을 충분히 행할 수 있게되어 좀더 많은 량의 물품 수납 및 취출이 이루어진다.
또한 보조 수납대가 고정판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선반의 설치가 용이하고, 선반이 보조 수납대를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물품의 취출 및 수납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채용한 전체 주방 가구의 신뢰성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되며, 이에따른 소비자의 만족감 향상과 구매력 향상을 도모한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하부 주방가구의 수납대 바닥면상에 복수의 고정 스크류를 통해 고정 설치되며, 일측에 힌지홈이 마련된 고정판과;
    후방 중심 하면이 고정판의 힌지홈에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좌,우 양측 내외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가이드 레일이 마련된 보조 수납대와;
    상기 보조 수납대의 가이드 레일에 각각 전,후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삽입되는 용기와 선반;을 포함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보조 수납대는 기억자형 하부주방가구의 모서리 내부 공간에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KR2020020004569U 2002-02-15 2002-02-15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KR2002767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569U KR200276776Y1 (ko) 2002-02-15 2002-02-15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569U KR200276776Y1 (ko) 2002-02-15 2002-02-15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776Y1 true KR200276776Y1 (ko) 2002-05-27

Family

ID=73073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569U KR200276776Y1 (ko) 2002-02-15 2002-02-15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77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9005937A3 (en) Sliding and tilting shelf drawer
EP3702706A1 (en) Refrigerator
JP2009011396A (ja) キッチン収納庫
US20090140619A1 (en) Device for loading cutlery in dishwasher machines
KR200276776Y1 (ko)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US20060279188A1 (en) Door compartment for a refrigerator
KR200276775Y1 (ko)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CN212057885U (zh) 制冷器具
KR200276774Y1 (ko) 주방 가구용 보조 수납장치
JP7114328B2 (ja) 収納庫
KR200358395Y1 (ko) 주방용 가구
JP2004293911A (ja) 棚装置、および棚装置を備えた冷蔵庫
US10024593B2 (en) Under counter insulated enclosure
JP5052183B2 (ja) キッチン収納庫
KR200277002Y1 (ko) 다용도 진열대
KR20060015148A (ko) 빌트인 타입 냉장고용 수납구조
JP5052185B2 (ja) キッチン収納庫
KR102355986B1 (ko) 주방용 선반 조립체
JP5052184B2 (ja) キッチン収納庫
JP3117050U (ja) 回転テーブル付き収納庫
JP2002112843A (ja) ボトル収納キャビネット
JP2021112469A (ja) システムキッチン
JP2004223009A (ja) 前板の高さが変更可能な引出し及び該引出しを備えたシステムキッチン
KR200256085Y1 (ko) 싱크대
KR20040038084A (ko) 싱크대 수납랙의 수납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