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241Y1 - 온습기 겸용 찜질기의 구조 - Google Patents

온습기 겸용 찜질기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241Y1
KR200276241Y1 KR2019990003785U KR19990003785U KR200276241Y1 KR 200276241 Y1 KR200276241 Y1 KR 200276241Y1 KR 2019990003785 U KR2019990003785 U KR 2019990003785U KR 19990003785 U KR19990003785 U KR 19990003785U KR 200276241 Y1 KR200276241 Y1 KR 2002762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gwort
steam
toilet
container storage
stea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7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4722U (ko
Inventor
공병성
Original Assignee
공병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병성 filed Critical 공병성
Priority to KR20199900037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24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7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7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2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241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인체에 유익한 물질 예로써 쑥을 증숙시켜 이 훈증기를 실내에서 공급하므로서 가습을 행하고 동시에 쑥증기를 이용하여 인체의 찜질을 겸할 수 있도록 된 온습기 겸용 찜질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쑥증기를 소정의 위치로 적절히 유도하여 찜질을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체로부터 발생된 쑥증기를 좌변기 내부로 공급하여 용변시 찜질을 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
쑥통저장부(104)로부터 발생된 쑥증기를 소정의 위치로 유도할 수 있도록 쑥통저방부(104)에 굴절이 용이한 연결관(12)의 일측을 접속시키고, 상기 연결관(12)의 타측에 좌변기(20)에 결합 고정되는 증기분출구(1)를 접속설치하여 쑥통저장부(104)로부터 발생된 쑥증기를 좌변기(20)내부로 유도 공급하여 용변시 용변자의 신체 하부를 찜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온습기 겸용 찜질기의 구조{Mechanism for appling the steam with poultice and humidifying}
본 고안은 쑥 혹은 인체의 건강에 적합한 물질의 훈증을 이용하여 일반 가정에서 가습을 행하고 동시에 이 훈증을 이용하여 찜질을 겸할 수 있도록 된 온습기겸용 찜질기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인체에 적합한 물질(일반적으로 '쑥' 이라 칭함)의 교체 사용이 용이하고 동시에 쑥통저장부로부터 발생된 훈증을 좌변기내에 공급하여 별도의 찜질 시간이 필요없이 용변을 보는 시간에 편히 찜질을 할 수 있는 좌변기에 적합한 증기분출구를 제공하고자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 온습기 겸용 찜질기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특허 출원 제97-17018호로 제안된 바 있는데 도5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그 구성을 대략 살펴보면 기체(100) 일측에는 물탱크(101)가 설치되고 물탱크(101)와 근접하여 하부에 발열체(103)를 갖는 수조(102)가 밀폐 형성되며 또한 수조(102)의 측부에는 쑥통저장부(104)가 형성되는데 이 쑥통저장부(104)의 상부에는 쑥이 저장되는 쑥통(105)이 끼워지고 쑥통(105)의 상부에는 쑥의 훈증을 외기로 방출시킴과 동시에 인체에 훈증을 유도하여 찜질을 할 수 있도록 한 증기유도구(106)가 설치되어 있다.
그 동작을 살펴보면, 물은 물탱크(1O1)로부터 물공급조(1O1a)로 떨어져 소정의 수위를 유지한 상태에서 물이송로(107)를 통해 수조(102)로 공급되고 수조(102)내의 물은 발열체(103)에 의해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하며, 이 증기는 수조(102)와 쑥통저장부(104) 사이에 연통된 증기연통관(108)을 통해 쑥통저장부(104)로 이동하여 쑥통저장부(104)의 상부에 설치된 쑥통(105)내의 쑥을 증숙시키고 이와 같이 증기에 의해 증숙된 쑥증기는 그 상부에 설치된 증기유도구(106)를 통해 외기로 배출되어 신체 적정부위에 쑥찜질을 행하였던것이다.
본 고안은 쑥의 교체가 용이한 쑥통과 쑥통저장부를 제공함과 동시에 쑥증기를 일반 가정의 좌변기의 내부에 적절히 유도 공급시켜 용변을 보는 시간에 편히 용변자의 성기 및 항문부분(이하'하측신체부'라 약칭함)을 찜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간 절약과 건강 증진을 가져올 수 있도록 하고자 한 것으로 그 구성 및 작용효과를 첨부 도면을 토대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온습기를 겸하는 찜질기가 좌변기와 결합된 상태의 개략 적인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쑥통저장부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쑥통저장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좌변기에 결합되는 증기분출구의 일부 절단사시도
도5는 종래 온습기 겸용 찜질기를 나타낸 일부 절단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기분출구 2 ; 요홈테 3 ; 클립
10 ; 공간부 11a,11b : 접속구 12 : 연결관
20 ; 좌변기
100 ; 쑥찜기본체 102 ; 수조 103 ; 발열체
104 ; 쑥통저장부 105 ; 쑥통 108 : 증기연통관
이하 종래 구조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로 설명하며, 종래 구조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1 내지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쑥통저장부(104)는 상부가 개방된 상태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구멍이 무수히 뚫린 쑥통(105)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쑥통(105)은 상부에 덮개(105a)가 나사 결합되며 쑥통(105)에 있어서 수조(102)측 즉 증기연통관(108)측에 위치한 부분은 도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공간부(10)가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구성된다.
또한, 쑥통저장부(104)의 하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접속구(11a)가 형성되어 연결관(12)의 착탈이 가능하도록 된다.
도면부호 1은 좌변기(20)에 조립 설치되는 증기분출구이다(도4 참조)
이 증기분출구(1)는 대략 ' ㄱ ' 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증기가 이송될 수 있도록 비어 있으며, 일측 끝부에는 상기 연결관(12)과 접속되는 접속구(11b)가 설치되고 다른 끝부에는 하측방향으로 절곡되어 있다.
또한, 증기분출구(1)의 대략 중앙부에는 복수개의 요홈테(2)가 형성되고 요홈테(2)와 대응하여 이 요홈테(2)에 탄성적으로 끼워지고 빠지는 ' ㄷ ' 자 형상의 클립(3)이 형성되어 증기분출구(1)가 상기 클립(3)에 의하여 좌변기(20)의 상측 테두리부(20a)에 부착 고정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의 쑥통저장부(104)에 끼워지는 쑥통(105)은 상방에서 넣고 빼낼 수 있도록 구조를 제안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도3과 같이 수납식으로 설계 변경시킬 수도 있다.
즉, 쑥통저장부(104)는 6면체로 구성시키되 일측면을 개방시켜 쑥통(105)이 서랍식으로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시키며, 그 외의 구성은 상기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된 본원고안은 도1과 같이 조립된다. 즉, 쑥이 저장되는 쑥통(105)은 쑥통저장부(104)에 끼워져 결합되는데 이때 쑥통저장부(104)의 상측 테두리부에는 패킹(104a)을 설치하여 쑥통(105)과 쑥통저장부(104)간의 밀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쑥통저장부(104)와 증기분출구(1)간에는 굴절이 자유로운 연결관(12)이 양측 접속구(11a)(11b)에 끼워져 연결되고 증기분출구(1)는 클립(3)에 의하여 좌변기(20)의 상측 테두리(20a)에 고정된다.
따라서, 발열체(103)의 발열에 의해 발생된 수조(102)내의 증기는 상부의 증기연통관(108)을 통해 쑥통저장부(104)내로 유입되고 이 증기는 쑥통(105)내에 저장된 쑥을 증숙시켜 쑥증기가 발생되며 이 쑥증기는 연결관(12) 및 증기분출구(1)를 거쳐 좌변기(20)의 내부로 공급된다.
한편, 사용자는 좌판(21)을 덮게되면 증기분출구(1)는 좌변기(20)와 좌판(21)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용변자가 좌판(21)위에 앉게 되면 좌변기(20)의 내부가 밀폐되어 쑥증기는 좌변기(20)의 내부에 고루 퍼져 용변자의 하측 신체부가 찜질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쑥통의 조립이 극히 간편하여 사용이 편리하며 또한 기체로부터 발생된 쑥증기를 별도의 연결관과 접속된 증기분출구를 통해 좌변기의 내부에 공급하여 용변자가 용변을 보면서 인체의 중요한 부분을 찜질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시간 절약을 꾀할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타인의 눈에 띄지 않는 별도의 찜질을 위한 장소가 필요 없이 용변을 볼 때 간단히 찜질을 행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2)

  1. 구멍이 무수히 뚫린 쑥통(105)의 상부에 덮개(105a)를 결합시켜 쑥통저장부(104) 상부에 얹혀져 끼워지도록 구성시키되, 쑥통(105)의 일측부를 경사지게 구성시켜 공간부(10)를 구획하고, 쑥통저장부(104)는 하부에 연결관(12)접속용의 접속구(11a)가 연장 형성되며, 연결관(12)의 타측 끝부에는 좌변기(20)에 결합 가능한 별도의 증기분출구(1)를 결합시키되, 이 증기분출구(1)는 좌변기(20) 상부 테두리부(20a)에 클립(3)에 의해 고정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습기 겸용 찜질기의 구조.
  2. 삭제
KR2019990003785U 1999-03-10 1999-03-10 온습기 겸용 찜질기의 구조 KR2002762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785U KR200276241Y1 (ko) 1999-03-10 1999-03-10 온습기 겸용 찜질기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785U KR200276241Y1 (ko) 1999-03-10 1999-03-10 온습기 겸용 찜질기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722U KR19990034722U (ko) 1999-09-06
KR200276241Y1 true KR200276241Y1 (ko) 2002-05-21

Family

ID=54756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785U KR200276241Y1 (ko) 1999-03-10 1999-03-10 온습기 겸용 찜질기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24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391B1 (ko) * 2001-03-13 2003-10-30 공병성 증기발생기
KR102095904B1 (ko) * 2018-12-05 2020-04-01 공병성 증기발생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3391B1 (ko) * 2001-03-13 2003-10-30 공병성 증기발생기
KR102095904B1 (ko) * 2018-12-05 2020-04-01 공병성 증기발생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722U (ko) 1999-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656399B2 (ja) 電気蒸気アイロン
US6196527B1 (en) Humidifier capable of sending forth fragrance
JPH025966B2 (ko)
EP0326174A2 (en) Improved steam inhaler
JP3221377B2 (ja) 電気湯沸器
KR200276241Y1 (ko) 온습기 겸용 찜질기의 구조
KR960018050A (ko) 스팀아이론
KR101728057B1 (ko) 상부급수형 물탱크를 구비하는 가습기
KR200421793Y1 (ko) 매트용 온수순환보일러
KR102219437B1 (ko) 텀블러 결합형 가습기
KR200176327Y1 (ko) 찜질기에 있어서의 좌변기용 증기 유도구
KR200446559Y1 (ko) 휴대용 가습기
KR200491898Y1 (ko) 난방장치용 가습기
JP3714279B2 (ja) 加湿器
KR100403391B1 (ko) 증기발생기
JP3139526B2 (ja) 加湿器
JP2020012626A (ja) タンブラー結合型加湿器
JP2002066199A (ja) 多利用型蒸気発生装置
JP3546839B2 (ja) 加湿器
KR19990078715A (ko) 가습 겸용 찜질기의 구조
KR200265723Y1 (ko)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KR200330014Y1 (ko) 좌변기 찜질용 증기분출구
KR200227863Y1 (ko) 가열가습기에부착된찜질기_
JPH0425753U (ko)
JPS5926166Y2 (ja) 温風暖房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