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723Y1 -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 Google Patents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723Y1
KR200265723Y1 KR2020010035720U KR20010035720U KR200265723Y1 KR 200265723 Y1 KR200265723 Y1 KR 200265723Y1 KR 2020010035720 U KR2020010035720 U KR 2020010035720U KR 20010035720 U KR20010035720 U KR 20010035720U KR 200265723 Y1 KR200265723 Y1 KR 2002657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uide
far
humidifier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7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홍
Original Assignee
하비스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비스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하비스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100357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7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7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723Y1/ko

Links

Landscapes

  • Air Humidif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통상의 열탕가습기에 원적외선램프를 결합시키고, 한방 향기가 같이 방향될 수 있도록 한방통을 증기 안내통로에 내삽시키되, 상기 한방통이 증기 안내통로에 거치되도록 외향플랜지를 가지며 2중구조의 컵으로 되어 외측에는 상측외주면에 증기통로가 마련된 한방통물받이컵이 구성되고, 내측에는 한방재료를 안치시키는 컵으로써 하측에 증기통로가 형성된 한방통찜질컵이 구성되며 급수도관의 분리결합이 쉬워 청결을 유지할 수 있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이다. 또한 노즐과 교체되는 분사안내장치에 의하여 가습기와 떨어진 공간에 증기를 안내시킬 수 있는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증기분사위치를 결정 할 수 있는 원적외선 열탕 가습기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원적외선이 제공되고 가습시에 실내의 향기를 개선시키며 건강에 이익이 되는 한방 약재향이 공급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2개의 물탱크가 물을 급수 시킴으로써 장시간 물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급수도관 내부의 청소와 증기안내통로 내부의 청소가 손쉬우며, 가습기와 떨어진 공간에 증기를 분무할 수 있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원적외선 열탕가습기{humidifier with far infrared ray lamp}
본 고안은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열탕식 분무가습기에 있어서, 수증기가 안내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증기안내 경로상에 구비되어 한방재료를 안치시킬 수 있는 한방통과, 좌우양측에 형성되어 물의 저수량이 증가된 물탱크와, 전면에 부착되어 전방을 향하여 원적외선을 방사시키는 원적외선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습기는 실내의 습도를 조절하는 기구로써, 실내의 공기는 적당한 습도(60% 정도)를 유지함으로써 호흡장애 및 질병을 예방할 수 있고,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특히 겨울철에는 실내에 적당한 증기요소가 없고 온도가 높아지면 건조해지기 쉬우므로, 이런 때 가습기로 공기 속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데, 전기에 의하여 깨끗한 물을 입자화하여 실내에 뿜어지게 하는 것이 가습기의 원리이다
통상 가습기는 원심분무식 가습기, 초음파 가습기, 열탕식 가습기로 구분된다.
각 가습기의 원리에 있어서는, 원심분무식은 흡입한 물을 원심력으로 날려서 부딪치게 하여 입자화하는 방식이며, 초음파 가습기는 전기회로에서 어떤 주파수의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물속에 놓인 진동자로 전달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면 캐비테이션(cavitation:추진기 등의 뒤에 생기는 진공 현상)이 일어나 가는 안개를 발생시키는 방식이고, 열탕식 가습기는 히터나 전극봉으로 물을 가열시켜 증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그런데 가습기에는 통상 일정량의 물이 장시간 저장되어 공급되므로 위생에 해로운 미생물이 발생되므로, 원심분무식이나 초음파식 가습기는 미생물이 가습되는 증기와 함께 실내에 비산되어, 건강을 위하여 사용되는 가습기가 오히려 유해미생물을 분무시키는 유해기구로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은 가습기의 저수공간이 작게 설계되도록 하여 잦은 물교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
그런데 열탕식 가습기의 경우에는 물을 직접 끓여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방식이므로 증기 발생과정에서 미생물이 살균되는 이점이 있다.
한편 열탕식 가습기에 있어서는 가습기가 증기를 실내에 분무시키는 데 착안하여 여러종류의 방향성 가습기가 제공되고 있다.
즉, 가습기가 발생기키는 증기통로에 한방약재 혹은 방향성 재료를 안치시키고 열탕식 가습기의 뜨거운 열을 이용하여 실내에 향기가 방향되도록 하는 가습기가 여러종류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한방약재나 방향성재료에 증기가 분무되면 즙이 흘려나오거나, 가루등이 열탕속으로 침투되어 가습기가 더럽혀지거나 고장나는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열탕속에서 오래 가열되는 한방재료의 냄새는 향기가 아닌 악취에 해당되어 방향성 가습기의 본래 목적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실되는 문제점이 잇다.
그리고 가습기의 사용계절은 통상 겨울철이고, 사용공간은 일반 가정주택일 경우도 많으나, 의료보조용으로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실내를 좀 더 따뜻하게 유지해야 찬 습기에 의한 결로현상이 없어지고, 사용자에게는 또 다른 건강보조 효과가 제공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원적외선은 태양광선 중에서 가장 순수하며 높은열호율을 지닌 열선으로 각종 의료적 효과를 발휘하는 인체에 아주 유익한 자연의 열이다.
또 이 적외선은 공기를 통하지 않고 몸에 직접 와 닿는 전자파 복사열이기 때문에 아무런 무리없이 자연스럽게 땀을 흘리게 해준다.
그런데 통상 원적외선 발생기는 독립적인 건강보조기구로 제공되고 있어, 일반인들에게 경제적 부담을 주고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가습기에 있어서는 실내공간에서 분무되는 부분에 가습기가 위치된 부분에 국한되어 천정부위에서 분사하게 한다거나, 가습기에서 멀리 떨어진 특정위치에 분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가습기가 없는 실내공간에 별도의 분무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미생물을 제거하여 증기를 분무시키는 열탕식 가습기의 증기 안내통로에 안전하게 한방재료를 안치시킬 수 있는 한방통이 제공되게 하며,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서 충분한 저수공간이 확보되게 하고, 원적외선이 방사되어 사용자가 다각적인 건강보조 효과를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습기에 증기안내장치를 부가하여 가습기와 멀리 떨어진 공간에 증기를 안내시켜 분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의 조립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의 내부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의 증기 흐름도.
도4는 원적외선 램프 주변의 상세도.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급수도관의 사시도 및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의 증기 안내통로 단면도.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의 증기 안내통로 사시도.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의 분사유도뚜껑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노즐 20 : 원적외선 램프
22 : 소켓 23 : 소켓 마운트
24 : 공기 통로
30 : 물탱크 33 : 급수관
33-z : 가압링 34 : 결합도관
34-a : 삿갓형외향플랜지 34-b : 중간돌기
34-c : 마감돌기 41 : 증기 안내통로
42 : 안착부 43 : 돌설통공
50-a : 한방통 물받이컵 50-b : 한방통 찜컵
70 : 분사유도뚜껑 70-a : 외부디스크
70-b : 내부디스크 71 : 증기공
72 : 가이드 75 : 회전스위치
77 : 안내통공 78 : 배출공
80 : 응축수토출관 90 : 연결구
100 : 분사코크 101 : 분사관체
120 : 증기안내도관 121 : 내부관로
122 : 외부관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열탕식 분무가습기에 있어서, 수증기가 안내되어 외부로 토출되는 증기안내 경로상에 구비되어 한방재료를 안치시킬 수 있는 한방통과, 좌우양측에 형성되어 물의 저수량이 증가된 물탱크와, 전면에 부착되어 전방을 향하여 원적외선을 방사시키는 원적외선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한방통은, 상측에는 빗살형 증기통로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한방통 물받이컵과, 상기 한방통 물받이에 안치되고, 하측에 빗살형 증기통로가 형성되어 한방재료를 안치시키는 한방통 찜컵으로 구성되어, 증기의 안내경로가 열탕, 증기안내경로, 한방통 물받이컵 상측 빗살형 증기통로, 한방통 찜컵 하측 빗살형 증기통로로 형성되어 증기의 열이 한방재료를 찜질하여 한방향이 증기와 함께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원적외선 램프가 부착되는 전면에는 원적외선 램프소켓 외주변에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시켜 원적외선 구동시 발생되는 원적외선 주변부의 열이 상기 통공을 통하여 이동되도록 하여 원적외선 소켓 주변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급수도관은 급수관과 급수도관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도관은 T자형으로 형성된 도관으로써 각 종단부에 삿갓형 외향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외향플랜지에서 이격되어 돌설된 중간돌기와 상기 중간돌기에서 이격되어 결합길이를 제한시키기 위하여 돌설된 마감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관은 외주면에 가압링이 끼워지며, 종단부에 상기 결합도관의 마감돌기와 같은 외주면을 가지는 외향플랜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노즐은,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관체와 손잡이로 구성된 분사코크와, 이중관로로 되어 내부관로로 증기를 안내시키고 외부관로로 내부증기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안내시키는 분사관체와, 상기 분사관체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구의 안내에 의하여 상기 내부관로와 결합연결되는 증기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의 안내에 의하여 외면에 떨어지는 응축수를 안내시키는 가이드와 상기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공이 형성된 분사유도뚜껑으로 구성되는 증기분사안내장치와 교체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상기 분사유도뚜껑은 상기 분사관체의 내부관로와 연결되는 증기공과 독립된 별도의 토출공이 형성된 외부디스크와, 상기 외부디스크의 중심에 형성된 회전스위치와 연동되고, 상기 회전스위치의 회전각에 의하여 상기 증기공과 토출공이 선택적으로 하나씩 결정되거나 동시에 결정되게하는 안내통공이 형성된 내부디스크로 구성되어, 상기 토출공을 통한 가습기의 직접분무와 상기 분사관체를 통한 안내분무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증기 안내통로는 저면에 빗살형 증기통로가 형성되는 원통컵구조로서, 종단부에서 외향으로 환형돌설된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환형돌설된 2개의 내외측 돌기부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유로와, 상기 안내유로의 저면일측에서 하측으로 돌설된 돌설통공과 상기 안내유로 저면의 돌설통공과 결합되어 안내유로상의 응축수를 하측으로 안내시키는 응축수토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응축수토출관에서 안내되는 응축수가 응축수 토출관에 연결된 응축수탱크에 저장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로 되는 것이 바람직 하다.
이하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의 조립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의 내부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의 증기 흐름도이고, 도4는 원적외선 램프 주변의 상세도이고, 도5는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급수도관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원적외선 열탕가습기는 2개의 물탱크(30)와 노즐(10)과 원적외선램프(20)와 증기 안내통로(41)에 거치되는 한방통(50-a, 50-b)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고안의 원적외선 열탕 가습기는 열탕식 가습기를 기본구조로 한다.
따라서 물탱크(30)내의 물은 급수도관(33,34)을 따라서 전기열탕(40)으로 안내되고 상기 열탕에서 에너지를 받아 수증기로 변한다.
물이 수증기로 변하는 데 필요한 온도는 100℃이므로 이 과정에서 유해 미생물이 살균된다.
상기 수증기는 열탕(40)의 상측에 형성된 증기 안내통로(41)와 한방통(50-a, 50-b)과 노즐(10)을 통하여 외측으로 분무된다.
여기서 상기 한방통(50-a, 50-b)은, 상측에는 빗살형 증기통로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한방통 물받이컵(50-a)과, 상기 한방통 물받이컵(50-a)에 안치되고, 하측에 빗살형 증기통로가 형성되어 한방재료를 안치시키는 한방통 찜컵(50-b)으로 구성되어 진다.
자세하게는 상기 한방통 물받이 컵은 상기 증기 안내통로(41)에 거치되도록 외향플랜지가 형성되고 외주변 상측에 빗살형 증기통로가 형성된 컵이고, 상기 한방통 찜컵은 상기 한방통 물받이컵에 거치되는 외향 플렌지가 형성되고 바닥인 저면에 빗살형 증기통로가 형성된 컵이다.
내경의 크기는 증기 안내통로(41)가 가장 크며, 한방통 물받이컵(50-a), 한방통 찜컵(50-b)의 순으로 작아진다.
따라서 열탕(40)에서 올라오는 증기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 안내통로(41)에서 한방통 물받이컵(50-a)의 외주면 상측을 통과하여 한방통 찜컵(50-b)의 하측에서 노즐(10)로 분무된다.
상기 한방통 찜컵(50-b)에 쑥이나 기타 방향성 한방재를 안치시키면 열탕에서 발생된 뜨거운 증기가 한방재(200)를 찜질하여 수액과 함께 방산되므로 실내에 한방의 향기가 전파된다.
이때 상기 한방통 찜컵(50-b)은 하측에 증기통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측으로 한방엑기스가 흘러 내리거나 한방재의 가루가 떨어지지만, 상기 한방통 물받이컵은 상측으로 증기통로가 형성되고 하측은 컵으로 되어있어 상기 엑기스와 가루가 한방통 물받이컵(50-a)에 수납되어 진다.
사용자는 가습기의 사용후 상기 한방통만을 덜어내어 세척하면 가습기의 청결을 유지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 가습기에는 전면을 향하여 원적외선램프(20)를 부착시킬 수 있는 소켓(22)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소켓(22)에 원적외선램프(20)를 결합시키고 전원을 공급하면 원적외선이 실내로 방사된다.
그런데 상기 원적외선램프의 경우 발열량이 매우 크므로, 상기 소켓이 형성된 하우징부(이하 소켓 마운트(23)라고 함)의 외주변 특히 상측면을 녹여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즉, 원적외선램프(20)의 상하에 있어서 상측으로 열이 집중되어 소켓마운트(23)의 상측면이 녹아버려 가습기의 외관적 수명이 극히 짧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켓마운트(23)의 상하에 통공을 형성하여 공기 통로(24)를 형성시켜 램프에 의한 열이 공기의 유동에 의하여 전송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공기통로(24)로 인하여 소켓마운트(23) 외주변에 공기흐름 경로가 형성되어 원적외선램프(2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공기흐름 경로를 통하여 발산되게 된다.
상기 공기통로(24)는 소켓마운트(23)의 상측에만 형성시켜도 무방하나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는 상하에 같이 형성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 하다.
상기 공기통로(24)의 형상은 소켓마운트에서 길게 형성된 빗살형통공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물은 물탱크(30)에서 급수도관(33,34)의 안내를 받아 열탕(40)으로 안내된다.
그런데 본 고안의 경우에 2개의 물탱크(30)에서 물이 급수되므로 상기 급수도관(33,34)은 T자도관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T자도관의 경우 도관의 길이가 긴 경우에 제작이 어려울 뿐만아니라 가습기의 조립에도 어려움이 따르며, 무엇보다도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도관내에 물때가 생길 경우 세척이 어렵다는 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급수도관(33,34)을 급수관(33)과 결합도관(34)을 결합하여 형성시킨다.
상기 결합도관(34)은 각 종단부에 삽입이 편리하도록 삿갓형외향플랜지(34-a)가 형성되고, 상기 외향플랜지(34-a)의 후방에 이격되어 낮게 환형돌설된 중간돌기(34-b)와 상기 중간돌기(34-b)에서 이격되어 결합길이를 제한시키기 위하여 높게돌설된 마감돌기(34-c)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급수관(33) 단부에는 가압링(33-z)이 끼워지며, 종단부에 상기 가압링(33-z)의 탈출을 막기위하여 외향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도관(34)과 급수관(33)의 결합은 상기 결합도관(34)의 삿갓형 외향플랜지(34-a)를 급수관(33)내에 삽입시키고 급수관(33)의 가압링(33-z)을 마감돌기(34-c)까지 압착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때 상기 삿갓형 외향플랜지는 구조상의 방향성으로 인하여 결합은 쉽게되나 분리는 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중간돌기(34-b)는 오링의 역활을 하여 물의 누수를 차단시키며 상기 가압링(33-z)은 삿갓형 외향플랜지(34-a)를 통과하여 상기 중간돌기(34-b)를 압착시킴으로써 누수가 2중차단되게 한다.
그리고 사용후 물때의 청소필요성이 있을 때는 상기 가압링(33-z)만 후퇴시키면 쉽게 분리된다.
따라서 상기 급수도관(33,34)은 착탈이 손쉬워 도관내부의 세척이 자유스러우므로 물탱크의 저수양이 증가될 때 나타날 수 있는 물때의 세척문제가 해결된다.
즉,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가습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두개의 물탱크에 의해 급수되므로 저수시간이 비교적 장시간이나, 상기 급수도관에 의하여 세척이 자유로워 청결이 유지된다.
본 고안의 원적외선 열탕가습기는 내부회로(미도시)와 연결된 2개의 회전스위치가 상측에 부착되어 있는 데, 하나는 급수센서를 제어시켜 가습량이 조절되게 하고, 나머지 하나는 원적외선의 세기가 조절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 원적외선램프를 구동시키는 내부회로나 열탕의 열량을 조절하는 회로는 종래에 널리 알려진 기술방식이며, 본 고안의 요지가 아니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또 다른 특징중 하나는 증기를 분무시키는 노즐(10) 대신 증기 안내장치가 교체장착되는 것이다.
상기 증기 안내장치는 분사유도뚜껑(70)과 증기안내도관(120) 및 분사코크(100)로 이루어 진다.
이하 도6, 도7 도8을 참고로 하여 상기 증기 안내장치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의 증기 안내통로 단면도이고, 도7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의 증기 안내통로 사시도이며, 도8은 본 고안에 따른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의 분사유도뚜껑 저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증기 안내장치는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관체(101)와 손잡이로 구성된 분사코크(100)와, 이중관로로 되어 내부관로(121)로 증기를 안내시키고 외부관로(122)로 내부증기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안내시키는 증기안내관체(120)와, 상기 분사관체(101)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구(90)의 안내에 의하여 상기 내부관로(121)와 결합연결되는 증기공(71)과 상기 연결구(90)의 안내에 의하여 외면에 떨어지는 응축수를 안내시키는 가이드(72)와 상기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공(78)이 형성된 분사유도뚜껑(70)으로 구성되어 상기 노즐(10)과 교체결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사용자는 상기 증기 안내장치를 교체결합시킴으로써 본 고안의 열탕(40)과 이격된 거리로 증기를 안내하여 분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코크(100)에는 다수개의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관체(101) 대신 평범한 도관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증기안내장치는 열탕(40)과 이격되어 증기를 안내시키는 장치이므로 증기가 분사코크(100)까지 이동중에 응축수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응축수는 증기를 증기안내도관(120)의 외부와 내부에 같이 발생될 수 있는 데, 내부에 생기는 물의 경우에는 다시 열탕으로 환수되므로 문제없으나, 외부에 발생되는 응축수의 경우에는 실내를 더럽히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증기를 안내시키는 증기안내도관(120)은 이중관로로 형성되어 내부관로(121)로 증기를 안내시키고 외부관로(122)로 내부증기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안내시키는 증기안내관체(120)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외부관로(122) 내부에 발생되는 응축수는 외부관로(122)를 따라 상기 분사유도뚜껑(70)의 외면으로 흘러내려 가이드(72)에 의한 안내로 배출공(78)으로 배출된다.
상기 응축수의 이동은 본 고안의 증기 안내통로(41)의 상단에 형성된 안내유로(45)에 의하여 이동이 연속되는데 자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상기 증기 안내통로(41)는 저면에 열탕에서 발생된 증기가 통과되는 빗살통공이 형성된 원통컵으로써, 종단부에서 외향으로 환형돌설된 안착부(42)와 상기 안착부 상면(원통입구측)에 환형돌설된 2개의 내외측 돌기부(45-a, 45-b)에 의해 형성되어 응축수를 안내시키고 저면일측에 하측으로 돌설된 돌설통공(43)이 형성된 안내유로(45)와 상기 안내유로(45)의 돌설통공(43)과 결합되어 안내유로(45)상의 응축수를 하측으로 안내시키는 응축수토출관(80)과 상기 응축수토출관(80)에서 안내되는 응축수가 저장되는 응축수탱크(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환형돌설된 안착부(42)는 증기안내통로(41)에서 외향플랜지로 형성된 부분을 의미하며, 본체의 하우징에 안착시키기 위한 날개부분이고, 상기 안내유로(45)는 상기 안착부에 따라 환형 돌설된 2개의 돌기부(45-a, 45-b)에 의하여 형성되는 응축수 경로를 의미한다.
상기 안내유로(45)에는 하측으로 돌설된 돌설통공(43)이 형성되어 응축수가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응축수는 돌설통공(43)과 결합된 응축수토출관(80)을 통하여 응축수탱크(85)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안내유로(45)는 분사유도뚜껑(70)의 배출공(78) 직하방에 위치되는 반경을 가지고 형성된다.
즉 상기 응축수의 경로를 요약하면, 증기안내관체(120)의 외부관로(122) 내측에서 응축된 응축수는 외부관로(122)의 단부에 형성된 연결구(90)와 분사유도뚜껑(70)의 가이드(72)의 안내에 의하여 배출공(78)으로 배출되고, 상기 응축수는 안내유로(45)를 따라 이동하여 돌설통공(43)에 결합된 응축수토출관(80)을 따라 응축수탱크(85)에 저장된다.
본 고안의 또다른 특징은 상기 증기 안내장치에 의한 원거리분무와 직접적인 근거리분무가 선택적으로 결정된다는 것이다.
자세하게는 상기 분사유도뚜껑(70)이 상기 분사관체의 내부관로(121)와 연결되는 증기공(71)과 독립된 별도의 토출공(78)이 형성된 외부디스크(70-a)와, 회전스위치(75)와 연동되어 회전되며, 회전각에 따라 상기 증기공(71)과 토출공(78)이 선택적으로 하나씩 만나거나 동시에 만나게하는 안내통공(77)이 형성된 내부디스크(70-b)로 구성되어서, 상기 토출공(78)을 통한 가습기의 직접분무와 상기 분사관체(101)를 통한 안내분무가 선택적으로 결정되는 것이다..
즉 회전스위치(75)의 회전각에 의하여 외부디스크의 증기공(71) 또는 토출공(78)과 내부디스크(70-b)의 안내통공(77)들이 만나거나 이격되어 증기 안내통로를 형성시킴으로써, 증기공을 통한 분무와 토출공을 통한 분무가 선택적으로 결정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요지를 요약하면, 본 고안은 통상의 열탕가습기에 원적외선램프(20)를 결합시킨 것으로, 한방 향기가 방향될 수 있도록 한방통(50-a, 50-b)을증기 안내통로(41)에 내삽시키되 상기 한방통(50-a, 50-b)이 2중구조의 컵으로 되고, 급수도관(33,34)의 분리결합이 쉬워 청결유지가 손쉬우며, 특히 증기안내장치가 노즐(10)과 교체결합되어 열탕(40)과 떨어진 원거리상에 증기를 안내시키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이다.
이상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르면 원적외선이 제공되고 가습시에 실내의 향기를 개선시키며 건강에 이익이 되는 한방 약재향이 공급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2개의 물탱크가 물을 급수 시킴으로써 장시간 물을 교체할 필요가 없으며, 급수도관 내부의 청소와 증기안내통로 내부의 청소가 손쉬운 원적외선 열탕가습기가 제공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가습기가 설치된 장소와 이격된 거리에 증기를 안내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7)

  1. 물탱크와 급수도관과 열탕과 증기안내통로와 노즐로 구성되는 열탕식 가습기에 있어서,
    수증기를 안내시켜 외부로 토출시키는 노즐(10)이 상측에 안치되고 내측에 한방재료를 안치시키는 한방통(50-a, 50-b)이 거치되는 증기안내통로(41)와;
    전면에 부착되어 전방을 향하여 원적외선을 방사시키는 원적외선램프(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통(50-a, 50-b)은,
    상측 외주면에 빗살형 증기통로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수납공간이 형성된 한방통 물받이컵(50-a)과;
    상기 한방통 물받이컵(50-a)에 거치되고, 하측면에 빗살형 증기통로가 형성되어 한방재료를 안치시키는 한방통 찜컵(50-b)으로 구성되어,
    증기의 안내경로가 열탕(40), 증기안내통로(41), 한방통 물받이컵 상측 빗살형 증기통로, 한방통 찜컵 하측 빗살형 증기통로로 형성되며 증기의 열이 한방재료를 찜질하여 한방 약재향이 증기와 함께 방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적외선램프(20)가 부착되는 하우징 전면의 원적외선램프 소켓마운트(23)에는
    다수개의 통공으로 된 공기통로(24)을 형성시켜 원적외선 구동시 발생되는 원적외선 주변부의 열이 상기 공기통로(24)을 통하여 이동되도록하여 원적외선 소켓마운트 주변을 냉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도관(33,34)은
    급수관(33)과 결합도관(34)의 결합으로 구성되고,
    상기 결합도관(34)은 T자형으로 형성된 도관으로써 각 종단부에 삿갓형 외향 플랜지(34-a)가 형성되고, 상기 외향플랜지(34-a)에서 후측으로 이격되어 낮게돌설된 중간돌기(34-b)와 상기 중간돌기(34-b)에서 후측으로 이격되어 결합길이를 제한시키기 위하여 높게돌설된 마감돌기(34-c)가 형성되며,
    상기 급수관(33)은 외주면에 가압링(33-z)이 끼워지며, 종단부에 상기 가압링의 탈출을 저지시키는 외향플랜지가 형성되어 2개의 물탱크가 급수도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된 분사관체(101)와 손잡이로 구성된 분사코크(100)와;
    이중관로로 되어 내부관로(121)로 증기를 안내시키고 외부관로(122)로 내부증기에 의해 응축된 응축수를 안내시키는 증기안내도관(120)과;
    삿갓형으로 테이퍼져 형성되고 상기 증기안내도관(120)의 단부에 연결된 연결구(90)의 안내에 의하여 상기 내부관로(121)와 결합연결되는 증기공(71)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90)의 안내에 의하여 외면에 떨어지는 응축수를 안내시키는 가이드(72)와 상기 응축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공(78)이 형성된 분사유도뚜껑(70);으로 구성되는 증기 안내장치와 교체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도뚜껑(70)은
    상기 증기안내도관(120)의 내부관로(121)와 연결되는 증기공(71)과, 독립된 별도의 토출공(78)이 형성된 외부디스크(70-a)와;
    상기 외부디스크(70-a)의 중심에 형성된 회전스위치(75)와 연동되고, 상기 회전스위치(75)의 회전각에 의하여 상기 증기공(71)과 토출공(78)이 선택적으로 하나씩 결정되거나 동시에 결정되게하는 안내통공(77)이 형성된 내부디스크(70-b)로 구성되어,
    상기 토출공(78)을 통한 가습기의 직접분무와 상기 분사관체(101)를 통한 안내분무를 선택적으로 결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7. 제1항 또는 제5항 또는 제6항의 어느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안내통로는 저면에 빗살형 증기통로가 형성되는 원통컵구조로서,
    종단부에서 외향으로 환형돌설된 안착부(42)와;
    상기 안착부에 환형돌설된 2개의 내외측 돌기부(45-a, 45-b)에 의해 형성되는 안내유로와;
    상기 안내유로(45)의 저면일측에서 하측으로 돌설된 돌설통공(43)과
    상기 안내유로(45) 저면의 돌설통공(43)과 결합되어 안내유로(45)상의 응축수를 하측으로 안내시키는 응축수토출관(8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응축수토출관(80)에서 안내되는 응축수가 응축수 토출관에 연결된 응축수탱크(85)에 저장되는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KR2020010035720U 2001-11-20 2001-11-20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KR2002657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720U KR200265723Y1 (ko) 2001-11-20 2001-11-20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720U KR200265723Y1 (ko) 2001-11-20 2001-11-20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723Y1 true KR200265723Y1 (ko) 2002-02-25

Family

ID=730710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720U KR200265723Y1 (ko) 2001-11-20 2001-11-20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72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890B1 (ko) * 2010-07-01 2012-12-18 정병기 분무캡
KR101843117B1 (ko) 2017-03-22 2018-03-28 이향진 가습기능이 있는 젖병 가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890B1 (ko) * 2010-07-01 2012-12-18 정병기 분무캡
KR101843117B1 (ko) 2017-03-22 2018-03-28 이향진 가습기능이 있는 젖병 가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44949A (zh) 一种上加水加湿器
KR100562368B1 (ko) 부항쑥뜸기 및 이를 사용한 부항쑥뜸 시스템
CN111043690A (zh) 一种新型的加湿器
JP3207337B2 (ja) サウナ室用芳香発生及び加湿装置並びにこれを備えたサウナ浴装置
KR200265723Y1 (ko) 원적외선 열탕가습기
CN208475536U (zh) 一种上加水加湿器
KR200457010Y1 (ko) 의자형 좌훈기
CN101091624B (zh) 一种过热蒸气煎烤器
CN209019420U (zh) 一种冷热雾化蒸脸器
JP6690029B2 (ja) タンブラー結合型加湿器
CN208989623U (zh) 家用熏蒸仪
CN108542751A (zh) 家用熏蒸仪
KR20050038294A (ko) 가열식 가습기
CN219001116U (zh) 一种肿瘤科用中药喷雾熏蒸装置
CN210812520U (zh) 吸式节能型艾针灸熏蒸一体机
CN2162251Y (zh) 中药喷雾治疗杯
RU220231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итопаротерапии "прасковья"
CN211451255U (zh) 一种新型的加湿器
KR0137246Y1 (ko) 쑥찜팩이 착탈가능한 증기샤워장치
CN209726419U (zh) 一种蒸发天然药物分子的蒸汽加湿器
CN1331964A (zh) 一种双散热器式医疗保健蒸浴设备
KR200406971Y1 (ko) 생약 액체추출물 좌훈 장치가 구비된 비데
KR200266500Y1 (ko) 약탕기능을 겸한 초음파 가습기
KR200244247Y1 (ko) 쑥찜기
CN111905204B (zh) 一种雾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