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045Y1 -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 - Google Patents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045Y1
KR200276045Y1 KR2020020005414U KR20020005414U KR200276045Y1 KR 200276045 Y1 KR200276045 Y1 KR 200276045Y1 KR 2020020005414 U KR2020020005414 U KR 2020020005414U KR 20020005414 U KR20020005414 U KR 20020005414U KR 200276045 Y1 KR200276045 Y1 KR 2002760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tension head
fastener tension
piece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54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파우 린
Original Assignee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20200200054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0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0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045Y1/ko

Links

Abstract

패스너(fastener)를 평탄화할 수 있고, 패스너 인장 헤드를 순조롭게 인장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패스너 인장 헤드를 인장할 때에 쉽게 실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을 요구한다.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와 인장편을 가지고, 또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에는 상판부와 바닥판부를 가지고, 상기 상판부와 바닥판부와의 사이에 두 개의 활주조(滑走槽)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와 바닥판부의 일단에 각각 두 개의 평면부와 오목조를 형성하고 있고, 상기 인장편이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의 상판부에 추 부착 결합되어, 이에 의해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ZIPPER SLIDE}
본 고안은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이나 스틸 등의 재료에 의해 제조되어, 패스너를 평면화할 수 있고, 패스너 인장 헤드를 순조롭게 인장할 수 있는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에는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a)와 인장편(11a)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인장편(11a)은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a)에 추 부착되고, 또 인장편(11a)을 당김으로써 패스너 인장 헤드를 이동하여, 패스너의 결합이나 석방을 제어한다.
또한,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a)에 가압편(12a)이 설치된다. 상기 가압편(12a)에는 계지부(13a)를 가지고, 상기 계지부(13a)는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a)의 상부를 관통하여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a)의 내부에 진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패스너의 톱니부(20a)에 계지되어, 인장편(11a)이 당겨지지않는 경우에 패스너 인장 헤드가 계지 고정 상태를 나타내어, 자기(自己) 록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를 형성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종래의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는, 진(jeans) 직물 재료에 사용되는 경우, 진 직물 재료가 물세탁 후에 수축을 일으켜, 패스너에 물결 형상의 주름 형상을 형성하여 패스너가 평탄하지 않으므로, 패스너 인장 헤드를 잡아당기는 것이 순조롭게 이루어지지 않아, 사용자의 사용에 불편함을 초래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설명으로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종래의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의 경우에는, 실제의 사용에 있어서 분명히 불편함과 결점을 가지고 있어, 개선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 고안의 고안자는 상기 여러 과제가 개선될 수 있음을 감지하고, 연구 개발을 진행하는 동시에, 학술의 운용을 아울러 설계가 합리적으로 상기 여러 과제를 효과적으로 해소할 수 있는 본 고안을 제출하기에 이르렀다.
본 고안은, 인장편을 잡아 당겨 패스너 인장 헤드를 이동하여, 패스너에서 활주시켜, 패스너의 톱니부의 결합을 제어하는 경우에, 평면부에 의해 패스너를 맞닿게 하여 평탄화 작용을 제공하고, 이 때문에 본 고안에 의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를 진바지 등의 직물 재료에 적용할 수 있고, 직물 재료가 물세탁 후에 수축을 일으켜 패스너를 울퉁불퉁하게 형성시키는 경우에 본 고안의 평면부에 의해 패스너를 평탄화할 수 있어, 패스너 인장 헤드를 순조롭게 인장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패스너 인장 헤드를 인장할 때에 쉽게 실행할 수 있는, 순조롭게 인장가능한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주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와 인장편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에는 상판부와 바닥판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판부와 바닥판부와의 사이에 두 개의 활주조가 형성되고, 상기 상판부와 바닥판부의 일단에 각각 두 개의 평면부와 오목조를 형성하여, 상기 인장편이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의 상판부에 추 부착 결합되어, 이에 의해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패스너와 패스너 인장 헤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
11 : 상판부 11a : 인장편
12 : 바닥판부 12a : 가압편
13 : 연접부 13a : 계지부
14 : 활주조 15 : 추 부착 베이스
16 : 추 부착 구멍 17 : 가압편 고정편
18 : 보링(boring) 20 : 인장편
21 : 추 부착부 22 : 접촉편
30 : 가압편 31 : 고정부
32 : 계지부 40 : 패스너
41 : 톱니부 111 : 평면부
112 : 안내면 113 : 오목조
121 : 평면부 122 : 안내면
123 : 오목조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최적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하지만, 이들의 설명에 의한 구성이 단순히 본 고안의 최적 실시예에 지나지 않고, 본 고안의 구성을 협의(狹義)적으로 정의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미리 언명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를 제공하며, 본 실시예에서 자기 록식 패스너 인장 헤드를 서술했지만, 이와 같은 자기 록식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패스너 인장 헤드의 경우에도 실시가능하다.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는 금속이나 스틸 등의 재료에 의해 제조되고, 이에는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와 인장편(20)과 가압편(30)을 가지고, 그 중,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에는 상판부(11)와 바닥판부(12)를 가지고, 상기 상판부(11)가 바닥판부(12)의 상방의 적당한 거리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부(11)와 상기 바닥판부(12)와의 사이를 연접부(13)에 의해 연접하고, 상기 상판부(11)와 상기 바닥판부(12)와의 사이에 두 개의 활주조(14)가 형성되고, 이들의 활주조(14)가 각각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의 내부의 연접부(13)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어, 패스너를 수납할 수 있다.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의 상판부(11)의 상면부에 두 개의 추 부착 베이스(15)가 설치되고, 이들의 두 개의 추 부착 베이스(15)에 각각 추 부착 구멍(16)을 가지고, 그 외에 상판부(11)의 한 쪽의 단 가장자리부의 근방에 두 개의 고정편(17)이 설치되고, 또 그 외의 단 가장자리부에 보링(18)이 형성된다.
인장편(20)은 장형의 편체이고, 그 일단에 추 부착부(21)를 가지고, 상기 추 부착부(21)에 접촉편(22)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장편(20)의 추 부착부(21)가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의 추 부착 베이스(15)의 추 부착 구멍(16)에 추 부착되어, 인장편(20)을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의 상부에 추 부착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가압편(30)은 바람직한 탄성을 가지는 재료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그 일단에 고정부(31)를 가지는 동시에, 타단부에 계지부(32)를 가진다. 상기 가압편(30)은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의 상부의 두 개의 추 부착 베이스쌍(15)의 사이에 수납되고, 상기 가압편(30)의 일단의 고정부(31)는 두 장의 고정편쌍(17)에 압착 고정되어, 가압편(30)을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의 상부의 두 개의 추 부착 베이스쌍(15)의 사이에 위치 결정되도록 하고, 또 가압편(30)의 계지부(32)를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의 상부의 보링(18)에 관통시켜, 활주조(14) 내에 진입시킴으로써 패스너의 톱니부에 계지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주로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의 상판부(11)와 바닥판부(12)의 일단에 각각 두 개의 평면부(111, 121)를 형성하고, 이들의 평면부(111, 121)가 직접적으로 상기 상판부(11)와 상기 바닥판부(12)의 일단의 좌우 양측에 성형되고, 이들의 평면부(111, 121)의 가장자리부에 경사면 형상이나 원호면 형상의 안내면(112, 122)을 형성하고 있다. 그 외에, 평면부(111, 121)의 전방 가장자리부의 안쪽에 각각 “V”자형을 나타내는 오목조(113, 123)를 형성하고 있다.
본 고안의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는 두 개의 활주조(14)에 의해 패스너(40)(도 6 참조)에 결합할 수 있는 동시에, 인장편(20)을 이용하여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를 잡아당김으로써 패스너(40)의 톱니부의 결합 및 석방을 제어할 수 있어, 인장편(20)이 잡아당겨졌을 때, 상기 인장편(20)의 추 부착부(21)의 접촉편(22)이 바깥쪽을 향해 가압편(30)을 밀어붙여, 계지부(32)를 연동하여 바깥 쪽으로 이동하여 패스너(40)의 톱니부(41)로부터 이탈하여, 인장편(20)에 의해 패스너(40)에서 활주할 수 있도록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를 잡아당기면, 패스너(40)의 톱니부의 결합이나 석방을 제어할 수 있다. 인장편(20)이 풀린 경우에 상기 인장편(20)의 추 부착부(21)의 접촉편(22)이 바깥 쪽으로 가압편(30)을 밀어붙이는 힘을 제거하여, 가압편(30)의 계지부(32)를 패스너(40)의 톱니부(41)에 계지되도록 복위시켜,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를 계지 고정하는 상태가 되게 한다.
본 고안은 주로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10)에 평면부(111, 121)를 형성하는 것으로, 인장편(20)을 잡아당겨 패스너 인장 헤드를 패스너(40)에서 활주시켜, 패스너를 폐쇄하도록 제어할 때에, 상기 상판부(11)와 바닥판부(12)의 일단에 설치되는 평면부(111, 121)가 먼저 패스너(40)를 접촉하여, 패스너(40)를 상하 평면부(111, 121)의 사이에 배치할 수 있고, 또 상기 오목조(113, 123)가 톱니부(41)를 피하는 것에 이용할 수 있고, 상기 평면부(111, 121)에 의해 먼저 패스너(40)를 맞닿게 하여(도 6 참조), 이에 따라 평탄화 작용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본 고안은 진 직물 재료 등의 경우에 이용가능하며, 직물 재료가 물세탁 후에 수축 현상을 일으켜, 패스너를 울퉁불퉁하게 되도록 형성시킨 경우에 본 고안의 평면부에 의해 패스너를 평탄화할 수 있고, 패스너 인장 헤드를 순조롭게 인장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패스너 인장 헤드를 인장할 때에 더욱 쉬워진다.
본 고안에 의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는 진바지 등의 직물 재료에 적용할 수 있고, 직물 재료가 물세탁 후에 수축을 일으켜 패스너를 울퉁불퉁하게 형성시키는 경우에 본 고안의 평면부에 의해 패스너를 평탄화할 수 있어, 패스너 인장 헤드를 순조롭게 인장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가 패스너 인장 헤드를 인장할 때에 쉽게 실행할 수 있는 고안이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산업상의 이용성과 진보성과 신규성을 가지고, 이미 실용신안등록의 요건을 만족하므로, 법에 따라 출원을 제기하지만, 심사후 조기에 등록받기를 희망한다.
또, 상기에 게재된 구조나 방법 등은 본 고안의 최적 실시예에 지나지 않고, 본 고안의 구조를 이들의 구조로만 협의적으로 제한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명세서와 도면의 내용에 따라 실시하는 모든 개조나 변경이나 일부 전용 등이 본 고안과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 모두 본 고안의 주장 범위내에 포함되는 것을 이미 언명하였다.

Claims (6)

  1. 상판부와 바닥판부를 가지고, 또 상판부와 바닥판부와의 사이에 활주조가 형성되고, 상판부와 바닥판부의 일단에 각각 두 개의 평면부를 가지고, 상기 평면부의 안쪽에 오목조가 형성되는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와,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의 상판에 추 부착 결합외는 인장편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의 상판의 상면부에 추 부착 베이스가 설치되고, 또 상기 인장편의 일단에 추 부착부를 가지고, 상기 인장편의 추 부착부가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의 추 부착 베이스에 추 부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의 상판의 단 가장자리부 근방에 고정편이 설치되고,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의 상부에 가압편이 설치되고, 이들의 일단에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가압편의 일단의 고정부가 상기 고정편에 압착 고정되어, 가압편을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의 상부에 위치 결정하고, 상기 가압편의 타단에 계지부를 가지고, 상기 계지부가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의 상판의 다른 단 가장자리부 근방에 보링이 설치되고, 상기 가압편의 계지부는 상기 보링을 관통하여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의 내부에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스너 인장 헤드 본체의 평면부는 상기 상판부와 바닥판부의 일단의 좌우 양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평면부의 안쪽에 있는 오목조는 “V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
KR2020020005414U 2002-02-23 2002-02-23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 KR2002760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414U KR200276045Y1 (ko) 2002-02-23 2002-02-23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5414U KR200276045Y1 (ko) 2002-02-23 2002-02-23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045Y1 true KR200276045Y1 (ko) 2002-05-18

Family

ID=73073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414U KR200276045Y1 (ko) 2002-02-23 2002-02-23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0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549B1 (ko) 2007-08-20 2012-06-11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부착된 은폐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20160001219U (ko) * 2014-10-03 2016-04-14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마찰 저항을 낮추는데 사용되는 지퍼 헤드 어셈블리 및 그 슬라이딩 부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549B1 (ko) 2007-08-20 2012-06-11 와이케이케이 가부시끼가이샤 개방 분리 끼움 삽입구가 부착된 은폐 슬라이드 파스너용 슬라이더
KR20160001219U (ko) * 2014-10-03 2016-04-14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마찰 저항을 낮추는데 사용되는 지퍼 헤드 어셈블리 및 그 슬라이딩 부재
KR200481441Y1 (ko) 2014-10-03 2016-09-30 충 츠완 엔터플라이즈 컴퍼니 리미티드 마찰 저항을 낮추는데 사용되는 지퍼 헤드 어셈블리 및 그 슬라이딩 부재
US9687050B2 (en) 2014-10-03 2017-06-27 Chung Chwan Enterprise Co., Ltd. Zipper head assembly structure for decreasing frictional resistance and sliding member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44019B2 (ja) カムロックバックル
DE69942504D1 (de) Schnalle
JP3355524B2 (ja) タイヤハウスカバー取付構造
JP3088816U (ja) 隠し式ファスナー引っ張りヘッド構造
KR200276045Y1 (ko) 순조롭게 인장가능한 패스너 인장 헤드 구조
CN209062981U (zh) 拉拔器结构
US20070277354A1 (en) Slide fastener
JP5138450B2 (ja) 二部材組み付け構造
JP3778340B2 (ja) ベルト連結具
JP3087434U (ja) 順調に引っ張り可能なファスナー引っ張りヘッド構造
JP4399377B2 (ja) バックル
JP2009018003A (ja) 紐係止具
CN201592753U (zh) 折叠自行车车架用折叠器装置
JP2010014209A (ja) 構造用枠材の連結具
JP2006204638A (ja) バックル
CN219613224U (zh) 一种拉扣
CN212104364U (zh) 一种排水塞连动装置
JP3314300B2 (ja) トノカバー装置の取付装置
CN211287094U (zh) 锁扣
JPH0715997U (ja) ロールスクリーン固定装置
JPH0849324A (ja) パーティションの連結構造
KR970002794Y1 (ko) 릴낚시대용 릴시이트에 있어서 릴의 고정장치
JP3085129U (ja) クリップ体
JP5589104B2 (ja) 竪樋取付具
KR200224279Y1 (ko) 뒤시트등받이의몰드패드에커버를씌워고정시키는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