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927Y1 -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 - Google Patents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927Y1
KR200274927Y1 KR2020020003733U KR20020003733U KR200274927Y1 KR 200274927 Y1 KR200274927 Y1 KR 200274927Y1 KR 2020020003733 U KR2020020003733 U KR 2020020003733U KR 20020003733 U KR20020003733 U KR 20020003733U KR 200274927 Y1 KR200274927 Y1 KR 2002749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arm
crusher
fixed
exca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7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식
Original Assignee
김재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식 filed Critical 김재식
Priority to KR20200200037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9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9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927Y1/ko

Links

Landscapes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굴삭기 아암에 부착하여 교량이나 폐 건축물을 철거하는데 사용되는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서, 크러셔 전방으로 전자석 원리를 이용한 마그네트를 부착시켜 교량이나 건축물의 콘크리트, 철근, 빔 등을 절단 및 파쇄작업과 동시에 철근 및 고철덩어리만을 선별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철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굴삭기의 아암에 결착되어 버킷 실린더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지는 고정 암과, 상기 고정 암의 내부 중심부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 암을 포함하는 고정식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암의 저면으로, 굴삭기 본체에 내설된 밧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석 성질을 갖는 마그네트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를 그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The fixing crusher attached magnet}
본 고안은 굴삭기 아암에 부착하여 교량이나 폐 건축물을 철거하는데 사용되는 고정식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크러셔 전방으로 마그네트를 부착시켜 교량이나 건축물의 콘크리트, 철근, 빔 등을 절단 및 파쇄작업과 동시에 철근 및 고철덩어리만을 선별하여 회수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철거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징식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러셔(crusher)는 굴삭기 아암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굴삭기 프론트 작업장치의 하나로서 건물 등의 해체 시 건물 파쇄작업, 콘크리트덩어리 분쇄작업, 또는 철근 절단작업 등에 사용되는 장비이다.
이러한 크러셔에는 회전여부에 따라 고정식 크러셔와 회전식 크러셔가 있는데, 고정식 크러셔는 크러셔가 굴삭기 아암에 고정되어 회전이 불가능한 것이고, 회전식 크러셔는 굴삭기 아암을 중심 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동되는 크러셔는 폐 건축물 철거 공사현장에서 사용할 경우 회전식 크러셔에 의해 1차 대량 철거작업을 거친 후 2차로 고정식 크러셔를 이용하여 1차 작업에 의해 분쇄 및 파쇄되지 않은 작은 콘크리트나 철근 등을 잘게 부수게 된다.
여기서, 도 1은 상기와 같이 2차 작업을 수행하는 고정식 크러셔의 대표적인 일례를 도시한 크러셔의 측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고정식 크러셔(12)는 굴삭기 아암(14)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브라켓이 버킷 실린더(18)와 결합되어 유압에 의해 회동 가능한 고정 암(5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 암(5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는 작동암(5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암(54)은 두 개의 핀(72,74)을 통해 굴삭기 아암(14)과 버킷 링키지(16)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작동암(56)은 고정 암(54) 중심부의 힌지점(58)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고정암(54)은 버킷 실린더(18)의 작동에 의해 움직이고 상기 작동암(56)은 고정 암(54)에 고정되어 있는 작동암 실린더(62)의 작동에 의해 움직인다.
상기, 고정 암(54)의 상부는 굴삭기의 아암(14) 및 링키지(16)의 선단에 핀 결합 할 수 있도록 두 개의 핀 구멍이 형성된 브라켓(71)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하부 선단에는 콘크리트구조물 등을 찍어 분쇄하기 위한 찍기 부재(73)가 설치되어 있고, 내측에는 덩어리를 물거나 부수기 위한 이빨(55) 및 철근 등을 절단하기 위한 커터날(57) 등의 작업도구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작동암(56)은 고정 암(54) 중심부의 피봇점(58)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고정 암(54)에 핀 결합되어 있고, 내측에는 이빨(55)과 커터날(56)이 부착형성 되며, 바깥쪽 상부에는 작동암(56)을 구동 시는 작동암 실린더(62)의 실린더 로드(64)가 핀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암 실린더(62)는 도시되지 않은 유압모터와 연통되는 유압호스(67)와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 크러셔(12)의 고정 암(54)은 버킷 실린더(18)의 작동에 의해 아암 선단의 힌지점(74)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작동암(56)은 작동암 실린더(62)의 작동에 의해 고정턱(54)의 중심부에 있는 힌지점(58)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조를 지니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고정식 크러셔는 1차 작업으로 회전식 크러셔에 의해 폐 건축물 및 교량 등을 파쇄한 후 파쇄된 철근 및 고철 덩어리 등을 절단하게 되는데, 이때 잘게 절단된 철근 및 고철덩어리는 종래와 같은 크러셔에 의해 회수가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절단된 철근 및 고철덩어리를 수집 및 회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인력을 동원하여 수작업에 의해 회수하게끔 작업이 진행 되므로서 그에 따른 작업비용이 증가 및 인력이 소모되었으며, 수작업을 행함에 따른 안전사고발생 등의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또한, 잘게 부서진 철근 가루가 공사현장의 지표면에 묻혀 지표면이 중금속 등에 의해 오염되는 등의 환경오염에 적잖은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원의 단락에 의해 작동되는 마그네트(전자석)를 크러셔에 부착하여, 마그네트에 의해 파쇄된 철근 구조물 및 고철덩어리를 수집 및 회수 하므로서 철근 파쇄에 따른 고철의 수집인력을 필요치 않게 함은 물론, 그에 따른 작업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마그네트에 의해 지표면에 흐트러진 자그마한 고철덩어리 까지 회수 할 수 있어 중금속 등으로 인해 지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도록 한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식 크러셔의 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3은 본 고안의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에 따른 마그네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의 굴삭기 장착상태에 따른 사용상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위에 대한 부호 설명>
1...굴삭기 본체 10...마그네트
20...제어반 100...마그네트 코일 덮개판
102,102'...상하판 104...자력판
110...마그네트 배선라인 120...전원 연결 콘넥터
130..크러셔 작동 유압라인 200...전원 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의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굴삭기의 아암에 결착되어 버킷 실린더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지는 고정 암과, 상기 고정 암의 내부 중심부의 힌지점을 기준으로 유압실린더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암을 포함하는 고정식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암의 저면으로, 굴삭기 본체에 내설된 밧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석 성질을 갖는 마그네트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를 제공하므로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의 그 중앙으로 마그네트 코일이 내설된 마그네트 코일 덮개판이 형성되며, 상기 덮게 판의 양면으로는 마그네트를 보호하기 위한 상판과 하판이 부착되며, 상기 상판 전면으로 마그네트의 자석 전극을 바꿔주기 위한 적어도 한개 이상의 자력판이 구성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에 전원인가 스위치가 굴삭기 본체 밧데리와 전원 선에 의해 연결되어 굴삭기 운전실 내에 제어반으로 설치되며, 상기 스위치로부터 인가 받은 전원을 마그네트에 공급하기 위한 배선라인이 굴삭기 아암의 측부를 통해 연장 형성되며, 마그네트 사용에 따른 배선라인의 전원 연결을 위해 상기 아암의 측면으로 장착되는 콘넥터가 구성된다.
따라서, 굴삭기의 운전실내의 제어반에 설치된 전원 스위치를 통해 굴삭기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인가하여 크러셔 부착된 마그네트에 전원을 공급 차단함으로써, 자석의 성질을 이용하여 파쇄된 고철이나 철근 등을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의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에 따른 마그네트를 도시한 사시도 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의 굴삭기 장착상태에 따른 사용상태 측면도로서, 앞서 종래 크러셔와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였으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된 마그네트가 부착된 크러셔는, 굴삭기의 아암(14)에 결착되어 버킷 실린더(18)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지는 고정 암(54)과, 상기 고정 암(54)의 내부 중심부의 힌지점(58)을 기준으로 유압실린더(62)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암(56)을 포함하여 상기 작동암(56)이 유압실린더(62)에 의한 회동작용에 의해 철거작업 및 철거된 고철을 분쇄하는 고정식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암(54)의 저면으로, 굴삭기 본체(1)에 내설된 밧데리(미도시 됨)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석 성질을 갖는 마그네트(10)가 부착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10)는 그 중앙으로 마그네트 코일(미도시 됨)이 내설된 마그네트 코일 덮개판(100)이 형성된다.
또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덮개판(100)의 양면으로는 코일이 내설된 마그네트(10)를 보호하기 위한 상판(102)과 하판(102')이 부착 형성되며, 상기 상판 전면으로 마그네트(10)의 자석 전극을 바꿔주기 위한 적어도 한개 이상의 자력판(104)이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마그네트(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마그네트(10)에전원 을 인가하는 전원 스위치(200)가 굴삭기 본체(1) 밧데리와 전원 선에 의해 연결되어 굴삭기 운전실 내에 제어반(20)으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200)로 부터 인가 받은 전원을 마그네트(10)에 공급하기 위한 배선라인(110)이 굴삭기 아암(14)의 측부를 통해 크러셔까지 연장 형성되며, 아암(14)의 일측에 콘넥터(120)를 부착하여 마그네트(10) 사용에 따른 배선라인(110)의 전원을 연결 또는 차단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상태를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적용된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의 작동상태 및 효과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참조 도면 도 3에 도시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가 부착된 크러셔는 굴삭기 본체(1)에 내설된 밧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운전실 내의 제어반(20)에 설치된 전원스위치(200)를 온(ON)위치에 위치시키게 되면, 밧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배선라인(110)을 통해 크러셔(12) 저면에 부착된 마그네트(10)에 인가되는데, 물론 이러한 배선라인(110)은 아암(14)을 통해 크러셔(12)의 고정 암(54) 내부까지 연장 내설되어 마그네트(10)의 하판(102')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따라서, 밧데리로부터 공급된 전원은 마그네트 배선라인(110)을 통해 마그네트에 내설된 코일에 전류를 흘려보내게 되어 자력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종래 통용 화된 전자석을 만드는 원리와 동일하다. 이에, 상기와 같이 전류의 흐름에 의해 발생된 자력은 자력판(104)을 통해 철과 니켈과 같은 강자성체 물질들을 흡착할수 있게된다.
따라서, 전자석의 강한 흡착력에 의해 철거된 철근 등을 흡착하게 되고, 흡착된 철근 등을 덤핑하기 위해서 전원스위치를 오프(OFF)에 위치시켜 전원을 차단하면, 마그네트의 흡착력이 제거되어 덤핑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듯, 상기와 같은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전원스위치의 동작으로만 철거 작업현장에서 크러셔에 의해 철거작업을 행함과 동시에 철거된 폐 건축물로 부터 고철이나 철근 등을 수거할 수 있어 조작이 편리하며, 작업의 효율성이 증가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굴삭기 아암(14)에 부착된 마그네트 배선라인(110)을 연결하기 위한 콘넥터(120)는 굴삭기 프론트 장비(Front attachment)를 교체하거나, 크러셔(12)에 부착된 마그네트(10)의 비 사용시 배선라인을 탈착 시킬 수 있도록 하여 밧데리 소모나 그로 인한 기계류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는, 철거작업과 동시에 파쇄된 철구조물등을 회수할 수 있으며, 회수작업에 따른 별도의 인력이 필요치 않아 작업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 할 수 있으며, 잘게 절단된 자그마한 고철 티끌까지 회수할 수 있어 중금속에 의해 지표면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온 오프 스위치 동작을 통해 간단하게 철근을 흡착, 분리가 스피디하게 진행되어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굴삭기의 아암(14)에 결착되어 버킷 실린더(18)에 의해 회동이 이루어지는 고정 암(54)과, 상기 고정 암(54)의 내부 중심부의 힌지점(58)을 기준으로 유압실린더(62)에 의해 작동되는 작동암(56)을 포함하는 고정식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고정 암(54)의 저면으로, 굴삭기 본체(1)에 내설된 밧데리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어 전자석 성질을 갖는 마그네트(1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10)는 그 중앙으로 마그네트 코일이 내설된 마그네트 코일 덮개판(100)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판(100)의 양면으로는 마그네트를 보호하기 위한 상판(102)과 하판(102')이 부착되며, 상기 상판(102)전면으로 마그네트의 자석 전극을 바꿔주기 위한 적어도 한개 이상의 자력판(104)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
  3. 제 1항에 있어서, 마그네트(1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스위치(200)가 굴삭기 본체(1) 밧데리와 전원 선에 의해 연결되어 굴삭기 운전실 내에 제어반(20)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원 스위치(200)로 부터 인가 받은 전원을 마그네트(10)에 공급하기 위한 마그네트 배선라인(110)이 굴삭기 아암(14)의 측부를 통해 크러셔로 연장 형성되며, 마그네트(10) 사용에 따른 배선라인의 전원 연결을 위해 상기 아암의 측면으로 장착되는 전원 연결 콘넥터(120)가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
KR2020020003733U 2002-02-05 2002-02-05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 KR2002749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733U KR200274927Y1 (ko) 2002-02-05 2002-02-05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733U KR200274927Y1 (ko) 2002-02-05 2002-02-05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927Y1 true KR200274927Y1 (ko) 2002-05-13

Family

ID=731173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733U KR200274927Y1 (ko) 2002-02-05 2002-02-05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92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933B1 (ko) 2006-12-22 2007-06-14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굴삭기용 스크랩 마그네트
KR101874052B1 (ko) * 2017-06-30 2018-07-04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중장비용 크러셔
KR102041613B1 (ko) 2019-06-03 2019-11-06 이은봉 건물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8933B1 (ko) 2006-12-22 2007-06-14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굴삭기용 스크랩 마그네트
KR101874052B1 (ko) * 2017-06-30 2018-07-04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중장비용 크러셔
KR102041613B1 (ko) 2019-06-03 2019-11-06 이은봉 건물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57970A (ja) コンクリート破砕機
JP2577181B2 (ja) 万能解体機
KR200274927Y1 (ko)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
US20200023371A1 (en) Double acting demolition device and utility machine for demolishing structures
CN207513225U (zh) 一种多功能液压剪
JP6165122B2 (ja) 作業機械
WO1992018708A1 (en) Concrete deck pulverizer
KR101524665B1 (ko) 고형물 쇄석기
JP2005009220A (ja) 蓋付バケット
JPH06240889A (ja) 切断機付き油圧ブレーカ
JPH067182Y2 (ja) 塊状コンクリ−ト破砕装置
JPH09287162A (ja) 掘削機用バケット
JP2004190330A (ja) 移動式作業車
JP2003213720A (ja) 土木機械
JP3017584U (ja) 圧砕装置
CN211621152U (zh) 一种沥青路面快速切割破碎装置
KR200164811Y1 (ko) 다용도 고정식 크라샤
KR200257227Y1 (ko) 유압식항타기가 장착된 크라샤
JP3986646B2 (ja) 磁石付圧砕機
JP4739614B2 (ja) 破砕機
CN210217212U (zh) 建筑物液压拆除装置
KR200366878Y1 (ko) 건설장비의 죠오 결합장치
KR200313974Y1 (ko) 도로 공사용 건설장비
WO1992018709A1 (en) Heavy duty mobile demolition tool
JPH0743196Y2 (ja) 鋼剪断兼用剥離破砕用アタッチメン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