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1613B1 - 건물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방법 - Google Patents

건물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1613B1
KR102041613B1 KR1020190065077A KR20190065077A KR102041613B1 KR 102041613 B1 KR102041613 B1 KR 102041613B1 KR 1020190065077 A KR1020190065077 A KR 1020190065077A KR 20190065077 A KR20190065077 A KR 20190065077A KR 102041613 B1 KR102041613 B1 KR 1020416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driving
water
rota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50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은봉
Original Assignee
이은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은봉 filed Critical 이은봉
Priority to KR10201900650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16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16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16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02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rot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건물 철거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건물 철거장치는, 건물의 외벽과 이격되어 건물의 둘레에 따라 설치되는 설치 구조물에 지지되는 주행 가이드유닛과, 주행 가이드유닛에 지지되고 주행 가이드유닛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건물로 물을 분사하는 이동식 살수유닛을 포함하며, 이동식 살수유닛은, 주행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부와, 주행부에 지지되고 주행 가이드유닛에 연결되며 주행부를 이동시키는 주행 구동부와, 주행부에 지지되며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와, 주행부에 지지되고 물 분사부에 연결되며 물 분사부를 주행부의 이동방향인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분사부용 회전부와, 분사부용 회전부에 지지되고 물 분사부에 연결되며 물 분사부를 제1축 방향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분사부용 틸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물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방법{Building demolition device and demoli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물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물 철거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나 분진을 줄일 수 있는 건물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은 사회적 변화와 경제발전에 의해 건물의 수명이 구조적 수명 보다 줄어들게 되었고, 건축물의 기능적 측면이나 설비의 보완, 지진이나 화재 등에 의한 자연재해의 발생, 도시 재개발 등 공공적인 요소들로 인해 노후 건물(old building)의 철거작업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노후 건물의 해체를 위하여 기계화 장비 및 인력을 동원한 건물 철거공법에는 핸드 브레이커, 스틸볼, 워터제트, 대형 브레이커 또는 크러셔(crusher) 등을 이용한 철거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특히, 크러셔를 이용한 공법은 건물 해체 시 능률이 좋고 콘크리트와 철근 해체에 적합하며, 다른 공법들에 비해 소음과 진동이 비교적 작기 때문에 도심지역 철거 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크러셔를 이용한 공법으로 건물을 철거하는 경우, 분진이나 먼지가 다량으로 발생하여 환경오염을 유발함으로써, 주변 환경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건축물의 철거 시에는 파쇄 작업 지점에 물을 살수해야 한다.
또한, 건축물의 철거작업 시에 발생되어 비산된 먼지와 분진 등은 철거 작업자에게 호흡기 곤란 등의 증상을 유발하게 되므로, 작업 중에는 파쇄 작업 지점에 살수를 하여 먼지나 분진 등의 비산을 방지하여야 한다.
종래에는 크러셔 운전자와 별도로 파쇄 작업 지점 가까이에 살수 작업자를 배치하고, 이러한 살수 작업자로 하여금 호스를 통해 물을 살수하여 먼지나 분진의 비산을 방지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식의 경우 파쇄 작업 지점 가까이에 배치된 살수 작업자는 일부라도 비산된 먼지를 흡입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인해 호흡기 곤란 등의 증상이 발생하게 되며, 살수 작업자의 추가 배치로 인한 노동 임금의 상승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크러셔 운전자는 크러셔의 이동 및 방향회전 시 살수 작업자의 안전을 고려해서 철거작업을 진행해야 하므로 철거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74927호(2002.04.29.)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별도의 살수 작업자 없이 파쇄 작업 지점에 물을 살수할 수 있으며, 크러셔와 같은 파쇄기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파쇄기의 위치에 간섭되지 않고 파쇄 작업 지점으로 물을 용이하게 살수할 수 있는 건물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건물의 외벽과 이격되어 상기 건물의 둘레에 따라 설치되는 설치 구조물에 지지되는 주행 가이드유닛; 및 상기 주행 가이드유닛에 지지되고 상기 주행 가이드유닛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건물로 물을 분사하는 이동식 살수유닛을 포함하는 건물 철거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살수유닛은, 상기 주행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부; 상기 주행부에 지지되고 상기 주행 가이드유닛에 연결되며, 상기 주행부를 이동시키는 주행 구동부; 상기 주행부에 지지되며, 상기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 상기 주행부에 지지되고 상기 물 분사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 분사부를 상기 주행부의 이동방향인 제1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분사부용 회전부; 및 상기 분사부용 회전부에 지지되고 상기 물 분사부에 연결되며, 상기 물 분사부를 상기 제1축 방향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분사부용 틸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구동부는, 상기 주행부에 장착되는 주행용 구동모터부; 상기 주행 가이드유닛에 결합되는 랙기어부; 및 상기 주행용 구동모터부에 결합되며, 상기 랙기어부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용 회전부는, 상기 주행부에 상기 제2축 방향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몸체부; 상기 회전 몸체부에 결합되며, 상기 분사부용 틸팅부가 연결되는 연결용 샤프트부; 및 상기 주행부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몸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용 틸팅부는, 상기 물 분사부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용 샤프트부에 상기 제1축 방향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 몸체부; 및 상기 연결용 샤프트부에 지지되고 상기 틸팅 몸체부에 연결되며, 상기 틸팅 몸체부를 회전시키는 틸팅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 분사부는, 말단부에 분사노즐이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물이 유동되는 물 유동로가 형성되는 분사관; 및 상기 분사관에 연통되고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관으로 물을 전달하는 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는, 상기 회전 몸체부의 외주면에 결합된 링기어부; 상기 링기어부에 치합되는 회전용 연결기어부; 및 상기 주행부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용 연결기어부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용 연결기어부를 회전시키는 회전용 구동모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틸팅 구동부는, 상기 연결용 샤프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 실린더 본체부; 및 상기 가압 실린더 본체부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틸팅 몸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 실린더 로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행 가이드유닛은, 상기 설치 구조물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며, 상기 주행부에 마련되는 주행용 슬라이딩 블록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 가이드 레일; 및 상기 베이스부에 장착되고 상기 주행 가이드 레일에 연결되며, 상기 주행 가이드 레일을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상기 제1축 방향과 상기 제2축 방향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으로 상대이동시키는 레일 위치 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 위치 조정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고정되며, 상기 주행 가이드 레일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가이드부; 상기 베이스부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행 가이드 레일에 마련된 나사공에 치합되는 스크류 샤프트부; 및 상기 스크류 샤프트부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부를 회전시키는 핸들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술한 건물 철거장치를 이용한 철거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주행 가이드유닛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부와, 주행부를 이동시키는 주행 구동부와,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와, 물 분사부를 회전시키는 분사부용 회전부 및 분사부용 틸팅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살수유닛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작업자 없이 파쇄 작업 지점에 물을 살수할 수 있으며, 크러셔와 같은 파쇄기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파쇄기의 위치에 간섭되지 않고 파쇄 작업 지점으로 물을 용이하게 살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철거 작업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철거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이동식 살수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를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은 도 2의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이동식 살수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6는 도 2의 주행 가이드유닛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는 도 6의 'A'의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도면에 예시하고 이에 대해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설명에 앞서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용어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물 철거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동식 살수유닛이 도시된 도면이며, 도 3은 도 2를 우측에서 바라본 상태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4은 도 2의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5는 도 2의 이동식 살수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6는 도 2의 주행 가이드유닛의 내부가 도시된 도면이며, 도 7는 도 6의 'A'의 확대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철거장치는,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S)의 외벽과 이격되어 건물(S)의 둘레에 따라 설치되는 설치 구조물(G)과, 설치 구조물(G)에 지지되는 주행 가이드유닛(100)과, 주행 가이드유닛(100)에 지지되고 주행 가이드유닛(10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건물(S)로 물을 분사하는 이동식 살수유닛(200)과, 건물(S)의 벽면 및 기둥 등을 파쇄하는 크러셔(crusher, 미도시)와, 이동식 살수유닛(200)에 연결되어 이동식 살수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유닛(미도시)를 포함한다.
설치 구조물(G)은 건물(S)의 외벽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건물(S)의 둘레에 따라 설치된다. 이러한 설치 구조물(G)은, 건물(S) 철거 공사 때 작업자들이 높은 곳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비계(scaffold)와 같은 임시가설물로서, 철거 작업에 의해 발생된 폐기물의 운반이나 작업자의 이동 통로 등으로 사용된다.
도 1에 자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설치 구조물(G)은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지지 기둥부(미도시)와, 지지 기둥부(미도시)에 결합되어 지지 기둥부(미도시)를 연결하며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개의 결합 바아(미도시)를 포함한다.
주행 가이드유닛(100)은 설치 구조물(G)에 지지된다. 이러한 주행 가이드유닛(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구조물(G)의 상부에 배치되는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동식 살수유닛(200)을 먼저 설명하고 주행 가이드유닛(100)은 후술한다.
이동식 살수유닛(200)은 주행 가이드유닛(100)에 지지된다. 이러한 이동식 살수유닛(200)은, 주행 가이드유닛(10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크러셔(미도시)가 건물(S)의 벽면 및 기둥 등을 파쇄하고 있는 파쇄 작업 지점으로 물을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살수유닛(200)은, 도 2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가이드유닛(100)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부(210)와, 주행부(210)에 지지되고 주행 가이드유닛(100)에 연결되며 주행부(210)를 이동시키는 주행 구동부(220)와, 주행부(210)에 지지되며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230)와, 주행부(210)에 지지되고 물 분사부(230)에 연결되며 물 분사부(230)를 주행부(210)의 이동방향인 제1축 방향(X)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분사부용 회전부(240)와, 분사부용 회전부(240)에 지지되고 물 분사부(230)에 연결되며 물 분사부(230)를 제1축 방향(X)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분사부용 틸팅부(250)를 포함한다.
주행부(210)는 주행 가이드유닛(100)을 따라 이동된다. 이러한 주행부(210)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 몸체부(211)와, 주행 몸체부(211)에 결합되며 주행 가이드유닛(100)의 후술할 주행 가이드 레일(120)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용 슬라이딩 블록(213)을 포함한다.
주행 몸체부(211)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형이 사각의 박스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주행 몸체부(211)는 물 분사부(230)와 분사부용 회전부(240) 및 분사부용 틸팅부(250)를 지지한다.
주행용 슬라이딩 블록(213)은 주행 몸체부(211)에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 주행용 슬라이딩 블록(213)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주행 구동부(220)는 주행 몸체부(211)에 지지되고 주행 가이드유닛(100)에 연결된다. 이러한 주행 구동부(220)는 주행부(210)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주행 구동부(220)는, 도 2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부(210)에 장착되는 주행용 구동모터부(221)와, 주행 가이드유닛(100)에 결합되는 랙기어부(223)와, 주행용 구동모터부(221)에 결합되며 랙기어부(223)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부(222)를 포함한다.
주행용 구동모터부(221)는 주행 몸체부(211)에 장착된다. 이러한 주행용 구동모터부(221)는 정방향 회전 및 역방향 회전이 가능하다.
랙기어부(223)는 주행 가이드유닛(100)의 후술할 베이스부(110)의 상면에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된다.
피니언 기어부(222)는 주행용 구동모터부(221)에 결합된다. 이러한 피니언 기어부(222)는 랙기어부(223)에 치합된다. 본 실시예에서 피니언 기어부(222)는 주행용 구동모터부(221)로부터 정방향 회전력 및 역방향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랙기어부(223)에 치합된 피니언 기어부(222)의 정방향 및 역방향 회전에 의해 이동식 살수유닛(200)이 제1축 방향(X)으로 전진 및 후진한다.
물 분사부(230)는 주행부(210)에 지지된다. 이러한 물 분사부(230)는 크러셔(미도시)의 파쇄 작업 지점으로 물을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물 분사부(230)는, 도 2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부에 분사노즐(미도시)이 결합되며 내부에 물이 유동되는 물 유동로(미도시)가 형성되는 분사관(231)과, 분사관(231)에 연통되고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분사관(231)으로 물을 전달하는 공급관(232)을 포함한다.
분사관(23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긴 파이프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러한 분사관(231)의 말단부에는 분사노즐(미도시)이 결합되며, 분사노즐(미도시)은 크러셔(미도시)의 파쇄 작업 지점으로 물을 분사한다. 분사관(231)의 내부에는 분사노즐(미도시)에 연통되며 물이 유동되는 물 유동로(미도시)가 마련된다.
공급관(232)은 분사관(231)에 연통된다. 이러한 공급관(232)은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펌프(미도시)에 연결되어 분사관(231)으로 물을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서 공급관(232)은, 도 2 및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관(231)에 연통되는 공급용 주름관(232a), 공급용 주름관(232a)에 연통되며 물 공급펌프(미도시)에 연결되는 공급용 플렉시블관(232b)을 포함한다.
공급용 주름관(232a)은 분사관(231)에 연통된다. 이러한 공급용 주름관(232a)은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벨로우즈(bellows) 형상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급용 주름관(232a)은 길이가 가변될 수 있는 벨로우즈(bellows) 형상으로 마련됨으로써, 분사관(231)이 공급용 주름관(232a)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회전 및 틸팅될 수 있다.
공급용 플렉시블관(232b)은 공급용 주름관(232a)에 연통되고 물 공급펌프(미도시)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급용 플렉시블관(232b)은, 이동식 살수유닛(200)의 이동거리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의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고무와 같이 휘어질 수 있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급용 플렉시블관(232b)이 유연성이 있는 플렉시블(flexible)한 재질로 마련됨으로써, 주행부(210)가 공급용 플렉시블관(232b)에 영향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다.
분사부용 회전부(240)는 주행부(210)에 지지되고 물 분사부(230)에 연결된다. 이러한 분사부용 회전부(240)는 물 분사부(230)를 주행부(210)의 이동방향인 제1축 방향(X)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분사부용 회전부(240)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행부(210)에 제2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몸체부(241)와, 회전 몸체부(241)에 결합되며 분사부용 틸팅부(250)가 연결되는 연결용 샤프트부(242)와, 주행부(210)에 지지되고 회전 몸체부(241)에 연결되며 회전 몸체부(241)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243)를 포함한다.
회전 몸체부(241)는 주행 몸체부(211)에 제2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회전 몸체부(241)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연결용 샤프트부(242)는 회전 몸체부(241)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연결용 샤프트부(242)에는 분사부용 틸팅부(250)가 연결된다.
회전 구동부(243)는 주행 몸체부(211)에 지지되고 회전 몸체부(241)에 연결된다. 이러한 회전 구동부(243)는 회전 몸체부(241)를 회전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회전 구동부(243)는, 도 2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몸체부(241)의 외주면에 결합된 링기어부(245)와, 링기어부(245)에 치합되는 회전용 연결기어부(246)와, 주행부(210)에 결합되고 회전용 연결기어부(246)에 연결되며 회전용 연결기어부(246)를 회전시키는 회전용 구동모터부(247)를 포함한다.
링기어부(245)는 회전 몸체부(241)의 외주면에 결합된다. 이러한 링기어부(245)는 원형의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외주면에 기어치가 마련된다.
회전용 연결기어부(246)는 링기어부(245)에 치합된다. 이러한 회전용 연결기어부(246)는 원형의 디스크 형상으로 마련되며, 회전용 연결기어부(246)의 가장자리 영역에는 링기어부(245)의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마련된다.
회전용 구동모터부(247)는 주행 몸체부(211)의 상면에 결합되고 회전용 연결기어부(246)에 연결된다. 이러한 회전용 구동모터부(247)는 회전용 연결기어부(246)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회전 몸체부(241)를 회전시킨다.
분사부용 틸팅부(250)는 분사부용 회전부(240)에 지지되고 물 분사부(230)에 연결된다. 이러한 분사부용 틸팅부(250)는 물 분사부(230)를 제1축 방향(X)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틸팅)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사부용 틸팅부(250)는, 도 2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물 분사부(230)가 결합되며 연결용 샤프트부(242)에 제1축 방향(X)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 몸체부(251)와, 연결용 샤프트부(242)에 지지되고 틸팅 몸체부(251)에 연결되며 틸팅 몸체부(251)를 회전시키는 틸팅 구동부(252)를 포함한다.
틸팅 몸체부(251)에는 분사관(231)이 장착된다. 이러한 틸팅 몸체부(251)는 연결용 샤프트부(242)에 제1축 방향(X)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틸팅) 가능하게 결합된다.
틸팅 구동부(252)는 연결용 샤프트부(242)에 지지되고 틸팅 몸체부(251)에 연결된다. 이러한 틸팅 구동부(252)는 틸팅 몸체부(251)를 회전(틸팅)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틸팅 구동부(252)는, 도 2 내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용 샤프트부(2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 실린더 본체부(254)와, 가압 실린더 본체부(254)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틸팅 몸체부(2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 실린더 로드부(255)를 포함한다.
가압 실린더 본체부(254)가 연결용 샤프트부(242)에 힌지 결합되고 가압 실린더 로드부(255)가 틸팅 몸체부(251)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가압 실린더 로드부(255)의 가압 실린더 본체부(254)에 대한 상대이동에 의해 틸팅 몸체부(251)가 회전(틸팅)되고, 그에 따라 분사관(231)이 제1축 방향(X)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철거장치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관(231)을 제2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분사부용 회전부(240)와 분사관(231)을 제1축 방향(X)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분사부용 틸팅부(250)를 구비함으로써, 물의 분사각도 및 분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크러셔(미도시)의 위치에 간섭되지 않고 파쇄 작업 지점으로 물을 용이하게 살수할 있다.
한편, 주행 가이드유닛(100)은 이동식 살수유닛(200)을 지지하며 이동식 살수유닛(200)의 이동을 안내한다. 본 실시예에서 주행 가이드유닛(10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데, 건물(S)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의 주행 가이드유닛(100)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러한 주행 가이드유닛(100)은, 도 2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 구조물(G)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에 연결되며 주행부(210)에 마련된 주행용 슬라이딩 블록(213)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 가이드 레일(120)과, 베이스부(110)에 장착되고 주행 가이드 레일(120)에 연결되며 주행 가이드 레일(120)을 베이스부(110)에 대해 제1축 방향(X)과 제2축 방향(Z)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Y)으로 상대이동시키는 레일 위치 조정부(13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설치 구조물(G)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베이스부(110)에는 설치 구조물(G)의 지지 기둥부(미도시)와 결합 바아(미도시)에 클램핑되는 클램퍼(미도시)가 마련된다.
또한, 베이스부(110)에는 주행 가이드 레일(120)의 베이스부(110)에 대한 제3축 방향(Y)의 상대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절개되는 여유 절개부(P)가 마련된다. 이러한 여유 절개부(P)는 주행 가이드 레일(120)의 폭의 크기(제3축 방향(Y)의 길이)보다 긴 길이를 가지는 형상으로 마련된다.
주행 가이드 레일(120)은 베이스부(110)에 지지된다. 이러한 주행 가이드 레일(120)에는 주행용 슬라이딩 블록(213)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행 가이드 레일(120)은 2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러한 주행 가이드 레일(120)에는, 레일 위치 조정부(130)의 후술할 레일 가이드부(131)가 관통하는 가이드용 관통공(H1)과, 레일 위치 조정부(130)의 후술할 스크류 샤프트부(132)가 치합되는 나사공(H2)가 마련된다. 나사공(H2)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마련된다.
레일 위치 조정부(130)는 베이스부(110)에 장착되고 주행 가이드 레일(120)에 연결된다. 이러한 레일 위치 조정부(130)는 주행 가이드 레일(120)을 베이스부(110)에 대해 제3축 방향(Y)으로 상대이동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건물(S)의 크기에 따라 다수개의 주행 가이드유닛(100)을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각각의 주행 가이드유닛(100)들에 마련된 주행 가이드 레일(120)의 위치(제3축 방향(Y)의 위치) 또는 주행 가이드 레일(120) 사이의 간격에 작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차이는 제작 상의 오차 또는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변형에 의해 유발되는데, 주행 가이드유닛(100)들에 마련된 주행 가이드 레일(120)의 위치(제3축 방향(Y)의 위치) 또는 주행 가이드 레일(120) 사이의 간격에 작게라도 차이가 있을 경우 이동식 살수유닛(200)이 주행 가이드 레일(12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기 어렵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레일 위치 조정부(130)가 주행 가이드 레일(120)을 베이스부(110)에 대해 제3축 방향(Y)으로 싱대이동시켜 주행 가이드유닛(100)들에 마련된 주행 가이드 레일(120)의 위치(제3축 방향(Y)의 위치) 또는 주행 가이드 레일(120) 사이의 간격을 동일하게 한다.
이러한 레일 위치 조정부(130)는, 도 2 내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부(110)에 고정되며 주행 가이드 레일(12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가이드부(131)와, 베이스부(11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주행 가이드 레일(120)에 마련된 나사공(H2)에 치합되는 스크류 샤프트부(132)와, 스크류 샤프트부(132)에 결합되며, 스크류 샤프트부(132)를 회전시키는 핸들부(133)를 포함한다.
레일 가이드부(131)는 베이스부(110)에 고정된다. 이러한 레일 가이드부(131)는 주행 가이드 레일(120)에 형성된 가이드용 관통공(H1)을 관통한다. 이러한 레일 가이드부(131)에는 주행 가이드 레일(12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크류 샤프트부(132)는 베이스부(11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스크류 샤프트부(13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마련되며, 스크류 샤프트부(132)의 외주면에는 나사산과 주행 가이드 레일(120)의 나사공(H2)의 내주면에 마련된 나사산이 치합되어 스크류 샤프트부(132)와 주행 가이드 레일(120)이 치합된다.
핸들부(133)는 스크류 샤프트부(132)에 결합되어 스크류 샤프트부(132)를 회전시킨다. 이러한 핸들부(133)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 샤프트부(132)를 회전되고, 스크류 샤프트부(132)의 회전에 의해 스크류 샤프트부(132)에 치합된 주행 가이드 레일(120)이 제3축 방향(Y)으로 이동된다.
한편, 크러셔(미도시)는 건물(S)의 벽면 및 기둥 등을 파쇄한다. 이러한 크러셔(미도시)는, 자율이동이 가능한 크러셔 본체(미도시)와, 크러셔 본체에 연결되며 복수의 붐이 절첩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플레이싱 붐(미도시)과, 플레이싱 붐에 연결되며 철거 대상물[건물(S)]을 파쇄하는 파쇄 죠(미도시)를 포함한다. 운전자는 크러셔 본체(미도시)에 탑승하여 크러셔(미도시)를 조작한다.
한편, 제어유닛(미도시)은 이동식 살수유닛(200)에 연결되어 이동식 살수유닛(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제어유닛(미도시)은 주행용 구동모터부(221)와 회전용 구동모터부(247) 및 틸팅 구동부(252)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주행용 구동모터부(221)와 회전용 구동모터부(247) 및 틸팅 구동부(252)를 제어한다.
본 실시예의 제어유닛(미도시)은 작업자의 조작신호를 입력받는 입력부(미도시)와, 입력부(미도시)에서 입력받은 조작신호를 제어신호로 변환하는 연산부(미도시)와, 연산부(미도시)와 연결되며 제어신호를 주행용 구동모터부(221)와 회전용 구동모터부(247) 및 틸팅 구동부(252) 송신하는 무선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러한 제어유닛(미도시)은 크러셔(미도시)에 장착되어 크러셔(미도시)의 운전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건물 철거장치는 크러셔(미도시)의 운전자가 직접 이동식 살수유닛(200)도 조작할 수 있어 별도의 살수 작업자를 필요로 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건물 철거장치를 이용한 철거 방법을 도 1 내지 도 7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건물 철거장치를 이용한 철거 방법은, 이동식 살수유닛(200)이 주행 가이드유닛(100)을 따라 이동되어 파쇄 작업 지점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되는 초기 이동단계와, 분사부용 회전부(240)가 물 분사부(230)를 회전시키는 회전단계와, 분사부용 틸팅부(250)가 물 분사부(230)를 회전(틸팅)시키는 틸팅단계와, 물 분사부(230)가 물을 파쇄 작업 지점으로 분사하는 분사단계와, 이동식 살수유닛(200)이 주행 가이드유닛(100)을 따라 다음 파쇄 작업 지점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되는 다음 작업용 이동단계를 포함한다.
초기 이동단계에서는 이동식 살수유닛(200)이 주행 가이드유닛(100)을 따라 이동되어 파쇄 작업 지점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다. 이러한 초기 이동단계에서는 랙기어부(223)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부(222)의 회전에 의해 이동식 살수유닛(200)이 주행한다.
회전단계에서는 분사부용 회전부(240)가 물 분사부(230)를 제2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킨다. 이러한 회전단계에서는 회전 구동부(243)의 작동에 의해 회전 몸체부(241)가 회전되고, 이에 따라 회전 몸체부(241)에 지지된 분사관(231)이 제2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틸팅단계에서는 분사부용 틸팅부(250)가 물 분사부(230)를 회전(틸팅)시킨다. 이러한 틸팅단계에서는 틸팅 구동부(252)가 틸팅 몸체부(251)의 가압에 의해 회전되고, 이에 따라 틸팅 몸체부(251)에 장착된 분사관(231)이 제1축 방향(X)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틸팅)된다.
분사단계에서는 물 분사부(230)가 파쇄 작업 지점으로 물을 분사한다. 특정 위치에서의 파쇄 작업이 끝나면 물 분사가 종료되고, 크러셔(미도시)가 다음 파쇄 작업 위치로 이동되어 다음 파쇄 작업을 준비한다.
다음 작업용 이동단계에서는 이동식 살수유닛(200)이 주행 가이드유닛(100)을 따라 다음 파쇄 작업 지점에 인접한 위치로 이동된다. 이후, 상술한 회전단계와, 틸팅단계 및 분사단계가 다시 반복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철거장치는, 주행 가이드유닛(100)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부(210)와, 주행부(210)를 이동시키는 주행 구동부(220)와,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230)와, 물 분사부(230)를 회전시키는 분사부용 회전부(240) 및 분사부용 틸팅부(250)를 포함하는 이동식 살수유닛(200)을 구비함으로써, 별도의 작업자 없이 파쇄 작업 지점에 물을 살수할 수 있으며, 크러셔(미도시)를 따라 이동될 수 있고 크러셔(미도시)의 위치에 간섭되지 않고 파쇄 작업 지점으로 물을 용이하게 살수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철거 작업의 작업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를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factor)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주행 가이드유닛 110: 베이스부
120: 주행 가이드 레일 130: 레일 위치 조정부
131: 레일 가이드부 132: 스크류 샤프트부
133: 핸들부 200: 이동식 살수유닛
210: 주행부 211: 주행 몸체부
213: 주행용 슬라이딩 블록 220: 주행 구동부
221: 주행용 구동모터부 222: 피니언 기어부
223: 랙기어부 230: 물 분사부
231: 분사관 232: 공급관
232a: 공급용 주름관 232b: 공급용 플렉시블관
240: 분사부용 회전부 241: 회전 몸체부
242: 연결용 샤프트부 243: 회전 구동부
245: 링기어부 246: 회전용 연결기어부
247: 회전용 구동모터부 250: 분사부용 틸팅부
251: 틸팅 몸체부 252: 틸팅 구동부
254: 가압 실린더 본체부 255: 가압 실린더 로드부
S: 건물 G: 설치 구조물
P: 여유 절개부 H1: 가이드용 관통공
H2: 나사공

Claims (4)

  1. 건물(S)의 외벽과 이격되어 상기 건물(S)의 둘레에 따라 설치되는 설치 구조물(G)에 지지되는 주행 가이드유닛(100); 및
    상기 주행 가이드유닛(100)에 지지되고 상기 주행 가이드유닛(100)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건물(S)로 물을 분사하는 이동식 살수유닛(200)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식 살수유닛(200)은,
    상기 주행 가이드유닛(100)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부(210);
    상기 주행부(210)에 지지되고 상기 주행 가이드유닛(100)에 연결되며, 상기 주행부(210)를 이동시키는 주행 구동부(220);
    상기 주행부(210)에 지지되며, 상기 물을 분사하는 물 분사부(230);
    상기 주행부(210)에 지지되고 상기 물 분사부(230)에 연결되며, 상기 물 분사부(230)를 상기 주행부(210)의 이동방향인 제1축 방향(X)에 교차하는 제2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분사부용 회전부(240); 및
    상기 분사부용 회전부(240)에 지지되고 상기 물 분사부(230)에 연결되며, 상기 물 분사부(230)를 상기 제1축 방향(X)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분사부용 틸팅부(250)를 포함하며,
    상기 주행 구동부(220)는,
    상기 주행부(210)에 장착되는 주행용 구동모터부(221);
    상기 주행 가이드유닛(100)에 결합되는 랙기어부(223); 및
    상기 주행용 구동모터부(221)에 결합되며, 상기 랙기어부(223)에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부(222)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용 회전부(240)는,
    상기 주행부(210)에 상기 제2축 방향(Z)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몸체부(241);
    상기 회전 몸체부(241)에 결합되며, 상기 분사부용 틸팅부(250)가 연결되는 연결용 샤프트부(242); 및
    상기 주행부(210)에 지지되고 상기 회전 몸체부(241)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몸체부(241)를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243)를 포함하며,
    상기 분사부용 틸팅부(250)는,
    상기 물 분사부(230)가 결합되며, 상기 연결용 샤프트부(242)에 상기 제1축 방향(X)을 회전 축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틸팅 몸체부(251); 및
    상기 연결용 샤프트부(242)에 지지되고 상기 틸팅 몸체부(251)에 연결되며, 상기 틸팅 몸체부(251)를 회전시키는 틸팅 구동부(252)를 포함하며,
    상기 물 분사부(230)는,
    말단부에 분사노즐이 결합되며, 내부에 상기 물이 유동되는 물 유동로가 형성되는 분사관(231); 및
    상기 분사관(231)에 연통되고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분사관(231)으로 물을 전달하는 공급관(232)을 포함하며,
    상기 주행 가이드유닛(100)은,
    상기 설치 구조물(G)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베이스부(110);
    상기 베이스부(110)에 연결되며, 상기 주행부(210)에 마련되는 주행용 슬라이딩 블록(213)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주행 가이드 레일(120); 및
    상기 베이스부(110)에 장착되고 상기 주행 가이드 레일(120)에 연결되며, 상기 주행 가이드 레일(120)을 베이스부(110)에 대해 상기 제1축 방향(X)과 상기 제2축 방향(Z)에 교차하는 제3축 방향(Y)으로 상대이동시키는 레일 위치 조정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레일 위치 조정부(130)는,
    상기 베이스부(110)에 고정되며, 상기 주행 가이드 레일(120)이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레일 가이드부(131);
    상기 베이스부(110)에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주행 가이드 레일(120)에 마련된 나사공에 치합되는 스크류 샤프트부(132); 및
    상기 스크류 샤프트부(132)에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 샤프트부(132)를 회전시키는 핸들부(133)를 포함하는 건물 철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243)는,
    상기 회전 몸체부(241)의 외주면에 결합된 링기어부(245);
    상기 링기어부(245)에 치합되는 회전용 연결기어부(246); 및
    상기 주행부(210)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용 연결기어부(246)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용 연결기어부(246)를 회전시키는 회전용 구동모터부(247)를 포함하며,
    상기 틸팅 구동부(252)는,
    상기 연결용 샤프트부(24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 실린더 본체부(254); 및
    상기 가압 실린더 본체부(254)에 상대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틸팅 몸체부(2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 실린더 로드부(255)를 포함하는 건물 철거장치.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어느 한 항의 건물 철거장치를 이용한 철거방법.
KR1020190065077A 2019-06-03 2019-06-03 건물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방법 KR1020416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077A KR102041613B1 (ko) 2019-06-03 2019-06-03 건물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5077A KR102041613B1 (ko) 2019-06-03 2019-06-03 건물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1613B1 true KR102041613B1 (ko) 2019-11-06

Family

ID=6854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5077A KR102041613B1 (ko) 2019-06-03 2019-06-03 건물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16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38759A (zh) * 2020-08-11 2020-12-29 南昌航空大学 一种可再生混凝土建筑固废物分离装置
KR20210082732A (ko) 2019-12-26 2021-07-06 정철호 건물 철거 구조물
CN114053808A (zh) * 2021-10-22 2022-02-18 长广工程建设有限责任公司 一种绿色施工抑尘装置
CN116351837A (zh) * 2023-05-24 2023-06-30 福建省南星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现场扬尘的处理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927Y1 (ko) 2002-02-05 2002-05-13 김재식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
KR100614834B1 (ko) * 2005-06-02 2006-08-22 이석현 나물 재배용 살수장치
KR200440049Y1 (ko) * 2007-05-10 2008-05-21 주식회사 미광기계 텐터기용 이송레일 폭조절장치
KR101196018B1 (ko) * 2012-06-22 2012-11-07 은하수산업 주식회사 회전형 분진제거 살수장치
KR101277497B1 (ko) * 2011-10-28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박용 살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927Y1 (ko) 2002-02-05 2002-05-13 김재식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
KR100614834B1 (ko) * 2005-06-02 2006-08-22 이석현 나물 재배용 살수장치
KR200440049Y1 (ko) * 2007-05-10 2008-05-21 주식회사 미광기계 텐터기용 이송레일 폭조절장치
KR101277497B1 (ko) * 2011-10-28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선박용 살수장치
KR101196018B1 (ko) * 2012-06-22 2012-11-07 은하수산업 주식회사 회전형 분진제거 살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732A (ko) 2019-12-26 2021-07-06 정철호 건물 철거 구조물
CN112138759A (zh) * 2020-08-11 2020-12-29 南昌航空大学 一种可再生混凝土建筑固废物分离装置
CN114053808A (zh) * 2021-10-22 2022-02-18 长广工程建设有限责任公司 一种绿色施工抑尘装置
CN116351837A (zh) * 2023-05-24 2023-06-30 福建省南星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现场扬尘的处理设备
CN116351837B (zh) * 2023-05-24 2023-08-08 福建省南星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现场扬尘的处理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1613B1 (ko) 건물 철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거방법
US20170189848A1 (en) Sensor-based motion control dust scattering suppression system
CN209809795U (zh) 一种绿色建筑工程施工用降尘喷雾装置
KR100812570B1 (ko) 터널의 발파 공사시 적용되는 비산 먼지 제거용 살수 장치
JP5044270B2 (ja) 樹脂散布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0489664B1 (ko) 워터젯 시스템의 어태치먼트장치
CN206917669U (zh) 一种分体式喷浆机械手
KR101196018B1 (ko) 회전형 분진제거 살수장치
KR102511734B1 (ko) 비산먼지 방지용 살수장치
KR20090032308A (ko) 구조물 커팅장치
CN110976383A (zh) 一种旋喷桩机的绿色施工清洗装置及清洗方法
US20220193704A1 (en) Dust suppression system
US9366136B2 (en) Device for coating tunnel walls
CN215672250U (zh) 一种隧洞内壁混凝土喷浆设备
NZ234321A (en) Cutting stone with high pressure water lance mounted on a movable support
CN210114933U (zh) 一种厂房除尘设备
CN209942173U (zh) 混凝土喷射装置
JP7369431B2 (ja) 粉塵抑制システム
JP2012012891A (ja) 粉塵抑制装置及び粉塵抑制方法
JP6575978B2 (ja) 粉塵抑制システム
JP2012254453A (ja) 樹脂散布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CN212641152U (zh) 一种用于路面施工的切割设备
CN217176689U (zh) 一种煤矿工程掘进机械用的喷雾降尘装置
JPH0631859U (ja) 解体工事用散水装置
CN220215200U (zh) 一种废弃钢筋混凝土块喷射剥离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