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052B1 - 중장비용 크러셔 - Google Patents

중장비용 크러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052B1
KR101874052B1 KR1020170083665A KR20170083665A KR101874052B1 KR 101874052 B1 KR101874052 B1 KR 101874052B1 KR 1020170083665 A KR1020170083665 A KR 1020170083665A KR 20170083665 A KR20170083665 A KR 20170083665A KR 101874052 B1 KR101874052 B1 KR 101874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usher
tooth block
magnetic plate
flange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진무
엄수용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3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0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96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 E02F3/965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arrangements for alternate or simultaneous use of different digging elements of metal-cutting or concrete-crushing imp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E04G23/082Wrecking of buildings using shears, breakers, jaws and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스블록이 한쌍의 크러셔 아암에 장착수단을 매개로 장착되는 크러셔의 투스블록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자성체의 자력을 이용하여 볼트의 체결작업없이 투스블록을 크러셔 아암에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스블록을 크러셔 아암에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중장비용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장비에 연결되는 벌크캡과, 상기 벌크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크러셔 몸체의 선단에 적어도 하나가 실린더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크러셔 아암과, 상기 한 쌍의 크러셔 아암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성판과, 상기 자성판의 자력으로 부착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투스블록과, 상기 투스블록을 상기 자성판이 부착된 한 쌍의 크러셔 아암에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중장비용 크러셔{CRUSHER FOR HEAVY EQUIPMENT}
본 발명은 중장비용 크러셔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스블록이 한쌍의 크러셔 아암에 장착수단을 매개로 장착되는 크러셔의 투스블록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자성체의 자력을 이용하여 볼트의 체결작업없이 투스블록을 크러셔 아암에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스블록을 크러셔 아암에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중장비용 크러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공사 현장 또는 토목공사 현장에서는 굴삭기와 같은 다양한 중장비가 사용되고 있는데, 공사현장의 암반 또는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과 같은 장애물을 파쇄하거나 또는 빔 또는 철근 등의 자재를 끌어내거나 절단하는 작업을 위해서는 중장비의 하나인 굴삭기의 붐대에 어태치먼트(ATTACHMENT)를 통해 크러셔(CRUSHER)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 굴삭기용 크러셔는 굴삭기 유압시스템을 이용하여 작동시키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삭기의 붐대(미도시) 선단에 어태치먼트(미도시)를 통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벌크캡과, 이 벌크캡에 선회체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몸체와, 이 몸체의 하단 양측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축과, 이 한 쌍의 힌지축을 통해 중앙부위가 회전작동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파쇄아암과, 양단이 한 쌍의 파쇄아암 후단부위에 각각 축결합되어 한 쌍의 파쇄아암 선단부위를 가위처럼 벌리거나 오므릴 수 있는 유압실린더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크러셔의 몸체에는 유압실린더와 굴삭기의 유압펌프를 연결하기 위한 유압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파쇄아암 선단에는 상호 대향하는 부위에 요철 형태의 파쇄이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유압펌프를 통해 유압실린더에 유압이 가해짐에 따라 유압실린더의 피스톤로드가 전진하며, 이로인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한 쌍의 파쇄아암 선단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함으로써 작업 대상물(골재 또는 콘트리트 구조물 등)을 물면서 파쇄할 수 있다. 파쇄아암들의 가위와 같은 동작은 유압실린더에 유압이 가해지고 빠짐에 따라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
기존 크러셔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631호 "굴삭기용 크러셔"(등록일자 : 2010.04.23)에 개시된 바와 같이, 굴삭기의 붐대에 장착되는 벌크캡과, 상기 벌크캡 선단에 선회축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선단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힌지축과, 상기 한 쌍의 힌지축에 중앙부위가 각각 결합되어 이를 중심으로 회동하며 선단부 내측으로는 요철 형태의 파쇄이가 상호 대향되게 마련된 한 쌍의 파쇄아암과, 한 쌍의 파쇄아암 후단부에 양측 단부가 각각 축결합되어 상기 파쇄아암들을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를 갖춘 굴삭기용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파쇄아암들 선단부 내측에는 상호 대향되도록 제1,제2미분장치가 각각 착탈식으로 부착되되; 상기 제1,제2미분장치는; 상기 파쇄아암의 선단부에 배치되며 마운팅볼트를 통해 상기 파쇄아암의 선단부 양측을 감싸도록 체결되는 한 쌍의 결합판과; 상기 파쇄아암의 선단부 내측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결합판의 선단부에 후면이 접합된 미분판과; 상기 미분판의 앞면에 돌출되게 마련되어 골재 폐기물을 깨뜨리기 위한 미분돌기를; 구비하는 것이다.
기존 굴삭기용 크러셔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9037호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등록일자 : 2005.03.08)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의 하단에는 회전몸체가 구비되고, 이 회전몸체의 양단에는 구동실린더가 구비되고, 이 구동실린더의 작동에 의해서는 하단에 연결된 절단부가 작동하여 콘크리트를 파쇄하는 크러셔에 있어서, 상기 양 절단부의 정면에는 제2체결공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호 맞닿게 되는 측면에는 각각 요홈과 돌기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체결공과 일치되게 제1체결공이 형성된 파쇄부가 절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콘크리트를 2차파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런데, 기존 크러셔의 경우에는 요철구조의 투스블록을 한 쌍의 크러셔 아암에 대향되게 장착시키기 위해 고정볼트를 투스블록의 결합공에 관통시키고 크러셔 아암에 형성된 볼트 체결공에 체결시키는 볼트 체결방식으로 투스블록을 크러셔 아암에 장착시키고 있으나, 볼트를 이용한 장착방식이므로, 피파쇄물을 파쇄하는 과정에서 볼트에 충격이 가해져 휨 변형 및 파손될 우려가 있으며 심하게는 투스블록이 크러셔 아암으로부터 분리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기존 볼트 체결방식의 투스블록 장착작업이 결합공과 볼트체결공을 동일 수직선상으로 일치되도록 배치시킨 후에 고정볼트를 체결해야 하므로, 볼트 체결작업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48631호 "굴삭기용 크러셔"(등록일자 : 2010.04.23)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9037호 "크러셔의 절단부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파쇄장치"(등록일자 : 2005.03.08)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투스블록이 한쌍의 크러셔 아암에 장착수단을 매개로 장착되는 크러셔의 투스블록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자성체의 자력을 이용하여 볼트의 체결작업없이 투스블록을 크러셔 아암에 장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스블록을 크러셔 아암에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중장비용 크러셔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장비에 연결되는 벌크캡과, 상기 벌크캡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몸체와, 상기 크러셔 몸체의 선단에 적어도 하나가 실린더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크러셔 아암과, 상기 한 쌍의 크러셔 아암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성판과, 상기 자성판의 자력으로 부착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요철부가 형성된 투스블록과, 상기 투스블록을 상기 자성판이 부착된 한 쌍의 크러셔 아암에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크러셔 아암의 좌,우 양측에 요홈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의 선단보다 후단의 높이가 더 높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후단의 하측으로 요홈진 안착홈이 형성된 가이드홈부와, 상기 자성판에 천공된 복수의 연결공과, 상기 자성판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스블록의 슬라이딩 이동시 록킹돌기가 진입되도록 상기 연결공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홈부의 높낮이에 대응되도록 선단과 후단의 높낮이가 다른 요홈 형태의 진입홈과, 상기 투스블록의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홈부 내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투스블록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복수개 돌출되어 상기 자성판에 대한 상기 투스블록의 슬라이딩시 상기 진입홈 내에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연결공 내에 진입되어 수용되는 록킹돌기로 구성된다.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크러셔 아암의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플랜지와, 상기 자성판에 천공된 복수의 연결공과, 상기 투스블록의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플랜지와, 상기 투스블록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복수개 돌출되어 상기 자성판에 상기 투스블록이 밀착될 경우 상기 연결공 내에 진입되어 수용되는 록킹돌기, 및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파지력을 제공하는 클램프부재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2플랜지는 상기 투스블록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와, 상기 연장부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플랜지와 밀착되는 수평부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크러셔 아암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록킹홈과, 상기 자성판의 하측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자성판이 크러셔 아암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밀착될 때 상기 록킹홈에 록킹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더 구비한다.
상기 투스블록은 바닥면을 제외한 외면에 코팅되는 절연재가 더 구비된 것이다.
본 발명의 자성판이 자력으로 크러셔 아암에 부착되면서 결합돌기가 크러셔 아암의 록킹홈에 록킹 결합되고, 투스블록이 가이드레일을 매개로 크러셔 아암의 가이드홈부에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자성판의 자력에 의해 크러셔 아암에 부착되므로, 상기 가이드레일과 가이드홈부의 결합으로 인해 크러셔 아암에 대한 투스블록의 좌,우 방향 이탈이 방지되며 제3레일부가 가이드홈부에 간섭되면서 투스블록의 상,하 방향 이탈이 방지됨과 아울러, 록킹돌기가 연결공에 수용되도록 록킹 결합됨에 따라 투스블록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이탈이 방지되어 볼트의 체결없이 투스블록을 크러셔 아암에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스블록과 크러셔 아암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결합돌기가 크러셔 아암의 록킹홈에 록킹 결합되므로 자성체의 좌,우 및 전,후 방향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자성판이 자력으로 크러셔 아암에 부착되면서 결합돌기가 크러셔 아암의 록킹홈에 록킹 결합되고, 투스블록이 자성판의 상측에 안착되면서 제1플랜지의 상측에 제2플랜지의 수평부가 면접촉된 후에 클램프부재에 의해 파지되도록 결합되면서 자성판의 자력에 의해 크러셔 아암에 부착되므로 투스블록의 상,하 방향 이탈이 방지됨과 아울러, 록킹돌기가 연결공에 수용되도록 록킹 결합됨에 따라 투스블록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이탈이 방지되어 볼트의 체결작업없이 투스블록을 크러셔 아암에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스블록과 크러셔 아암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투스블록이 바닥면을 제외한 외면에 절연재가 구비됨에 따라 콘크리트의 파쇄과정에서 철근이 투스블록에 달라붙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크러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한 쌍의 크러셔 아암 중 하나의 크러셔 아암에 자성판과 투스블록이 장착되기 전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가이드레일과 가이드홈부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투스블록이 자성판이 장착된 크러셔 아암에 슬라이딩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 투스블록의 가이드레일이 가이드홈부의 입구 선단측에 진입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 투스블록의 가이드레일이 후단측으로 슬라이딩 진입되어 가이드레일의 하부면이 안착홈에 수용되도록 진입되고 록킹돌기가 자성판의 연결공 내에 수용된 상태를 보인 조립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크러셔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조립상태도.
본 발명에 따른 중장비용 크러셔의 일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중장비에 연결되는 벌크캡(10)과, 상기 벌크캡(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러셔 몸체(20)와, 상기 크러셔 몸체(20)의 선단에 적어도 하나가 실린더(30)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크러셔 아암(100)과, 상기 한 쌍의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성판(200)과, 상기 자성판(200)의 자력으로 부착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요철부(310)가 형성된 투스블록(300)과, 상기 투스블록(300)을 상기 자성판(200)이 부착된 한 쌍의 크러셔 아암(100)에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벌크캡(10)은 중장비의 붐 선단에 어태치먼트 장비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고, 크러셔 몸체(20)를 로터리 회전시키는 모터(40)가 탑재된다.
이하에서는 한 쌍의 크러셔 아암(100)에 각각 자성판(200)이 부착되고, 각각의 장착수단에 의해 투스블록(300)이 자성판(200)이 부착된 크러셔 아암(100)에 장착되지만, 한 쌍의 크러셔 아암(100)에 자성판(200)과 투스블록(300)이 대칭되는 형태로 장착되므로, 이하의 도면에서는 하나의 크러셔 아암(100)에 장착된 것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크러셔 아암(100)의 좌,우 양측에 요홈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의 선단보다 후단의 높이가 더 높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후단의 하측으로 요홈진 안착홈(115)이 형성된 가이드홈부(110)와, 상기 자성판(200)에 천공된 복수의 연결공(210)과, 상기 자성판(2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스블록(300)의 슬라이딩 이동시 록킹돌기(330)가 진입되도록 상기 연결공(210)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홈부(110)의 높낮이에 대응되도록 선단과 후단의 높낮이가 다른 요홈 형태의 진입홈(220)과, 상기 투스블록(300)의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홈부(110) 내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0), 및 상기 투스블록(300)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복수개 돌출되어 상기 자성판(200)에 대한 상기 투스블록(300)의 슬라이딩시 상기 진입홈(220) 내에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연결공(210) 내에 진입되어 수용되는 록킹돌기(330)로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홈부(110)는 크러셔 아암(100)의 좌,우 양측에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직선 형태가 아니라 입구측의 선단보다 후단의 높이가 더 높게 형성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공(210)은 진입홈(220)의 후단과 연결된 위치에 천공 형성된다.
또한, 가이드홈부(110)는 후단측에 록킹돌기(330)가 연결공(210) 내에 진입되도록 하측으로 단턱지게 요홈진 안착홈(115)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진입홈(220)은 자성판(200)의 전면 테두리로부터 연결공(210)이 형성된 부위까지 투스블록(300)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길이방향으로 요홈지게 형성되고, 상기 록킹돌기(330)가 하나일 경우에는 하나의 진입홈(220)이 형성되지만, 보다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상기 록킹돌기(330)가 상기 투스블록(300)의 하측면에 복수개 형성된 경우 진입홈(220)이 록킹돌기(330)와 대응되는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록킹돌기(330)는 투스블록(300)의 하측면에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자성판(200)을 매개로 크러셔 아암(100)에 슬라이딩 결합할 때 진입홈(220) 내에서 슬라이딩되며 자성판(200)의 연결공(210) 내에 수용되도록 록킹 결합되고, 상기 진입홈(220) 내에서의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단부가 라운드진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레일(320)은 투스블록(300)의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1레일부(322)와, 상기 제1레일부(322)의 단부 하측으로 연장되는 제2레일부(324)와, 상기 제2레일부(324)의 하단부로부터 내측의 가이드홈부(110)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홈부(110)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제3레일부(326)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성판(200)이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상기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록킹홈(120)과, 상기 자성판(200)의 하측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자성판(200)이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밀착될 때 상기 록킹홈(120)에 록킹 결합되는 결합돌기(2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록킹홈(120)은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결합돌기(250)가 진입되어 수용되도록 요홈지게 형성되며, 투스블록(300)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기(250)는 자성체의 하부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 가공 편의상 자성판(200)에 일체로 형성되거나, 일체가 아니라 별도로 결합될 수 있으며, 비자성을 갖는 것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자성판(200)은 상부에 진입홈(220)이 형성되고, 록킹돌기(330)가 수용되도록 연결공(210)이 형성되며, 자성(磁性)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자성판(200)은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내부에 내장된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자성(磁性)을 갖게 되며, 상기 자성판(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배선은 도면에 미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투스블록(300)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콘크리트의 파쇄과정에서 나오는 철근 등의 금속소재가 자성판(200)의 자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자성판(200)의 상면에 부착되는 바닥면이 자력에 의해 자성판(200)에 부착되도록 상기 바닥면을 제외한 투스블록(300)의 외면에 절연재(301)가 코팅된다.
상기 절연재(301)는 투스블록(300)의 바닥면을 제외한 외면에 코팅되는 과정에서 단일층으로 구성되거나, 절연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절연재(301)은 절연도료가 투스블록(300)의 바닥면을 제외한 외면에 도포되거나, 절연소재의 절연물이 투스블록(300)의 바닥면을 제외한 외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투스블록(300)이 바닥면을 제외한 외면에 절연재(301)가 구비됨에 따라 콘크리트의 파쇄과정에서 철근이 투스블록(300)에 달라붙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일 실시예는 한 쌍의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자성판(200)을 자력으로 부착시키고, 각 크러셔 아암(100)에 부착된 자성판(200)의 전면에 투스블록(300)을 각각 슬라이딩 결합시킨다.
이때, 자성판(200)의 결합돌기(250)가 크러셔 아암(100)의 록킹홈(120)에 록킹 결합되도록 자성판(200)을 크러셔 아암(100)에 부착시킨다.
또한, 투스블록(300)의 결합시 투스블록(3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레일(320)의 제3레일부(326)가 크러셔 아암(10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홈부(110) 내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결합된다.
또, 가이드레일(320)과 가이드홈부(110)의 슬라이딩시 투스블록(300)의 록킹돌기(330)는 자성판(200)의 진입홈(220) 내에서 슬라이딩되고, 연결공(210)이 형성된 위치에서 안착홈(115)에 의해 투스블록(300)이 하강되면서 록킹돌기(330)가 연결공(210) 내에 수용되도록 록킹결합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홈부(110)는 선단보다 후단의 높이가 더 높게 경사진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투스블록(300)을 크러셔 아암(100)에 자성판(200)을 매개로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투스블록(300)의 슬라이딩 결합을 수행할 수 있으며, 연결공(210)에 록킹돌기(330)가 결합되기 전에 투스블록(3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자성판(200)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력으로 크러셔 아암(100)에 부착되면서 결합돌기(250)가 크러셔 아암(100)의 록킹홈(120)에 록킹 결합된다.
이후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스블록(300)을 자성판(200)이 부착된 크러셔 아암(100)에 장착하기 위해 가이드레일(320)을 가이드홈부(110)의 입구측에 걸치게 된 후에 슬라이딩 결합시킨다.
이때, 가이드레일(320)과 가이드홈부(110)의 슬라이딩 결합시 록킹돌기(330)가 진입홈(220)의 경사각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이어서, 가이드레일(320)이 가이드홈부(110)의 후단으로 슬라이딩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스블록(300)의 록킹돌기(330)는 자성판(200)의 진입홈(220) 내에서 슬라이딩되어 연결공(210)이 형성된 위치에서 안착홈(115)에 의해 투스블록(300)이 하강되면서 록킹돌기(330)가 연결공(210) 내에 수용되도록 록킹결합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투스블록(300)이 가이드레일(320)을 매개로 크러셔 아암(100)의 가이드홈부(110)에 슬라이딩 결합되면서 자성판(200)의 자력에 의해 크러셔 아암(100)에 부착되므로, 상기 가이드레일(320)과 가이드홈부(110)의 결합으로 인해 크러셔 아암(100)에 대한 투스블록(300)의 좌,우 방향 이탈이 방지되며 제3레일부(326)가 가이드홈부(110)에 간섭되면서 투스블록(300)의 상,하 방향 이탈이 방지됨과 아울러, 록킹돌기(330)가 연결공(210)에 수용되도록 록킹 결합됨에 따라 투스블록(300)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이탈이 방지되어 볼트의 체결없이 투스블록(300)을 크러셔 아암(100)에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스블록(300)과 크러셔 아암(10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결합돌기(250)가 크러셔 아암(100)의 록킹홈(120)에 록킹 결합되므로 자성체의 좌,우 및 전,후 방향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 중장비용 크러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중장비에 연결되는 벌크캡(10)과, 상기 벌크캡(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러셔 몸체(20)와, 상기 크러셔 몸체(20)의 선단에 적어도 하나가 실린더(30)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크러셔 아암(100)과, 상기 한 쌍의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성판(200)과, 상기 자성판(200)의 자력으로 부착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요철부(310)가 형성된 투스블록(300)과, 상기 투스블록(300)을 상기 자성판(200)이 부착된 한 쌍의 크러셔 아암(100)에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으로 구성되되,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와는 다른 구성을 갖는 장착수단은 상기 크러셔 아암(100)의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플랜지(150)와, 상기 자성판(200)에 천공된 복수의 연결공(210)과, 상기 투스블록(300)의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플랜지(350)와, 상기 투스블록(300)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복수개 돌출되어 상기 자성판(200)에 상기 투스블록(300)이 밀착될 경우 상기 연결공(210) 내에 진입되어 수용되는 록킹돌기(330), 및 상기 제1플랜지(150)와 제2플랜지(350)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파지력을 제공하는 클램프부재(400)로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성판(200)이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견고하게 부착되도록 상기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록킹홈(120)과, 상기 자성판(200)의 하측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자성판(200)이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밀착될 때 상기 록킹홈(120)에 록킹 결합되는 결합돌기(250)를 더 구비한다.
상기 록킹홈(120)은 결합돌기(250)가 진입되어 수용되도록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요홈지게 형성되며, 투스블록(300)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서로 이격된 4개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공(210)은 자성판(200)에 복수개 천공 형성되고, 상기 록킹돌기(330)에 대응되는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플랜지(150)는 크러셔 아암(100)의 좌,우 양측에 단턱진 구조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도 앞서 설명한 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상기 자성판(200)은 외부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내부에 내장된 코일에 전류가 흐르게 될 경우 자성(磁性)을 갖게 되며, 상기 자성판(2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 및 배선은 도면에 미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투스블록(300)은 서로 마주보는 면에 콘크리트의 파쇄과정에서 나오는 철근 등의 금속소재가 자성판(200)의 자성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자성판(200)의 상면에 부착되는 바닥면이 자력에 의해 자성판(200)에 부착되도록 상기 바닥면을 제외한 투스블록(300)의 외면에 절연재(301)가 코팅된다.
상기 절연재(301)는 투스블록(300)의 바닥면을 제외한 외면에 코팅되는 과정에서 단일층으로 구성되거나, 절연 성능을 증대시키기 위해 복수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절연재(301)은 절연도료가 투스블록(300)의 바닥면을 제외한 외면에 도포되거나, 절연소재의 절연물이 투스블록(300)의 바닥면을 제외한 외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투스블록(300)이 바닥면을 제외한 외면에 절연재(301)가 구비됨에 따라 콘크리트의 파쇄과정에서 철근이 투스블록(300)에 달라붙게 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2플랜지(350)는 상기 제1플랜지(150)에 밀착되어 면접촉되도록 상기 투스블록(300)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52)와, 상기 연장부(352)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54)와, 상기 절곡부(354)의 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플랜지(150)와 밀착되는 수평부(356)로 구성된다.
상기 클램프부재(400)는 크러셔 아암(100)의 제1플랜지(150)에 밀착된 투스블록(300)의 제2플랜지(350)를 감싸도록 맞물림 결합되도록 레버 클램프 또는 C형 클램프를 채용할 수 있으며, 그 외의 다른 종류의 클램프를 채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클램프부재(400)를 C형 클램프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상기 클램프부재(400)는 절곡된 양측 단부(410,420)가 제1,2플랜지(150,350)에 면접촉된 후에 상측단부(420)에 관통된 가압볼트(430)가 제2플랜지(350)의 수평부(356) 상측을 눌러 가압함으로써, 제1,2플랜지(150,350)를 파지하도록 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클램프부재(400)는 제1,2플랜지(150,350)의 상,하 외측에서 절곡된 양측 단부가 맞물림결합되어 제1,2플랜지(150,35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 다른 실시예는, 자성판(200)이 한 쌍의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부착되고, 이 과정에서 자성판(200)의 하부에 돌출되도록 마련된 결합돌기(250)가 크러셔 아암(100)의 록킹홈(120)에 록킹 결합되어 자성판(200)의 좌,우 및 전,후 방향 유동이 억제되도록 결합된다.
이후에, 자성판(200)의 상측에서 투스블록(300)이 자성판(200)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투스블록(300)의 하부면에 형성된 록킹돌기(330)가 자성판(200)의 연결공(210)에 록킹결합되고, 크러셔 아암(100)의 좌,우 양측에 돌출되는 제1플랜지(150)에 투스블록(300)의 좌,우 양측으로 돌출된 제2플랜지(350)의 수평부(356)가 면접촉되도록 밀착된다.
이때, 제2플랜지(350)의 연장부(352)와 절곡부(354)는 크러셔 아암(100)과 투스블록(300) 사이에 개재된 자성판(200)의 두께를 고려하여 형성된 것으로, 이에 따라 제2플랜지(350)의 수평부(356)가 제1플랜지(150)의 상측면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어서, 제1플랜지(150)와 제2플랜지(350)의 수평부(356)가 면접촉된 상태에서 제1,2플랜지(150,350)의 분리가 방지되도록 제1,2플랜지(150,350)의 외측에서 클램프부재(400)의 양측 단부를 밀착시키고 클램프부재(400)의 가압력을 제1,2플랜지(150,350) 중 적어도 하나의 플랜지에 제공하여 제1,2플랜지(150,350)가 파지되도록 조립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자성판(200)이 자력으로 크러셔 아암(100)에 부착되면서 결합돌기(250)가 크러셔 아암(100)의 록킹홈(120)에 록킹 결합되고, 투스블록(300)이 자성판(200)의 상측에 안착되면서 제1플랜지(150)의 상측에 제2플랜지(350)의 수평부(356)가 면접촉된 후에 클램프부재(400)에 의해 파지되도록 결합되면서 자성판(200)의 자력에 의해 크러셔 아암(100)에 부착되므로 투스블록(300)의 상,하 방향 이탈이 방지됨과 아울러, 록킹돌기(330)가 연결공(210)에 수용되도록 록킹 결합됨에 따라 투스블록(300)의 전,후 및 좌,우 방향 이탈이 방지되어 볼트의 체결작업없이 투스블록(300)을 크러셔 아암(100)에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스블록(300)과 크러셔 아암(100)의 결합이 견고하게 이루어지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결합돌기(250)가 크러셔 아암(100)의 록킹홈(120)에 록킹 결합되므로 자성체의 좌,우 및 전,후 방향 유동을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벌크캡 20 : 크러셔 몸체
30 : 실린더 40 : 모터
100 : 크러셔 아암 110 : 가이드홈부
115 : 안착홈 120 : 록킹홈
150 : 제1플랜지 200 : 자성판
210 : 연결공 220 : 진입홈
250 : 결합돌기 300 : 투스블록
301 : 절연재 310 : 요철부
320 : 가이드레일 322 : 제1레일부
324 : 제2레일부 326 : 제3레일부
330 : 록킹돌기 350 : 제2플랜지
352 : 연장부 354 : 절곡부
356 : 수평부 400 : 클램프부재
410,420 : 양측단부 430 : 가압볼트

Claims (6)

  1. 중장비에 연결되는 벌크캡(10)과,
    상기 벌크캡(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크러셔 몸체(20)와,
    상기 크러셔 몸체(20)의 선단에 적어도 하나가 실린더(30)에 의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크러셔 아암(100)과,
    상기 한 쌍의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자력으로 부착되는 자성판(200)과,
    상기 자성판(200)의 자력으로 부착되며 서로 마주보는 면에 요철부(310)가 형성된 투스블록(300)과,
    상기 투스블록(300)을 상기 자성판(200)이 부착된 한 쌍의 크러셔 아암(100)에 장착시키는 장착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록킹홈(120)과,
    상기 자성판(200)의 하측면에 돌출되도록 마련되어 상기 자성판(200)이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밀착될 때 상기 록킹홈(120)에 록킹 결합되는 결합돌기(25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크러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크러셔 아암(100)의 좌,우 양측에 요홈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의 선단보다 후단의 높이가 더 높게 경사지도록 형성되며 후단의 하측으로 요홈진 안착홈(115)이 형성된 가이드홈부(110)와,
    상기 자성판(200)에 천공된 복수의 연결공(210)과,
    상기 자성판(200)의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투스블록(300)의 슬라이딩 이동시 록킹돌기(330)가 진입되도록 상기 연결공(210)과 연결되고 상기 가이드홈부(110)의 높낮이에 대응되도록 선단과 후단의 높낮이가 다른 요홈 형태의 진입홈(220)과,
    상기 투스블록(300)의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홈부(110) 내에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레일(320), 및
    상기 투스블록(300)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복수개 돌출되어 상기 자성판(200)에 대한 상기 투스블록(300)의 슬라이딩시 상기 진입홈(220) 내에서 슬라이딩되고 상기 연결공(210) 내에 진입되어 수용되는 록킹돌기(3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크러셔.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착수단은 상기 크러셔 아암(100)의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1플랜지(150)와,
    상기 자성판(200)에 천공된 복수의 연결공(210)과,
    상기 투스블록(300)의 좌,우 양측에 외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제2플랜지(350)와,
    상기 투스블록(300)의 하측면에 하측으로 복수개 돌출되어 상기 자성판(200)에 상기 투스블록(300)이 밀착될 경우 상기 연결공(210) 내에 진입되어 수용되는 록킹돌기(330), 및
    상기 제1플랜지(150)와 제2플랜지(350)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파지력을 제공하는 클램프부재(4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크러셔.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플랜지(350)는 상기 투스블록(300)의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52)와,
    상기 연장부(352)의 단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부(354)와,
    상기 절곡부(354)의 단부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플랜지(150)와 밀착되는 수평부(3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크러셔.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록킹홈(120)은 크러셔 아암(100)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결합돌기(250)가 진입되어 수용되도록 요홈지게 형성되며, 투스블록(300)과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복수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크러셔.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투스블록(300)은 바닥면을 제외한 외면에 코팅되는 절연재(301)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장비용 크러셔.
KR1020170083665A 2017-06-30 2017-06-30 중장비용 크러셔 KR101874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665A KR101874052B1 (ko) 2017-06-30 2017-06-30 중장비용 크러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3665A KR101874052B1 (ko) 2017-06-30 2017-06-30 중장비용 크러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4052B1 true KR101874052B1 (ko) 2018-07-04

Family

ID=629126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3665A KR101874052B1 (ko) 2017-06-30 2017-06-30 중장비용 크러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052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927Y1 (ko) * 2002-02-05 2002-05-13 김재식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
US7108211B2 (en) * 1999-10-15 2006-09-19 Ramun John R Multiple tool attachment system
WO2008130222A1 (en) * 2007-04-18 2008-10-30 Rotar International B.V. Jaw crusher for a mobile rubble crushing device
KR20090000937U (ko) * 2007-07-25 2009-02-0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크래셔
WO2010095933A1 (en) * 2009-02-22 2010-08-26 Johan Peetoom Device for crushing, screening and demagnetising stony material
EP2001627B1 (de) * 2006-03-23 2014-10-08 WIMMER, Alois Abbruchzange
US20150144724A1 (en) * 2012-06-07 2015-05-28 Caterpillar Work Tools B.V. Jaw assembly for a demolition tool
EP2987918A1 (en) * 2014-08-18 2016-02-24 Caterpillar Work Tools B. V. Removable pin stub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08211B2 (en) * 1999-10-15 2006-09-19 Ramun John R Multiple tool attachment system
KR200274927Y1 (ko) * 2002-02-05 2002-05-13 김재식 마그네트가 부착된 고정식 크러셔
EP2001627B1 (de) * 2006-03-23 2014-10-08 WIMMER, Alois Abbruchzange
WO2008130222A1 (en) * 2007-04-18 2008-10-30 Rotar International B.V. Jaw crusher for a mobile rubble crushing device
KR20090000937U (ko) * 2007-07-25 2009-02-02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크래셔
WO2010095933A1 (en) * 2009-02-22 2010-08-26 Johan Peetoom Device for crushing, screening and demagnetising stony material
US20150144724A1 (en) * 2012-06-07 2015-05-28 Caterpillar Work Tools B.V. Jaw assembly for a demolition tool
EP2987918A1 (en) * 2014-08-18 2016-02-24 Caterpillar Work Tools B. V. Removable pin stub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0833B1 (ko) 퀵커플러의 자동 안전장치
US11885146B2 (en) Collars for use in either driving posts into or removing posts from the ground, and related methods
JPH11315551A (ja) 建設機械における迅速接続装置
KR101206003B1 (ko) 파쇄 해머와 파쇄 해머의 고정 요소, 측부판 및 보호케이싱
US6655054B1 (en) Quick hitch attachment
US2017014565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work tool to a machine
KR101422264B1 (ko) 퀵 커플러의 고정훅 안전장치
CA2358369A1 (en) Excavator coupler using fluid operated actuator
WO2020151876A1 (en) A tool bracket and a tool implement comprising such a tool bracket
KR101874052B1 (ko) 중장비용 크러셔
KR101737019B1 (ko) 백호 버킷용 퀵 히치 커플러
KR101820405B1 (ko) 퀵 커플러용 자동안전장치
AU2013216670B2 (en) Automatic safety device for quick coupler
US20200001808A1 (en) Guard assembly for a machine
KR100437486B1 (ko) 건설기계의 작업공구 체결용 퀵커플러
KR200492231Y1 (ko) 굴삭기 장착용 집게 받침대
CN215701797U (zh) 连接机构和执行设备
KR101425075B1 (ko) 퀵 체인지 결합방식을 갖는 중장비 어태치먼트 구조체
US7438494B1 (en) Tool coupler/adaptor
US9855976B2 (en) Actuation system for hood of a machine
KR101092258B1 (ko) 유압브레이커용 브라켓 절곡장치
JP5171978B2 (ja) バイブロハンマ装置
KR20170105114A (ko) 연결 어댑터
KR20210022327A (ko) 교량 슬라브 타설용 가설작업대 고정장치
KR20160041944A (ko) 건설기계용 퀵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