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888Y1 - 자동차 룸미러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룸미러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888Y1
KR200271888Y1 KR2020020001157U KR20020001157U KR200271888Y1 KR 200271888 Y1 KR200271888 Y1 KR 200271888Y1 KR 2020020001157 U KR2020020001157 U KR 2020020001157U KR 20020001157 U KR20020001157 U KR 20020001157U KR 200271888 Y1 KR200271888 Y1 KR 20027188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fixing
circular
fix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우희
Original Assignee
박우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우희 filed Critical 박우희
Priority to KR2020020001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88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88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888Y1/ko

Links

Landscapes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룸미러 고정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실내의 앞유리 중앙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룸미러의 장착시 경사식의 나사조임방식의 고정방법을 이용함으로서 룸미러가 차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룸미러 고정장치(1)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자동차용 룸미러 고정장치(1)는 크게 미러부(2), 조절나사부(5), 하우징부(7), 고정부(12)로 구분되며 미러부(2)는 전면에는 사각형태의 미러(3)와 이면에 원형고정구(4)가 형성되고 조절나사부(5)는 너트형태로서 내면에는 경사식의 암나사(6)가 형성되고 하우징부(7)는 내면에 원형고정홈(8)과 고정돌편(11)이 형성되고 외표면 가장자리에는 유선형의 수나사(9)가 형성된 고정조절편(10)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부(7)에는 이면에 접착성을 가진 고정판(12)으로 형성된 고정부(12)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조절나사부(5)를 고정조절편(10)에 회전시킴으로서 원형고정구(4)가 원형고정홈(8)에 완전하게 고정·장착이 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주행중의 진동이 있더라도 미러(3)가 완전하게 고정됨으로서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주행시의 진동으로 미러부(2)가 함부로 움직이는 경우가 많아 재설정해야 하는 어려움과 위험성을 일소할 수 있는 실용적이고도 유익한 고안이라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룸미러의 고정장치{omitted}
본 고안은 자동차의 룸미러 고정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자동차 실내의 앞유리 중앙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룸미러의 장착시 경사식의 나사조임방식의 고정방법을 이용함으로서 룸미러가 차내에 견고히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룸미러 고정장치(1)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 실내의 중앙앞유리에 통상적으로 설치되는 룸미러의 고정방법은 고정부가 전면유리에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에는 가장자리면에 소형의 원형구(球)가 형성된 곡선형의 연결바가 장착되고 상기 연결바의 원형구에는 상하좌우로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원형홈이 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미러부를 원형구에 장착함으로서 고정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상기에서 언급한 종래의 기술인 연결바의 원형구를 미러부 이면의 원형홈에 삽입·장착하여 고정하는 방법은 미러부의 원형홈내에 삽입·장착되는 원형구(球)간에 완전하게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어느정도의 유격이 있으므로 체결된 미러부를 상하좌우로 자유로이 움직여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는 반면에 어느정도의 유격으로 인해 미러부가 연결바의 원형구에 완전하게 고정되지 않음으로서 자동차의 주행으로 인한 심한 진동으로 미러부가 함부로 움직일 수 있어 후방을 보고자 할 때 주행중에 미러를 조정하여야 하는 불편함과 그에 따른 위험성이 잠재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연결바의 원형구등을 이용한 고정방법의 불편함과 위험성을 해소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고정방법은 경사식의 나사조임방식의 고정방법으로서 유리면 전면에 고정되는 고정부(12)에 경사식의 수나사(9)가 형성된 하우징부(7)의 고정조절편(10)과 고정돌편(11)이 형성된 원형고정홈에 미러부(2)의 원형고정구(4)를 장착한뒤 경사식의 암나사(6)가 형성된 조절나사부(5)를 하우징부(7)의 경사식의 수나사(9)가 형성된 고정조절편(10)에 물리적으로 완전히 회전시켜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한번 설정을 하여 장착이 되면 자동차가 주행중에 진동이 있어도 미러부(2)가 쉽게 움직이지 않으므로 별도의 조정을 하지 않는 한 미러부(2)가 하우징부(7)에 이탈하거나 설정각도가 변하지 않아 완전히 고정·장착하려는 것에 본 고안의 기술적인 과제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장착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절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미러부 3: 미러
4: 원형고정구 5: 조절나사부
6: 암나사 7: 하우징부
8: 원형고정홈 9: 수나사
10: 고정조절편 11: 고정돌편
12: 고정부 13: 고정판
14: 강력접착제 15: 앞유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룸미러 고정장치(1)는 크게 미러부(2), 조절나사부(5), 하우징부(7), 고정부(12)로 구분되며 상기의 네부분이 결합됨으로서 구성되며 각 조절나사부(5)와 하우징부(7)가 조절됨으로서 본 고안이 작용될 수 있는 것이다.
세부적인 구성을 살펴보면, 먼저 미러부(2)는 직사각형태의 미러(3)가 형성된 이면에 원형의 형태인 원형고정구(4)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하우징부(7)의 원형고정홈(8)에 삽입·고정되는 것이며, 미러부(2)와 하우징부(7)의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고정을 가능하게 하는 역할의 조절나사부(5)는 외면이 짧게 형성된 원통형의 마개형태로서 앞뒤가 개방되어 있으며 내면은 갈수록 넓게 경사진 나사형태인 암나사(6)가 형성되는 것으로 구성이 되며, 하우징부(7)는 미러부(2)의 원형고정구(4)가 삽입되기 위한 원형고정홈(8)이 형성되며 원형고정홈(8)의 내벽면에는 일정거리를 두고 복수개의 고정돌편(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원형고정홈(8)을 형성하기 위한 외면에는 전체적으로 원형의 형상이며 원형부분의 가장자리에는 연성의 pvc재질이며 유선형의 나사형태인 수나사(9)가 형성된 고정조절편(10)이 다수개 연결되어 형성되어져 구성이 되는 것이며, 상기의 하우징부(7)에는 자동차 전면의 앞유리(15)면에 직접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각의 고정판(13)이 형성되고 고정판의 이면에는 강력한 접착성을 가진 것으로서 고정부(12)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지는 본 고안의 작용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고정나사부(5)의 통공을 통해 미러부(2)의 원형고정구(4)에 체결한뒤 원형고정구(4)를 하우징부(7)의 원형고정홈(8)으로 삽입하고 이때 미러부(2)의 미러(3)부분의 각도를 사용자가 뒷부분이 잘 보이도록 각도를 설정하고 정확한 각도가 설정이 되면 조절나사부(5)를 하우징부(7)의 고정조절편(10)에 체결하여 고정하는 것으로서, 이때 조절나사부(5)의 내면에 암나사(6)면이 고정조절편(10)의 수나사(9)면에 회전시킴으로서 원형고정구(4)가 고정돌편(11)이 형성된 원형고정홈(8)에 완전하게 고정·장착이 되는 것으로서 이때 조절나사부(5)를 느슨하지 않게 완전히 회전시켜야만 조임이 되어 완전하게 고정이 될 수 있는 것이며, 사용자가 재설정을 원할 경우에는 회전시킨 조절나사부(5)를 반대로 회전시킴으로서 원형고정구(4)와 원형고정홈(8)의 고정상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다시 재설정후 처음에 하였던 대로 조절나사부(5)를 회전시켜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자동차의 룸미러 고정장치(1)에 관한 것으로서, 미러부(2)의 원형고정구(4)를 하우징부(7)의 수나사(9)가 형성된 고정조절편(10)의 내측 원형고정홈(8)에 삽입시켜 조절나사부(5)를 회전시켜 조임으로서 완전하게 고정되게금 하는 것으로서, 일단 한번 설정을 하여 고정·장착을 하게 되면 주행중의 자동차의 진동이 있더라도 쉽게 흔들리어 설정각도가 변하지 않으므로 기존의 주행중의 설정각도가 변하여 재설정하여야 하는 룸미러의 번거로움과 위험성을 해소되는 효과가 있다고 하겠다.

Claims (1)

  1. 자동차 실내의 앞유리 중앙의 상부면에 설치되는 실내 룸미러의 고정방법에 있어서;
    앞유리(15)에 접착하여 고정이 되기 위하여 이면에 강력접착제(14)가 형성된 사각의 고정판(13)으로 형성된 고정부(12)에,
    상기 고정부(12)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방이 터였으며 내벽면에는 일정간격의 복수개의 고정돌편(11)이 형성된 원형고정홈(8)이 형성되고 원형고정홈(8)의 외표면 가장자리면에는 유선형으로 경사지게 수나사(9)가 형성된 고정조절편(10)이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 하우징부(7)와,
    상기 하우징부(7)의 원형고정홈(8)에 삽입·장착되는 것으로서 전면에는 사각형태의 미러가 형성되고 이면의 중앙에는 원형고정홈(8)에 삽입되기 위한 원형의 구(球)인 원형고정구(4)가 형성된 미러부(2)와,
    상기 미러부(2)의 원형고정구(4)가 하우징부(7)의 원형고정홈(8)에 고정·장착되기 위한 것으로 외면이 너트형태이며 내면은 갈수록 넓게 경사진 형태의 암나사(6)가 형성된 조절나사부(5)를 하우징부(7)의 다수의 고정조절편(10)에 회전·장착시킴으로서 미러부(2)가 하우징부(7)에 완전히 고정·장착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룸미러 고정장치(1).
KR2020020001157U 2002-01-11 2002-01-11 자동차 룸미러의 고정장치 KR20027188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157U KR200271888Y1 (ko) 2002-01-11 2002-01-11 자동차 룸미러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157U KR200271888Y1 (ko) 2002-01-11 2002-01-11 자동차 룸미러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888Y1 true KR200271888Y1 (ko) 2002-04-12

Family

ID=7307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157U KR200271888Y1 (ko) 2002-01-11 2002-01-11 자동차 룸미러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88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9852A (en) Auxiliary light
JP2553492Y2 (ja) 電動工具におけるフック装置
RU2002124440A (ru) Дистанционирующий элемент для закрепления предмета на стене, имеющей слой изоляции
US20050217052A1 (en) Bracket assembly
KR200271888Y1 (ko) 자동차 룸미러의 고정장치
KR200402816Y1 (ko) 차량용 언더미러 장착구조
KR920001779Y1 (ko) 자동차 램프보호용 렌즈체결구
JP2002188617A (ja) ユニット装置
JP2530699Y2 (ja) 反射鏡の取付構造
JP3396804B2 (ja) ナンバープレート取付け方法、及び、その取付け用補助具
KR200276189Y1 (ko) 차량 안테나 및 안내봉 거치대
JP2001020335A (ja) 取付け装置
KR0132150Y1 (ko) 인사이드 백미러
JP2000220265A (ja) 軒先ユニットの支持構造及び支持具
KR200249387Y1 (ko) 자동차의 보조 백미러
JPH061486Y2 (ja) セット取付装置
JPS5840637Y2 (ja) 機器のキヤビネツト
JP3063064U (ja) クリップ付き時計
JPS6136076Y2 (ko)
JP2003008246A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取付構造
JPH10317439A (ja) 水栓等の取付構造
JPH0920269A (ja) スペアタイヤ用ホイールカバー装置
JPH0329230Y2 (ko)
JPH09317105A (ja) 軒樋支持具
JPH11141243A (ja) 透光性プレートの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