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715Y1 - 발판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스쿠터 - Google Patents
발판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스쿠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71715Y1 KR200271715Y1 KR2020020000663U KR20020000663U KR200271715Y1 KR 200271715 Y1 KR200271715 Y1 KR 200271715Y1 KR 2020020000663 U KR2020020000663 U KR 2020020000663U KR 20020000663 U KR20020000663 U KR 20020000663U KR 200271715 Y1 KR200271715 Y1 KR 200271715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ooter
- footrest
- link
- scaffold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32—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directly driving the wheel axle, e.g. by using a ratchet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체중을 이용한 발판의 작동으로 전진되게 한 스쿠터에 관한 것으로, 전륜과 후륜사이에 양측으로 분할된 발판을 구비하고, 그 발판의 전측은 스프링에 의해 탄력 고정하며, 발판의 후측에는 연결링크에 의해 상하 회동되게 하며, 연결링크에는 일방향베어링을 축설하여, 후륜이 연결링크의 회전작용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서,
발판의 연속적인 상하 작동에 의해 후륜이 회전되어 스쿠터가 전진하므로 양발을 모두 사용하므로 유아 및 어린이들의 고른 성장효과를 볼 수 있으며, 양쪽발을 모두 사용하여 이용하므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피로감이 크지 않으며, 소음이 전혀 없으면서도 고장 및 별도의 관리가 전혀 필요없고, 성장기 어린이들의 하체 단련과 무릎의 유연성을 유지되게 하며, 심폐기능 강화 및 고탄력 몸매를 유지할 수 있는 수동식 스쿠터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체중을 이용한 발판의 작동으로 전진되게 한 스쿠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판의 상하 승강작용에 의한 동력을 후륜으로 가속 전달되게 하여 후륜의 회전에 의한 전진이 가능케 한 스쿠터이다.
근래에 들어 어린이는 물론 청소년층에까지 고루 확산되어 있는 킥보드는 한쪽발을 전륜과 후륜 사이의 발판에 올려놓고 양손을 조향 가능한 전륜의 핸들축을 파지한 상태로 다른발로 지면을 박차며 전진되게 하는 것으로서, 휴대 및 보관성이 용이하고 누구나 쉽게 이용이 가능하여 매우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전기한 킥보드를 개조하여 안출된 전동식 스쿠터는 킥보드 형태의 발판 후측에 별도의 전동수단을 장착하여 그 전동수단의 동력이 후륜에 전달되게 함으로서, 전동에 의해 자동으로 전진되게 한 전동식 스쿠터가 이용되어 지고 있는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수동식 스쿠터는 한쪽발만을 사용하여 지면을 박차고 전진하므로 골격이 완전치 못한 유아 및 어린이들의 편향 성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며, 장시간 사용하는 경우에는 한쪽 다리에 심한 피로감을 느껴 연속하여 흥미롭게 즐기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전동식 스쿠터는 매우 고가이면서도 소음이 매우 크고, 운동능력이 발달되지 않은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엔 너무 고속이어서 매우 위험한 것이며, 고장 및 취급, 관리가 까다로워 어린이들이 사용하기엔 부담스러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제거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전륜과 후륜사이에 양측으로 분할된 발판을 구비하고, 그 발판의 전측은 스프링에 의해 탄력 고정하며, 발판의 후측에는 연결링크에 의해 상하 회동되게 하며, 연결링크에는 일방향베어링을 축설하여, 후륜이 연결링크의 회전작용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서,
발판의 연속적인 상하 작동에 의해 후륜이 회전되어 스쿠터가 전진하므로 양발을 모두 사용하므로 유아 및 어린이들의 고른 성장 발육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양쪽발을 모두 사용하여 이용하므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피로감이 크지 않으며, 소음이 전혀 없으면서도 고장 및 별도의 관리가 전혀 필요없고, 성장기 어린이들의 하체 단련과 무릎의 유연성을 유지되게 하며, 심폐기능 강화 및 고탄력 몸매를 유지할 수 있는 수동식 스쿠터를 제공함에 본 고안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 스쿠터의 일부절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 스쿠터의 동력 전달부 상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 스쿠터의 발판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스쿠터의 발판 작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 스쿠터의 동력 전달부를 보인 측면도
도 6는 본 고안에 따른 스쿠터의 타실시예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스쿠터의 타실시예 동력 전달부 상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지지판 2 : 핸들축
3 : 전륜 4 : 회전축
5 : 후륜 6,6' : 발판
7,7' : 지지구 8,8' : 스프링
9 : 제1링크 10 : 제2링크
11 : 일방향베어링 12 : 전달기어
13,13' : 가속기어 14 : 동력기어
20 : 고정판 21 : 회전축
22 : 동력기어 23,23' : 후륜
24,24' : 베어링
30 : 장공 31 : 스토퍼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 스쿠터의 전체 평면도로서, 후측 동력 전달부를 절개도시한 것이며, 도 2는 후측 동력 전달부를 상세도시한 확대도이다.
이격된 횡상의 지지판(1)(1')의 전,후측 내부에는 핸들축(2)에 의해 조향가능케 결합된 전륜(3)과, 회전축(4)에 축설된 후륜(5)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
전기한 지지판(1)(1')의 좌,우측 외부에는 별도의 발판(6)(6')을 형성하되,
발판(6)(6')의 일측단은 지지판(1)(1')으로부터 돌출된 지지구(7)(7')에 삽입된 스프링(8)(8')에 의해 탄력 힌지고정되게 하고,
발판(6)(6')의 타측단은 제1링크(9) 및 제2링크(10)에 의해 전기한 회전축(4)과 회절 가능케 결합하며,
회전축(4)과 제2링크(10)는 일방향베어링(11)에 의해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4)은 지지판(1)(1')의 이격공간내에 위치하는 전달기어(12) 및 다수의 가속기어(13)(13')를 통해 후륜(5)과 고정된 동력기어(14)가 고속 회전되며 후륜(4)이 회전되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전기한 지지판(1)(1')의 단부에 별도의 고정판(20)을 형성하고, 그 고정판(20)에 다수의 베어링(24)(24')에 의한 또다른 회전축(21)을 축설하여 회전축(21)의 중앙에 형성된 동력기어(22)로 회전축(4)의 회전력이 전달되게 하여, 회전축(21)의 양단에 형성된 후륜(23)(23')이 회전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발판(6)(6')의 상부에 장공(30)을 형성하고, 그 장공(30)에는 별도의 스토퍼(31)를 형성하여, 통상의 고정수단으로 위치고정되는 스토퍼(31)에 의해 사용자의 신발이 안착 위치고정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의 도시와 같이 사용자가 그 발판(6)(6')에 올라서서 체중을 이용하여 양발을 번갈아가며 상하로 움직이면 발판(6)(6')의 전측은 힌지고정되고 후측은 링크에 의해 상하 회전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그 발판(6)(6')의 후측이 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발판(6)(6')의 하강작용은 도 3 및 도 4의 도시와 같은 제1링크(9)를 하부로 압압하게 되고, 제1링크(9)에 의해 하강력을 받은 제2링크(10)는 회전축(4)을 축점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발판(4)(4')의 하강력은 제1링크(9) 및 제2링크(10)에 의해 전달되어 회전축(4)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가 발판(6)(6')을 압압하던 힘을 제거하면 사용자의 발이 상승함과 동시에 발판(6)(6') 전측의 지지구(7)(7')에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8)(8')이복원되며 그 발판(6)(6')을 원위치로 상승시키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연속적으로 발판(6)(6')을 누르며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전기한 발판(6)(6')의 하강력을 회전축(4)으로 전달하는 과정에서 제2링크(10)와 일방향베어링(11)을 공지의 일방향베어링(11)에 의해 연결 형성함으로서, 발판(6)(6')의 하강력에 의해 제2링크(10)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일방향베어링(11)에 의해 회전축(4)이 동시에 회전되게 하는 것이며, 발판(6)(6')의 상승시 제2링크(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에는 그 회전력이 일방향베어링(11)에 의해 회전축(4)에 미치지 않게 하여 회전축(4)이 역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일방향베어링(11)에 의해 한쪽방향으로만 연속적인 회전력을 받는 회전축(4)은 그 회전동력을 전달기어(12)를 통해 다수의 가속기어(13)(13')로 전달하게 되는 것이며, 기어비에 의한 가속효과를 갖는 가속기어(13)(13')는 회전속도가 증대된 상태로 후륜(5)과 연결된 동력기어(14)를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체중에 의한 회전력은 후륜(5)에 전달되어 발판(6)(6')의 상하 승강작용만으로도 후륜(5)이 자동으로 회전되며 전진하므로 양쪽발의 균일한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도 5의 도시와 같이 전달기어(12) 및 각각의 가속기어(13)(13'), 동력기어(14)는 서로 기어에 의한 치합구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으나, 별도의 밸트를 사용하여 이격 연결하여도 무방한 것이다.
또한, 발판(6)(6')의 작용에 따른 동력의 전달경로를 살펴보면,
발판(6)(6')에서 제공된 하강력은 제1링크(9) 및 제2링크(10)를 통해 일방향베어링(11)에 전달되어지고, 일방향베어링(11)이 정상회전방향에 의해서만 그 회전력이 회전축(4)에 전달되며, 회전축(4)에 축설된 전달기어(12)는 회전축(4)의 회전과 동시에 그 회전력을 가속기어(13)(13')에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다수의 가속기어(13)(13')에 의해 회전속도가 증대된 상태에서 그 회전력은 동력기어(14)에 전달되는 것이며, 동력기어(14)의 회전력은 직접 후륜(5)에 작용되어 후륜(5)이 자동으로 회전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후륜(5)의 회전에 의해 지면과 맞닿아 있던 스쿠터가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의 도시와 같이 후륜(23)(23')을 양측으로 분할 형성하여, 보다 안정감있는 스쿠터의 사용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인데,
이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7의 도시와 같이 지지판(1)(1')의 단부에 고정된 고정판(20)에는 다수의 베어링(24)(24')에 의해 또다른 회전축(2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회전축(21)의 양단에는 전기한 바와 같은 후륜(23)(23')이 각각 양측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그 회전축(21)의 중앙에 형성된 동력기어(22)는 전기한 발판(6)(6')의 회전력을 그 가속기어(13)(13')로부터 전달받아 그 회전축(21)이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한 바와 같이 발판(6)(6')을 누르게 되면 그 압압력은 일방향베어링(11)을 타고 회전축(4)에 전달되는 것이며, 회전축(4)의 회전력은전달기어(12) 및 가속기어(13)(13')를 통해 상기한 또다른 회전축(21)의 동력기어(22)에 전달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고속으로 회전하는 동력기어(22)에 의해 그 회전축(21) 및 양측의 후륜(23)(23')이 동시에 회전하며 스쿠터가 전진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평형감각이 완전치 않은 어린이 및 유아들도 용이하게 사용이 가능한 것이며, 수직으로 세워놓거나 보관이 간편하여 보다 취급이 용이한 것이다.
또한, 도 7의 도시와 같이 발판(6)(6')의 중앙부에 별도의 장공(30)을 형성하고, 그 장공(30)에는 스토퍼(31)를 결합하되, 통상의 고정 및 해제수단에 의해 고정 및 위치조정이 가능한 스토퍼(31)에 의해 사용자의 신발이 발판(6)(6')의 상부에 안착되어, 위치고정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스토퍼(31)의 고정 및 위치조정방법은 볼트 및 너트의 조립에 의한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 발판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스쿠터는 발판의 연속적인 상하 작동에 의해 후륜이 회전되어 스쿠터가 전진하므로 양발을 모두 사용하므로 유아 및 어린이들의 고른 성장 발육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양쪽발을 모두 사용하여 이용하므로 장시간 사용하여도 피로감이 크지 않으며, 소음이 전혀 없으면서도 고장 및 별도의 관리가 전혀 필요없고, 성장기 어린이들의 하체 단련과 무릎의 유연성을 유지되게 하며, 심폐기능 강화 및 고탄력 몸매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 이격된 횡상의 지지판(1)(1')의 전,후측 내부에는 핸들축(2)에 의해 조향가능케 결합된 전륜(3)과, 회전축(4)에 축설된 후륜(5)을 회전가능하게 장착하고,전기한 지지판(1)(1')의 좌,우측 외부에는 별도의 발판(6)(6')을 형성하되,발판(6)(6')의 일측단은 지지판(1)(1')으로부터 돌출된 지지구(7)(7')에 삽입된 스프링(8)(8')에 의해 탄력 힌지고정되게 하고,발판(6)(6')의 타측단은 제1링크(9) 및 제2링크(10)에 의해 전기한 회전축(4)과 회절 가능케 결합하며,회전축(4)과 제2링크(10)는 일방향베어링(11)에 의해 결합되어,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축(4)은 지지판(1)(1')의 이격공간내에 위치하는 전달기어(12) 및 다수의 가속기어(13)(13')를 통해 후륜(5)과 고정된 동력기어(14)가 고속 회전되며 후륜(4)이 회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스쿠터.
- 제 1항에 있어서, 지지판(1)(1')의 단부에 별도의 고정판(20)을 형성하고, 그 고정판(20)에 다수의 베어링(24)(24')에 의한 또다른 회전축(21)을 축설하여 회전축(21)의 중앙에 형성된 동력기어(22)로 회전축(4)의 회전력이 전달되게 하여, 회전축(21)의 양단에 형성된 후륜(23)(23')이 회전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스쿠터.
- 제 1항에 있어서, 발판(6)(6')의 상부에 장공(30)을 형성하고, 그 장공(30)에는 별도의 스토퍼(31)를 형성하여, 통상의 고정수단으로 위치고정되는 스토퍼(31)에 의해 사용자의 신발이 안착 위치고정되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발판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스쿠터.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0663U KR200271715Y1 (ko) | 2002-01-09 | 2002-01-09 | 발판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스쿠터 |
PCT/KR2003/000024 WO2003057550A1 (en) | 2002-01-09 | 2003-01-08 | Scooter with drivable footstool |
AU2003201929A AU2003201929A1 (en) | 2002-01-09 | 2003-01-08 | Scooter with drivable footstoo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20000663U KR200271715Y1 (ko) | 2002-01-09 | 2002-01-09 | 발판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스쿠터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0001159A Division KR20030060448A (ko) | 2002-01-09 | 2002-01-09 | 발판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스쿠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71715Y1 true KR200271715Y1 (ko) | 2002-04-10 |
Family
ID=32291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20000663U KR200271715Y1 (ko) | 2002-01-09 | 2002-01-09 | 발판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스쿠터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0271715Y1 (ko) |
AU (1) | AU2003201929A1 (ko) |
WO (1) | WO200305755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2859169B1 (fr) * | 2003-08-27 | 2009-01-23 | Gheorghe Bilghiru | Systeme autonome de propulsion pour la trottinette classique |
CN104709417B (zh) * | 2015-03-17 | 2017-03-01 | 太仓市车中宝休闲用品有限公司 | 便携式电动立行车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74782A (ko) * | 2001-03-22 | 2002-10-04 | 박준 | 스쿠터 |
KR200271699Y1 (ko) * | 2002-01-07 | 2002-04-10 | 김영욱 | 페달구동형 킥보드 |
-
2002
- 2002-01-09 KR KR2020020000663U patent/KR200271715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3
- 2003-01-08 AU AU2003201929A patent/AU2003201929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3-01-08 WO PCT/KR2003/000024 patent/WO2003057550A1/en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AU2003201929A1 (en) | 2003-07-24 |
WO2003057550A1 (en) | 2003-0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271715Y1 (ko) | 발판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스쿠터 | |
US20080203696A1 (en) | Abcycle or abdomicycle vehicle operated by upper body and steering system with leaning body | |
KR20030060448A (ko) | 발판에 의해 구동이 가능한 스쿠터 | |
KR101182210B1 (ko) | 발판 구동 주행용 보드 | |
KR200328320Y1 (ko) | 발판 구동 스쿠터 | |
KR200446184Y1 (ko) | 개량된 수동식 스쿠터 | |
KR20120017170A (ko) | 자가구동식 스케이트보드 | |
KR100768964B1 (ko) | 기립식 운동용 소형자전거 | |
KR200437835Y1 (ko) | 수동식 스쿠터 | |
WO2008056869A1 (en) | Standup type small bicycle for exercise | |
WO2003008261A1 (en) | Human powered vehicle with up-down-moving footplate | |
KR200457746Y1 (ko) | 페달의 위치가 변하는 사이클링 운동기구 | |
KR200350432Y1 (ko) | 후륜구동수단을 구비한 킥보드 | |
KR200250482Y1 (ko) | 슬라이딩 동력에 의한 승강놀이구 | |
KR20100080755A (ko) | 킥보드 구동장치 | |
CN101962058A (zh) | 微型踏步健身车 | |
KR101190036B1 (ko) | 스텝퍼형 자전거 | |
KR200365357Y1 (ko) | 자전거 겸용 퀵 보드 | |
KR20090059269A (ko) | 전신운동용 소형자전거 | |
KR20040083320A (ko) | 발판 구동 스쿠터 | |
KR100947919B1 (ko) | 익스보드 | |
KR20030009205A (ko) | 상하 왕복 운동하는 페달로 구동되는 자전거 | |
KR200395612Y1 (ko) | 운동량 조절기능을 갖는 수동식 스쿠터 | |
KR101156136B1 (ko) | 스탭식 킥보드 | |
GB2410727A (en) | Human powered vehicle or exercise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U107 |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T701 |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8031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