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790Y1 - 액체용기 - Google Patents

액체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790Y1
KR200270790Y1 KR2020010041055U KR20010041055U KR200270790Y1 KR 200270790 Y1 KR200270790 Y1 KR 200270790Y1 KR 2020010041055 U KR2020010041055 U KR 2020010041055U KR 20010041055 U KR20010041055 U KR 20010041055U KR 200270790 Y1 KR200270790 Y1 KR 2002707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let
contents
container
present
discharg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10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열
Original Assignee
김홍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홍열 filed Critical 김홍열
Priority to KR20200100410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7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7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790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배출량의 조절이 간편하고,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되며, 용기를 들어 올리지 않고도 내용물을 깔끔하게 배출시키는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용기본체(30)의 상부에 형성된 제1배출구(5)와, 상기 제1배출구(5)에 연접된 사면 일측에 상기 제1배출구(5)와 예각을 이루어 형성된 제2배출구(10)와, 상기 제2배출구(10)에 대향하는 용기본체(30)의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15)와, 상기 용기본체(30)의 외측에 다수개의 돌기(25)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크기가 다른 각각의 배출구에 의해 용기내 내용물의 배출시, 배출량의 조절이 간편하고, 배출구 상호간의 공기흡입구 역할에 의해 출렁거림 없이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되며, 손잡이와 돌기가 있어 수취가 편리하며, 용기를 들어 올리지 않고도 내용물이 깔끔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액체용기{LIQUID BOTTLE}
본 고안은 액체용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배출량의 조절이 간편하고,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되며, 용기를 들어 올리지 않고도 내용물을 깔끔하게 배출시키는 액체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체용기는 내용물을 담고 배출하는 한 개의 배출구가 용기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내용물을 배출할 때, 용기내에 공기흡입이 용이하지 않아, 내용물이 출렁이면서 배출되어 배출량을 조절하기가 매우 곤란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상부에 공기유통구가 함께 형성된 한 개의 배출구로 구성된 용기가 있으나, 이는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이 번거로우며, 공기유통구의 통로가 좁아 이물질이 삽입될 경우, 기능수행이 곤란하고, 이물질로 인해 공기유통구가 오염될 경우, 세척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크기가 다른 각각의 배출구에 의해 용기내 내용물의 배출시, 배출량의 조절이 간편하고, 배출구 상호간의 공기흡입구 역할에 의해 출렁거림 없이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되며, 손잡이와 돌기가 있어 수취가 편리하며, 용기를 들어 올리지 않고도 내용물을 깔끔하게 배출시키는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액체용기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액체용기의 뚜껑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액체용기의 뚜껑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
도4의 가)는 도2의 분실방지테를 도시한 도면.
도4의 나)는 도3의 분실방지테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액체용기의 제2배출구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액체용기의 제1배출구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제1배출구 10 : 제2배출구
15 : 손잡이 20 : 오목판
25 : 돌기 30 : 용기본체
본 고안은 용기본체(30)의 상부에 형성된 제1배출구(5)와, 상기 제1배출구(5)에 연접된 사면 일측에 상기 제1배출구와 예각을 이루어 형성된 제2배출구(10)와, 상기 제2배출구(10)에 대향하는 용기본체(30)의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15)와, 상기 용기본체(30)의 외측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것이다.
이하에서는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액체용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액체용기의 뚜껑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본 고안에 의한 액체용기의 뚜껑의 다른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의 가)는 도2의 분실방지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의 나)는 도3의 분실방지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액체용기의 제2배출구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액체용기의 제1배출구 사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는 팔각의 단면을 이루며, 제1배출구(5)와, 제2배출구(10)가 형성된 사면부와, 상기 사면부에 연접하여 손잡이(15)가 형성된 용기몸통과, 상기 용기몸통의 하부에 형성된 오목판(20)으로 용기본체(30)가 구성된다.
상기 용기본체(30)의 상단에는 제1배출구(5)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배출구(5)의 외측에는 일단의 동작으로 해체와 체결이 가능한 간편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간편나사가 형성된 제1배출구(5)에 제1캡(6)이 체결된다.
상기 제1배출구(5)가 형성된 상기 용기본체(30)의 상부에 연접된 사면 일측에 형성된 제2배출구(10)는 상기 제1배출구(5)보다 저고도에 형성되며, 상기 제2배출구(10)는 용기내의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배출구(5)와 예각을 이루어 형성된다.
도2와 도4의 가)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배출구(10)의 외측에는 제2캡(8)과 체결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캡(8)의 외측에는 상기 제1캡(6)의 외측에 회동가능하도록 체결된 분실방지테(6a)에 연결된 분실방지선(11)이 결합되어 상기 제2캡(8)의 분실을 방지 할 수 있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2배출구(10)의 외측에 형성된 체결홈을 대체하여 체결나사를 형성하고, 이에 내측에 나선이 형성된 제2캡(9)과 체결시킬 수 있다.
또한, 도4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선이 형성된 제2캡(9)의 외측에는 회동가능하도록 소분실방지테(9a)가 체결되고, 상기 제2캡(9)의 소분실방지테(9a)에는 상기 제1캡(6)의 외측에 체결된 분실방지테(6a)에 연결된 분실방지선(11)이 결합되어 상기 제2캡(9)의 분실을 방지 할 수 있다.
상기한 용기본체(30)의 몸통에는 상기 제2배출구(10)와 대각으로 대향된 면에 상하로 형성된 손잡이(15)가 위치하고, 상기한 용기본체(30)의 몸통 외측면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로 형성된 돌기(2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각각의 캡(6,8,9)의 외면에는 돌기가 구비되어 내용물이 외면에 묻었을 경우라도 미끄럼이 방지되어 상기 캡(6,8,9)의 개폐에 곤란함이 없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액체용기에 관한 사용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용기본체(30) 내부에 내용물을 주입할 때는 제1배출구(5)를 통하여 주입하며, 내용물을 배출할 때에는 제1배출구(5)의 간편나사에 의해 결합된 제1캡(6)을 일정회동시켜 기밀을 해소하여 공기가 유동가능하도록 하고, 제2배출구(10)에 결합된 제2캡(8)을 개방하고, 상기 제1배출구(5)를 통해 용기내로 원활히 유입된 공기에 의해 내용물의 출렁거림 없이 상기 제2배출구(10)를 통해 원활히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배출구(10)를 통한 내용물의 배출시, 제1배출구(5) 보다 저고도에 제2배출구(1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배출구(5)에 예각을 이루어 상기 제2배출구(10)가 형성되어 있어, 용기본체(30)를 들어올리지 않고도 기울임만으로 용이하게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으며, 상기 제1배출구(5)를 통한 흘러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배출구(5)를 통한 배출을 할 경우, 상기 제1배출구(5)의 간편나사에 의해 결합된 제1캡(6)을 개방하고, 제2배출구(10)에 결합된 제2캡(8)을 개방하여 기밀을 해소시켜 공기가 유동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제2배출구(10)를 통해 용기내로 원활히 유입된 공기에 의해 내용물이 출렁거림 없이 상기 제1배출구(5)를 통해 원활히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배출구(5)를 통한 내용물의 배출시, 상기한 제2배출구(10)를 통한 배출량보다 많은 양의 배출이 필요한 경우 더욱 효율적이며, 상기 제1배출구(5)에 예각을 이루어 상기 제2배출구(10)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제2배출구(10)를 통한 흘러넘침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권리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미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크기가 다른 각각의 배출구에 의해 용기내 내용물의 배출시, 배출량의 조절이 간편하고, 배출구 상호간의 공기흡입구 역할에 의해 출렁거림 없이 내용물이 원활히 배출되며, 손잡이와 돌기가 있어 수취가 편리하며, 용기를 들어 올리지 않고도 내용물이 깔끔하게 배출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용기본체의 상부에 형성된 제1배출구와;
    상기 제1배출구에 연접된 사면 일측에 상기 제1배출구와 예각을 이루어 형성되고, 제1배출구보다는 크기가 작게 형성된 제2배출구와;
    상기 제2배출구에 대향하는 용기본체의 측면에 형성된 손잡이와;
    상기 용기본체의 외측에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
KR2020010041055U 2001-12-31 2001-12-31 액체용기 KR2002707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1055U KR200270790Y1 (ko) 2001-12-31 2001-12-31 액체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1055U KR200270790Y1 (ko) 2001-12-31 2001-12-31 액체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790Y1 true KR200270790Y1 (ko) 2002-04-06

Family

ID=731154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1055U KR200270790Y1 (ko) 2001-12-31 2001-12-31 액체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79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87342A (en) Pushbutton type bottle cap
US8511492B2 (en) Bottle with handle venting inlet and child resistant flip-top closure with pouring spout and drainback hole
US6814267B2 (en) Flow control device for large capacity container
CA1250817A (en) Liquid dispenser
JP6501699B2 (ja) 注出容器
KR200270790Y1 (ko) 액체용기
US4295584A (en) Side dispensing closure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JP4657856B2 (ja) 注出容器
KR200296157Y1 (ko) 절약용 용기
JP2004001836A (ja) 注出キャップ
KR100696676B1 (ko) 액상물질 용기용 마개
KR200280845Y1 (ko) 용기 뚜껑
KR200301586Y1 (ko) 액체용기 마개
JPH062919Y2 (ja) 注出栓
KR200167208Y1 (ko) 토출용 마개
KR200194449Y1 (ko) 양면에 뚜껑이 있는 병
KR20080100019A (ko) 용기마개
KR20020086149A (ko) 유체 용기용 마개
JP3057946U (ja) 容器口用安定注出栓
KR200367790Y1 (ko) 이중 캡
KR200252828Y1 (ko) 병뚜껑
JP2008184191A (ja) 容器の注出キャップ
KR200228291Y1 (ko) 용기 뚜껑
KR0114298Y1 (ko) 액체용기 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