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6149A - 유체 용기용 마개 - Google Patents
유체 용기용 마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20086149A KR20020086149A KR1020010025915A KR20010025915A KR20020086149A KR 20020086149 A KR20020086149 A KR 20020086149A KR 1020010025915 A KR1020010025915 A KR 1020010025915A KR 20010025915 A KR20010025915 A KR 20010025915A KR 20020086149 A KR20020086149 A KR 2002008614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member
- sealing member
- container
- stopper
- fluid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을 대로 마시는 부위에 손이나 기타 다른 도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용기의 개방을 가능토록 하여 위생적인 면에서 탁월한 효과를 가지며, 특히 독성물질이 저장되는 용기인 경우 손을 대기 않고 내용물을 따를 수 있어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각 부품들의 조립시 강제 박음식으로 일체로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 용기용 마개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측에 씌워져 배출구를 보호함과 아울러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회전부재와 밀봉부재가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양측 나선부는 강제 박음식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양측 나선부의 중심선 상에서 강제 박음되는 방향의 경사각이 반대방향의 경사각에 비해 크게 형태로 형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체 용기의 개폐 작용을 하는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마개의 개폐 작용이 한 동작으로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고, 입을 대고 마실 때 입을 대는 마개 부위의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 용기용 마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체 용기용 마개는 마개를 유체 용기에서 분리한 후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일반적인 타입과, 마개가 유체용기에 부착된 상태로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개방하여 유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타입이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음료 용기에 사용되는 마개의 경우 마개를 유체 용기에서 분리하지 않아도 되고 빨아먹는 재미를 한층 느낄 수 있도록 마개가 유체용기에 부착된 상태로 유체가 배출되는 타입의 사용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유체 용기용 마개는 마개가 용기에 부착된 상태에서 배출구를 개방하여 입을 대고 마시는 타입의 마개로서, 용기입구(102)에 나사 결합되고 상측으로 그 직경이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되어 그 끝부분에 용기 내부에 저장된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개방되는 본체(104)와, 상기 본체(104)의 상측 외주면에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고 중앙측에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108)가 형성되는 밀봉캡(110)과, 상기 밀봉캡(110)의 외주면에 씌워져 배출구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캡(1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4)는 개방되는 상측 중앙에 원형돌기(1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 원형돌기(114)의 둘레방향으로 개구되어 유체가 배출된다.
상기 밀봉캡(110)은 그 상측 둘레면에 손으로 잡고 뽑을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부(116)가 연장 형성되고, 그 중앙측에 원형돌기(114)가 끼워져 밀봉 작용을 하고 원형돌기(114)가 이탈되면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08)가 형성된다.
상기 본체(104)의 상측 둘레면에는 걸림돌기(118)가 형성되고 밀봉캡(110)의 내측면에 상기 걸림돌기(118)와 걸림 작용되는 스톱퍼(120)가 형성되어 밀봉캡(110)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는 유체를 마실 경우 보호캡(112)을 벗겨낸 후 손으로 밀봉캡의 손잡이부(116)를 잡고 상방향으로 당기면 본체의 원형돌기(114)에서 밀봉캡의 배출구(108)가 이탈되면서 유체용기가 개방된 상태로 되어 저장된 유체가 배출구(108)를 통해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유체 용기용 마개는 배출구를 개방시키기 위해서 밀봉캡의 손잡이부를 손으로 잡고 당겨야 되는데, 상기 밀봉캡의 머리 부위는 입을 대고 마시는 부위이기 때문에 위생상 불결한 상태로 마시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특히, 어린이나 야외에서 운동 및 작업 후에 불결한 손으로 밀봉캡을 당겨야되므로 비위생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상기의 용기 마개는 그 특성상 탄산 음료 등 내압이 작용하는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는 사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그 적용 범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의 용기 마개는 마개를 개방하기 위해서 여러 단계를 거쳐야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입을 대로 마시는 부위에 손이나 기타 다른 도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용기의 개방을 가능토록 하여 위생적인 면에서 탁월한 성능을 가질 수 있는 유체 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각 부품들의 조립시 강제 박음식으로 일체로 조립할 수 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 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마개의 배출구를 개방할 때 한번의 동작으로 개방이 가능하므로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체 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탄산 음료 등 내압이 작용하는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사용이 가능하여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유체 용기용 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의 일부 절개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 A-A 선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의 보호캡을 나타낸 일정 절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본체 8 : 회전부재
10 : 밀봉부재 12 : 보호캡
18 : 배출 통로 20 : 격벽
22 : 스커트 26 : 걸림부
38, 40 : 나선부 42 : 밀봉 시트
44 : 걸림 시트 46 : 스톱퍼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는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측에 씌워져 배출구를 보호함과 아울러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부재와 밀봉부재가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양측 나선부는 강제 박음식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양측 나선부의 중심선 상에서 강제 박음되는 방향의 경사각이 반대방향의 경사각에 비해 크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특징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는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측에 씌워져 배출구를 보호함과 아울러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밀봉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에는 상기 밀봉부재의 개폐 작용시 회전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밀봉부재가 회전부재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의 일부 절개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유체 용기용 마개는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4)와, 이 본체(4)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6)가 형성되는 회전부재(8)와, 이 회전부재(8)의 내측에 삽입되어 회전부재(8)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밀봉부재(10)와, 상기 회전부재(8)의 상측에 씌워져 배출구(6)를 보호함과 아울러 회전부재(8)를 회전시키는 보호캡(12)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4)는 그 하측 내면에 용기에 나사 방식으로 끼워지도록 나선부(16)가 형성되고 외측 둘레면에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되며, 일측을 경계로 하여 하측의 직경에 비해 상측의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이 직경이 좁아지는 경계 부위의 내측에 유체가 배출되도록 개구된 격벽(2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4)의 하측에는 용기와 마개 사이를 고정시키는 스커트(22)가 형성된다. 즉, 스커트(22)는 본체(4)와 용기 사이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고, 일정 힘을 가하면 본체(4)에서 뜯어져 본체(4)와 용기 사이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격벽(20)에는 밀봉부재(10)가 삽입되어 직선 이동은 가능케 하고 회전 운동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용기에 저장된 유체가 배출되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다수의 돌출홈을 갖는 배출 통로(18)가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8)는 본체(4)의 상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개구된 중앙에는 밀봉부재(10)가 나사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나선부(40)가 형성되며 상측에는본체(4)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도록 그 직경이 넓어지는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부재(8)의 상면에는 보호캡(12)의 회전시 같이 회전되도록 보호캡(12)의 내면에 걸림되는 걸림부(26)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회전부재(8)의 외측 둘레면에는 걸림홈(28)이 형성되고 본체의 내주면에는 걸림홈(28)에 끼워지는 걸림돌기(30)가 형성되어, 회전부재(8)가 본체(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밀봉부재(10)는 격벽의 배출 통로(18)에 끼워져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그 단면에 삼각 형태로 형성되고, 돌출되는 부위의 외주면에는 회전부재(8)의 나선부(40)와 나사방식으로 결합되는 나선부(38)가 형성된다. 그리고, 밀봉부재(10)의 하측에는 격벽(20)의 내면에 밀착되어 밀봉 작용을 수행하는 밀봉시트(42)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밀봉부재(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단면이 삼각형태로 돌출되어 격벽의 배출통로(18)에 끼워진다. 이때, 배출통로(18)는 육각 형태로 형성되고, 밀봉부재(10)는 삼각 형태로 형성되기 때문에 밀봉부재(10)가 삽입되지 않는 나머지 세군데 부위를 통해 유체가 배출된다.
여기에서, 밀봉부재의 나선부(38)와 회전부재의 나선부(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시 밀봉부재(10)를 하방향에서 상방향으로 강제 박음식으로 조립시 나선부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강제 박음되는 방향으로 나선부의 경사각이 완만하게 형성된다. 즉, 밀봉부재(10)와 회전부재(8)의 나선부(38,40)의 중심선 상에서 강제 박음되는 방향측 경사각(a)이 반대 방향측 경사각(b)에 비해 비교적완만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나선부 경사각(b)은 다소 크게 형성되어 회전부재(8)의 회전에 의해 밀봉부재(10)가 이동될 수 있는 이동력을 부여함과 아울러 회전부재(8)로부터 밀봉부재(10)가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나선부 경사각(a)은 완만하게 하여 강제 박음할 때 밀봉부재(1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밀봉부재(10)와 회전부재(8) 사이에는 밀봉부재(10)의 개폐 작용시 회전부재(8)가 일정 이상 회전됨에 따라 밀봉부재(10)가 회전부재(8)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수단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 방지수단은 회전부재의 배출홀(6)에 일정 폭만큼 그 직경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걸림시트(44)와, 밀봉부재(10)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걸림시트(44)의 상측 방향으로 억지 끼움된 후 밀봉부재(10)가 하측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46)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톱퍼(46)는 밀봉부재(10)의 상측면에서 돌출되어 걸림시트(44)에 걸림 작용되는 것으로, 조립시 걸림시트(44)에 강제 박음식으로 끼워질 때 용이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그 상측면은 일정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시트(44)는 원형홀 형태로 형성되고, 걸림시트(44)에 삽입되는 밀봉부재(10)의 일측은 삼각 형태로 형성되므로, 그 사이를 통해 유체가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보호캡(1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 외측에 씌워지고, 그 둘레면에는 손으로 잡고 돌리기 용이하도록 미끄럼 방지용 돌기가 형성되고, 하측둘레면에는 본체(4)의 하측 둘레면과의 사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스커트(50)가 형성된다. 그리고, 보호캡(12)의 내측면에는 회전부재의 걸림부(26)와 걸림 작용되어 같이 회전되는 끼움부(60)가 형성되고, 보호캡(12)의 개봉한 후 다시 닫을 때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본체(4)와의 사이에 걸림수단이 마련된다.
여기에서, 걸림수단은 보호캡(12)의 하단 내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걸림돌기(52)와, 이 걸림돌기(52)가 끼워지는 본체(4)의 외측 둘레면에 형성되는 걸림홈(5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의 조립 과정 및 그 작용을 다음에서 설명한다.
먼저,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본체(4)와 회전부재(6), 밀봉부재(10) 및 보호캡(12)을 금형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후 순서대로 나열한 상태에서 강제 박음식 방법에 의해 조립을 행한다.
즉, 본체(4)의 상측에서 회전부재(6)를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 본체(4)의 내측으로 회전부재(8)가 삽입된다. 이때, 회전부재의 걸림돌기(28)가 본체의 걸림홈(30)이 끼움되어 본체(4)로부터 회전부재(8)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본체(4)의 하측에서 밀봉부재(10)를 상측 방향으로 가압하여 밀봉부재(10)를 회전부재(8)의 내측에 끼운다. 이때, 회전부재의 나선부(40)와 밀봉부재의 나선부(38)는 각각 그 조립되는 방향의 경사각이 완만하게 형성되므로 나선부(38,40)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밀봉부재의 스톱퍼(46)의 상측면이 경사지게 형성되므로 회전부재의 걸림시트(44)에 통과한 후 걸림시트(44)의상측면에 위치되어 밀봉부재(10)가 하측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본체(4)의 상측에서 보호캡(12)을 씌우면 보호캡의 스커트(50)가 본체에 억지 끼움되면서 조립이 완료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의 사용 상태도이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유체 용기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보호캡(12)을 손으로 잡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보호캡의 스커트(50)가 뜯겨지면서 보호캡(12)과 본체(4)와의 사이가 분리된다. 이때, 보호캡(12)과 회전부재(8) 사이는 서로 걸림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호캡(12)의 회전시 회전부재(8)도 같이 회전된다.
그러면, 회전부재(8)의 내측면에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어 있는 밀봉부재(10)가 회전부재(8)의 회전에 의해 나선부(38,40)가 회전되면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밀봉부재(10)는 그 둘레측이 관통홀(18)에 걸림된 상태에서 회전부재(8)와 나선 결합되기 때문에 회전부재(8)의 회전에 의해 하측 방향으로 직선 이동된다.
이와 같이, 밀봉부재(10)가 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밀봉시트(42)와 격벽(20) 사이에 벌어지면서 유체가 배출되는 공간이 확보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보호캡(12)을 벗겨낸 후 유체용기에 자체에 일정 힘을 가하거나 유체용기를 기울이면 유체용기에 저장된 유체가 배출구(6)를 통해 배출된다.
즉, 유체용기에 저장된 유체는 밀봉부재의 밀봉시트(42)와 격벽의 관통홀(18) 사이의 틈새로 배출되고 밀봉부재의 내측으로 안내되어 최종적으로 배출구(6)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 용기용 마개는 보호캡을 회전시키면 회전부재가 회전되면서 밀봉부재가 하측방향으로 이동되어 용기의 배출구가 개방되므로 입을 대고 먹는 부위의 오염을 방지함과 아울러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밀봉부재와 회전부재의 나선부가 강제 박음되는 방향으로 그 경사각을 완만하게 형성되어 강제 박음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조립이 한번의 강제 박음 작업으로 끝나기 때문에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밀봉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에 밀봉부재의 개폐 작용시 밀봉부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수단을 형성하여 마개의 개폐 작용시 밀봉부재가 회전부재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5)
-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측에 씌워져 배출구를 보호함과 아울러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전부재와 밀봉부재가 나사 방식으로 체결되는 양측 나선부는 강제 박음식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양측 나선부의 중심선 상에서 강제 박음되는 방향의 경사각이 반대방향의 경사각에 비해 크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용 마개.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회전 부재 및 밀봉부재의 나선부는 그 중심선상에서 하측 나선부 경사각은 크게 형성되고 상측 나선부의 경사각은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용 마개.
- 유체가 저장되는 용기에 결합되고 상측이 개방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개방된 상측 내면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배출구에 삽입되어 회전부재의 회전시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용기의 개폐작용을 하는 밀봉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측에 씌워져 배출구를 보호함과 아울러 회전부재를 회전시키는 보호캡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밀봉부재와 회전부재 사이에는 상기 밀봉부재의 개폐 작용시 회전부재가 회전됨에 따라 밀봉부재가 회전부재에서 빠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수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용 마개.
- 제 3 항에 있어서,상기 이탈 방지수단은 상기 회전부재의 내측면에서 일정 폭만큼 그 직경이 좁아지는 구조로 형성되는 걸림시트와, 상기 밀봉부재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걸림시트의 상측 방향으로 억지 끼움된 후 밀봉부재가 하측 방향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용 마개.
- 제 4 항에 있어서,상기 스톱퍼는 밀봉부재가 강제 박음식으로 끼워질 때 걸림시트를 통과할 수 있도록 그 상측면이 일정 경사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용기용 마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5915A KR100755035B1 (ko) | 2001-05-11 | 2001-05-11 | 유체 용기용 마개 |
PCT/KR2001/001811 WO2002034637A1 (en) | 2000-10-27 | 2001-10-26 |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beverage vessel |
AU2002212790A AU2002212790A1 (en) | 2000-10-27 | 2001-10-26 |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beverage vesse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10025915A KR100755035B1 (ko) | 2001-05-11 | 2001-05-11 | 유체 용기용 마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86149A true KR20020086149A (ko) | 2002-11-18 |
KR100755035B1 KR100755035B1 (ko) | 2007-09-06 |
Family
ID=27704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10025915A KR100755035B1 (ko) | 2000-10-27 | 2001-05-11 | 유체 용기용 마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75503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6083A (ko) * | 2014-02-14 | 2015-08-24 | 한병량 | 유체 필터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94711B1 (ko) | 2014-12-19 | 2016-02-16 | 강성탁 | 밀봉 마개의 결합구조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297254U (ko) * | 1989-01-24 | 1990-08-02 | ||
JP3111056B2 (ja) * | 1998-11-17 | 2000-11-20 | 河野樹脂工業株式会社 | 密封栓 |
KR100696676B1 (ko) * | 2000-10-27 | 2007-03-20 | 희원밀레니엄(주) | 액상물질 용기용 마개 |
-
2001
- 2001-05-11 KR KR1020010025915A patent/KR10075503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96083A (ko) * | 2014-02-14 | 2015-08-24 | 한병량 | 유체 필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755035B1 (ko) | 2007-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617693B2 (ja) | 捩じりスリーブと2つの内部通路とを有する注出ふた | |
CA2501210C (en) | Improvements to two-part vessels | |
US6015054A (en) | Container closure assembly with profiled screw threads | |
US6997359B2 (en) | Bottle closure | |
US4261486A (en) | One-piece dispensing closure with lid hold-open feature | |
KR100807212B1 (ko) | 연결부재가 구비된 마개 분실방지 용기 | |
EP0809590B1 (en) | Containers with variable volume | |
WO1999064312A1 (en) | Closure with dual hinge means | |
US20040099686A1 (en) | Cutting apparatus of sealed beverage vessel | |
KR100755035B1 (ko) | 유체 용기용 마개 | |
US7513388B2 (en) | Retractable straw device | |
KR100732866B1 (ko) |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 |
KR20080100019A (ko) | 용기마개 | |
KR100696676B1 (ko) | 액상물질 용기용 마개 | |
JP7353097B2 (ja) | 安全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付き容器ユニット | |
AU2002359002A1 (en) | The cutting apparatus of sealed beverage vessel | |
KR100755036B1 (ko) | 유체 용기용 마개 | |
JP2021006468A (ja) | 安全キャップおよびキャップ付き容器ユニット | |
KR19990014578U (ko) |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 |
JP4334820B2 (ja) | 合成樹脂製の液はね防止ヒンジキャップ | |
KR200213038Y1 (ko) | 병체와 뚜껑의 결합구조 | |
KR200270790Y1 (ko) | 액체용기 | |
KR200382653Y1 (ko) | 이중격실 용기 | |
KR200365729Y1 (ko) | 액체 용기용 마개 | |
KR200311480Y1 (ko) | 빨대가 내장된 마개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