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828Y1 - 병뚜껑 - Google Patents

병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828Y1
KR200252828Y1 KR2020010021788U KR20010021788U KR200252828Y1 KR 200252828 Y1 KR200252828 Y1 KR 200252828Y1 KR 2020010021788 U KR2020010021788 U KR 2020010021788U KR 20010021788 U KR20010021788 U KR 20010021788U KR 200252828 Y1 KR200252828 Y1 KR 2002528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s
bottle
discharge hole
discharge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17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문
Original Assignee
박재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문 filed Critical 박재문
Priority to KR20200100217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8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8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828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체의 내경면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외주연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배출공을 개폐하는 마개가 구비된 병뚜껑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배출공의 내주연부에서 원주방향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형성되며 만곡형상으로 된 다수개의 걸림막과, 상기 걸림막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걸림막 사이에 형성되며 만곡형상으로 된 배출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병속에 수용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시킬 때, 병을 기울이는 각도에 따라 내용물이 배출됨에 있어서, 소정의 기울기 까지는 내용물이 소량씩 배출될 수 있게 되어 사용자가 병을 기울이는 조작을 실수 하더라도 일시에 많은 양의 내용물이 쏟아져 내용물을 낭비하게 되는 폐단을 해소하였으며, 특히, 손잡이가 있는 병이라도 배출공의 방향성에 관계없이 병에 병뚜껑을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립작업을 더욱 수월하게 하는 병뚜껑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병뚜껑{A BOTTLE CAP}
본 고안은 본체의 내경면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외주연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배출공을 개폐하는 마개가 구비된 병뚜껑에 관한것으로,특히, 배출공의 형상에 따른 방향에 관계없이 병 개구부에 병뚜껑을 조립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배출공으로 배출되는 내용물이 병을 기울이는 소정의 각도까지는 소량배출될 수 있도록 하고, 소정각도이상 기울이게 되면, 다량의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병뚜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뚜껑은 병(2)속에 수용된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것으로서, 내용물의 사용빈도와 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병뚜껑이 사용되어 오고 있다.
상기한 병뚜껑중에는 식용유,액젖,참기름,물엿과 같이 잦은 사용을 이루면서도 내용물을 대량으로 사용하지 않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병(2)에는 도1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용물의 배출량이 소량씩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배출공(1)이 마련된 병뚜껑을 사용하는 바, 상기 배출공(1)은 병(2)에 결합되는 본체(3)에 마련되어 있으며, 배출공(1)을 통하여 이물질이 병(2)속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개(110)가 본체(3)의 나사부(4)에 체결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도3에 도시된 종래의 병뚜껑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공(1b)이 다이아몬드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서, 둔각부(5)와 예각부(6)사이에 형성되는 유량차단막(7)은 예각부(6)로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이 병(2)을 기울이는 각도에 따라 조절되어 배출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에는 예각부(6)로 내용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하여야 내용물이 일시에 배출되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9-개구부재,10-걸고리
따라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8)가 마련된 병(2)에는 도2의 종래 병뚜껑이 결합될 경우에 적당하다. 즉, 사용자는 내용물을 배출시킬 때, 대부분 손잡이를 파지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배출시키기 때문에 배출공(1)의 예각부(6)가 손잡이(8)와 일직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병뚜껑을 병(2)에 결합시키면, 사용자는 손잡이(8)만 파지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배출시킴으로써, 내용물이 일시에 배출되는 낭패를 모면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병뚜껑은 배출되는 내용물이 배출공(1)에 의하여 소량씩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나, 도1에 도시된 종래의 배출공(1)은 원형(1a)으로 이루어져 있어, 도2와 같이 병(2)속에 내용물이 가득 수용되어 있을 경우, 병(2)을 조금만 기울여도 배출공(1a)의 개방된 영역이 넓어, 많은 량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병(2)속에 약간의 내용물이 수용되어 있다 하더라도, 배출공(1a)의 개방영역이 넓어 많은 량의 내용물이 쏟아지는 결점이 있었다.
그러나, 상기한 도1의 병뚜껑은 병(2)에 결합될 때, 어느 방향으로 결합되더라도 사용자는 배출공(1)의 방향에 관계없이 사용할 수 있는 장점에 의해 대부분 손잡이가 없는 병(2)에 결합되어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느 위치에서 병(2)을 파지하더라도 내용물을 배출시킬 수 있다는 장점에 의해 내용물이 일시에 배출되는 문제점을 감래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도3에 도시된 종래의 병뚜껑은 배출공(1)의 예각부(6)가손잡이(8)와 일직선상에 위치되어야 하므로, 병뚜껑의 결합작업 시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며 불편하여 작업성을 저하시키고 이에 따라 생산성을 저하시켜 제품의 생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된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병뚜껑의 배출공 방향에 관계없이 병뚜껑을 병에 결합함과 동시에, 사용자는 병뚜껑의 배출공 방향에 관계없이 내용물을 배출시키더라도 병속에 수용된 내용물이 일시에 쏟아지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도1은 종래 방향성이 없는 원형배출공이 형성된 병뚜껑을 도시한 도면.
도2는 도1의 종래 배출공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종래 방향성이 있는 다이아몬드형 배출공이 형성된 병뚜껑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도3의 종래 배출공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배출공과 병뚜껑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6은 본 고안에 의한 병뚜껑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면부호의 설명-
101-본체 102-배출공 103-걸림막
104-배출부 105-개구부재 106-걸고리
110-마개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본체의 내경면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외주연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배출공을 개폐하는 마개가 구비된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의 내주연부에서 원주방향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형성되며 만곡형상으로 된 다수개의 걸림막과, 상기 걸림막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걸림막 사이에 형성되며 만곡형상으로 된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막과 배출부의 내주연부에 분리가능하게 일체로 사출되며 배출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개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도5내지 도6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01)의 내경면 소정위치에 형성되는 배출공(102) 내주연부에는 소정크기의 걸림막(103)이 배출공(102)으로 배출되는 내용물을 간섭하도록 중심점을 향하여 다수개 형성되는 바, 상기 걸림막(103)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완만한 굴곡을 이루는 만곡(彎曲)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한 만곡형상의 걸림막(103)은 원주방향을 향하여 소정의 각도로 다수개 형성하되, 상기 어느 하나의 걸림막(103)과 인접한 걸림막(103)사이의 내주연부에 형성되는 배출부(104)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크기의 호형내지는 소정의 굴곡을 이루는 만곡형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한 어느 하나의 걸림막(103)과 인접한 걸림막(103)은 배출부(104)로 부터 배출공(102)의 중심점을 향하여 점차 벌어지는 형태를 이루도록 하여 배출부(104)로부터 중심점을 향할수록 배출공(102)의 면적이 점차 커질 수 있는 형상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배출부(104)와 걸림막(103)에 대응되는 형상의 개구부재(105)가 배출부(104)와 걸림막(103)의 내주면에 일체로 사출성형되도록 하는 바, 상기 개구부재(105)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걸고리(106)가 일체로 성형되어, 사용시 걸고리(106)를 잡아당겨 개구부재(105)가 탈리될 수 있도록 한 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청결한 보관과 사용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을 도6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병(110)의 손잡이나 몸체(110a)를 파지한 상태에서 내용물을 배출시키게 되는 바, 배출공(102)의 배출부(104)는 원주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병(110)을 파지한 상태에서 어느 방향으로 내용물을 배출시키게 되더라도 그 위치에는 배출부(104)가 형성되어 있어 내용물은 배출부(104)로 배출되며, 이때, 상기 배출부(104)는 비교적 협소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병(110)의 기울이는 각도를 크게 하여야 보다 많은 양의 내용물이 배출되어지며, 이때, 상기 배출부(104)에 인접한 걸림막(103)은 중심점을 향하여 점차 벌어지는 형태를 취하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병(110)을 더욱 더 기울일 수록 내용물이 더욱 많이 배출된다.
그러나, 상기 배출부(104)로부터 중심점을 향하여 소정의 거리까지는 비교적 배출부(104)의 크기와 거의 동일한 폭을 유지하기 때문에 기울이는 각도와 정비례하는 양만큼의 내용물의 배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더욱 많은 양의 내용물을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소정각도 이상 병(110)을 기울이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많은 량의 내용물이 쏟아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출부가 원주방향을 향하여 다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병뚜껑을 병의 개구부에 결합시킬 때 일정한 방향으로 병뚜껑의 위치를 조절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병뚜껑의 조립작업이 매우 간편해 지고, 아울러, 손잡이가 있는 병이나 손잡이가 없는 병에 관계없이 병뚜껑을 조립할 수 있게 되어, 병의 종류에 따라 대응되는 병뚜껑을 생산하기 위한 별도의 생산라인이 감축되며, 이에 따라 생산성이 향상되고 나아가서 생산단가를 저하시켜 경쟁력이 고취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병에 수용된 내용물을 배출할 때 배출공의 방향에 따라 병을 파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며, 많은 양의 내용물의 일시에 배출되어 고가의 내용물을 낭비하게 되는 결점을 해소하여 안정된 사용을 이루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2)

  1. 본체의 내경면에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 외주연의 나사부에 체결되어 배출공을 개폐하는 마개가 구비된 병뚜껑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의 내주연부에서 원주방향을 향하여 소정각도로 형성되며 만곡형상으로 된 다수개의 걸림막과,
    상기 걸림막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한 걸림막 사이에 형성되며 만곡형상으로 된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막과 배출부의 내주연부에 분리가능하게 일체로 사출되며 배출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 개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뚜껑.
KR2020010021788U 2001-07-19 2001-07-19 병뚜껑 KR2002528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788U KR200252828Y1 (ko) 2001-07-19 2001-07-19 병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1788U KR200252828Y1 (ko) 2001-07-19 2001-07-19 병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828Y1 true KR200252828Y1 (ko) 2001-11-17

Family

ID=73067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1788U KR200252828Y1 (ko) 2001-07-19 2001-07-19 병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82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42678B1 (en) Pour spout assembly
US20100219186A1 (en) Plastic cap having a pouring protrusion
US7918363B2 (en)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
ES2217152T3 (es) Pico de vertido para recipientes de liquido.
CA1330322C (en) Dispensing container closure
JP6501699B2 (ja) 注出容器
KR200252828Y1 (ko) 병뚜껑
JP2008018971A (ja) 液体用紙容器の口栓及び該口栓を取り付けた液体用紙容器
US6123196A (en) Insulating jugs stackable one over the other
JP2004142805A (ja) 注出具
JPH1072053A (ja) 蓋部付キャップ
US5794824A (en) Vessel for containing liquid
KR200230247Y1 (ko) 합성수지재 병 뚜껑
KR200365965Y1 (ko) 액체용기 뚜껑
JPH07223660A (ja) キャップ
KR200196149Y1 (ko) 공기 유입관이 구비된 용기
KR200296157Y1 (ko) 절약용 용기
JP2593747Y2 (ja) 調味料等の容器
JP4776020B2 (ja) 注出口付きキャップ
KR200270790Y1 (ko) 액체용기
KR200174978Y1 (ko) 액체 식품 용기의 뚜껑 (cap of container for a liquid food)
JPS6013805Y2 (ja) 液体注出容器の中栓
JP2001063746A (ja) 液体注出栓
KR200301586Y1 (ko) 액체용기 마개
KR200313872Y1 (ko) 마개-덮개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