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13872Y1 - 마개-덮개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 - Google Patents

마개-덮개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13872Y1
KR200313872Y1 KR20-2003-0002384U KR20030002384U KR200313872Y1 KR 200313872 Y1 KR200313872 Y1 KR 200313872Y1 KR 20030002384 U KR20030002384 U KR 20030002384U KR 200313872 Y1 KR200313872 Y1 KR 2003138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stopper
outlet
pool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23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경
Original Assignee
김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세경 filed Critical 김세경
Priority to KR20-2003-00023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1387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138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13872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MBUREAU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M11/00Hand or desk devices of the office or personal type for applying liquid, other than ink, by contact to surfaces, e.g. for applying adhes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16Devices preventing loss of removable closure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펀지를 없애고 유출구(12)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현한 마개(10)-덮개(20)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풀뚜껑은 마개(10)와 덮개(20), 그리고 연결부(30)로 구성되며, 상기 마개(10)와 덮개(20)는 상기 연결부(30)를 통해 폴리에틸렌 수지로 일체화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마개(10)에 위치한 유출부(11)의 중앙에는 직사각형 모양의 유출구(12)를 구비하여 상기 유출구(12)를 통해 풀이 유출되도록 하며, 상기 덮개(20)에 위치한 덮개홈(21)의 중앙에는 상기 유출구(12)와 동일 형상 및 크기의 돌출부(22)를 구비하여 덮개(20)를 닫았을 경우 상기 유출구(12)가 막히도록 한다. 상기 마개(10)와 덮개(20)의 연결부(30)쪽 일측면에는 각각 고정부1(14)과 고정부2(23)를 구비하여 개방된 덮개(20)를 마개(10)에 부착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마개(10)의 다른 일측면에는 개방지지부(24)를 구비하여 덮개(20)의 원터치 착탈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풀뚜껑과 결합되는 몸체(40)는 상측에는 나선형으로 홈이 형성되어 있어 마개(10)와 나선형으로 결합하며, 몸체(40)의 측면은 원통형이 아닌 다각형 구조로 되어있다.

Description

마개-덮개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Vessel for liquid typed paste including a one-touch typed cap of stopper and cover}
본 고안은 문방용 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펀지를 없애고 유출구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현한 마개-덮개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방용으로 사용되는 풀에는 액체형과 고체형(일명 딱풀)이 있으며, 통상 사용되고 있는 종래의 액체형 풀용기는 원형의 몸체, 몸체와 나사형으로 결합되는 마개, 마개 상부에 고정되는 스펀지, 몸체 또는 마개와 나사형으로 결합되어 상기 마개를 감싸는 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액체형 풀용기는 덮개를 착탈하기 위해서 상기 덮개를 나사형으로 수차례 돌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수반하였으며, 특히 덮개를 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시켜야만 사용이 가능하였던 것이어서, 사용 후에는 완전히 분리되어있던 덮개를 일일이 찾아서 풀의 유출부위를 덮어주어야만 하는 불편함 및 덮개 분실에 대한 위험을 수반하였다.
이밖에도, 덮개와 마개가 진공상태로 결합되지 않는 이상, 사용 후 풀의 유출부위에 장착된 스펀지에 남아있던 풀이 공기와 반응하여 스펀지의 탄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특히 덮개를 분실한 채 장시간 방치하였을 경우 스펀지의 탄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스펀지는 재질의 특성상 내구성이 높지 않기 때문에 접착 대상면과의 잦은 마찰로 인해 재질의 마모가 빨리 진행되며, 힘을 주어 문질렀을 경우에는 구멍이 생기거나 마개로부터 부분 또는 전체적으로 분리되기까지 하여, 내용물이남아있음에도 불구하고 풀용기를 폐기처분 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출원된 대표적인 기술들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40592호(2001. 7. 19 등록)는 뚜껑과 몸체, 그리고 돌리개 척으로 구성된 뚜껑분실 방지용 풀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비록 풀용기가 내용물을 달리하는 고체형이지만 뚜껑을 이용해야만 풀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뚜껑 분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을 이용하더라도 풀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뚜껑을 몸체 아래부분에 있는 돌리개 척에 조립하여야 하므로, 즉 뚜껑을 몸체로부터 완전히 분리시켜야 하므로 뚜껑 분실에 대한 위험을 원천적으로 해소시켰다고는 볼 수 없다.
이에, 등록실용신안공보 제88-2386호(1988. 7. 2 등록)에서는 덮개 분실의 우려를 원천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풀뚜껑의 마개와 덮개를 일체적으로 구성한 기술을 제시하였으나, 여전히 유출부위에는 스펀지가 장착되어 있어, 덮개를 개방시켜놓았을 때는 물론이고, 닫았을 때에도 스펀지의 탄력이 점차 저하되는 문제점을 여전히 갖고 있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공보 제89-4710호(1989. 4. 17 공개)에 의하면, 풀통의 상부에는 스펀지가 없는 맨구멍을 형성하고, 하부에는 스펀지가 달린 바르는 면을 형성한 문구용 풀통에 관하여 청구하고 있으나, 상기 상부는 단지 스펀지만을 제거한 구성이기 때문에 한꺼번에 다량의 풀이 유출될 우려가 있어 소량의 유출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아울러, 상기 덮개에는 상기 상부의 맨구멍을입체적으로 막는 구성요소가 부재하여 상기 상부를 덮개로 고정시킨다 하더라도 상기 덮개와 몸체 사이의 나사형 접촉부상에 풀이 흘러나올 개연성이 있어, 풀의 낭비는 물론이고 덮개의 착탈을 용이하지 않게 하는 문제점 또한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른 목적은, 착탈이 용이하며 덮개의 분실 위험이 없는 마개-덮개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으며,
본 고안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목적은, 성능 열화 없이 풀용기를 오랜 기간동안 사용할 수 있도록 스펀지가 없는 유출구를 구비한 마개-덮개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풀뚜껑에 있어서, 마개와 덮개가 분리된 상부 입체도,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풀용기에 있어서, 분리된 덮개가 마개에 고정된 풀뚜껑과 몸체를 나타내는 측면 입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마개 11: 유출부
12: 유출구 13: 돌기
14: 고정부1 15: 개방돌기
20: 덮개 21: 덮개홈
22: 돌출부 23: 고정부2
24: 개방지지부 30: 연결부
40: 몸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펀지를 없애고 유출구(12)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현한 마개(10)-덮개(20)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에 있어서;
상기 풀뚜껑이;
몸체(40)와 결합되며 상부 중앙에 폭이 좁은 유출부(11)를, 하부측면에 고정부1(14)과 다수의 수직형 개방돌기(15)를 구비하고 연결부(30)를 통해 덮개(20)와일체적으로 형성된 마개(10)와; 상기 마개(10)와 결합되며 중앙에 덮개홈(21)을, 측면에 고정부2(23)와 개방지지부(24)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30)를 통해 상기 마개(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덮개(20)와; 양측면이 상기 마개(10)와 덮개(2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마개(10)와 덮개(20)를 결합하는 연결부(30); 로 구성되며,
상기 유출부(11)는 상기 마개(1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며 중앙에 직사각형 모양의 유출구(12)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홈(21)은 상기 덮개(20)의 중앙에 위치하며 중앙에 정방형 돌출부(2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지를 없애고 유출구(12)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현한 마개(10)-덮개(20)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를 제공함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고안에 의한 풀뚜껑을 나타내는 상부 입체도로서, 각 부에 대한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덮개(20)가 마개(10)로부터 분리되었을 경우를 나타내며, 도2는 본 고안에 의한 풀뚜껑과 몸체로 구성된 풀용기를 나타내는 측면 입체도로서, 분리된 덮개가 마개에 고정된 경우를 나타낸다.
먼저 풀뚜껑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1, 도2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서의 풀뚜껑은 크게 마개(10)와 덮개(20), 그리고 연결부(3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개(10)와 덮개(20)는 연결부(30)를 통해 동일소재로 일체적으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제조가 용이하며 내구성 또한 높은 폴리에틸렌 소재로 이루어진다.
상기 마개(10)와 덮개(20)를 일체적으로 제조함으로써 제조공정의 단순화로인한 제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
마개(10)는 상부 중앙의 유출부(11)와, 하부측면의 고정부1(14) 및 다수의 개방돌기(15)로 구성된다.
마개(1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한 유출부(11)는 외관상 마개(10)보다 폭이 좁고 볼록하게 솟은 형상을 띄고 있으며, 상기 유출부(11)의 상부 중앙에는 한쪽 면은 짧고 다른 한쪽 면은 긴, 즉 직사각형 모양의 유출구(12)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유출구(12)를 통해 적당량의 풀이 유출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출구(12)의 짧은쪽 면과 긴쪽 면 길이에 대한 절대 비율 또는 상대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유출되는 풀의 양 또한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용도에 맞는 다량의 제품군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 유출부(11)의 측면 중앙을 수평으로 둘러싸고 있는 돌기(13)는 덮개(20)를 닫았을 경우 상기 덮개(20)가 마개(1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마개(10)의 연결부(30)쪽 하부측면에 위치한 고정부1(14)은 차후 설명될 덮개(20)의 고정부2(23)와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풀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덮개(20)와 마개(10)를 분리하였을 경우 상기 덮개(2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마개(10)의 하부측면을 둘러싸고 있는 수직방향의 다수의 개방돌기(15)는 손으로 잡았을 때 나사형 회전을 용이하게 하여 마개(10)와 몸체(40)의 착탈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덮개(20)는 중앙의 덮개홈(21)과 측면의 고정부2(23) 및 개방지지부(24)로구성된다.
덮개(20)의 중앙에 위치한 덮개홈(21)은 상기 유출부(11)와 동일 형상으로 움푹 패어있어서, 덮개(20)를 닫았을 경우 상기 유출부(11)와 덮개홈(21)이 입체적으로 밀착되도록 하며, 중앙에는 상기 유출구(12)와 동일 형상 및 크기로 볼록하게 솟은 돌출부(22)가 형성되어 있어, 덮개(20)를 닫았을 경우 돌출부(22)가 상기 유출구(12)에 견고하게 맞물려지도록 하여, 풀용기를 눕히거나 거꾸로 세우더라도 풀이 유출될 염려가 없도록 지원한다.
덮개(20)의 연결부(30)쪽 측면에 위치한 고정부2(23)는 마개(10)의 고정부1(14)과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풀용기를 사용하기 위해 덮개(20)와 마개(10)를 분리하였을 경우 상기 덮개(20)가 흔들리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덮개(20)의 다른 일측면(바람직하게는 연결부(30) 반대쪽 측면)에 구비된 개방지지부(24)는 손가락을 이용하여 덮개(20)를 상기 마개(10)와 원터치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출부(11)와 덮개홈(21)의 연결부(30)쪽 부위를 반대쪽 부위보다 좁게 형성하고, 윗면과 측면의 연결부위를 곡선으로 처리하여, 상기 유출부(11)와 덮개홈(21)의 자연스러운 착탈을 용이하도록 지원한다.
연결부(30)는 양측면(바람직하게는 서로 반대되는 양측면)이 상기 마개(10)와 덮개(20)에 각각 연결되어 있어, 상기 마개(10)와 덮개(20)가 일체적으로 구성되도록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몸체(40)에 대해서 살펴보면, 도2에서와 같이 상측에 나선형으로홈이 패어져있어, 마개(10)와 나선형으로 결합하며, 몸체(40)의 측면은 원통형이 아닌 다각형 구조로 되어 있어, 풀용기를 책상위와 같이 높은 곳에 눕혀놓더라도 굴러 떨어질 염려가 없어, 안전하게 풀용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에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풀용기는, 기존에 스펀지로 되어있던 유출부(11)를 폴리에틸렌 수지로 대체하고 돌출부(22)와 맞물려 결합되는 직사각형 모양의 유출구(12)를 통해 풀이 유출되도록 함으로써, 내구성 향상 및 불필요한 풀의 유출을 최소화한 제품이다.
아울러, 마개(10)와 덮개(20)를 일체화시키고 몸체(40)의 측면을 다각형화하여, 제조단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풀뚜껑 및 풀용기의 훼손 또는 분실로 인해 풀을 다 못쓰고 버리게되는 단점을 보완하여 용기의 수명을 늘이고 품질을 한층 높인 제품이다.
또한, 개방지지부(24)와 돌기(13)를 통해 덮개(20)를 원터치방식으로 견고하게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제품이다.

Claims (5)

  1. 스펀지를 없애고 유출구(12)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현한 마개(10)-덮개(20)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에 있어서;
    상기 풀뚜껑이;
    몸체(40)와 결합되며 상부 중앙에 폭이 좁은 유출부(11)를, 하부측면에 고정부1(14)과 다수의 수직형 개방돌기(15)를 구비하고 연결부(30)를 통해 덮개(2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마개(10)와; 상기 마개(10)와 결합되며 중앙에 덮개홈(21)을, 측면에 고정부2(23)와 개방지지부(24)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30)를 통해 상기 마개(10)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덮개(20)와; 양측면이 상기 마개(10)와 덮개(20)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마개(10)와 덮개(20)를 결합하는 연결부(30); 로 구성되며,
    상기 유출부(11)는 상기 마개(1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며 중앙에 직사각형 모양의 유출구(12)를 구비하며, 상기 덮개홈(21)은 상기 덮개(20)의 중앙에 위치하며 중앙에 정방형 돌출부(22)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지를 없애고 유출구(12)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현한 마개(10)-덮개(20)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11)와 덮개홈(21)은 연결부(30)쪽 부위가 반대쪽 부위보다 좁게 형성되고 윗면과 측면의 연결부위가 곡선으로 처리되어, 상기 유출부(11)와 덮개홈(21)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지를 없애고 유출구(12)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현한 마개(10)-덮개(20)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부(11)에는 돌기(13)를 구비하여 상기 마개(10)의 견고한 닫힘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지를 없애고 유출구(12)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현한 마개(10)-덮개(20)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사각형 모양의 유출구(12)는 짧은쪽 면과 긴쪽 면 길이에 대한 절대 비율 또는 상대 비율을 조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지를 없애고 유출구(12)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현한 마개(10)-덮개(20)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뚜껑과 결합되는 풀용기 몸체(40)는 측면이 다각형 구조로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스펀지를 없애고 유출구(12)를 직사각형 모양으로 구현한 마개(10)-덮개(20)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
KR20-2003-0002384U 2003-01-24 2003-01-24 마개-덮개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 KR2003138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384U KR200313872Y1 (ko) 2003-01-24 2003-01-24 마개-덮개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2384U KR200313872Y1 (ko) 2003-01-24 2003-01-24 마개-덮개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13872Y1 true KR200313872Y1 (ko) 2003-05-22

Family

ID=49406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2384U KR200313872Y1 (ko) 2003-01-24 2003-01-24 마개-덮개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1387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16759A (en) Liquid-dispensing container assembly
EP1541484B1 (en) Pot using magnetic force to link a lid and a body
US5909820A (en) Beverage container with grooved lid
US20060163252A1 (en) Container
KR100270895B1 (ko) 두위치핸들을구비한용기
US20070007296A1 (en) Flexible bottle mouth insert
EP4104710A1 (en) Multifunctional bottle lid assembly
KR200313872Y1 (ko) 마개-덮개 일체형 원터치식 풀뚜껑을 구비한 액체형 풀용기
JP2010527865A (ja) 栓紛失及び空回転防止容器
JPH0433090Y2 (ko)
KR200230247Y1 (ko) 합성수지재 병 뚜껑
KR200301586Y1 (ko) 액체용기 마개
KR200252828Y1 (ko) 병뚜껑
KR200358801Y1 (ko) 화장용 립글로스 카트리지
JPH0438791Y2 (ko)
JP3479158B2 (ja) 液体注出栓
KR200174978Y1 (ko) 액체 식품 용기의 뚜껑 (cap of container for a liquid food)
KR200199253Y1 (ko) 이중용기 구조의 정수기
CN210930699U (zh) 一种防滴落水杯
CN200948021Y (zh) 一种带镜子的杯子
KR200275601Y1 (ko) 다용도 용기
KR200153739Y1 (ko) 풀통
KR200195208Y1 (ko) 음료용기의 커버
KR20080000379U (ko) 고정핀이 성형 된 조립식 손잡이 뚜껑
CN206424631U (zh) 用于存储和倾倒液体的组合件和液体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