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5601Y1 - 다용도 용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5601Y1
KR200275601Y1 KR2020020003474U KR20020003474U KR200275601Y1 KR 200275601 Y1 KR200275601 Y1 KR 200275601Y1 KR 2020020003474 U KR2020020003474 U KR 2020020003474U KR 20020003474 U KR20020003474 U KR 20020003474U KR 200275601 Y1 KR200275601 Y1 KR 2002756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port
protrusion
handle
lid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34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세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산
Priority to KR20200200034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56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56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5601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기의 손잡이를 포트부가 아닌 뚜껑부에 장착하여 제조비 절감 및 제품 성형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포트부에 뚜껑을 손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취급이 편리하도록 한 다용도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은 물이나 음료수 등의 각종 액체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포트부(30)와 상기 포트부(30) 상단에 착탈되는 뚜껑부(40)를 구비한 다용도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40)의 일측에 상기 뚜껑부(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부(48); 상기 뚜껑부(40)의 내측 안착면(42) 상단에 돌설된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44); 상기 뚜껑부(40)의 내측 안착면(42) 중앙부에 교차되게 돌설된 걸림돌기(46); 상기 결합돌기(44)와 마찰하며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46)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포트부(30)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은 포트부에 손잡이를 장착 또는 성형할 필요가 없어 제품 생산을 용이하게 하며, 뚜껑의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져 사용이 간편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제조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손잡이를 포트부에 성형하는 것보다 뚜껑에 성형하는 것이 자유로우므로 다양한 형태로의 제작이 가능해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다용도 용기 {A multipurpose container, vessel or bottle}
본 고안은 다용도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용기의 손잡이가 뚜껑과 일체로 되어 있고, 뚜껑 내부에 결합돌기와 걸림돌기를 구비하여 이에 상응하도록 포트부 상단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부가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뚜껑의 착탈이 용이하고 용기의 취급이 간편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사무실 또는 식당 등지에서 물 또는 음료수를 담아 두면서 필요시 컵에 따라 마실 수 있도록 다용도 용기를 사용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러한 다용도 용기는 첨부도면 도 1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물 또는 음료수 외에 차를 우려낸 찻물이나 술, 기타 액체 등 종류에 한정하지 않고 담을 수 있는 포트부(10)와, 상기 포트부(10)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용기(20)를 집어들거나 운반할 수 있는 손잡이부(14)와, 상기 포트부(10)의 상단에 밀폐 가능하게 끼워지는 뚜껑부(16)로 나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포트부(10)는 바람직하게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에서도 확인될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되어 있고, 테이블이나 바닥에 놓을 때 유동되지 않도록 밑면에 일정한 무늬가 조각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또한, 상기 포트부(10)의 상단 일측에는 상기 용기(20)를 기울여 상기 포트부(10) 내의 내용물을 밖으로 토출시킬 때 내용물이 한곳으로 모여져 토출될 수 있도록 함몰된 채 돌설된 토출부(12)가 성형되어 있고, 상기 뚜껑부(16)는 합성수지 또는 고무 재질로 성형되어 상기 포트부(10) 상단에 탄력적으로 끼워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용도 용기(20)를 사용할 때에는 우선, 뚜껑부(16)를 손으로 빼낸 후 포트부(10) 내에 물 또는 음료수, 각종 액체물을 넣고 다시 뚜껑부(16)를 끼워 넣은 후 상기 포트부(10) 일측에 성형된 손잡이부(14)를 파지하고 필요시마다 상기 토출부(12)가 있는 쪽으로 용기를 기울여 사용하면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용도 용기(20)는 손잡이부(14)를 상기 포트부(10)의 일측에 성형해야 하므로 제품의 제조비 상승을 불러일으키고 포트부(10)의 부피를 증가시켰으며, 상기 포트부(10)와 다른 재질로 성형하고자 할 때에는 성형의 곤란함과 미관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포트부(10) 상단에 결합되는 뚜껑부(16)는 상기 용기(20)를 기울여 포트부(10) 내의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시킬 때 상기 포트부(1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포트부(10) 상단에 견고하게 끼워져 있어야 하는 반면, 상기 포트부(10)에 내용물을 넣거나 상기 포트부(10)를 한번에 비우고자 할 때에는 상기 뚜껑부(16)가 상기 포트부(10)로부터 용이하게 착탈되어야 하므로, 적절한 탄력성을 갖추고 상기 포트부(10)에 착탈될 수 있는 뚜껑부(16)를 제작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용기의 손잡이를 포트부가 아닌 뚜껑부에 장착하여 제조비 절감 및 제품 성형을 용이하게 하고, 상기 포트부에 뚜껑을 손쉽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하여 취급이 편리한 다용도 용기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다용도 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다용도 용기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용도 용기의 뚜껑부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용도 용기의 뚜껑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용도 용기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용도 용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 포트부 12, 34 : 토출부
14, 48 : 손잡이부 16, 40 : 뚜껑부
32 : 돌기부 42 : 안착면
43 : 밀착돌기 44 : 결합돌기
45 : 립부 46 : 걸림돌기
46a : 수평돌기 46b : 수직돌기
20, 50 : 다용도 용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이나 음료수 등의 각종 액체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포트부와 상기 포트부 상단에 착탈되는 뚜껑부를 구비한 다용도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의 일측에 상기 뚜껑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손으로 적절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부; 상기 뚜껑부의 내측 안착면 상단에 돌설된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 상기 뚜껑부의 내측 안착면 중앙부에 교차되게 돌설된 걸림돌기; 상기 결합돌기와 마찰하며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포트부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트부의 상측에 착탈되는 뚜껑부가 상기 포트부로부터 쉽게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포트부의 상측 외주면에 구비되는 돌기부는 경사지게 돌설되고, 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기 뚜껑부 내측의 결합돌기와 걸림돌기도 경사지게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뚜껑부 내측 안착면에 돌설되는 걸림돌기는 수평돌기부와 수직돌기부가 교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고 종래와 같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물이나 음료수 등의 각종 액체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포트부(30)와 상기 포트부(30) 상단에 착탈되는 뚜껑부(40)를 구비한 다용도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40)의 일측에 상기 뚜껑부(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손으로 적절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부(48); 상기 뚜껑부(40)의 내측 안착면(42) 상단에 돌설된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44); 상기 뚜껑부(40)의 내측 안착면(42) 중앙부에 교차되게 돌설된 걸림돌기(46); 상기 결합돌기(44)와 마찰하며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46)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포트부(30)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상기 뚜껑부(40) 내측 안착면에 돌설되는 걸림돌기(46)는 수평돌기부(46a)와 수직돌기부(46b)가 교차되어 이루어져 있다.
상기 뚜껑부(40)의 일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48)는 그 형상의 제한이 없으며, 바람직하게 완곡한 면을 이루게 하여 파지가 용이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포트부(30)의 상단과 밀착되어 상기 포트부(30)를 기울여 내용물을 토출시킬 때, 상기 포트부(30)의 내용물이 토출부(34)외의 부분으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뚜껑부(40) 내측 상면의 원주면을 따라 밀착돌기(43)가 돌설되어 있다.
상기 뚜껑부(40)의 일측에는 포트부(30) 상단 일측에 구비된 토출부(34)를 커버하기 위해 뚜껑부(40)의 원주면에서 돌출된 립부(45)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포트부(30)의 상측에 착탈되는 뚜껑부(40)가 상기 포트부(30)로부터 쉽게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포트부(30)의 상측 외주면에 구비되는 돌기부(32)는 경사지게 돌설되고, 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기 뚜껑부(40) 내측의 결합돌기(44)와 걸림돌기(46)도 경사지게 돌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용도 용기는 손쉽게 착탈할 수 있는 뚜껑에 손잡이를 장착하여 취급이 간편하고, 미관상 수려하며 용기 제작시 제조비의 절감효과를 꾀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즉, 상기 뚜껑부(40)를 상기 포트부(30)에 착탈하는 과정을 첨부도면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우선 상기 뚜껑부(40)를 파지하여 뚜껑부(40) 일측의 립부(45)와 포트부(30) 일측의 토출부(34)가 서로 엇갈리도록 상기 뚜껑부(40)를 상기 포트부(30) 상측에 덮어씌운다. 이때, 상기 뚜껑부(40) 내부에 돌설된 결합돌기(44)와 상기 포트부(30) 상단 원주면에 돌설된 돌기부(32)는 서로 교차되므로 상기 뚜껑부(40) 내측의 안착면(42)이 상기 포트부(30) 상단 외면에 접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뚜껑부(40)를 일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뚜껑부(40) 내부의 결합돌기(44)가 상기 포트부(30)의 돌기부(32) 하측에서 상기 돌기부(32)를 밀어 올리듯 밀착되게 되고, 상기 돌기부(32)는 상기 결합돌기(44)와 슬라이딩 결합된 후, 상기 안착면(42) 중앙부에 돌설된 걸림돌기(46)에 걸려 상기 뚜껑부(40)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돌기부(32)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어, 이에 상응하게 경사진 상기 결합돌기(44)를 타고 슬라이딩 결합되므로 상기 걸림돌기(46)에 걸려 더 이상 상기 뚜껑부(40)가 상기 포트부(30)의 원주면을 따라 회전하지 못하게 함과 아울러 회전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아 상기 뚜껑부(40)가 상기 포트부(30)로부터 유동되지 않고 밀착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뚜껑부(40)가 상기 포트부(30)에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어 상기 뚜껑부(40) 일측에 장착된 손잡이부(48)를 파지하고 상기 용기(50)를 운반 또는 기울여 사용할 때에도 상기 포트부(30)가 하측으로 이탈됨이 없이 안정적으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손잡이부(48)의 형태에는 제한이 없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부(40)와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제품 성형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생산비를 절감시키도록 한다.
한편, 상기 포트부(30)에 결합된 상기 뚜껑부(40)를 열고자 할 때에는 상기 뚜껑부(40)를 장착시킬 때 상기 뚜껑부(40)를 회전시키는 방향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뚜껑부(40)의 결합돌기(44)와 포트부(30)의 돌기부(32)의 접촉이 해제되어 상측으로 들어올림으로써 손쉽게 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뚜껑부(40)를 상기 포트부(30)로부터 개폐시키기 위해 회전시키는 방향은 상기 뚜껑부(40) 내부에 돌설 구비된 걸림돌기(46)의 형태에 따라 좌우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교차.돌설되어 형성되는 상기 걸림돌기(46)의 수직돌기(46b)가 수평돌기(46a)의 양단 중 어느측에 돌설되는가에 따라 시계 방향 회전과 반시계 방향 회전이 좌우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포트부에 손잡이를 장착 또는 성형할 필요가 없어 제품 생산을 용이하게 하며, 뚜껑의 착탈이 용이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져 사용이 간편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제조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고, 손잡이를 포트부에 성형하는 것보다 뚜껑에 성형하는 것이 자유로워 다양한 형태의 손잡이를 장착할 수 있어 미관을 수려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포트부에 손잡이를 성형하지 않아도 되므로 포트부를 소망하는 형태로 제조할 수 있고, 손잡이가 없는 기존의 포트부에도 본 고안의 손잡이가 장착된 뚜껑을 사용할 수 있고 그 활용폭이 매우 크다 할 수 있다.

Claims (3)

  1. 물이나 음료수 등의 각종 액체물을 담을 수 있도록 상측이 개구된 포트부(30)와 상기 포트부(30) 상단에 착탈되는 뚜껑부(40)를 구비한 다용도 용기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40)의 일측에 상기 뚜껑부(40)와 일체로 형성되어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 손잡이부(48);
    상기 뚜껑부(40)의 내측 안착면(42) 상단에 돌설된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44);
    상기 뚜껑부(40)의 내측 안착면(42) 중앙부에 교차되게 돌설된 걸림돌기(46);
    상기 결합돌기(44)와 마찰하며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걸림돌기(46)에 걸려 고정되도록 상기 포트부(30)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하나 이상의 돌기부(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트부(30)의 상측에 착탈되는 뚜껑부(40)가 상기 포트부(30)로부터 쉽게 이탈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포트부(30)의 상측 외주면에 구비되는 돌기부(32)는 경사지게 돌설되고, 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상기 뚜껑부(40)내측의 결합돌기(44)와 걸림돌기(46)도 경사지게 돌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부(40) 내측 안착면에 돌설되는 걸림돌기(46)는 수평돌기부(46a)와 수직돌기부(46b)가 교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용기.
KR2020020003474U 2002-02-04 2002-02-04 다용도 용기 KR2002756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474U KR200275601Y1 (ko) 2002-02-04 2002-02-04 다용도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3474U KR200275601Y1 (ko) 2002-02-04 2002-02-04 다용도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5601Y1 true KR200275601Y1 (ko) 2002-05-17

Family

ID=73073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3474U KR200275601Y1 (ko) 2002-02-04 2002-02-04 다용도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56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154B1 (ko) * 2018-06-25 2019-03-06 서재홍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154B1 (ko) * 2018-06-25 2019-03-06 서재홍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53240B2 (en) Closure for a liquid container
US7806044B2 (en) Tea bag cup lid
US7100790B2 (en) Spill-resistant metered flow cap for a cup
US7168589B2 (en) Spill-resistant container
CN102459023B (zh) 防漏饮用杯和用于该防漏饮用杯的隔片
US6719134B2 (en) Toilet plunger storage device
US8118182B1 (en) Ergonomic beverage container
US20150076050A1 (en) Container system for dispensing filtered and unfiltered liquids
CZ175697A3 (en) Isothermic bottle
CA2532401C (en) Travel mug
US5102000A (en) Drink Mug
US20110155281A1 (en) System for transferring a viscous liquid between containers
US8261787B2 (en) System for transferring a viscous liquid between containers
US20110284595A1 (en) Handled bottle
CN102917974A (zh) 用于分配其中容纳的流体的容器
US8225950B2 (en) Fruit holder
KR200275601Y1 (ko) 다용도 용기
CN107758091B (zh) 饮料容器
KR101107726B1 (ko) 결합식 손잡이 구조를 갖는 페트병
US2732108A (en) Haddad
KR101802358B1 (ko) 음료 용기 및 음료 용기용 코어 어셈블리
US6012616A (en) Bottle assembly
KR100352739B1 (ko) 유아용액체분배컵
CN216569436U (zh) 一种吸管可拆卸的水杯
KR200331944Y1 (ko) 거름용기가 형성된 찻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