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154B1 -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 - Google Patents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154B1
KR101955154B1 KR1020180072589A KR20180072589A KR101955154B1 KR 101955154 B1 KR101955154 B1 KR 101955154B1 KR 1020180072589 A KR1020180072589 A KR 1020180072589A KR 20180072589 A KR20180072589 A KR 20180072589A KR 101955154 B1 KR101955154 B1 KR 101955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bracket
bottle
handle
recyc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2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재홍
Original Assignee
서재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재홍 filed Critical 서재홍
Priority to KR10201800725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1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16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with handles or other special means facilitating manual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57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made separately from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76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가 개구된 재활용 병의 입구에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된 마개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재활용 병의 휴대가 용이한 것이 특징인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는 병마개의 몸통과 손잡이의 결속부분이 견고하여 파손의 우려가 적으며, 또한 병마개를 분리시키지 않고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며, 병마개의 분실하지 않을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Grip with function of stopple for recycling bottle}
본 발명은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활용 병의 입구에 착탈가능한 마개를 부착하되, 상기 마개는 재활용 병의 손잡이 역할을 동시에 수행가능한 재활용 병 마개 겸 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수병과 같은 재활용 병은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이러한 재활용 병에는 사람이 음용할 수 있도록 물이나 음료가 담겨 있으나 일반적인 사람은 한 번에 재활용 병에 담긴 음료를 마시기 어려워 보행중에는 재활용 병의 몸통을 파지하고 다니면서 여러 번에 걸쳐 마시기 때문에 파지가 불편하며, 또한 사용한 재활용 병에 다른 음료를 보관하는 경우도 종종 있기에 재활용 병의 보관 또는 사용이 용이하도록 원래 재활용 병에 사용되던 병마개를 대신하여 손잡이가 함께 구성된 병마개가 안출되고 있다.
손잡이가 함께 구성된 병마개에 대한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1998-0016706호에 병뚜껑은 임의 상측부가 절단된 원추형의 상·하측면부와 상면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측면부에는 손잡이를 연결부로서 연결시키고, 또한 상기 상측면부 내측과 내마개의 사이에는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하측면부의 내측 둘레로는 걸림턱과 하부걸림돌기를 두며, 그리고 상기 상·하측면부는 절취선으로서 구분이 되어지데, 이러한 절취선는 연결부의 양외측에 형성된 측면절취선의 중간 부위에 각각 연결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 손잡이가 달린 합성수지 병뚜껑의 원추형 구조가 공개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27254호에 동체의 내부주벽에 나선을 각설하고, 상면에는 전후반고원지대가 돌설되고, 전후반회랑이 형성되고, 동체의 직경선상에 해당되는 후반고원지대의 좌우측벽에 축공을 내향으로 각각 요설하고 C자형 손잡이의 좌우양단에 내향돌자를 돌설하여 축공에 각각 삽입하여서 구성한 것에 있어서, 상기 C자형 손잡이의 좌우양단의 경간의 말단에 원형공을 형성한 고리에 보올트의 단축부를 유삽하여 그 끝의 나사부를 고원지대의 측벽에 매설한 너트에 나삽고정하여서 구성한 조립식 손잡이를 가진 병뚜껑이 등록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손잡이가 구성된 병마개는 병의 내부에 담긴 음료를 컵과 같은 용기에 따르기 위해서는 병마개를 병으로부터 분리시켜야하기 때문에 번거로움 및 분실의 우려가 있으며, 또한 파지부분이 손가락 하나 정도를 사용하여 파지하거나 병마개와 손잡이 부분의 결합부분의 결속력이 약해 파손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병마개의 몸통과 손잡이의 결속부분이 견고하여 파손의 우려가 적으며, 또한 병마개를 분리시키지 않고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며, 병마개의 분실하지 않을 수 있는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는 상부가 개구된 재활용 병의 입구에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된 마개에 손잡이가 일체로 형성되어 재활용 병의 휴대가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는 병마개의 몸통과 손잡이의 결속부분이 견고하여 파손의 우려가 적으며, 또한 병마개를 분리시키지 않고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며, 병마개의 분실하지 않을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의 수직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의 캡을 탈착한 몸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의 캡을 상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의 캡을 하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단면 개요도.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는 상부가 개구된 재활용 병의 입구에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된 마개(100)에 손잡이(16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재활용 병의 휴대가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마개(100)는 상하로 중공되어 하부측 중공홀로는 재활용 병의 입구에 체결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ㄱ’자 형상의 손잡이(160)와, 상기 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중공홀(120)에 체결되는 캡(150)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몸체(110)는 재활용 병에 체결되는 제1몸체(111)와, 상기 제1몸체(111)의 상부에 연장형성되어 캡(150)이 접촉되는 제2몸체(112)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제2몸체(112)의 측면으로는 손잡이(160)가 형성된 방향을 향하여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브래킷(130)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브래킷(130)에는 서로 대향하는 힌지홀(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150)은 상기 제2몸체(112)의 상부 측에 형성된 중공홀(120)에 접촉하여 중공홀(120)을 개폐하고 있는 캡본체(151)와, 상기 캡본체(151)의 측면에 제1브래킷(130)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접촉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브래킷(152)과, 상기 제2브래킷(152)의 양측면에 제1브래킷(130)에 형성된 힌지홀(140)에 체결되는 힌지축(153)과, 상기 제2브래킷(152)의 끝단부에 연장형성되는 누름편(154)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누름편(154)을 누르면 힌지홀(140)에 체결된 힌지축(153)을 중심으로 캡본체(151)는 상부로 회동하여 제2몸체(112)의 상부 측에 형성된 중공홀(120)이 개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의 또 다른 측면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의 수직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는 상부가 개구된 재활용 병의 입구에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된 마개(100)에 손잡이(16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재활용 병의 휴대가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마개(100)는 상하로 중공되어 하부측 중공홀로는 재활용 병의 입구에 체결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손잡이(160)가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중공홀(120)에는 병의 내부에 담겨 있는 음료를 외부로 유출시 개폐하는 수단으로 캡(150)이 체결되어 있다.
상기 손잡이(160)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의 캡을 탈착한 몸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의 캡을 상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의 캡을 하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상기 몸체(110)는 재활용 병에 체결되는 제1몸체(111)와, 상기 제1몸체(111)의 상부에 연장형성되어 캡(150)이 접촉되는 제2몸체(112)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제2몸체(112)의 측면으로는 손잡이(160)가 형성된 방향을 향하여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브래킷(130)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제1브래킷(130)에는 서로 대향하는 힌지홀(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캡(150)은 상기 제2몸체(112)의 상부 측에 형성된 중공홀(120)에 접촉하여 중공홀(120)을 개폐하고 있는 캡본체(151)와, 상기 캡본체(151)의 측면에 제1브래킷(130)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접촉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브래킷(152)과, 상기 제2브래킷(152)의 양측면에 제1브래킷(130)에 형성된 힌지홀(140)에 체결되는 힌지축(153)과, 상기 제2브래킷(152)의 끝단부에 연장형성되는 누름편(154)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상기 누름편(154)을 누르면 힌지홀(140)에 체결된 힌지축(153)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효과로 캡본체(151)는 상부로 회동하여 제2몸체(112)의 상부 측에 형성된 중공홀(120)이 개방되게 된다.
상기 제2몸체(112)의 상단부에는 병의 내부에 담겨 있는 물을 컵에 따를 때 배출이 용이하도록 물흘림로(1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흘림로(113)는 손잡이(160)에 대향하는 방향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몸체(111)의 하부측 전단부에는 재활용 병의 입구 주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지지턱(114)이 전방을 향하여 돌출형성되어 있기에 사용자가 손잡이(160)이 파지할 때 병몸체가 마개(100)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하여 주며, 제2몸체(112)의 내주연에는 재활용 병의 입구 측 외주연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이 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누름편(154)의 하면에는 누름편(154)을 누를 때 누름편(154)에 강성을 부여하도록 복수 개의 리브(156)가 돌출형성되어 있으며, 캡본체(151)의 하면에는 중공홀(120)의 내주연에 억지끼움이되도로 중공홀(120)의 내주연과 동일한 직경의 끼움돌기(15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끼움돌기(155)는 원판 또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움돌기(155)와 중공홀(120) 간에는 수밀을 요하기 위하여 수밀부재(도면 미도시)를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수밀부재의 두께를 조절하여 다양한 직경의 재활용 병에 사용할 수도 있게 하였다.
한편, 상기 캡(150)과 몸체(110)가 힌지결합되어 시소운동을 하는 구조에서 토션스프링(도면 미도시)과 같은 탄성부재를 장착하게 되면 누름편(154)을 사용자가 엄지손가락으로 누르게 되면 중공홀(120)은 개방되게 되고, 누름편(154)을 누르던 엄지손가락의 힘이 사라지게 되면 토션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캡본체(151)는 중공홀(120)이 패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토션스프링을 장착하는 것은 널리 공지된 관용의 수단으로 가능하기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마개(100)를 합성수지로 제작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스테인리스와 같은 금속재질로도 제작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의 또 다른 실시에 따른 단면 개요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몸체(111)의 내측에 탄성체(170)를 삽입함으로써 다양한 입구 형상의 재활용에도 사용가능하도록 하였다.
일반적으로 생수병의 경우 병마개와 체결되는 병목은 생수병의 용량에 관계없이 일정하나 병목의 하단의 곡면 형상은 용량에 따라 직경이 다르기에 제1몸체(110)의 내부 형상을 큰 용량의 생수병의 형상에 맞추어 제작한 후, 작은 용량의 생수병에도 활용하기 위해 제1몸체(111)의 내부공간을 줄이는 목적으로 탄성체(170)를 삽입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체(170)는 연질의 합성수지 또는 합성고무를 사용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는 병마개의 몸통과 손잡이의 결속부분이 견고하여 파손의 우려가 적으며, 또한 병마개를 분리시키지 않고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며, 병마개의 분실하지 않을 수 있다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마개
110. 몸체 111. 제1몸체 112. 제2몸체
113. 물흘림로 114. 지지턱
120. 중공홀
130. 제1브래킷
140. 힌지홀
150. 캡 151. 캡본체 152. 제2브래킷
153. 힌지축 154. 누름편 155. 끼움돌기
156. 리브
160. 손잡이
170. 탄성체

Claims (3)

  1. 상부가 개구된 재활용 병의 입구에 착탈가능하도록 형성된 마개(100)에 손잡이(16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재활용 병의 휴대가 용이한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에 있어서,
    상기 마개(100)는 상하로 중공되어 하부측 중공홀로는 재활용 병의 입구에 체결되는 몸체(110)와, 상기 몸체(110)의 측면에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도록 형성된 ‘ㄱ’자 형상의 손잡이(160)와, 상기 몸체(110)의 상면에 형성된 중공홀(120)에 체결되는 캡(15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몸체(110)는 재활용 병에 체결되는 제1몸체(111)와, 상기 제1몸체(111)의 상부에 연장형성되어 캡(150)이 접촉되는 제2몸체(112)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제1몸체(111)의 하부측 전단부에는 재활용 병의 입구 주변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지지턱(114)이 전방을 향하여 돌출형성되며, 상기 제2몸체(112)의 측면으로는 손잡이(160)가 형성된 방향을 향하여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브래킷(130)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브래킷(130)에는 서로 대향하는 힌지홀(140)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며,
    상기 캡(150)은 상기 제2몸체(112)의 상부 측에 형성된 중공홀(120)에 접촉하여 중공홀(120)을 개폐하고 있는 캡본체(151)와, 상기 캡본체(151)의 측면에 제1브래킷(130)의 내측면에 외측면이 접촉하도록 돌출형성되는 제2브래킷(152)과, 상기 제2브래킷(152)의 양측면에 제1브래킷(130)에 형성된 힌지홀(140)에 체결되는 힌지축(153)과, 상기 제2브래킷(152)의 끝단부에 연장형성되는 누름편(154)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누름편(154)을 누르면 힌지홀(140)에 체결된 힌지축(153)을 중심으로 캡본체(151)는 상부로 회동하여 제2몸체(112)의 상부 측에 형성된 중공홀(120)이 개방되는 것으로,
    상기 캡본체(151)의 하면에는 원판 또는 링 형상의 끼움돌기(155)가 형성되어 끼움돌기(155)가 중공홀(120)에 억지끼움이 되되, 상기 끼움돌기(155)와 중공홀(120) 사이에는 수밀부재가 장착되어 음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되며,
    상기 제1몸체(111)의 내측에는 탄성체(170)를 삽입함으로써 다양한 입구 형상의 재활용 병에도 사용가능한 것이 특징인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
  2. 삭제
  3. 삭제
KR1020180072589A 2018-06-25 2018-06-25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 KR101955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589A KR101955154B1 (ko) 2018-06-25 2018-06-25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2589A KR101955154B1 (ko) 2018-06-25 2018-06-25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154B1 true KR101955154B1 (ko) 2019-03-06

Family

ID=65760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2589A KR101955154B1 (ko) 2018-06-25 2018-06-25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15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5601Y1 (ko) * 2002-02-04 2002-05-17 주식회사 두산 다용도 용기
US20040219139A1 (en) 1997-04-28 2004-11-04 Sugen, Inc. Diagnosis and treatment of ALK-7 related disord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19139A1 (en) 1997-04-28 2004-11-04 Sugen, Inc. Diagnosis and treatment of ALK-7 related disorders
KR200275601Y1 (ko) * 2002-02-04 2002-05-17 주식회사 두산 다용도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4249322B2 (en) Drink containers with closure retention mechanisms
US7156253B2 (en) Single-piece paper cup sip adaptor
US5282541A (en) Cap locking device for a water bottle
JP2024040186A (ja) 携帯用飲料容器
US6523711B1 (en) Automatic valved bottle cap for use with liquid containers
US6877626B2 (en) Spill proof cap for different sized bottle openings
RU2461347C2 (ru) Запо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детской бутылочки для питья или детской чашки-поильника
US9259110B2 (en) Sport bottle with closing mechanism
CN109835599B (zh) 用于饮料容器的盖
RU2012112841A (ru) Непроливающие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питья
US20120260487A1 (en) Replaceable bottle cap assembly
US5492253A (en) Cap attachment for small neck plastic bottle of liquid
US20090188885A1 (en) Replaceable bottle cap assembly
US20070007296A1 (en) Flexible bottle mouth insert
US20110198361A1 (en) Flip straw bottle cap with loop handle storage spout
KR101955154B1 (ko) 재활용 병 마개 겸용 손잡이
US6732385B1 (en) Wall mountable drain stopper
US20060006128A1 (en) Cap capable to be screwed in with nipple and cover cap
US7753225B2 (en) Valve assembly
JP3242883U (ja) 水筒用蓋体
CN205525658U (zh) 一种防脱杯盖及具有该杯盖的饮水壶
KR200479030Y1 (ko) 원터치형 물통
KR20100137828A (ko) 빨대 고정용 하우징
JP3188713U (ja) ペットボトルのキャップ構造
KR101810558B1 (ko) 액상 내용물의 누설 차단 구조를 갖는 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