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558B1 - 액상 내용물의 누설 차단 구조를 갖는 용기 뚜껑 - Google Patents

액상 내용물의 누설 차단 구조를 갖는 용기 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558B1
KR101810558B1 KR1020150149538A KR20150149538A KR101810558B1 KR 101810558 B1 KR101810558 B1 KR 101810558B1 KR 1020150149538 A KR1020150149538 A KR 1020150149538A KR 20150149538 A KR20150149538 A KR 20150149538A KR 101810558 B1 KR101810558 B1 KR 101810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lid
valve membrane
valve
drink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8889A (ko
Inventor
배민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케미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케미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에이치케미칼
Priority to KR1020150149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558B1/ko
Publication of KR20170048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65D47/0838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 B65D47/0842Hinges without elastic bias located at an edge of the base element consisting of a strap of flexibl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20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 B65D47/20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 B65D47/2031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comprising hand-operated members for controlling discharge comprising a valve or like element which is opened or closed by deformation of the container or closure the element being formed by a slit, narrow opening or constrictable spout, the size of the outlet passage being able to be vari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the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은, 상단에는 출수구(2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용기와 결합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몸체부(110)와, 관상의 내부 통로를 갖되, 그 통로내에 밸브부재(130)가 삽입된 채로 상기 내부 통로가 상기 출수구와 연통되는 형태로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결착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결착부재에 비해 연성(軟性)의 재질로써 만들어지며, 중앙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절개되어(41) 있는 밸브막(131)과, 상기 밸브막보다 상기 출수구에 더 가까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밸브막보다는 긴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막은, 용기내측에 대향하는 면이 평면을 이루는 판부와, 그 판부의 테두리 영역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 영역은 용기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를 갖는다.

Description

액상 내용물의 누설 차단 구조를 갖는 용기 뚜껑 {cap structured for blocking the leakage of the liquid contents}
본 발명은, 액상의 내용물, 특히, 물, 이온 음료 등과 같은 각종 음용수를 담아두는 용기에 사용할 수 있는 뚜껑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이 등산, 수영, 익스트림 스포츠 등과 같은 자신이 좋아하는 다양한 야외 활동을 즐기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야외 활동에는 충분한 수분이 필요하므로, 물이나 이온 음료 등을 담은 용기를 휴대하고 다니기도 한다.
그런데, 음용수가 든 용기를 장시간 휴대하는 것이 불편하므로, 필요할 때에, 주위의 편의점이나 가게 등에서 원하는 음료 등을 구입하여 섭취하는 경우도 빈번한다. 그리고, 사무 공간 또는 카페 등과 같은 곳에서 장시간 모임을 갖거나 회의 등을 할 때도, 음용수가 담겨진 일회용 용기를 개별적으로 준비하는 것도 일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는 일회용 음용수 용기는, 그 내용물을 다 섭취하고 나면 대부분은 버려지므로, 그 용기는 매우 저렴한 원가의 재질로써 제조되어 음용수와 함께 판매된다. 이러한 저가의 음용수 용기는, 대체적으로, 폴리에스테리(PET) 재질의 용기와 그 용기의 상부에 나사식으로 결합된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의 뚜껑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그러한 용기에 담겨진 음용수를 섭취코자 할 때는, 그 뚜껑을 회전시켜 용기로부터 분리시킨 뒤, 파지하고 있는 용기의 입구를 입으로 가져가 기울여서 용기 내부로부터 흘러나오는 음용수를 마시게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용기를 기울이는 속도가 빠르거나, 또는 음용수의 양이 많아서 용기내로의 공기의 유입이 부드럽게 이루어지지 않으면, 많은 양의 음용수가 한꺼번에 배출될 수 있다. 이런 경우가 생기면, 음용자는, 순간 많은 음용수가 입으로 쏟아져서 사래가 걸리기도 하고 착용하고 있는 옷이 젖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음용수를 마시기 위해서 뚜껑을 용기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키기 때문에, 분리시킨 후 상당시간 흐른 경우나 위에 예를 든 바와 같이 예기치 않은 문제가 있은 후에는, 분리한 뚜껑을 찾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용기를 닫아둘 수가 없어서 미처 다 섭취하지 못한 음용수를 버려야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용기내의 음용수를 마실 수 있는 개방상태( 위 예에서 뚜껑이 용기로부터 분리된 상태 )에서는 그 용기를 휴대하고서 이동하면 용기의 흔들림으로 인하여 그 내부의 음용수가 입구를 통해 자연 배출될 수 있어서 휴대하고 다니기에는 매우 조심스럽다. 그래서, 이동 시에는 뚜껑을 닫아두어야 하고 원할 때에만 그 뚜껑을 분리시키는 행동을 반복하여야 한다.
설령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 자리에 음용수 용기를 두는 경우에도, 자신 또는 타인의 실수로 용기가 넘어지거나 떨어지면 내부의 음용수가 쏟아질 수 있으므로, 용기를 개방된 상태로 두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므로, 음용수의 섭취시마다 뚜껑을 개방시키고 다시 닫아두는 행위를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는 음용자에게 번거로운 일일 수 밖에 없다.
한국등록특허 10-0878260 ( 공개일: 2009년 1월 12일 ) 한국공개실용신안 20-2010-0008458 (공개일: 2010년 8월 26일 )
본 발명은, 용기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용기내의 음용수가, 사용자가 의도치 않을 때는 외부로 유출되지 않게 하는 구조의 뚜껑을 제공하는 것에 일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내의 음용수가 흩어지지 않고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집중 출수되게 하는 구조의 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명시적으로 서술된 목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이고 예시적인 하기의 설명에서 도출될 수 있는 효과를 달성하는 것을 그 목적에 당연히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탄성을 갖는 재질로써 만들어진 용기에 장착되는 뚜껑은, 상단에는 출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용기와 결합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몸체부와, 관상의 내부 통로를 갖되, 그 통로내에 밸브부재가 삽입된 채로 상기 내부 통로가 상기 출수구와 연통되는 형태로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결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결착부재에 비해 연성(軟性)의 재질로써 만들어지며, 중앙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절개되어 있는 밸브막과, 상기 밸브막보다 상기 출수구에 더 가까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밸브막보다는 긴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밸브막은, 용기내측에 대향하는 면이 평면을 이루는 판부와, 그 판부의 테두리 영역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 영역은 용기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밸브막이, 상기 판부의 중앙부가 그 주변부에 비해서 용기내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중앙부가 상기 주변부에 비해 두껍게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착부재가, 상기 출수구에 인접하게 되는 상부와 그 반대측의 하부가 서로 다른 외경으로써 단차져 이어져 있고, 그 단차진 수평면에는 원주를 따라 부분적으로 절개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부가 상기 하부에 비해 짧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는, 상기 밸브막이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이격된 수직적 간격보다 더 긴 높이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뚜껑은, 상기 몸체부의 일 측면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그 힌지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에는, 그 내저면으로부터 차단봉이 수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차단봉은 그 선단이, 상기 덮개부가 상기 출수구를 덮고 있는 상태일 때는 상기 출수구를 통과해서 상기 밸브막에 소정거리 이내로 근접하게 위치하게 되는 길이를 갖는다.
전술한 본 발명 또는, 하기에서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은, 언제든지 용기내의, 음용수와 같은 액상 내용물을 마시거나 유출시킬 수 있는 개방된 상태에서도 사용자의 부주의로 용기가 넘어지거나 또는 떨어뜨려지는 경우에도 그 내부의 음용수가 밖으로 유출되지 않게 한다. 또한,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용기를 들고 다녀도 마찬가지로 용기내의 액상 내용물이 밖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밀폐시킨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편의를 위해 항시 액상 내용물을 마시거나 유출시킬 수 있는 상태로 뚜껑을 개방된 상태로 두더라도, 그 음용수의 유출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의도치 않은 액상 내용물의 유출은 완벽히 차단하는 상태에서도, 사용자가 원할 때는, 뚜껑이 장착된 용기를 파지하여 압축하기만 하면, 원하는 위치, 예를 들어 컵이나 자신의 입으로 정확히 음용수 등이 집중 출수되게 하므로, 불필요한 곳에 흘리거나 또는 옷 등을 적시는 등의 곤란한 상황을 전혀 겪지 않고서 사용자는 매우 편리하게 용기내의 액상 내용물을 섭취하거나 사용할 수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용기 뚜껑에 대한 평면도와 측면도를 각기 나타낸 것으로서, 뚜껑의 덮개부가 열려져 있는 개방상태에 대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a 및 1b의 뚜껑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재를 뚜껑의 몸체부에 결착시키기 위한 결착부재에 대한 평면도와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재에 대한 측면도, 평면도 그리고 단면도를 각기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갖는 밸브부재와 결착부재가 상호 결합되어 있는 형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갖는 밸브부재에 대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를 갖는 뚜껑이 장착된 용기를 압축하였을 때, 밸브부재가 열리면서 그 용기내의 음용수가 출수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뚜껑의 실시예들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 후, 용기에 장착되었을 때의 뚜껑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설명과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부기된 동일 번호는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물론, 설명의 편의와 이해에 도움을 위해, 필요에 따라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도 서로 다른 번호로 부기될 수도 있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의 용기 뚜껑의 평면도와 측면도를 각기 나타낸 것으로서, 뚜껑(100)의 덮개부(150)가 열려져 있는 개방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상기 덮개부(150)는. 개방상태에서 힌지부(160)를 축으로 선회(a10)하여 몸체부(110)의 상부면에 밀착됨으로써 닫힌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데, 이 때는, 덮개부(150)의 내저면에 형성된 한 쌍의 원형 돌기(151)에 의해 만들어진 그 사이의 원형요홈(152)에, 상기 몸체부(110)의 상단에 형성된, 소정 직경의 출수구(20)를 갖는 원형 유출단(111)의 테두리 벽(111a)이 끼어지게 된다. 이렇게 끼워지면 상기 뚜껑(100)은 닫힌 상태가 된다.
상기 힌지부(160)는, 상기 몸체부(110)의 외주표면과 상기 덮개부(150)의 외주벽의 절개 부분으로써 형성된다.
도 2는, 도 1a 및 1b에 평면과 측면이 도시된 뚜껑(100)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100)은, 상기 몸체부(110)의 내부에 결합 고정되는, 패킹 판(120)과, 밸브부재(130) 그리고 결착부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패킹 판(120)은, 중앙부과 관통되어, 상기 몸체부(110)의 내저면에서 돌출 형성된 원형 가이드(112)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부(11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끼워져 내저면(113)에 안착 고정된다. 상기 패킹 판(120)의 압축에 대한 탄성을 갖는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패킹 판(120)은, 상기 뚜껑(100)이 용기와 결합되었을 때, 용기의 주둥이 상단에 밀착되면서 밀폐의 기밀성을 높이게 된다.
상기 밸브부재(130)는 상기 결착부재(140)의 내측공간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결착부재(140)는, 상기 유출단(111)의 내부 공간에 끼워져 고정된다.
도 3은, 상기 밸브부재(130)를 상기 몸체부(110)에 결착시키는 상기 결착부재(140)에 대한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상기 결착부재(140)는, 경성(硬性)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음용수 통로가 종방향으로 형성된 관상의 형태이며, 상부관(141)과 그 상부관(141)보다는 긴 높이의 하부관(142)은 서로 다른 외경을 가짐으로써 단차져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단차진 곳의 이음부(143)에 의해 상부관(141)과 하부관(142)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부(143)는, 그 둘레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상호 등간격으로 부분 절개되어 있다. 이 수평의 절개홈(31)들은, 상기 상부관(141)의 내측면까지 절개된다. 이러한 이음부(143)에의 부분적 절개에 따른 절개홈이 있는, 상기 상부관(141)의 테두리 벽(141a)( 이하, '탄성 테두리부'라 한다. )은 그 중앙으로 휘어지는 탄성을 갖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관(141)에는 그 내주면을 따라 환돌기(144)가 중앙으로 돌출되어 다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환돌기(144)는, 바람직하게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절개홈(31)에 상하로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도 4는, 상기 밸브부재(130)의 측면도, 평면도 그리고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밸브부재(130)는, 상기 결착부재(140)에 비해서 연성의 재질로 제작되어, 손쉽게 변형될 수 있지만 자체 탄성에 의해서 자기 형태를 유지하는 특성을 갖는다.
상기 밸브부재(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높이를 갖는 바디(body)와 그 바디의 상단에서 원주를 따라 수평면으로 돌출된 실링 플랜지부(133)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디는, 얇은 두께의 외벽(132)과, 하방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테두리 영역으로써 상기 외벽(132)으로 이어져 있는 소정 반경의 판부로 이루어진 밸브막(131)으로 구성된다. 상기 판부는, 뚜껑이 용기에 장착되었을 때 용기내측을 향하는 일측이 평면(42)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상기 밸브막(131)은, 그 두께가 상기 외벽(132)에 비해서 더 두껍게 형성되어, 어느 정도의 물의 무게가, 도면상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가해져도 변형되지 않고 그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밸브막(131)의 일측이 평면을 이루는 것은, 용기를 압축함으로써 그 내부의 음용수가 상기 밸브막(131)에 압력을 가할 때 그 압력이 온전히 밸브막을 미는 힘으로 작용되게 하기 위해서이고, 상기 밸브막(131)의 테두리 영역이 하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것은, 밸브막에 가해지는 적정이하의 압력에 대해서는 그 형상이 변형되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저항할 수 있는 힘을 갖게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밸브막(131)은, 그 중앙에서 서로 교차(cross)하는 방식으로 절개된다. 이 절개는 만곡된 테두리 영역까지 연장되며, 그 절개폭을 극소화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절개선(41)에 의해 서로 분리되는 각 밸브 편막(131a)은, 상기 밸브막(131)에 수직 방향으로 가해지는 일정 이상의 압력에 의해, 그 첨두부터 힘의 방향으로 밀리면서 상호 이격되면서 통수구를 형성하게 된다.
도 5는, 전술한 바의 구조를 갖는 상기 밸브부재(130)가 상기 결착부재(140)에 어떻게 끼워져 결합되는 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부재(130)의 바디가 상기 결착부재(140)의 상부에서 하부관(142)에 그 외주면이 밀착되면서 삽입되고, 상기 실링 플랜지부(133)가 상기 이음부(143)에 의한 턱에 걸려서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재(130)는 연성의 재질이어서 휘어지거나 비틀리면서, 상기 환돌기들(144)의 아래에 만들어져 있는 요입홈에 상기 실링 플랜지부(133)가 끼워지게 되고, 이렇게 끼워진 상태에서는 자체 탄성에 의해 원래의 형태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환돌기(144)들에 의해 그 끼워진 위치에 고정된다.
상기 결착부재(140)의 하부관(142)은 그 높이가, 상기 밸브부재(130)의 외벽(132)의 높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뚜껑이 용기에 장착되어 있을 때 그 내부의 음용수가 상기 밸브부재(130)의 외벽(132)에는 힘을 미치지 못하도록 한다. 이는, 연성의 재질로 얇게 만들어진 상기 외벽(132)이 음용수가 가하는 압력에 의해 쉽게 그 형태가 변형됨으로써 밸브막(153)의 절개선이 벌어질 수도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부재(130)가 결합된 상기 결착부재(140)는, 그 상부관(141)이 상기 원형 유출단(111)의 내측 공간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끼워져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된다. 이렇게 결합되면, 상기 결착부재(140)의 종방향의 내부 공간은 상기 몸체부(110)의 출수구(20)와 연통된다.
상기 상부관(141)은, 상기 유출단(111)의 내경보다 미세하게 큰 외경을 가지고 있어서, 강한 힘에 의해 상기 결착부재(140)가 상기 유출단(111)의 내측 공간 내로 밀어 넣어 질 때, 각 탄성 테두리부(141a)가 중앙으로 휘면서 상기 상부관(141)의 외경이 다소 짧아지게 되어 상기 원형 가이드(112)의 내저면까지( 즉, 상기 원형 유출단(111)의 바닥면(111b)까지 )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끼워진 상태에서는, 상기 각 탄성 테두리부(141a)가 휨에 대한 복원력에 의해 상기 유출단(111)의 내주면에 강하게 밀착하므로 상기 결착부재(140)의 끼워진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결착부재(140)가 상기 몸체부(110)에 내부에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원형 유출단(111)의 안쪽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 원형 압착돌기(114)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부재(130)의 실링 플랜지부(133)를 강하게 압착함으로써(51), 상기 뚜껑(100)이 체결된 용기내의 음용수를 밀폐시킨다. 이러한 압착으로 얻어지는 기밀성에 의해, 용기내의 음용수는, 일정 이상의 압력이 가해졌을 때 상기 밸브막(131)이 열려서 생기는 통수구 이외의 틈으로는 새어나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착부재(140)가 상기 몸체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덮개부(150)가 닫히게 되면, 덮개부(150) 내저면 중앙에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차단봉(153)의 선단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밸브막(131)에 소정거리 이내로 근접하여 또는 닿으면서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소정거리는 상기 밸브막(131)의 두께에 상응하는 거리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음용수가 담긴 용기가 바닥 등으로 떨어지거나 또는 급격한 움직임에 의해 그 내부의 음용수가 상기 뚜껑(100) 쪽으로 급격하게 몰려서 상기 밸브막(131)에 일정 이하의 압력이 순간적으로 가해지더라도, 상기 덮개부(15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차단봉(153)이 상기 밸브막(131)의 바로 위에서 지지하고 있어서, 각 밸브 편막들(131a)이 밀리지 않거나 또는 그 절개선이 벌어질 정도까지 밀리지 않기 때문에, 용기 내부의 음용수가 밸브부재(130)를 통해 출수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는, 절개에 의해 만들어지는 각 밸브 편막의 첨두 부분이 평면판보다 더 하방으로 돌출됨으로써 평면판의 두께보다 더 두꺼운 두께를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재(130')의 구조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의 실시예에서는, 각 밸브 편막이 서로 맞닿아 있는 부분(136)의 면적이 전술한 실시예에서보다 더 넓어지게 되고, 또한 각 편막이 압력에 의해 밀릴 때의 대략적인 회전축(137)에서 보면, 보통 때 서로 맞닿아 있는 부분보다 더 긴 부분(61)이 회전 기준면(62)을 지나야 하기 때문에,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밸브부재(130)의 구조에 비해서, 뚜껑의 덮개부(150)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충격 등에 따른 순간 압력에 저항하는 힘이 더 커 밸브부재의 음용수 차단성이 더욱 더 높아지게 된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의 뚜껑의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뚜껑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의 구조를 갖는 뚜껑(100)은, 탄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PET 소재의 용기( 도면 미도시 )의 목부분에 나사식으로 결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몸체부(110)의 내주면에는 나사부(110a)가 형성되어 있어서, 통상적 방식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뚜껑(100)이 음용수가 담겨져 있는 용기와 결합된다.
용기에 상기 뚜껑(100)이 결합된 상태에서는, 용기를 흔들거나 실수로 넘어뜨리거나 또는 꺼꾸로 하는 등에 의해서 내부의 음용수가 상기 밸브부재(130)에 일시적으로 압력을 가해도, 각 밸브 편막(131a)은 절개선에 따라 벌어질 정도로 밀리지 않아서 용기내의 음용수가 유출되거나 누설되지 않는다.
특히, 상기 덮개부(150)가 닫혀진 상태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차단봉(153)에 의해서 밸브부재(130)의 각 밸브 편막(131a)이 열리지 않는 상태가 확실히 유지된다.
사용자가, 용기내의 음용수를 마시고자 할 때는, 먼저 상기 덮개부(150)를 열어젖혀서 뚜껑을 개방 상태로 만든다. 이 때는, 용기내의 음용수를 언제든지 마실 수 있는 상태이므로 용기도 개방상태에 해당한다. 그리고, 상기 뚜껑(100)의 출수구(20)를 원하는 위치, 예를 들어 자신의 입이나 컵 등에 맞춘 상태로 용기를 기울여 상기 뚜껑(100) 측으로 음용수가 이동되도록 한 후 용기를 파지한 손에 힘을 주어 용기를 압축시킨다.
이렇게 되면, 압축된 공간에 의한 일정 이상의 압력이 상기 밸브막(131)에 가해지고 되고, 상기 밸브 편막(131a)들은,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절개선을 따라 그 첨두부부터 밀리면서 통수구(71)를 형성하면서 동시에 그 통수구를 통해 음용수가 출수(72)된다.
이렇게 출수되는 음용수는 상기 뚜껑(100)의 출수구(20)를 통해 배출되는데, 일정 이상의 압력에 의해 좁은 통수구(71)를 통해 유출되기 때문에, 음용수는 작은 직경내에 집중되어 거의 직선 형태를 갖는다. 따라서, 음용자가 원하는 위치 이외의 곳으로 흩어지는 양이 거의 없게 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만큼의 음용수를 마신 후에 파지하고 있는 손의 힘을 해제하면, 용기의 자체 탄성에 의해서 원래의 형태로 복원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밸브막(131)에 가해지는 압력도 해제되어 각 밸브 편막(131a)은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음용수를 차단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렇게 음용수의 섭취 후에 상기 덮개부(150)를 개방시킨 상태로 그냥 두어도, 전술하였던 바와 같이, 사용자가 용기를 압축하는 등에 의한 일정 이상의 압력이 상기 밸브막(131)에 가해지지 않는 이상, 음용수가 상기 밸브부재(130)를 통해 유출되지는 않는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상기 뚜껑(100)의 작용에 의해, 사용자는 부주의 등으로 음용수가 용기 밖으로 유출될 것에 대한 우려없이, 용기내의 음용수를 언제든 마실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150)를 개방시켜 두고서, 원할 때에 용기를 파지하여 압축시킴으로써 편리하게 용기내의 음용수를 섭취할 수 있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 다양한 실시예들과 그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조와 작용 등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경우가 아니라면, 상호 다양한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결합되어 실시 가능하다.
이상,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으로, 당업자라면, 이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들을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다.
100: 뚜껑 110: 몸체부
111: 원형 유출단 112: 원형 가이드
114: 압착돌기 120: 패킹 판
130, 130': 밸브부재 131: 밸브막
131a: 밸브 편막 132: 외벽
133: 실링 플랜지부 140: 결착부재
141: 상부관 141a: 탄성 테두리부
142: 하부관 143: 이음부
144: 환돌기 150: 덮개부
151: 원형 돌기 152: 원형요홈
153: 차단봉 160: 힌지부

Claims (5)

  1. 탄성을 갖는 재질로써 만들어진 용기에 장착되는 뚜껑에 있어서,
    상단에는 출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용기와 결합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몸체부와,
    관상의 내부 통로를 갖되, 그 통로내에 밸브부재가 삽입된 채로 상기 내부 통로가 상기 출수구와 연통되는 형태로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결합되는 결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결착부재는,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밀착한 채로 상기 출수구에 인접하게 되는 상부관(141)과 그 반대측의 하부관(142)이 서로 다른 외경으로써 단차져 이어져 있고, 그 단차를 형성하는 수평의 이음면(143)에는 그 원주를 따라 균등 간격으로써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 다수개의 절개홈(31)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밸브부재는 상기 결착부재에 비해 연성(軟性)의 재질로써 구성되고,
    중앙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식으로 절개되어 있는 밸브막과,
    상기 밸브막보다 상기 출수구에 수직적으로 더 가까이 위치하게 되고 상기 밸브막보다는 긴 직경을 갖는 플랜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밸브막은, 용기내측에 대향하는 면이 평면을 이루는 판부와, 그 판부의 테두리 영역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테두리 영역은 용기내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형태인 것인 뚜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막은, 상기 판부의 중앙부가 그 주변부에 비해서 용기내측 방향으로 더 돌출되어 상기 중앙부가 상기 주변부에 비해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인 뚜껑.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재에는, 상기 상부관의 내주면에서 중앙으로 돌출된 환돌기(144)가 상기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인 뚜껑.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부재의 상부관은 상기 하부관에 비해 짧은 높이를 가지며,
    상기 하부관은, 상기 밸브막이 상기 플랜지부로부터 이격된 수직적 간격보다 더 긴 높이를 갖는 것인 뚜껑.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일 측면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고 그 힌지를 축으로 회전할 수 있는 덮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덮개부는, 그 내저면으로부터 수직으로 돌출 형성된 차단봉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차단봉은 그 선단이, 상기 덮개부가 상기 출수구를 덮고 있는 상태일 때는 상기 출수구를 통과해서 상기 밸브막에 지정된 간격 이내로 근접하여 위치하게 되는 길이를 갖는 것인 뚜껑.
KR1020150149538A 2015-10-27 2015-10-27 액상 내용물의 누설 차단 구조를 갖는 용기 뚜껑 KR101810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538A KR101810558B1 (ko) 2015-10-27 2015-10-27 액상 내용물의 누설 차단 구조를 갖는 용기 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538A KR101810558B1 (ko) 2015-10-27 2015-10-27 액상 내용물의 누설 차단 구조를 갖는 용기 뚜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889A KR20170048889A (ko) 2017-05-10
KR101810558B1 true KR101810558B1 (ko) 2017-12-19

Family

ID=58743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538A KR101810558B1 (ko) 2015-10-27 2015-10-27 액상 내용물의 누설 차단 구조를 갖는 용기 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05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4731A (ja) * 1996-07-11 2000-11-07 アプター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体の供給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514731A (ja) * 1996-07-11 2000-11-07 アプターグループ,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一体の供給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889A (ko) 201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8041C2 (ru) Крышка для емкости типа фляги
US7845525B2 (en) Carbonated drink closure and dispensing device
US9016518B2 (en) Beverage dispensing flow control device and method thereof
RU2631647C2 (ru) Крышка
JP4883942B2 (ja) 飲料容器及び飲み口付蓋体
US6062419A (en) Spill-protecting drinking vessel top
US10390643B2 (en) Refillable design for a closed water bottle
CN109835599B (zh) 用于饮料容器的盖
US20130186918A1 (en) Reusable beverage container with flexible spout
AU2014249322A1 (en) Drink containers with closure retention mechanisms
JP2009505920A (ja) 液漏れ防止閉蓋具
US20190053649A1 (en) Beverage Container Having Non-Circular Shape
US20080237235A1 (en) Resealable beverage container
CA2320789C (en) Hybrid beverage container
KR101559745B1 (ko) 필터를 구비한 이중 음료용기
JP4868401B2 (ja) 飲料容器
KR101810558B1 (ko) 액상 내용물의 누설 차단 구조를 갖는 용기 뚜껑
US20050269541A1 (en) Adapter and its use
US20200216233A1 (en) Container cap including two-way duckbill valve
JP4431669B2 (ja) コンタクトレンズ保存兼用液剤容器
KR101738777B1 (ko) 액상 내용물의 누설 차단과 출수압력 완화를 위한 구조를 갖는 뚜껑과 그 뚜껑이 장착되는 용기
KR200347140Y1 (ko) 음료용기용 원터치형 캡
KR200254283Y1 (ko) 컵 겸용 음료용기
WO2005097612A1 (en) Drinking cup
KR200371223Y1 (ko) 액체용기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