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059Y1 - 용기 마개 - Google Patents

용기 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059Y1
KR200265059Y1 KR2020010036999U KR20010036999U KR200265059Y1 KR 200265059 Y1 KR200265059 Y1 KR 200265059Y1 KR 2020010036999 U KR2020010036999 U KR 2020010036999U KR 20010036999 U KR20010036999 U KR 20010036999U KR 200265059 Y1 KR200265059 Y1 KR 2002650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discharge pipe
outlet
cap
se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옥준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림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림정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림정공
Priority to KR2020010036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0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0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059Y1/ko

Links

Abstract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내용물의 배출 방향 및 배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용기 마개가 개시된다. 용기의 입구에 장착되어 액체를 깔끔하게 따르고 용기를 용이하게 밀봉하기 위해서 제1 몸체, 제1 몸체에 형성된 유출구, 유출구를 덮으며 제1 몸체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몸체 및 제2 몸체에 배치되는 배출관을 구비하는 용기 마개가 제공된다. 제2 몸체가 제1 몸체를 밀폐하면서 그 주위를 회전하기 때문에 배출관을 임의의 방향으로 배치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배출관을 이용하여 액체를 원하는 양만큼 배출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용기 마개{CAN CAP}
본 고안은 용기의 입구에 장착하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용기 입구에 장착되어 그 입구를 밀봉하고, 임의의 방향에 배출관을 배치하여 용기 내의 액체를 임의의 방향으로 따를 수 있고, 배출관을 이용하여 적은 양의 액체도 용이하게 배출량을 조절할 수 있는 용기 마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참기름, 식초, 식용유, 오일의 용기에 사용되는 용기 마개는 일반적으로 이중 구조를 갖는다. 즉, 용기의 입구에 장착되는 보조캡, 보조캡을 덮는 마개 및 보조캡과 마개를 연결하는 절첩 힌지를 구비하며, 마개를 개봉하여 보조캡에 형성된 배출공을 통하여 용기의 내용물을 유출시킨다. 이와 같은 이중 구조의 마개를 사용함으로써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고 품질 및 위생을 보장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일정량의 액체만 유출시켜야 하는 경우 액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고도의 주의를 요한다는 단점도 있다. 또한, 용기 내의 내용물이 많은 경우 갑작스런 과도 유출로 소정의 양보다 많이 따를 수 있으며, 용기 내의 내용물이 적은 경우 용기 자체를 급하게 기울여야 하고 급하게 기울임으로 해서 정량의 액체 유출을 제어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는 종래의 용기 마개가 액체의 특성, 즉 점도나 유동성 등에 적합한 형상과 구조를 갖지 못한 데 기인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이중구조 마개가 1999년 1월 27일자로 출원된 국내 공개실용신안 제 2000-016228호(고안의 명칭; 액체용기 캡)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액체용기 캡은 이물질의 삽입방지와 품질, 위생보장효과를 가지도록 함과 아울러 액체 상품의 특성에 맞는 인출구조를 가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기 액체용기 캡은 배출공에 손잡이링이 일체로 결합된 개방편이 형성되어 액체용기 상부 토출구에 결합되는 속캡과, 액체용기에 수납되는 액체상품의 특성에 따라 최적의 인출구조를 가지는 배출구가 마련되어 속캡에 선택적으로 결합되며 배출구를 개폐하는 마개가 분리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액체용기 캡에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지만, 배출구의 입구를 마개가 확실히 밀봉하지 못하여 내용물의 유출이 있을 수 있으며, 마개 내에서 고인 내용물은 부패될 수 있어 비위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또한, 속캡과 보조캡이 나사결합으로 굳게 결합되어 있어서 용기에서 배출구는 한 방향만 향하게 되고 그 때문에 용기의 몸체를 돌려 배출구의 방향을 돌려야 한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목적은 내용물의 임의의 방향으로 향할 수 있는 배출관을 구비함으로써 액체의 배출되는 방향 및 배출량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배출관으로부터 배출되는 액체가 안정적이고 고르게 배출될 수 있는 용기 마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용기 마개를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마개를 A1-A2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용기 마개를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용기 마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1의 용기 마개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기 마개 110 : 제1 몸체
120 : 제2 몸체 125 : 유출구
140 : 배출관 145 : 밀봉캡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기의 입구에 장착되는 제1 몸체, 제1 몸체에 형성된 유출구, 제1 몸체에 대응하여 유출구를 덮으며 제1 몸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몸체 및 제2 몸체에 배치되는 배출관을 구비하는 용기 마개가 제공된다.
제1 몸체가 용기의 입구에 장착되어 액체가 유출구만을 통해 출입하도록 하고, 유출구를 통해 유출되는 액체는 제2 몸체 및 배출관을 통하여 용기 외부로 배출된다. 제1 몸체와 제2 몸체의 사이는 밀폐되어 액체가 배출관 이외의 곳에서 유출되지 않는다.
제2 몸체와 제1 몸체 사이의 결합은 나사결합과 같이 상호 요소가 구속된 결합이 아니라 몸체의 둘레 방향으로 미끄러져 이동할 수 있는 결합이다. 이는 제1 및 제2 몸체가 나사결합이 아닌 긴밀하게 밀착에 의한 결합이기 때문이며, 제1 및 제2 몸체에 각각 대응하여 형성된 돌기에 의해서 각 몸체가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 몸체는 축방향의 이동은 제한되고 둘레 방향으로 이동, 즉 회전은 가능하게 된다.
배출관의 말단에 형성된 밀봉캡이 더 제공되며, 이 밀봉캡은 배출관의 말단을 밀폐함으로써 용기 마개 내부를 외부와 차단하고 내용물의 유출 및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또한, 배출관의 일부와 제2 몸체 내부를 연결하는 공기 유입관을 형성함으로써 유체가 격동적으로 배출되지 않고 안정되게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고안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기 마개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용기 마개를 장착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마개를 A1-A2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용기 마개(100)는 제1 몸체(110), 제1 몸체(110)에 형성된 유출구, 유출구를 덮고 있으며 제1 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된 실링편(130), 실링편(130)의 일측에 형성된 손잡이링(135), 제1 몸체(110)의 외측을 덮는 제2 몸체(120), 제2 몸체(12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관(140) 그리고 배출관(140)의 말단을 밀폐하는 밀봉캡(145)을 구비한다.
실링편(130)은 제1 몸체(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유출구를 막음으로써, 밀봉을 더 긴밀하게 하고 내용물을 보존 및 저장하며, 그 결과 실링편(130)이 없는 경우보다 내용물의 보존 상태를 오래 유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용기 마개를 사용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손잡이링(135)의 일측을 잡아 당겨짐으로써 실링편(130)은 제1 몸체(110)로부터 분리되고 이후 유출구(125)를 통해서 용기내의 액체가 배출될 수 있다. 제조시 제1 몸체(110)와 실링편(130)은 일체로 형성되고 그 경계선을 따라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링(135)을 당기는 힘으로도 실링편(130)은 제1 몸체(110)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되어 유출구(120)를 형성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몸체(110)는 걸림턱(113)과 걸림턱(113)의 일측에 형성되는 내부 원통(116)을 포함한다. 내부 원통(116)은 유출구(125), 실링편(130) 및 손잡이 링(135)의 주위에 형성되며, 제2 몸체(120)는 내부 원통(116)의 외측을 감싸 제1 몸체(110)에 장착된다.
제1 몸체(110)와 제2 몸체(120)의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제2 및 제3 돌기들(166, 169)이 각각 제1 몸체(110)의 내부 원통(116)의 외주면과 제2 몸체(120)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다. 제3 돌기(169)가 제2 돌기(166)의 하면에 배치되면서 제2 몸체(120)가 제1 몸체(110)에 장착된다. 또한, 제1 및 제2 몸체(110,120)의 밀폐 효과를 높이기 위해 내부 원통(116)의 단부를 따라 제1 돌기(163)가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1 내지 제3 돌기들(163, 166, 169)은 각기 제1 및 제2 몸체들(110, 120)의 내주면 또는 외주면에 환형으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몸체(110,120)가 제1 내지 제3 돌기들(163, 166, 169)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몸체(120)는 제1 몸체(110)의 밀폐 상태를 유지하면서 둘레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용기의 위치 및 사용자의 자세에 관계없이 임의의 방향으로 배출관(140)을 배치한 후 용이하게 용기 내의 액체를 따를 수 있다.
제2 몸체(120)에는 배출관(140)이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관(145)의 말단에는 밀봉캡(145)이 배치되어 있다. 배출관(140)과 밀봉캡(145)은 일체를 이루며 절첩식 힌지(146)에 의해서 연결된다. 배출관(140)을 통하여 용기 내의 내용물이 외부로배출되기 때문에 배출되는 내용물의 양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마개에 의해서 용기 입구의 상방이 개방된 것이 아니라 측면이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마개를 열고 방치한 경우에도 용기 내로 유입되는 이물질의 양은 현저하게 줄어든다.
도 5는 도 1의 용기 마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출관(140)의 상부와 제2 몸체(120)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기 유입관(150)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 유입관(150)은 용기 내의 내용물이 유출구(125), 내부 원통(116) 및 배출관(140)을 통과하면서 외부로 흐르는 동안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는 기능을 한다.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내용물이 안정적이고 균일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용기 마개의 저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유출구(125) 하부의 주위에는 복수 개의 절개편(170)이 형성되어 있다. 용기 내의 내용물을 따르기 시작하거나 따르던 행위를 중지할 때 복수개의 절개편(170)에 의해서 내용물의 배출을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다. 절개편(170) 사이로 내용물이 통과하면서 점성이 작용하기 때문에 내용물의 유입량이 작아 질수록 내용물의 흐름을 용이하게 단속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의 밀봉 상태를 유지하면서도 배출관을 임의의 방향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용기의 형상 및 사용자의 자세에 구애받지 않고 편하게 내용물을 따를 수 있다.
또한, 배출관을 사용함으로써 내용물의 배출되는 지점의 파악 및 배출량의 조절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용기의 입구에 장착되는 마개가 상방이 아닌 측방을 향하여 개방되기 때문에 이물질의 유입이 적어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공기 유입관을 사용하여 내용물이 안정되고 균일하게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0)

  1. 용기의 입구에 장착되어 용기를 밀폐하거나 액체의 배출을 보조하는 용기 마개에 있어서,
    용기의 입구에 장착되는 제1 몸체;
    상기 제1 몸체에 형성되는 유출구;
    상기 유출구를 덮으며 상기 제1 몸체에 회전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몸체; 및
    상기 제2 몸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배출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의 단부에는 밀봉캡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과 상기 밀봉캡을 연결하는 절첩식 힌지를 더 구비하며, 상기 배출관, 절첩식 힌지 및 밀봉캡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에 형성되어 상기 유출구를 실링하는 실링 수단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 수단은 상기 제1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실링편을 포함하며, 상기 실링편과 상기 제1 몸체의 경계선을 따라 그루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실링편에는 손잡이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용기의 입구에 의해 지지되는 걸림턱, 상기 제2 몸체의 내측에 수용되는 내부 원통 및 상기 내부 원통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몸체 및 제2 몸체 사이를 밀폐하는 제1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원통의 외주면 하부에 형성되는 제2 돌기 및 상기 제2 돌기에 대응하여 상기 제2 몸체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제3 돌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 내의 상부와 상기 제2 몸체의 내부를 연결하는 공기 유입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 하부의 주위를 따라 형성된 복수개의 절개편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기 마개.
KR2020010036999U 2001-11-30 2001-11-30 용기 마개 KR2002650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999U KR200265059Y1 (ko) 2001-11-30 2001-11-30 용기 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999U KR200265059Y1 (ko) 2001-11-30 2001-11-30 용기 마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059Y1 true KR200265059Y1 (ko) 2002-02-21

Family

ID=73071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999U KR200265059Y1 (ko) 2001-11-30 2001-11-30 용기 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059Y1 (ko)

Cited B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71837B2 (en) 2005-09-06 2010-03-02 Apple Inc. Scrolling input arrangements using capacitive sensors on a flexible membrane
US7710394B2 (en) 2001-10-22 2010-05-0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rotational user inputs
US7710393B2 (en) 2001-10-22 2010-05-0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scrolling
US7795553B2 (en) 2006-09-11 2010-09-14 Apple Inc. Hybrid button
US7880729B2 (en) 2005-10-11 2011-02-01 Apple Inc. Center button isolation ring
US7910843B2 (en) 2007-09-04 2011-03-22 Apple Inc. Compact input device
US7932897B2 (en) 2004-08-16 2011-04-26 Apple Inc. Method of increasing the spatial resolution of touch sensitive devices
US8022935B2 (en) 2006-07-06 2011-09-20 Apple Inc. Capacitance sensing electrode with integrated I/O mechanism
US8059099B2 (en) 2006-06-02 2011-11-15 Apple Inc. Techniques for interactive input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125461B2 (en) 2008-01-11 2012-02-28 Apple Inc. Dynamic input graphic display
US8395590B2 (en) 2008-12-17 2013-03-12 Apple Inc. Integrated contact switch and touch sensor elements
US8416198B2 (en) 2007-12-03 2013-04-09 Apple Inc. Multi-dimensional scroll wheel
US8446370B2 (en) 2002-02-25 2013-05-21 Apple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US8482530B2 (en) 2006-11-13 2013-07-09 Apple Inc. Method of capacitively sensing finger position
US8514185B2 (en) 2006-07-06 2013-08-20 Apple Inc.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US8537132B2 (en) 2005-12-30 2013-09-17 Apple Inc. Illuminated touchpad
US8552990B2 (en) 2003-11-25 2013-10-08 Apple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US8743060B2 (en) 2006-07-06 2014-06-03 Apple Inc.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US8749493B2 (en) 2003-08-18 2014-06-10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US8816967B2 (en) 2008-09-25 2014-08-26 Apple Inc. Capacitive sensor having electrodes arranged on the substrate and the flex circuit
US8820133B2 (en) 2008-02-01 2014-09-02 Apple Inc. Co-extruded materials and methods
US8872771B2 (en) 2009-07-07 2014-10-28 Apple Inc. Touch sensing device having conductive nodes
US10180732B2 (en) 2006-10-11 2019-01-15 Apple Inc. Gimballed scroll wheel

Cited B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9626B2 (en) 2001-10-22 2015-04-1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scrolling
US7710394B2 (en) 2001-10-22 2010-05-0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rotational user inputs
US7710393B2 (en) 2001-10-22 2010-05-0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scrolling
US7710409B2 (en) 2001-10-22 2010-05-04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of rotational user inputs
US8952886B2 (en) 2001-10-22 2015-02-10 App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lerated scrolling
US8446370B2 (en) 2002-02-25 2013-05-21 Apple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US8749493B2 (en) 2003-08-18 2014-06-10 Apple Inc. Movable touch pad with added functionality
US8933890B2 (en) 2003-11-25 2015-01-13 Apple Inc. Techniques for interactive input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8552990B2 (en) 2003-11-25 2013-10-08 Apple Inc. Touch pad for handheld device
US7932897B2 (en) 2004-08-16 2011-04-26 Apple Inc. Method of increasing the spatial resolution of touch sensitive devices
US7671837B2 (en) 2005-09-06 2010-03-02 Apple Inc. Scrolling input arrangements using capacitive sensors on a flexible membrane
US7880729B2 (en) 2005-10-11 2011-02-01 Apple Inc. Center button isolation ring
US8537132B2 (en) 2005-12-30 2013-09-17 Apple Inc. Illuminated touchpad
US8059099B2 (en) 2006-06-02 2011-11-15 Apple Inc. Techniques for interactive input to portable electronic devices
US10139870B2 (en) 2006-07-06 2018-11-27 Apple Inc. Capacitance sensing electrode with integrated I/O mechanism
US10359813B2 (en) 2006-07-06 2019-07-23 Apple Inc. Capacitance sensing electrode with integrated I/O mechanism
US8514185B2 (en) 2006-07-06 2013-08-20 Apple Inc.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US8022935B2 (en) 2006-07-06 2011-09-20 Apple Inc. Capacitance sensing electrode with integrated I/O mechanism
US8743060B2 (en) 2006-07-06 2014-06-03 Apple Inc. Mutual capacitance touch sensing device
US10890953B2 (en) 2006-07-06 2021-01-12 Apple Inc. Capacitance sensing electrode with integrated I/O mechanism
US8044314B2 (en) 2006-09-11 2011-10-25 Apple Inc. Hybrid button
US7795553B2 (en) 2006-09-11 2010-09-14 Apple Inc. Hybrid button
US10180732B2 (en) 2006-10-11 2019-01-15 Apple Inc. Gimballed scroll wheel
US8482530B2 (en) 2006-11-13 2013-07-09 Apple Inc. Method of capacitively sensing finger position
US8330061B2 (en) 2007-09-04 2012-12-11 Apple Inc. Compact input device
US7910843B2 (en) 2007-09-04 2011-03-22 Apple Inc. Compact input device
US8866780B2 (en) 2007-12-03 2014-10-21 Apple Inc. Multi-dimensional scroll wheel
US8416198B2 (en) 2007-12-03 2013-04-09 Apple Inc. Multi-dimensional scroll wheel
US8125461B2 (en) 2008-01-11 2012-02-28 Apple Inc. Dynamic input graphic display
US8820133B2 (en) 2008-02-01 2014-09-02 Apple Inc. Co-extruded materials and methods
US8816967B2 (en) 2008-09-25 2014-08-26 Apple Inc. Capacitive sensor having electrodes arranged on the substrate and the flex circuit
US8395590B2 (en) 2008-12-17 2013-03-12 Apple Inc. Integrated contact switch and touch sensor elements
US8872771B2 (en) 2009-07-07 2014-10-28 Apple Inc. Touch sensing device having conductive nod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5059Y1 (ko) 용기 마개
US7651003B2 (en) Venting valve-type closure for beverage container
KR100213804B1 (ko) 액체용기의 밀폐용 플러그
KR200348302Y1 (ko) 위조방지용 병뚜껑
KR200497215Y1 (ko) 액상 내용물 포장 용기용 마개
KR200419676Y1 (ko) 액상 식품용 용기 뚜껑
KR200162019Y1 (ko) 포장용 용기의 마개조립체
KR200409658Y1 (ko) 마개용 패킹 부재
EP1238918A1 (en) Pouring stopper for viscous liquids
KR200427775Y1 (ko) 절취 마개를 갖는 용기 뚜껑
KR100732866B1 (ko) 유체 저장용기용 마개
JP2008162633A (ja) 容器
JP2004001836A (ja) 注出キャップ
KR200481095Y1 (ko) 용기의 캡
KR200371250Y1 (ko) 용기 마개 어셈블리
KR200196149Y1 (ko) 공기 유입관이 구비된 용기
KR0131875Y1 (ko) 액체 용기
KR20080100019A (ko) 용기마개
KR200217946Y1 (ko) 오일상 액체용 용기
KR100855085B1 (ko) 기존 조립시설 이용이 용이한 마개분실방지 용기
JP2008087820A (ja) ノズルヒンジキャップ
KR0114298Y1 (ko) 액체용기 마개
JPH0920397A (ja) 注出コック
KR200230219Y1 (ko) 음료용기 뚜껑의 음료 유출장치
JP3587698B2 (ja) 液体容器用キャッ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