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7946Y1 - 오일상 액체용 용기 - Google Patents

오일상 액체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7946Y1
KR200217946Y1 KR2020000022416U KR20000022416U KR200217946Y1 KR 200217946 Y1 KR200217946 Y1 KR 200217946Y1 KR 2020000022416 U KR2020000022416 U KR 2020000022416U KR 20000022416 U KR20000022416 U KR 20000022416U KR 200217946 Y1 KR200217946 Y1 KR 20021794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outlet
lower structure
oil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규환
문지호
Original Assignee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2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794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794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7946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라, 병 형상 용기의 입구측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하부 구조체, 상기 하부 구조체에 스냅식으로 결착가능하게 형성된 상부 구조체, 상기 마개 하부 구조체 상단면 중앙부가 반구체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반구형체부, 및 상기 반구체 형상부 표면의 1개 지점에 액체 내용물을 따라낼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그 내측 및 외측에 그루브가 형성되어 연장되는 유출공이 형성되고 외주부로 단턱과 걸림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유출구를 포함하는 오일상 유체용 용기의 마개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가 수평면으로부터 40°이상의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 끝단을 개폐할 수 있는 스토퍼가 구비됨으로써 용기 내 액체가 역류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며, 상기 용기가 탄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내용물의 유출조작이 원활하며 용량조절이 용이하고, 유출 가압력을 복원시킴으로써 용기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따른 용기내 압력감소로 인해, 유출중이던 오일이 용기 내부로 급히 회수됨으로써, 유체가 흘러나오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오일상 유체용 용기의 마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오일상 액체용 용기{bottle structure for oily liquid}
본 고안은 오일상 액체용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용유, 특히 참기름 등의 오일을 가정에서 사용시에 원하는 양만큼씩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단 사용 후에 소량의 잔류 오일이 용기 외로 흘러나오는 현상을 개선한 식용유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쓰이는 식품 용기는 유리나 기타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되는 병 모양의 몸체와 플라스틱 재질의 마개부로 구성되어 있다. 마개는 용기 몸체에 연결되는 방식에 따라 나사산을 몸체와 마개에 각각 형성하여 회전시키면서 체결하는 스크류식과, 일정 탄성을 갖고 있는 합성 수지재의 마개를 경질의 몸체에 끼워 맞추는 삽입식으로 나눌 수 있다. 생산 현장에서는 조립의 간편화와 제작비용의 절감을 위해 후자의 삽입식을 많이 채택하고 있다.
통상적으로, 제품의 출하시에 내용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용기의 마개에는 절취막으로 밀봉시키는데, 이 절취막은 일반적으로 상방 수직으로 절취구(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되고, 이 절취구는 다시 링 타입의 절취 고리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는 손가락을 절취 고리에 끼워 바깥 방향으로 힘을 가해 절취막을 떼어 내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절취막을 제거함으로써 토출공 (도시되지 않음)이 개방되면 용기를 기울임으로써 내용물이 토출구를 따라 흘러 나올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토출구를 구비하는 이유는 내용물이 입구를 따라 외측으로 흘러내려오거나 주위에 묻어 낭비 및 오염을 초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토출구 입구 주위에서 흘러내리는 액체 내용물의 대부분은 다시 토출공을 거쳐 용기내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부득이하게 내용물의 특성에 따라 토출구의 크기를 작게 설계하여야 할 경우에는 토출공을 절취막으로 밀폐하지 않거나 탄성편 연결 방식을 취하지 않고 스크류 형태의 마개로 설계하는 등 이중의 어려움이 있었다.
이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본 출원인의 2000년 7월 12일자 실용신안출원 제 2000-19988호에는, 병 형상을 가지는 용기의 입구측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하부 구조체, 상기 하부 구조체의 일부와 탄성 재질의 연결 부재로 연결되고 그 반대측이 상기 하부 구조체에 스냅식으로 결착가능하게 형성된 상부 구조체, 상기 마개의 하부 구조체의 상단면 중앙부가 반구체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된 반구형체부, 및 상기 반구체 형상부 표면의 1개 지점에 액체 내용물을 따라낼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반구형체부의 상기 관통공 내측 및 외측에 그루브가 형성되어 연장되는 유출공이 형성되고 외주부로 단턱과 걸림부가 형성된 원통형의 유출구를 포함하는 오일상 유체용 용기의 마개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실용신안출원의 고안에서는 용기의 마개구조를 획기적으로 개선한 바 있지만, 내용물의 자연적 유출가능성이 완전히 방지되지 못한 점이 있고, 사용량의 조절을 위한 유출작업에도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식용유, 특히 참기름 등의 오일을 가정에서 사용시에 원하는 양만큼씩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단 사용 후에 소량의 잔류 오일이 용기 외로 흘러나오는 현상을 개선한 식용유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실용신안출원에 따른 종래의 마개 구조체에서는, 마개의 하부 구조체(20)의 상단면 중앙부에 반구체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된 반구형체부(22) 표면의 1개 지점에 액체 내용물을 따라낼 수 있도록 형성되어 연장되는 유출공(33)에 있어서, 상기 유출공의 유로(stream line) 형성 각도가 약 30°내외의 작은 각도로 형성됨으로써 내부 유체의 역류가 발생할 때 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기에는 미흡한 점이 있었다. 특히 겨울철에 온도의 저하로 인해 오일, 특히 참기름 등의 유동성 또는 흐름성이 저하되었을 때에는 꼭지 캡 안쪽에 소량의 오일이 잔류하게 되어 토출구 부분에 막을 형성할 수 있게 되는데, 내부 압력이 증가하게 되는 상황이 되면 상기 잔류량이 역류하여 용기의 외벽으로 흘러나오게 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상기 마개 구조의 측면 이외에도, 사용할 오일의 양을 제어 또는 조절해야 하는 점이 있었고, 적정 사용량이 유출되었을 때 사용자가 용기를 바로 세워 유출을 중지하더라도 일단 유출되던 유체의 일부는 마개의 끝부분에서 외측으로 흘러내리게 되어 이 또한 오일 유출현상의 한가지 원인이 되어 왔다. 이는 오일의 양적 낭비일 뿐 아니라 미관상이나 사용자의 취급 및 조작에 있어서 개선이 요망되는 사항이었다.
또한, 오일용 용기 자체가 넘어지거나 심하게 흔들려서 오일이 유출구 밖으로 나오게 되는 경우에는, 물론 상부 마개가 이를 차단하여 외부로 직접 흐르지는 않게 하는 작용을 하지만 미흡하였고, 마개의 하부 구조체 위에 고인 오일은 밖으로 흐르게 되거나 흔히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초래되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자들은 예의 시도한 결과 용기의 재질과 마개 구조체의 개선에 의해 상기 문제점 및 요망사항을 해결할 수 있음을 알게 되어 본 고안을 완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식용유 용기 마개 하부구조체의 절단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식용유 용기(40) 마개(41)의 하부구조체(20)의 단면 및 스토퍼(36)를 도시한 절단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식용유 용기(40) 마개(41) 상부구조체(30) 및 하부구조체(20)가 닫힌 상태로 절단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식용유 용기와 마개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관통공 12 : 연장부분
20 : 하부 구조체 21 : 연결부재
22 : 반구형체부 23 : 그루브
30 : 상부 구조체 31 : 단턱
32 : 걸림부 33 : 중공 관형부
34 : 유출구 35 : 곡면
36 : 스토퍼 40 : 용기
41 : 마개 42 : 외벽
43 : 리브
본 고안에 따르면, 병 형상을 가지는 용기의 입구측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하부 구조체, 상기 하부 구조체의 일부와 탄성 재질의 연결 부재로 연결되고 그 반대측이 상기 하부 구조체에 스냅식으로 결착가능하게 형성된 상부 구조체, 상기 마개의 하부 구조체(20)의 상단면 중앙부가 반구체 형상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된 반구형체부(22), 및 상기 반구체 형상부 표면의 1개 지점에 액체 내용물을 따라낼 수 있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반구형체부(22)의 상기 관통공 내측 및 외측에 그루브가 형성되어 연장되는 유출공(11)이 형성되고 외주부로 단턱(31)과 걸림부(32)가 형성된 원통형의 유출구(33)를 포함하는 오일상 유체용 용기의 마개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체부(22)에 형성된 유출구(33)가 수평면으로부터 40°이상의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유출구(33)의 관형 연장부(34)의 용기내측 연장부(23)가 제거되어 용기 내벽측 상단부 곡면(35)과 상기 유출구(33)의 중공 관형부(34)가 직각을 형성함으로써 용기내 액체의 일부가 역류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가능성이 배제되었으며, 상기 용기(40)가 탄성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내용물의 유출조작시에 손으로 용기 벽부분을 가압하면 용기내 압력이 증가됨에 따라 유체의 유출이 원활하며 용량조절이 용이하게 되고, 유출을 중지할 때에는 손의 가압력을 복원시킴으로써 용기 자체의 탄성복원력에 따른 용기내 압력감소로 인해, 유출중이던 오일이 용기 내부로 급히 회수되도록 하여 상기 용기 또는 마개 부분에 유체가 흘러나오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오일상 유체용 용기가 제공된다.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유출구(33) 끝단에는 개폐용 스토퍼(36)가 구비됨으로써 용기내 액체의 일부가 역류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용기(40)의 외벽(42)은 대칭적 완곡면을 가지는 원통형으로서, 상기 외벽상에 2줄 이상의 리브(43)가 형성되어 용기의 편육 및 라벨의 수축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식용유 용기가 제공됨에 따라 식용유, 특히 참기름 등의 오일을 가정에서 사용시에 원하는 양만큼씩 용이하게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단 사용 후에 소량의 잔류 오일이 용기외로 흘러나오는 현상이 개선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일익 증진시킬 수 있게 되었다.

Claims (3)

  1. 병 형상을 가지는 용기(40); 상기 용기(40)의 입구측 단부에 고정설치되는 하부 구조체(20); 및 상기 하부 구조체(20)에 대응되는 상보적 형상을 가지고 탄성 재질의 연결 부재(21)에 의해 상기 하부 구조체(20)의 외주변면의 일부와 연결되며 상기 연결 지점의 반대측에 상기 하부 구조체(20)와 스냅식으로 결착가능한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일측폐쇄형 원통 형상의 상부 구조체(30)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구조체(20)의 상단면 중앙 지점에는 상기 상부 구조체(30)가 상기 하부 구조체(20)에 결착될 경우에 상기 상부 구조체(30)의 내측 공간에 존재할 수 있는 크기의 반구체 형상으로 돌출형성된 반구형체부(22)가 제공되고, 상기 반구형체부(22) 표면의 1개 지점에는 액체 내용물을 따라낼 수 있도록 관통공(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11)의 내외측에는 그루브(23)가 형성되어 있는 중공관형부(33)가 연장되도록 구성된 오일상 액체용 용기(40)에 있어서,
    상기 반구형체부(22)의 1지점에 형성된 유출구(34)의 방향이 수평면으로부터 40°이상의 각도를 가지도록 설정되고, 상기 용기(40) 상단부 내벽측 곡면(35)과 상기 유출구(34)의 중공 관형부(33) 유출통로가 직각을 형성하도록 상기 유출구(34)의 용기내측 연장부분이 제거되었으며, 상기 용기(40)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상 액체용 용기(4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출구(34) 끝단을 개폐할 수 있는 스토퍼(3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상 액체용 용기(4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40)의 외벽(42)이 대칭적 완곡면을 가지는 원통형이고 상기 외벽상에 2줄 이상의 리브(4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상 액체용 용기(40).
KR2020000022416U 2000-08-07 2000-08-07 오일상 액체용 용기 KR20021794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416U KR200217946Y1 (ko) 2000-08-07 2000-08-07 오일상 액체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416U KR200217946Y1 (ko) 2000-08-07 2000-08-07 오일상 액체용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7946Y1 true KR200217946Y1 (ko) 2001-03-15

Family

ID=730869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416U KR200217946Y1 (ko) 2000-08-07 2000-08-07 오일상 액체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794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524B1 (ko) * 2018-12-06 2019-10-29 이도재 식용 기름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524B1 (ko) * 2018-12-06 2019-10-29 이도재 식용 기름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90356C2 (ru) Открываемое посредством вращения дозирующее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содержащее вспомогатель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окалывания прокладки
EP2074053B1 (en) Dispensing closure
US3124281A (en) stull
RU2266852C2 (ru) Повторно уплотняемый выдачной укупорочный узел (варианты)
CA2527261C (en) Dispensing closure having flow modulator and syneresis capture
EP1697225B1 (en) Push-pull container closure
US20210002044A1 (en) Closure for a container and container with such a closure
US6062441A (en) Two-piece dispensing closure
KR200265059Y1 (ko) 용기 마개
US20100140266A1 (en) Dispensing closure with hinged lid
WO2008028186A2 (en) Dispensing cap with center channel and helical flow profile
US4405306A (en) Medicated disposable douche product
US20080230573A1 (en) Vessel
US5199613A (en) Smooth flow pour spout
JP2018062351A (ja) 詰め替え容器用スパウト及びスパウト付き詰め替え容器
CN107902245A (zh) 一种防盗瓶盖
KR200217946Y1 (ko) 오일상 액체용 용기
US5419467A (en) Two-piece pouring spout with dome-shaped nozzle
EA006731B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утылки с выдвижным патрубком (варианты)
JP2016097990A (ja) ヒンジキャップ
US3260425A (en) Container with closure plug and severable outlet element
JP6921639B2 (ja) 吐出キャップ
JP6632801B2 (ja) 小出し可能な複合液出しキャップ
JP7455728B2 (ja) ヒンジキャップ
CN219447840U (zh) 一种自回流防沥油瓶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