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712Y1 -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712Y1
KR200270712Y1 KR2019960063685U KR19960063685U KR200270712Y1 KR 200270712 Y1 KR200270712 Y1 KR 200270712Y1 KR 2019960063685 U KR2019960063685 U KR 2019960063685U KR 19960063685 U KR19960063685 U KR 19960063685U KR 200270712 Y1 KR200270712 Y1 KR 2002707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jaw
slider
movable side
carg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36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0514U (ko
Inventor
민병하
Original Assignee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계안,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계안
Priority to KR20199600636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712Y1/ko
Publication of KR199800505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05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7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712Y1/ko

Links

Landscapes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에 화물을 협지할 수 있는 클램프장치를 설치하여 주행중 급감속이나 코너링할 때 또는 굴곡진 도로를 달릴 때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자동차의 트렁크 내에 적재되는 화물이 유동되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트렁크(31)의 사이드 인너패널(32)에 고정측 힌지(41)에 의해 회동자재케 설치되고 고정측 가압스프링(42)에 의해 가압력을 받는 고정측 조오(43)와, 상기 트렁크(31)의 프론트 인너패널(33)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ㄷ"자 모양의 안내홈(51)을 갖는 채널 바(52)와, 상기 채널 바(52)의 안내홈(51)에서 미끄럼결합되는 롤러(61)가 돌설되어 있는 슬라이더(62)와, 이 슬라이더(62)를 관통하여 죔너트(63)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채널 바(52)의 안내홈(51)에 걸리는 죔볼트(64)와, 가동측 힌지(71)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62)에 회동자재케 설치되고 가동측 가압스프링(72)에 의해 탄력을 받으면서 상기 고정측 조오(43)와 마주보는 위치에 놓이는 가동측 조오(73) 및 상기 가동측 조오(73)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그 가동측 조오(73)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슬라이더(62)에 걸리는 스토퍼(74)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에 화물을 협지할 수 있는 클램프장치를 설치하여 주행중 급감속이나 코너링할 때 또는 굴곡진 도로를 달릴 때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자동차의 트렁크 내에 적재되는 화물이 유동되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한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에는 첨부도면 도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객실에 싣기에는 곤란한 물건 등을 싣기 위한 트렁크(11)가 마련되어 있으며, 내부의 바닥면과 벽면은 보통 평평한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트렁크(11)에 작은 화물을 적재한 상태에서 차량운행중에 잦은 가감속이나 코너링시에 화물이 트렁크(11) 내부에서 전후좌우방향으로 불규칙하게 유동되면서 벽에 부딪혀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트렁크 내부에 적재되는 화물이 차량 운행중에 급가감속이나 코너링시에 발생할 수 있는 유동으로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트렁크의 사이드 인너패널에 고정측 힌지에 의해 회동자재케 설치되고 고정측 가압스프링에 의해 가압력을 받는 고정측 조오와, 상기 트렁크의 프론트 인너패널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ㄷ"자 모양의 안내홈을 갖는 채널 바와, 상기 채널 바의 안내홈에서 미끄럼결합되는 롤러가 돌설되어 있는 슬라이더와, 이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죔너트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채널 바의 안내홈에 걸리는 죔볼트와, 가동측 힌지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에 회동자재케 설치되고 가동측 가압스프링에 의해 탄력을 받으면서 상기 고정측 조오와 마주보는 위치에 놓이는 가동측 조오 및 상기 가동측 조오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그 가동측 조오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슬라이더에 걸리는 스토퍼로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가 제공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자동차의 트렁크 내부를 보이는 자동차의 배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31:트렁크 72:가동측 가압스프링
32:사이드 인너패널 73:가동측 조오
41:고정측 힌지 74:스토퍼
42:고정측 가압스프링 80:가결합수단
43:고정측 조오 82a,82b,82c,82d:고무블록
33:프론트 인너패널 83a,83b:회전방지핀
51:안내홈 84a,85a:걸림헤드
52:채널 바 84,85:고정핀
61:롤러 86a,86b:회전방지구멍
62:슬라이더 87a,88a:걸림턱
63:죔너트 87,88:걸림구멍
64:죔볼트 90:요철부
71:가동측 힌지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31)의 사이드 인너패널(32)에 고정측 힌지(41)에 의해 회동자재케 설치되고 고정측 가압스프링(42)에 의해 가압력을 받는 고정측 조오(43)와, 상기 트렁크(31)의 프론트 인너패널(33)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ㄷ"자 모양의 안내홈(51)을 갖는 채널 바(52)와, 상기 채널 바(52)의 안내홈(51)에서 미끄럼결합되는 롤러(61)가 돌설되어 있는 슬라이더(62)와, 이 슬라이더(62)를 관통하여 죔너트(63)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채널 바(52)의 안내홈(51)에 걸리는 죔볼트(64)와, 가동측 힌지(71)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62)에 회동자재케 설치되고 가동측 가압스프링(72)에 의해 탄력을 받으면서 상기 고정측 조오(43)와 마주보는 위치에 놓이는 가동측 조오(73) 및 상기 가동측 조오(73)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그 가동측 조오(73)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슬라이더(62)에 걸리는 스토퍼(74)로 구성하였다.
상기 고정측 힌지(41)는 상기 고정측 조오(43)로부터 절곡형성되는 조오측 힌지 플레이트(41a)와, 그 조오측 힌지 플레이트(41a)와 겹치도록 상기 사이드 인너패널(32)에 설치되는 "ㄴ"자 모양의 트렁크측 힌지 플레이트(41b), 상기 조오측 힌지 플레이트(41a)와 트렁크측 힌지 플레이트(41b)를 모두 관통하는 힌지 핀(41c)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측 힌지(71)는 상기 슬라이더(62)의 상하단부에서 각각 수평하게 절곡되는 슬라이더측 힌지 플레이트(71a)와, 이 슬라이더측 힌지 플레이트(71a)에 겹치도록 상기 가동측 조오(73)에 절곡형성되는 조오측 힌지 플레이트(71b), 상기 슬라이더측 힌지 플레이트(71a)와 조오측 힌지 플레이트(71b)를 모두 관통하는 힌지 핀(71c)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측 가압스프링(42)과 가동측 가압스프링(72)은 예컨대, 토션 스프링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꼭 이러한 스프링의 종류에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고정측 조오(43)와 가동측 조오(73)는 트렁크 바닥면으로부터 약간 떨어지는 형태로 설치하여 트렁크 바닥면과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측 조오(43)와 가동측 조오(73)에 각각 가결합수단(80)에 의해 탈·장착되는 고무블록(82a)(82b)(82c)(82d)을 추가로 설치한 것이다.
상기 가결합수단(80)은 상기 고정측 조오(43)와 가동측 조오(73)의 각 앞면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핀(83a)(83b)과, 선단에 걸림헤드(84a)(85a)를 갖는 고정핀(84)(85)을 각각 설치하고, 고무블록(82a)(82b)(82c)(82d)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방지핀(83a)(83b)이 삽입되는 회전방지구멍(86a)(86b)과 구멍선단부에 걸림턱(87a)(88a)을 가지는 걸림구멍(87)(88)을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고무블록(82a)(82b)(82c)(82d)의 가압면에 요철부(90)를 추가로 형성하여 구성하였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W는 트렁크 화물을 나타낸 것이다.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트렁크 화물(W)을 고정하는 경우에는 첨부도면 도2 및 도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62)에 설치되어 있는 죔볼트(64)를 돌려서 느슨하게 한 다음 슬라이더(62)를 채널 바(52) 상에서 이동시켜 가동측 조오(73)와 고정측 조오(43)를 서로 멀어지게 한 후 그 사이에 트렁크 화물(W)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다시 슬라이더(62)를 트렁크 화물(W)을 향하여 이동시키게 되면, 가동측 조오(73)에 의해 트렁크 화물(W)이 밀리면서 고정측 조오(43)에 밀착된다.
이때 슬라이더(62)를 약간 더 밀게 되면, 고정측 조오(43)와 가동측 조오(73)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고정측 가압스프링(42)과 가동측 가압스프링(72)이 휘면서 탄성에 의해 트렁크 화물(W)을 압박하게 되며, 더욱이 고정측 조오(43)와 가동측 조오(73)의 앞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고무블록(82a)(82b)(82c)(82d)에 의해 더욱 더 압박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슬라이더(62)에 설치되어 있는 죔볼트(64)를 조이게 되면, 슬라이더(62)가 채널 바(52)에서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되어 트렁크 화물(W)의 유동이 방지된다.
이때 고정측 조오(43)와 가동측 조오(73)의 앞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고무블록(82a)(82b)(82c)(82d)을 트렁크 화물(W)의 트기나 형태에 따라 교환하여 사용하면, 트렁크 화물(W)의 고정이 훨씬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고무블록(82a)(82b)(82c)(82d)의 교환은 고무블록(82a)(82b)(82c)(82d)을 고정측 조오(43)나 가동측 조오(73)로부터 강제적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고무블록(82a)(82b)(82c)(82d)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구멍(87)(88)이 확대되면서 이탈되는 것이며, 결합시에는 반대로 밀어넣게 되면, 걸림구멍(87)(88)이 확대되면서 결합된다.
한편, 고정된 상태로 있는 트렁크 화물(W)을 인출하기 위해 분리시키는 경우에는 죔볼트(64)를 풀고 슬라이더(62)를 트렁크 화물(W)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트렁크 화물(W)이 아무런 마찰저항을 받지 않으므로 자유롭게 인출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고정측 조오와 가동측 조오에 의해 트렁크 화물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할 수 있으므로, 유동에 의한 파손이나 소음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트렁크(31)의 사이드 인너패널(32)에 고정측 힌지(41)에 의해 회동자재케 설치되고 고정측 가압스프링(42)에 의해 가압력을 받는 고정측 조오(43)와, 상기 트렁크(31)의 프론트 인너패널(33)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ㄷ"자 모양의 안내홈(51)을 갖는 채널 바(52)와, 상기 채널 바(52)의 안내홈(51)에서 미끄럼결합되는 롤러(61)가 돌설되어 있는 슬라이더(62)와, 이 슬라이더(62)를 관통하여 죔너트(63)와 나사결합되고 상기 채널 바(52)의 안내홈(51)에 걸리는 죔볼트(64)와, 가동측 힌지(71)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62)에 회동자재케 설치되고 가동측 가압스프링(72)에 의해 탄력을 받으면서 상기 고정측 조오(43)와 마주보는 위치에 놓이는 가동측 조오(73) 및 상기 가동측 조오(73)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그 가동측 조오(73)로부터 돌설되어 상기 슬라이더(62)에 걸리는 스토퍼(7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측 조오(43)와 가동측 조오(73)에 각각 가결합수단(80)에 의해 탈·장착되는 고무블록(82a)(82b)(82c)(82d)을 추가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결합수단(80)은 상기 고정측 조오(43)와 가동측 조오(73)의 각 앞면에 적어도 하나의 회전방지핀(83a)(83b)과, 선단에 걸림헤드(84a)(85a)를 갖는 고정핀(84)(85)을 각각 설치하고, 고무블록(82a)(82b)(82c)(82d)의 후면에는 상기 회전방지핀(83a)(83b)이 삽입되는 회전방지구멍(86a)(86b)과 구멍선단부에 걸림턱(87a)(88a)을 가지는 걸림구멍(87)(88)을 형성하여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블록(82a)(82b)(82c)(82d)의 가압면에 요철부(90)를 추가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
KR2019960063685U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 KR2002707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685U KR200270712Y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3685U KR200270712Y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514U KR19980050514U (ko) 1998-10-07
KR200270712Y1 true KR200270712Y1 (ko) 2002-05-09

Family

ID=54001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3685U KR200270712Y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71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0514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43394B2 (en) Roof carrier mounting structure
EP0560328B1 (en) Battery case attaching unit having a stopper movement of which is stopped during use
JP3495044B2 (ja) ロードキャリヤ
US5431461A (en) Sliding window lock for automotive vehicles
JPH06299743A (ja) シャクルロック用ホルダ
KR200270712Y1 (ko) 자동차의 트렁크 화물 클램프장치
US6642454B2 (en) Electrical wiring harness guiding and retaining device
US20220153203A1 (en) Sliding type glove box
CN110030252B (zh) 车身部件的紧固连结结构及车身部件安装用的垫圈
KR200411893Y1 (ko) 자전거 자물쇠
KR19980037451A (ko) 자동차의 케이블 및 배선 고정용 클램프
JPH08180934A (ja) オプション用コネクタのワイヤハーネスへの取付構造および留め具
KR100320873B1 (ko) 자동차용 루프 랙 어셈블리
KR200195830Y1 (ko) 자동차의 러기지 매트 고정장치
KR950008527Y1 (ko) 자동차용 오디오 전면 프레임
KR200169654Y1 (ko)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의 하부힌지구조
KR0142599B1 (ko) 차량용 잭취부장치
KR0132936Y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터미널 구조
KR0130012B1 (ko) 화물트럭의 리어 게이트 록킹장치
JP2546165Y2 (ja) チェーンソーのブレーキレバー
KR100325002B1 (ko) 자동차의스트립마운팅구조
KR200155063Y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KR20040003306A (ko)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KR0115854Y1 (ko) 사이드미러 탈거용 카버가 부착된 필라트림
KR200143942Y1 (ko) 컨솔 마운팅 클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