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474Y1 - 다리 위치 조정형 일체 철재 파랫트 - Google Patents

다리 위치 조정형 일체 철재 파랫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474Y1
KR200270474Y1 KR2020020000583U KR20020000583U KR200270474Y1 KR 200270474 Y1 KR200270474 Y1 KR 200270474Y1 KR 2020020000583 U KR2020020000583 U KR 2020020000583U KR 20020000583 U KR20020000583 U KR 20020000583U KR 200270474 Y1 KR200270474 Y1 KR 20027047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leg
pallets
weight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0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만
Original Assignee
이희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만 filed Critical 이희만
Priority to KR2020020000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47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47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474Y1/ko

Links

Landscapes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종 운송용 수단에 의한 화물의 이동을 보다 원활히 신속하게 운송하기 위하여, 운반물을 상하차 혹은 보관장소, 창고등 적치하는데 필요한 파렛트를 재활용이 가능하게 하여,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파렛트의 중량을 줄여 물류 비용을줄이고, 강도를 개선하면서 조립 비용 및 부품 감소로 대량 자동화할 수 있는 것에 대한 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착수하게 되었다
따라서 원 철판 사용의 장점을 살리면서 중량은 최소화하기 위한, 다시 말하면 단면 이차모멘트와 단면계수는 크게 하면서 중량을 극소화 하고 내구성에 문제가 없도록 하면서 한 개의 철판으로 파렛트의 본체를 forming판으로 생산하고 다리의 위치를 임의의 위치에 부착할 수 있는 것이 주요 장점인 고안임

Description

다리 위치 조정형 일체 철재 파랫트{omitted}
본 고안은 제품의 생산 운반 적재용으로 사용되는 파렛트에 관한 것으로 먼저 본체 판을 press로 도4와 같이 힘살 성형을 하여 주 강도를 증가시키고 회사 마크 표시 엠보싱과 보강홀을 이용 강도를 좀 더 개선함과 동시에 미끄럼 방지의 효과를 볼 수 있는 구조에 도2와 같이 2개 이상의 하부 다리를 볼트 조립 혹은 스포트 용접으로 임의의 위치에 부착하여 상부의 하중과 종류 및 운송 수단에 적절한 위치를 선정 부착하여 상부의 파렛트에 가능한 한 균등한 분포 하중이 되도록 하여 재료의 절감과 보다 많은 하중을 지지하도록 하며 특히 기존 철재 파렛트의 장점을 살리면서 동시에 한 개의 일체의 철판으로 성형을 하여 단순 구조로 된 파렛트 임.
별도의 용접이나, 조립이 필요 없이 한 개의 철판으로 press forming에 의하여 보강힘살, 보강홀 성형하고 다리 부위를 별도로 성형하여 부착함으로서 press 용량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간단한 조립을 함으로서 파렛트로서 강도가 유지되면서 아주 경량과 경제성으로 물류비 절감의 목적을 만족하도록 하여 물류 처리 산업 전반에 이용하고자 함
본 고안은 기존목재나 플라스틱 파렛의 약점을 보완함과 또 현재 쓰이고 있는 후 판의 파렛트에 비하여 아주 경량의 파렛트 구조로 하면서 그 자체강도를 극대화하여야 하는 것은 기 출원된 철제 파렛트의 장점을 유지하면서 공정의 단순화, 등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이번 고안은 종래의 철재 파렛트의 단점인 부품이 수개 내지 수십개 이상이기 때문에 부품을 관리해야하고 조립하는 불편한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프레스 공정에 의한 작업을 하기 위해 도1과 같이 단순한 구조로 하면서 파렛트의 다리의 위치와 수의 조정이 가능하고 경량으로 하는 일체형 철재 파렛트에 고안하게된 주된 내용이다.
지금까지의 기술은 각종 화물을 안정적으로 적재시키거나, 혹은 화물의 운반 시 포크리프트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운반, 차량에 신속하게 상하차시키고 보관하는 데 사용되는 파렛트를 사용 후에는 폐기물로 처리해야하고 수출 시에는 방역에 특히 주의를 해야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철재 파렛트는 부품수가 많아 제작비 및 양산 자동화에 어려운 점이 많아 이 점을 개선 보완을 하여 단순화, 및 튼튼하고 물류비용을 절감 할 수 있도록 하는 철재 파렛트를 고안함에 있어서.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한 물품 운반 용 파렛트가 대개는 일정한 두께나 폭을 갖는 목재를 격자형태로 짜 맞추어 그 교차 부위에 못 등 고정 구를 체결하는 형태로 구성되어진 것으로 그 자체 강도가 취약하고 그 사용 수명이 짧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벽돌이나 석재 등과 같이 노천에 야적 되는 적치대로 이용되는 경우는 파렛트가 습기나 물기등에 노출되는 경우에는 목재에 물기가 스며들어 목재의 변형을 초래하는 한편 목재가 부식되고 곰팡이가 발생하여 나쁜 냄새와 적제품이 변하게 되고 원자재는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슴으로 외화 낭비, 자원 낭비 환경 오염등의 문제가 지적되고 있고, 그래서 이 목재의 단점인 부식과 취약한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합성수지 (플라스틱)재로 제작된 파렛트가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합성 수지로 제작된 파렛트는 대량 생산과 강도 보강이 되어 기존의 목재 파렛트에 비해 사용 수명이 연장되는 반면 강도가 약한 것을 일체형으로 사출 성형하는 제작으로 그 자체 무개가 매우 무거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적재효률을 떨어뜨려서 물류비용을 크게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고 재활용이 불가하고 환경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최근에는 이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철재를 사용한 파렛트가 출현하게 되었으나 여러 부분이 용접으로 결합되어있거나 부품수가 많아서 자동으로 파렛트를 제작하는 것에는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한 개의 원 철판을 사용하여 파렛트 본체를 성형 제작하고, 간단한 용접이나 조립으로 파렛트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구조의 견고함과 동시에 경량화를 이루고, 사용에 불편함이 없어며 엠보싱 처리로 적재물의 미끄럼을 방지함과 동시에 수출 파렛트로 사용 시 방역이 필요하지 않을 뿐 아니라, 또 생산 시에 전 처리된 원 소재를 사용하여 철재 파렛트를 생산함으로써 후처리가 필요 없어며, 임의로 다리의 위치를 변경 생산 가능한 다리 조정 형 일체 파렛트가 제작되는 목적을 달성하고 져 한다.
도 1은 다리 위치 조정형 일체 철재 파렛트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다리 부의 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 홀 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다리부 ,보강홀, 끝단부 처리 단면도
도 5는 다리 조정형 일체 파렛트 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다리 위치 조정형 일체 철재 파렛트의 철판재 2: 다리부
3: 보강 돌출 힘살 4:보강 홀
5: 다리상부 6:다리하부
7: 보강홀돌출부 8:보강하부홀
9:파렛트 끝단부 10;회사 마크 엠보싱
이하 예시된 도면 도1과 같은 형태의 파렛트를 제작하기 위해 먼저 원자재프레스 전개도에 따른 시트를 수 작업에 의한 투입하여 단일 금형에 의하여 단번에 성형하는 방법 및 step by step으로 운전되는 feeder로 연속 투입하고 이 feeder를 통과한 원자재가 프레스에 투입하고 끼움식 (insert type)금형으로 크기 조정이 가능한 프로그래시브 금형 내부로 일정 길이가 일정의 피치로 공급하게 되며 2번 이상의 연속적 프로그래시브 금형을 통과하면서 최종 도1과 같은 파렛트의 본체가 제작되어 진다.
이것은 투입된 원자재를 보강힘살(3)보강 홀(4)의 형상을 만들기 위하여 2개이상의 형상을 순차적으로 변화하는 금형을 만들어 보강 홀(4)은 도3과 같이 보강 홀 돌출부(7) 보강 하부 홀(8) 모양을 완성시킴과 동시 도1의 엠보싱(10) 작업을 완성하고, 끝단부의 날카로운 부분을 감추기 위하여 도4에서 보인 것과 같이 파렛트 끝단부(9) 모양으로 절곡하기 위하여 피더가 1회 진행 시 마다 노치를 주어 무리 없이 파렛트 끝단부(9) 모양으로 절곡하여 외부에서 접촉하는 물체가 파렛트 외곽의 날카로운 부분으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다리부(2)는 도2와 같이 다리 상부(5) 다리 하부(6)의 형태로 하고 이것은 본체와는 별도의 작업으로 완성하여 필요한 위치에 볼트 조립 혹은 Spot welding 처리를 하여 견고히 본체와 부착하여 파렛트 다리로서의 기능을 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조립 공수가 절감되고 안전한 파렛트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상기고안은 한 개의 철판으로 강도(단면계수)를 상승시키는 역할을 하는 보강 홀(3), 보강홀 돌출부(6) 및 외부에서 접근하는 물체에 대해 안전을 확보함과 동시에 보강 재로서 역할을 하는 파렛트 끝단부(8) 등의 형태가 최소의 부품 즉 파렛트 본체, 다리 부분, 조립 치구 등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서 다리와 몸체가 튼튼한 구조로 할 수 있으며 조립 작업의 최소로 종래의 파렛트 보다 단순하면서. 끝단부의 날카로운 부분의 처리로 인한 자체가 강하고, 또 엠보싱 처리로 인한 미끄럼 방지 등과 같은 안전한 파렛트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고, 겹치는 것이 가능하여 빈 파렛트의 보관시 차지하는 공간이 줄어지고 수출 시 방역의 문제를 해결하는 등의 효과가 있음.

Claims (1)

  1. 경량의 철재 파렛트를 제작함에 있어서, 상기 한 개의 철판으로 프레스작업을 위한 단일 금형 또는 순차적 금형, 즉 프로그레시브 금형 등에 의하여 보강부, 및 끝 단부 처리가 일체로 되는 부분과 또다른금형 또는 순차적 금형에의한 다리부분으로 구분되어 이다리부분을임의의위치에spot용 접혹은 조립에한 파렛트다리의위치가용도에따라상이한 파렛트의 제작이가능한것을특징으로 하는 다리 위치 조정형 일체 철재 파랫트
KR2020020000583U 2002-01-05 2002-01-05 다리 위치 조정형 일체 철재 파랫트 KR20027047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583U KR200270474Y1 (ko) 2002-01-05 2002-01-05 다리 위치 조정형 일체 철재 파랫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0583U KR200270474Y1 (ko) 2002-01-05 2002-01-05 다리 위치 조정형 일체 철재 파랫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474Y1 true KR200270474Y1 (ko) 2002-04-06

Family

ID=73072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0583U KR200270474Y1 (ko) 2002-01-05 2002-01-05 다리 위치 조정형 일체 철재 파랫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47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828B1 (ko) 철재 팔레트
KR200270474Y1 (ko) 다리 위치 조정형 일체 철재 파랫트
KR200268256Y1 (ko) 조립 개선형 철재 파랫트
KR200276223Y1 (ko) 철재 포밍 파렛트
KR101612531B1 (ko) 철재 파렛트
KR20020023184A (ko) 단일재료 일체형 철재 파렛트
KR100698778B1 (ko) 측면 안전 파렛트
KR20020026915A (ko) 프레스 포밍 철재 파렛트
KR100304597B1 (ko) 철재 파렛트
KR200210366Y1 (ko) 철재 파렛트
KR101612532B1 (ko) 철재 파렛트
KR100390699B1 (ko) 경량 조립형 강재 파렛트
KR200291166Y1 (ko) 파렛트
KR200311570Y1 (ko) 콜게이트 구조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또는 폐플라스틱팔레트
GB2326153A (en) A pallet having integral load surface and spacer elements
KR100500111B1 (ko) 강력구조형 포밍 철재 파렛트
KR200356945Y1 (ko) 물품 포장용 파레트
KR20030009566A (ko) 강력구조형 철재 파렛트
KR20070114870A (ko) 화물 적재용 파렛트
KR100623389B1 (ko) 철재파렛트
KR101769697B1 (ko) 골판지를 이용한 파렛트
KR20010044246A (ko) 일체형 경량 철제 파렛트
KR200250688Y1 (ko) 철재 파렛트 볼트형 다리(leg)
KR200300349Y1 (ko) 팰릿
KR100671172B1 (ko) 겹침형 일체 파렛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