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56945Y1 - 물품 포장용 파레트 - Google Patents

물품 포장용 파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56945Y1
KR200356945Y1 KR20-2004-0010695U KR20040010695U KR200356945Y1 KR 200356945 Y1 KR200356945 Y1 KR 200356945Y1 KR 20040010695 U KR20040010695 U KR 20040010695U KR 200356945 Y1 KR200356945 Y1 KR 2003569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pallet
ben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06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교훈
Original Assignee
박교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교훈 filed Critical 박교훈
Priority to KR20-2004-00106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5694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569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569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004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 B65D19/005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77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B65D19/0089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 B65D19/0093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 B65D19/0095Rigid pallets without side walls the load supporting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the base surface being made of more than one element forming discontinuous or non-planar contact surfaces and each contact surface having a stringer-like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49Materials for the base surface
    • B65D2519/00059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398Overall construction reinforcements
    • B65D2519/00402Integral, e.g. ribs
    • B65D2519/00412Integral, e.g. ribs on the base su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품 포장용 파레트의 구조를 개선하므로서 생산성을 크게 향상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으며, 특히 별도의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의 프레싱 공법으로 중판과 하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성형하므로서 내구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단일의 지지대로서 중판과 하판 기능과 함께 양방향으로 동시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내측으로 절곡되는 요홈(22)과 단턱부(23)를 형성한 지지대(20)를 상판(20)의 하부에 조립하되, 상기 지지대(20)의 하부에는 지게차 등의 포크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부(21)를 대향으로 형성하고, 내측의 절곡되는 안쪽 단턱부(23)와, 외측의 절곡되는 공간부(21)에는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을 이중으로 각각 형성하여 내구성과 휨강도를 증대하고, 상기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의 가운데 부분에는 후육부(厚肉部)(26)를 별도 형성하며, 상기 지지대(20)의 상부 요홈(22)과 단턱부(23)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평평한 상태의 지지판(27)을 외측으로 각각 절곡하되, 지지판(27)의 외단은 요홈(22)과 단턱부(23)의 성형과정에서 프레싱하면 자연적으로 완만한 유선형의 곡선으로 형성하여 상판(11)과 조립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물품 포장용 파레트{A pallet for a goods packing}
본 고안은 물품 포장용 파레트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금속으로 된 물품 포장용 파레트의 구조를 개선하므로서 생산성을 크게 향상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적으로 별도의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의 프레싱 공법으로 중판과 하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성형하므로서 내구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단일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중판과 하판 기능과 함께 양방향으로 동시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물품을 포장하거나 운반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파레트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파레트는 종류에 따라 주로 목재나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으로 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 목재나 합성수지로 된 파레트 이외에 금속으로 되어 있는 파레트의 경우는 내구성이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비교적 얇은 금속판을 임의로 절곡하여 용도에 맞도록 상판과 중판, 하판 및 연결구를 구성하여 이를 용접이나 볼팅, 리벳팅 등으로 조립하여 파레트를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금속으로 된 파레트의 중판이나 하판 및 연결구의 경우는 주로 물품을 안치하는 용도보다는 안치된 포장물을 지지하면서 지게차 등의 포크를 결합하여 이동하거나 들어올리는 용도로서 사용되고, 실제 포장되는 물품은 상판위에 안치된다.
즉, 물품을 안치할 시에는 하판과 중판의 사이에 지게차의 포크가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구가 설치되고, 이의 상부에는 상판이 중판에 대해 직교방향으로 조립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금속 파레트의 경우는 비교적 얇은 박판(薄板)을 이용하여 내구성이나 휨강도를 증대하기 위해 다단으로 절곡하여 상판과 중판 및 하판을 구성한 다음, 상기 중판의 상부에는 중판과 직교방향으로 상판을 조립하고 이의 하부에는 하판을 조립하는 바, 이러한 중판과 하판을 연결하는 수단은 역시 다단으로 절곡한 짧은 연결구를 각 교차되는 부위에 고정하여 상호 조립하므로서 파레트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파레트에 물품을 포장하게 되면 상기 파레트를 이동하거나 떠올려서 컨테이너 등에 적재할 경우는 연결구에 의해 중판과 하판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해 지게차 등의 포크를 결합하여 파레트를 떠올려서 이동하거나 컨테이너 등에 적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파레트는 그 구성을 갖추기 위해서는 하판과 중판 및 상판이 있어야 하고, 상기 하판과 중판을 연결하면서 지게차 등의 포크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부를 마련하기 위해 연결구가 반드시 구비되어야 한다.
상기 연결구는 하판과 중판을 연결하면서 하판과 중판의 사이에 공간부를 확보하므로서 포크를 결합하여야 하기 때문에 상판과 중판만을 가지고 파레트를 완성할 수 없다.
즉, 상판은 중판에 대해 교차되게 조립하고, 상기 중판의 하부에는 연결구를 결합하여 공간부를 형성하므로서 지게차 등의 포크가 결합되어야 하나, 상기 중판 하부에 하판이 없이 연결구만 결합될 경우는 연결구의 지지력이 매우 취약하여 파레트로서의 기능을 할 수가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이 기존 상판, 중판, 하판, 연결구로 이루어진 파레트는 조립되는 부품수가 많아 제작단가가 상승될 뿐만 아니라 각각 다른 형태의 부품을 개별로 생산하여 필요한 길이로 절단한 상태에서 각각 조립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크게 저하될 뿐만 아니라 조립작업의 능률성이 크게 저하되고, 부품수가 많은 관계로 무게가 많이 나가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따랐다.
또한, 금속 파레트의 경우는 무게를 경량화하면서 내구성이나 휨강도가 강해야 하므로 절곡하는 방법으로 내구성이나 휨강도를 얻고 있으나, 부품수가 많아지므로 인해 무게가 무거우면서 코스트를 앙등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으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모색되었다.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금속 파레트로서 상판의 하부에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지지대를 구성한 것이 안출된 바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지지대 자체를 금속판으로 절곡하여 구성하므로서 일측방에서는 지게차 등의 포크를 결합할 수 있으나, 지지대와 직교방향에는 지게차의 포크가 결합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못하여 물품을 포장하여 떠올리거나 운반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지게차의 포크가 결합될 수 있는 방향을 정확하게 위치한 다음 작업해야 하므로 작업의 능률성이 크게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기존 상판의 하부에 프레임의 역할을 하는 지지대는 길이방향으로 절곡하여 구성하고, 파레트로 조립할 시에는 지지대를 동일방향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상부에 상판을 교호로 배열하여 용접이나 볼팅 또는 기타 리벳팅 등의 수단으로 조립하게 되므로 지지대가 설치된 나란한 방향에서는 공간부가 마련되기 때문에 지게차의 포크가 용이하게 결합되어 떠올리거나 운반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지지대는 상판과 조립된 상태로 평행방향이 아닌 직각방향에서는 평평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지게차의 포크가 결합될 수 없으므로 물품의 포장작업시 미리 지게차의 포크가 결합될 상황을 설정하여 정확한 위치에서 작업을 해야 하므로 여건에 따라 포장작업의 능률성이 크게 저조할 뿐만 아니라 주변의 여건에 따라 이동이나 운반 등 취급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과 함께 다양한 용도에 대한 호환성이 저조한 문제점이 따랐다.
그러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단일의 파레트를 이용하여 내구성과 휨강도를 보장하면서 부품수를 줄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고, 지게차 등의 포크가 사방 어느 위치에서든지 자유롭게 결합될 수 있게 구성하여 물품 포장용 파레트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은 금속으로 된 물품 포장용 파레트의 구조를 개선하므로서 생산성을 크게 향상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적으로 별도의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의 프레싱 공법으로 중판과 하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성형하므로서 내구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단일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중판과 하판 기능과 함께 양방향으로 동시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에 목적이 있다.
즉, 본 고안은 금속으로 된 철판을 다단으로 절곡한 상판의 하부에 내측으로 절곡되는 요홈과 단턱부를 형성한 지지대를 조립하되, 상기 지지대의 하부에는 지게차 등의 포크가 결합될 수 있는 수개의 공간부를 형성하고, 내측으로 절곡되는 안쪽 단턱부와 외측의 절곡되는 공간부에는 내부힘살과 외부힘살을 이중으로 각각형성하여 내구성과 휨강도를 일층 증대하고, 상기 내부힘살과 외부힘살의 가운데 부분에는 후육부(厚肉部)를 별도 형성하여 공간부에 의해 지지대의 폭이 좁더라도 2중, 3중의 보강기능을 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지지대의 외단부에는 경우에 따라 다수의 요철을 형성할 수도 있게 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함과 동시에 사방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지게차의 포크가 결합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지지대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지지대를 상판과 조립하여 파레트를 구성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완성된 파레트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완성된 파레트의 측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지지대를 확대한 요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파레트를 조립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파레트용 지지대의 일측 지지판을 절단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측 지지판을 절단한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파레트용 지지대의 일측 지지판을 절곡한 상태의 사시도
도 10은 본 고안의 일측 지지판을 절곡한 상태로 조립한 파레트의 사시도
도 11은 본 고안의 일측 지지판을 절곡한 상태의 요부 확대 단면도
도 12는 본 고안의 파레트 사방 가장자리에 ㄴ형 앵글을 조립한 사시도
도 13은 본 고안의 지지대의 표면에 요철을 형성한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본 고안의 지지대의 요홈 양측바닥에 조립공을 뚫은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파레트 11 : 상판
20 : 지지대 21 : 공간부
22 : 요홈 23 : 단턱부
24 : 내부힘살 25 : 외부힘살
26 : 후육부(厚肉部) 27 : 지지판
30 : 밴딩부 31 : 앵글
32 : 요철 33 : 결합공
본 고안은 금속으로 된 철판을 다단으로 절곡한 상판(11)의 하부에 내측으로 절곡되는 요홈(22)과 단턱부(23)를 형성한 지지대(20)를 조립하되, 상기 지지대(20)의 하부에는 지게차 등의 포크가 결합될 수 있는 수개의 공간부(21)를 형성하고, 내측의 절곡되는 안쪽 단턱부(23)와 외측의 절곡되는 공간부(21)에는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을 이중으로 각각 형성하여 내구성과 휨강도를 일층 증대하고, 상기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의 가운데 부분에는 후육부(厚肉部)(26)를 별도 형성하여 공간부(21)에 의해 지지대(20)의 폭이 좁더라도 2중, 3중의 보강기능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지지대(20)의 상부 요홈(22)과 단턱부(23)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평평한 상태의 지지판(27)을 외측으로 각각 절곡하되, 지지판(27)의 외단은 요홈(22)과 단턱부(23)의 성형과정에서 프레싱하면 자연적으로 완만한 유선형의 곡선으로 형성될수 있게 하여 상판(11)과의 조립시 밀착력을 증대함과 아울러 용접이나 볼팅 또는 리벳팅 등의 조립작업을 능률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는 파레트(10)의 중앙 내측에 위치하는 것은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무방하나, 맨 가장자리 외측 양단에 위치하는 지지대(20)의 지지판(27) 일측에 형성된 돌출상태의 완만한 유선형 곡선은 절단하여 직선상으로 형성하므로서 매끈한 마감면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는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파레트(10)의 상판(11)이 설치되는 지지대(20)의 상측에 외단으로 절곡된 지지판(27)은 ㄴ형으로 된 밴딩부(30)를 형성하여 포장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고, 한편으로는 상기 지지대(20)의 상측에 형성된 지지판(27)의 사방 외측 가장자리에는 ㄴ형으로 형성된 별도의 앵글(31)을 용착하여 포장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의 공간부(21)가 형성된 양측 외단부에는 필요에 따라 수개의 보강용 요철(32)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지지대(20)의 공간부(21)의 반대편 내부 양측에 형성된 요홈(22)의 바닥면에는 결합공(33)을 뚫어 필요에 따라 캐스트를 부착하거나 높낮이 조절볼트를 결합하여 이동성과 높낮이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함과 동시에 사방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지게차의 포크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파레트(10)의 지지대(20)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직사각형상의 금속판을 프레스 금형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프레싱 가공하게 되면 프레스 금형의 형상에따라 요홈(22)과 단턱부(23) 및 공간부(21)가 한꺼번에 형성되고, 단턱부(23)와 공간부(21)측에 형성되는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은 금형의 압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하 이중으로 겹쳐지게 형성되며, 상측 양단에 외측으로 형성된 지지판(27)은 금형의 형상에 따라 돌출부와 함몰부에 의해 성형되면서 완만한 유선형의 곡선이 저절로 형성될 수 있게 하여 상판(11)과의 조립시 밀착력을 증대함과 아울러 용접이나 볼팅 또는 리벳팅 등의 조립작업을 능률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될 수 있는 본 고안은 금속으로 된 물품 포장용 파레트(10)의 구조를 개선하므로서 생산성을 크게 향상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적으로 별도의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의 프레싱 공법으로 지지대(20)를 구성하여 중판과 하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성형하므로서 내구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단일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중판과 하판 기능과 함께 양방향으로 동시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으로,
본 고안은 금속으로 된 철판을 다단으로 절곡한 상판의 하부에 내측으로 절곡되는 요홈(22)과 단턱부(23)를 형성한 지지대(20)를 구성하되, 상기 지지대(20)의 하부에는 지게차 등의 포크가 결합될 수 있는 수개의 공간부(21)를 형성하고, 내측으로 절곡되는 안쪽 단턱부(23)와 외측의 절곡되는 공간부(21)에는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을 이중으로 각각 형성하여 내구성과 휨강도를 일층 증대하고, 상기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의 가운데 부분에는후육부(厚肉部)(26)를 별도 형성하여 공간부(21)에 의해 지지대(20)의 폭이 좁더라도 2중, 3중의 보강기능을 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지지대(20)의 외단부에는 경우에 따라 다수의 요철(32)을 형성할 수도 있게 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함과 동시에 사방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지게차의 포크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게 구성한데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금속으로 된 철판을 다단으로 절곡한 상판(11)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되는 요홈(22)과 단턱부(23)가 형성된 지지대(20)를 조립하되, 상기 지지대(20)의 하부에는 지게차 등의 포크가 결합될 수 있는 수개의 공간부(21)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측으로 절곡되는 안쪽 단턱부(23)와 외측의 절곡되는 공간부(21)에는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이 이중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구성과 휨강도가 일층 증대되어 단턱부(23)에 의한 내구성이 취약한 문제점을 해결하고, 특히 상기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의 가운데 부분에는 후육부(厚肉部)(26)를 별도 형성하여 공간부(21)에 의해 지지대(20)의 폭이 좁더라도 2중, 3중의 보강기능을 할 수 있다.
즉, 본 고안의 단턱부(23)와 공간부(21)에 각각 형성된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이 각각 이중으로 겹쳐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비록 얇은 금속판으로 파레트(10)를 구성한다 하더라도 기존 취약한 부분에 대한 내구성과 휨강도는 두배 이상의 강도가 보장되므로 무거운 물품의 포장용으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지대(20)의 하부 양측에 형성된 공간부(21)는 내구성을보장함과 아울러 지게차의 포크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직교방향으로 지게차의 포크를 결합할 경우는 본 고안의 지지대(20)와 나란한 방향으로 포크를 결합할 수 있으므로 결국, 본 고안은 지게차의 포크가 사방 어느위치에서든지 결합이 가능하여 파레트(10)의 위치나 포장되는 물품의 종류에 상관없이 용이하게 떠올리거나 이동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대(20)의 상부 요홈(22)과 단턱부(23)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위 요홈(22)과 공간부(21) 및 단턱부(23)의 성형시에 한꺼번에 평평한 상태로 지지판(27)이 외측으로 각각 절곡되므로 별도로 위와 같은 형상을 따로 성형하는 것이 아니고, 단일의 프레싱 공정으로 요홈(22)과 단턱부(23) 및 공간부(21)의 성형과정에서 프레싱하면 지지판(27)의 외단이 자연적으로 완만한 유선형의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게 하여 상판(11)과의 조립시 밀착력을 증대함과 아울러 용접이나 볼팅 또는 리벳팅 등의 조립작업을 한층 능률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금속 파레트(10)가 가져야 할 최대의 관건인 경량화를 보장함은 물론, 내구성과 휨강도를 보장하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10)의 상판(11)이 설치되는 지지대(20)의 상측에 외단으로 절곡된 지지판(27)은 ㄴ형으로 된 밴딩부(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동중이나 외력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포장물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한편으로는 상기 지지대(20)의 상측에 형성된 지지판(27)의 사방 외측 가장자리에는 ㄴ형으로 형성된 별도의 앵글(31)을 용착하므로서 이 역시 위와같이 이동중이나 외력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포장물을 지지하여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20)의 하측 공간부(21)가 형성된 양측 외단부 표면에는 필요에 따라 수개의 보강용 요철(32)을 형성하므로서, 내구성이나 휨강도 및 자체적인 응력을 견딜 수 있으므로 사용수명을 연장하면서 외관미를 미려하게 하는 등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지지대(20)의 공간부(21)의 반대편 내부 양측에 형성된 요홈(22)의 바닥면에는 결합공(33)을 뚫어 캐스트를 부착하거나 높낮이 조절볼트를 결합하여 이동성과 높낮이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함과 동시에 사방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지게차의 포크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여건 등에 구애받음이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대(20)는 파레트(10)의 중앙 내측에 위치하는 것은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무방하나, 맨 가장자리 외측 양단에 위치하는 지지대(20)의 지지판(27) 일측에 형성된 돌출상태의 완만한 유선형 곡선은 절단하여 직선상으로 형성하므로서 매끈한 마감면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는 경우에 따라 선택적으로 실시할 수 있으므로 여건에 따라 임의로 가공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 파레트(10)용 지지대(20)를 제조하는 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직사각형상의 금속판을 프레스 금형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프레싱 가공하게 되면 프레스 금형의 형상에 따라 요홈(22)과 단턱부(23) 및 공간부(21)가 한꺼번에형성되고, 단턱부(23)와 공간부(21)측에 형성되는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은 금형의 압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거의 동일한 형상으로 상하 이중으로 겹쳐지게 형성되며, 상측 양단에 외측으로 형성된 지지판(27)의 가장라리는 금형의 형상에 따라 돌출부와 함몰부에 의해 성형되면서 완만한 유선형의 곡선이 저절로 형성될 수 있게 하여 상판(11)과의 조립시 밀착력을 증대함과 아울러 용접이나 볼팅 또는 리벳팅 등의 조립작업을 능률적으로 할 수 있으므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킴은 물론, 금속 파레트(10)의 최대 관건인 경량화와 내구성 및 휨강도를 일층 증대할 수 있으며, 사방 어느곳에서나 지게차의 포크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사용이 매우 편리한 등의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금속으로 된 물품 포장용 파레트(10)의 구조를 개선하므로서 생산성을 크게 향상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할 수 있으며, 특히 구조적으로 별도의 자재를 사용하지 않고 단일의 프레싱 공법으로 지지대(20)를 구성하여 중판과 하판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성형하므로서 내구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단일의 지지대를 이용하여 중판과 하판 기능과 함께 양방향으로 동시 사용이 가능하게 하여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데 특징이 있는 바, 본 고안은 금속으로 된 철판을 다단으로 절곡한 상판의 하부에 내측으로 절곡되는 요홈(22)과 단턱부(23)를 형성한 지지대(20)를 구성하되, 상기 지지대(20)의 하부에는 지게차 등의 포크가 결합될 수 있는 수개의 공간부(21)를 형성하고, 내측으로 절곡되는 안쪽 단턱부(23)와 외측의 절곡되는 공간부(21)에는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을 이중으로 각각 형성하여 내구성과 휨강도를 일층 증대하고, 상기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의 가운데 부분에는 후육부(厚肉部)(26)를 별도 형성하여 공간부(21)에 의해 지지대(20)의 폭이 좁더라도 2중, 3중의 보강기능을 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지지대(20)의 외단부에는 경우에 따라 다수의 요철(32)을 형성할 수도 있게 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보급함과 동시에 사방의 어느 위치에서든지 지게차의 포크가 결합될 수 있으므로 각종 물품 포장용 파레트(10)로서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7)

  1. 파레트(10)의 상판(11) 하부에 결합되는 지지대(20)를 구성함에 있어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요홈(22)과 단턱부(23)를 형성한 지지대(20)를 상판(20)의 하부에 조립하되, 상기 지지대(20)의 하부에는 지게차 등의 포크가 결합될 수 있는 공간부(21)를 대향으로 형성하고, 내측의 절곡되는 안쪽 단턱부(23)와, 외측의 절곡되는 공간부(21)에는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을 이중으로 각각 형성하여 내구성과 휨강도를 증대하고, 상기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의 가운데 부분에는 후육부(厚肉部)(26)를 별도 형성하여 공간부(21)에 의해 지지대(20)의 폭이 좁더라도 다중의 보강기능을 하며, 상기 지지대(20)의 상부 요홈(22)과 단턱부(23)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평평한 상태의 지지판(27)을 외측으로 각각 절곡하되, 지지판(27)의 외단은 요홈(22)과 단턱부(23)의 성형과정에서 프레싱하면 자연적으로 완만한 유선형의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게 하여 상판(11)과 조립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포장용 파레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는 파레트(10)의 중앙 내측에 위치하는 것은 그대로 사용하고, 맨 가장자리 외측 양단에 위치하는 지지대(20)의 지지판(27) 일측에 형성된 돌출상태의 완만한 유선형 곡선은 절단하여 직선상으로 형성하므로서 매끈한 마감면을 얻을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포장용 파레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레트(10)의 상판(11)이 설치되는 지지대(20)의 상측에 외단으로 절곡된 지지판(27)은 ㄴ형으로 된 밴딩부(30)를 형성하여 이동중이나 외력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포장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포장용 파레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의 상측에 형성된 지지판(27)의 사방 외측 가장자리에는 ㄴ형으로 형성된 별도의 앵글(31)을 용착하여 이동중이나 외력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포장물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포장용 파레트.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의 공간부(21)가 형성된 양측 외단부에는 필요에 따라 수개의 보강용 요철(32)을 형성하므로서, 내구성이나 휨강도를 보강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물품 포장용 파레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20)의 공간부(21)의 반대편 내부 양측에 형성된 요홈(22)의 바닥면에는 결합공(33)을 뚫어 필요에 따라 캐스트를 부착하거나 높낮이 조절볼트를 결합하여 이동성과 높낮이의 조절을 용이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포장용 파레트.
  7. 파레트(10)의 지지대(20)를 제조함에 있어서, 직사각형상의 금속판을 프레스 금형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프레싱 가공하게 되면 프레스 금형의 형상에 따라 요홈(22)과 단턱부(23) 및 공간부(21)가 한꺼번에 형성되고, 단턱부(23)와 공간부(21)측에 형성되는 내부힘살(24)과 외부힘살(25)은 금형의 압력에 의해 자연적으로 상하 이중으로 겹쳐지게 형성되며, 상측 양단에 외측으로 형성된 지지판(27)은 금형의 형상에 따라 돌출부와 함몰부에 의해 성형되면서 완만한 유선형의 곡선이 저절로 형성될 수 있게 하여 상판(11)과의 조립시 밀착력을 증대함과 아울러 조립작업을 능률적으로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 포장용 파레트.
KR20-2004-0010695U 2004-04-19 2004-04-19 물품 포장용 파레트 KR2003569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695U KR200356945Y1 (ko) 2004-04-19 2004-04-19 물품 포장용 파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0695U KR200356945Y1 (ko) 2004-04-19 2004-04-19 물품 포장용 파레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514A Division KR100562706B1 (ko) 2004-04-19 2004-04-19 물품 포장용 파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56945Y1 true KR200356945Y1 (ko) 2004-07-21

Family

ID=49434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0695U KR200356945Y1 (ko) 2004-04-19 2004-04-19 물품 포장용 파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5694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348B1 (ko) * 2016-05-27 2018-05-11 김영수 삽입형 파레트
KR20190106110A (ko) * 2018-03-07 2019-09-18 지엔씨코퍼레이션(주) 방음판 적재용 받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7348B1 (ko) * 2016-05-27 2018-05-11 김영수 삽입형 파레트
KR20190106110A (ko) * 2018-03-07 2019-09-18 지엔씨코퍼레이션(주) 방음판 적재용 받침대
KR102059181B1 (ko) 2018-03-07 2019-12-24 지엔씨코퍼레이션(주) 방음판 적재용 받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59255Y1 (ko) 파렛트 랙
KR100983828B1 (ko) 철재 팔레트
CN103010556A (zh) 可折叠拆解式木托盘箱
KR200356945Y1 (ko) 물품 포장용 파레트
KR101115606B1 (ko) 팔레트의 강도 보강구조
US5701827A (en) Pallet assembly
KR101602787B1 (ko) 합성목을 이용한 팔레트
KR20050101595A (ko) 물품 포장용 파레트
JP7086593B2 (ja) パレット
KR100818353B1 (ko) 조립식 합성수지 팔레트
KR101612531B1 (ko) 철재 파렛트
KR20080006142U (ko) 조립식 팔레트
KR200441940Y1 (ko) 조립식 팔레트
KR200417384Y1 (ko) 철제 팔레트의 골조구조
KR20080006143U (ko) 조립식 팔레트
JPH07165239A (ja) プラスチックパレ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12532B1 (ko) 철재 파렛트
KR100868477B1 (ko) 평파렛트
KR101589283B1 (ko) 철재 파렛트
KR100671171B1 (ko) 파렛트의 중간지지구
KR200306060Y1 (ko) 파레트어셈블리
KR200263820Y1 (ko) 철재 파레트
JP3051442U (ja) パルプ製パレット
KR100887992B1 (ko) 펄프 성형물로 제작된 파레트
KR200276223Y1 (ko) 철재 포밍 파렛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