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464Y1 -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및 이 디지털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 Google Patents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및 이 디지털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464Y1
KR200270464Y1 KR2020010040937U KR20010040937U KR200270464Y1 KR 200270464 Y1 KR200270464 Y1 KR 200270464Y1 KR 2020010040937 U KR2020010040937 U KR 2020010040937U KR 20010040937 U KR20010040937 U KR 20010040937U KR 200270464 Y1 KR200270464 Y1 KR 200270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b
digital camera
mobile phone
interface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9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필
Original Assignee
김용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필 filed Critical 김용필
Priority to KR20200100409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4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464Y1/ko

Links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및 이 디지털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이 휴대폰은 디지털 카메라와 휴대폰 본체로 구성된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내부에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마스터와 슬레이브 모듈을 구비하며, 상기 본체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슬레이브 모듈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와 상기 본체 사이에는 USB 프로토콜을 이용한 화상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연속적인 동화상의 디스플레이가 상기 휴대폰 본체 상에서 가능해진다.

Description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및 이 디지털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Digital Camera Using USB Interface and Cellular Phone Having the Digital Camera}
본 고안은 디지털 카메라 및 이 디지털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 특히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및 이 디지털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재 휴대폰은 음성뿐만 아니라 화상까지도 통신하기 위하여 외장형 디지털 카메라를 장착하고 있다. 통상 이 디지털 카메라는 착탈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회전이 가능하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착탈 가능한 이유는 휴대폰 본체에 부설되어 있는 원형의 이어폰 소켓에 상기 카메라에 부설된 원형의 이어폰 플러그 단자를 삽입하여 사용하거나 휴대폰 본체의 하단부에 부설되어 있는 카킷 콘넥터(In put/Out put Connector)에 상기 카메라를 삽입하여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착탈이 가능하다.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회전이 가능한 이유는 사용자가 통상 전면에 배치된 LCD 화면을 보면서 화상을 촬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상기 액정 디스플레이 화면과 반대편에 위치한 화상을 촬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착탈과 회전이 가능한 휴대폰용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포착한(capture) 화상(image)은 단자들을 통해 상기 휴대폰에 전달되고 상기 휴대폰의 액정 표시 소자(LCD: Liquid Crystal Display) 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이때, 상기 액정 표시 소자(LCD)의 크기는 현재 120 x 133 또는 120 x 160 정도이므로 상기 디지털 카메라 측에서 전송되는 화상의 크기는 밧데리 잔량 표시, 안테나의 신호 수신 상태를 보여주는 안테나 표시등과 같은 아이콘 부를 제외하고상기 액정 표시 소자 상에서 120 x 96 진 또는 120 x 120의 픽셀 싸이즈(size)를 가지고 적절히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므로, 한 장의 사진에 해당하는 총 화상(Image)의 데이터 크기는 120 x 96이며, 상기 화상의 컬러(color)가 256 컬러인 경우 상기 화상(Image)의 전체 데이터는 11,520 바이트(Byte)이다. 따라서, 상기 11,520 바이트에 8을 곱하면 92.2k 비트가 된다.
한편, 상기 휴대폰들은 CDMA 방식에서 주로 퀄컴(Qualcom) 칩을 사용하고 있으며, 상기 퀄컴 칩에서 휴대폰의 외부기기와 통신을 위해 제공되는 프로토콜은 통상 Uart이다. 상기 Uart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 처리 속도는 통상 115.2 kbps(kilo bit per second)이므로 이 처리 속도로 상기 화상의 전체 데이터를 나누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휴대폰과 초당 1.25장 정도의 사진 화상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카메라 입장에서 보면, 실질적으로 초당 15장 내지 30장 정도의 화상들을 포착하여 상기 휴대폰으로 전송 할 수 있으나 상기 휴대폰 사이의 통신 프로토콜 제약으로 인해 상기 휴대폰의 데이터 수신 처리 속도가 지연되므로, 상기 휴대폰의 액정 표시 소자에는 1초당 겨우 한 장 정도의 사진 화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특히, 프리미엄 급 사진 화상인 65,000 컬러인 경우에는 상기 256 컬러보다 상기 화상 데이터 크기가 2배에 해당하므로 실질적으로 3초당 한 장 정도의 사진 화상이 상기 액정 표시 소자 상에 디스플레이 된다. 그러므로, 상기 사진 화상이 연속적이지 못하고 화상이 이산적인(Discrete) 형태로 상기 액정 표시 소자 상에 디스플레이 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Uart 프로토콜은 주로 문자등의 데이터 통신 송수신을 목적으로 한것으로써, 데이터량이 많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화상 전송 프로토콜로서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사진 화상 전송에 적합한 프로토콜 사용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고속으로 화상 신호 처리가 가능하고 또한 끊김이 없이 연속적으로 화상 신호 처리가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를 갖는 휴대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퀄컴 칩에서 제공하는 Uart 프로토콜이 아닌 PC와의 통신용으로 제공되고 있는 USB 프로토콜로써 12Mbps의 고속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휴대폰 본체와 디지털 카메라 사이에서 화상 처리를 위해 사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USB 프로토콜을 상기 휴대폰 본체와 상기 휴대폰용 디지털 카메라 사이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휴대폰에는 이미 PC 통신용으로 USB 슬레이브가 지원되고 있으므로 상기 디지털 카메라 내부에는 USB 마스터 모듈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형태에 따르면, 휴대폰은 화상을 촬영하는 영상 센서, 상기 촬영된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칩, 그리고상기 처리된 화상 신호를 US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 단자들을 통해 전송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마스터 모듈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휴대폰은 상기 처리된 화상 신호를 상기 US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 단자들을 통해 수신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슬레이브를 지원하는 칩과 상기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 표시 소자를 갖는 본체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USB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서 제공하는 초당 15 내지 30 프레임들(Frames)에 해당하는 사진 화상들이 끊김 없이 그대로 상기 휴대폰 본체에 마련된 액정 표시 장치 상에 동영상으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외형도이다.
도 2a는 본 고안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 회로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2b는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 회로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 본체의 내부 회로를 보여주는 구성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CMOS 영상 센서, 20 : 신호 처리 칩,
30 : 크리스탈 발진기, 20i, 40 : USB 마스터/슬레이브 모듈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휴대폰의 외형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도 1은 폴더형 휴대폰의 실시 예를 보여준다. 본 고안은 플립형 휴대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폰은 본체(1)와 디지털 카메라(2)로 크게 구분된다. 상기 본체(1)는 통상의 폴더형 휴대폰과 동일하게 그것의 덮개(3) 및 몸체(body)(4)를 갖으며, 상기 덮개(3)의 안쪽에는 액정 표시 장치(5)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4)의 전면에는 복수개의 키들을 갖는 키 패드부(6)가 구비된다.
상기 폴더형 휴대폰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상기 덮개(3)가 열려진 상태에있으면 내부 후크 스위치의 동작에 의해 파워 온 상태가 되고 상기 덮개가 덮여진 상태에 있으면 상기 후크 스위치의 반대 동작에 의해 파워 오프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몸체(4)의 측면 부위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2)가 상기 몸체(4)로부터 착탈 가능토록 하기 위한 인서트(insert) 부(7)가 마련되어진다. 이 인서트 부(7)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2)로부터 연장되는 카메라 단자 부(8)가 삽입된다.
상기 인서트 부(7) 내에는 상기 카메라 단자 부(8)와 전기적으로 접촉되기 위한 몸체 단자 부(9)(도시되지 않음)가 마련되어 진다. 상기 카메라 단자 부(8)와 상기 몸체 단자 부(9)에 의해 상기 디지털 카메라(2)와 상기 본체(3) 사이에서 상기 US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화상 신호들이 전송된다.
도 1에는 데이터 전송 단자(D+)와 데이터 수신 단자(D-) 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CDMA 2000을 채택하는 퀄컴 칩을 내장하는 휴대폰들의 경우 사용하는 프로토콜의 종류에 따라 상기 카메라 단자 부(8)와 상기 몸체 단자 부(9)는 각각 상호간 접촉하기 위한 + 전원 단자 및 - 전원 단자를 포함하여 4개 내지 5개까지의 연결 단자들이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디지털 카메라(2)와 상기 휴대폰 본체(3) 사이에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하여 USB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참고로, 출원인은 상기 CDMA 퀄컴 칩을 사용하는 휴대폰과 디지털 카메라 사이에서는 115.2 Kbps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갖는 Uart 프로토콜, 2Mbps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갖는 SPI 프로토콜, 2Mbps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갖는 SBI, 2Mbps 속도를 갖는 I2C 프로토콜, 12Mbps 데이터 처리 속도를 갖는 USB 슬레이브 프로토콜, 그리고 MMC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본 출원인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2)의 상기 단자 부(8)과 상기 휴대폰 본체(3)의 상기 단자 부(9) 사이에서는 그들의 이어 폰(Ear Phone) 형태의 결합 때문에 4개 이상의 단자들을 갖는 것이 구현상 어렵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5개의 단자들을 갖는 것을 요구하는 상기 SPI 및 상기 MMC는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한편, 본 출원인은 상기 Uart 프로토콜은 낮은 데이터 처리 속도 때문에 상기 SBI 프로토콜과 상기 I2C 프로토콜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고속으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할지라도 상기 휴대폰 본체(3)에서 상기 고속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내부 장치가 없는 관계로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기 USB 프로토콜을 상기 화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처리하기 위한 최적의 프로토콜로 결정하였다.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CDMA용 퀄컴 칩은 USB 슬레이브를 지원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퀄컴 칩에서 USB 슬레이브를 지원하는 것은 주로 본체와 PC를 케이블로 연결하여 본체에 저장되어 있는전화번호등의 데이터를 PC에 이동시키기 위해서이다.
한편, 상기 US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화상 데이터의 송신 및 수신을 위해서는 명령 신호를 제공하는 USB 마스터(Master) 모듈과 상기 USB 마스터 모듈의 명령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명령을 수행하는 USB 슬레이브(Slave) 모듈이 한 쌍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CDMA 퀄컴 칩을 사용하는 휴대폰들의 경우에는 통상 퍼스널 컴퓨터들과의 인터페이스만을 고려하여 설계되기 때문에, 상기 휴대폰들은 상기 USB 프로토콜을 위한 USB 슬레이브 만을 지원한다. 왜냐하면, 상기 퍼스널 컴퓨터들이 통상 마스터 모듈들을 지원하기 때문이다. 도 2a는 제1 실시 예 따른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 회로를 보여주는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2 a에서, 10은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영상 센서(Image Sensor)로서, 촬영한 사진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20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내장된 신호 처리 칩이다. 30은 48MHz 크리스탈 발진기(Crystal Oscillator)로서 상기 신호 처리 칩(20)으로 클럭 신호들을 제공한다. 40은 본 고안의 주 요지인 시리얼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용 USB 마스터 모듈(Master Module)로서 본 제1 실시 예에서는 상기 USB 마스터 모듈(40)이 상기 신호 처리 칩(20)의 외부에 위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신호 처리 칩(chip)(20)은 상기 CMOS 영상 센서(10)와 연결된 영상 포맷 변환기(20a), 상기 영상 포맷 변환기(20a)의 출력 측과 연결된 10 K바이트(Kbyte)용 8 라인 메모리 및 제어부(20b), 상기 8 라인 메모리 및 제어부(20b)의 출력 측과 연결된 DCT(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 양자화(Quantization) 및 지그재그 스캔(ZigZag Scan)부(20c), 상기 DCT(Discrete Cosine Transformation), 양자화(Quantization) 및 지그재그 스캔(ZigZagScan)부(20c)의 출력 측과 연결된 VLC(Variable Length Coder)(20d),상기 영상 포맷 변환기(20a)의 출력 측과 상기 VLC(Variable Length Coder)(20d)의 출력 측과 연결된 버퍼 메모리 제어(Buffer Memory Control)부(20e), 상기 버퍼 메모리 제어(Buffer Memory Control)부(20e)와 연결되는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20f), 상기 버퍼 메모리 제어(Buffer Memory Control)부(20e)의 출력 측과 연결되는 Ycbcr2RGB 디더링(Dithering) 및 JPEG 헤더(Header) 부(20g), 그리고 마이크로 제어 장치(MCU: Micro Control Unit)(20h)로 구성된다.
도 2와 도 2b에서, 디지털 카메라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마스터 모듈과 USB 슬레이브 모듈을 동시에 내장하고 전기적, 기구적 스위칭을 통하여 휴대폰과 USB 인터페이스 화상 통신을 수행할 때는 상기 USB 마스터 모듈로 동작되고, PC에 연결되어 PC 카메라로 동작 할 때에는 상기 USB 슬레이브 모듈로서 동작한다.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마스터 모듈은 USB 마스터 코어(Core), USB 마스터/슬레이브 전용 칩 그리고 USB 프로토콜 프로그램을 갖는 ASIC 칩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도 2a에서 중요한 것은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마스터 모듈(40)이 독립적으로 상기 신호 처리 모듈(20)의 외부에 위치된다는 것이다.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마스터 모듈(40)은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전송 단자(D+) 및 상기 수신 단자(D-)를 통해 상기 휴대폰의 내부 회로와 데이터를 교환하며, 상기 휴대폰 내부 회로 칩에 구비된 USB 슬레이브 와 USB 프로토콜을 수행하게 된다.
도 2b는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마스터 모듈(40)이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내부의 상기 신호 처리 칩(20)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실시 예이다. 기타 다른 구성 요소들 및 내용은 상기 제1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다른 설명들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마스터 모듈(40)은 USB 마스터 코어(Core), USB 마스터/슬레이브 전용 칩 그리고 USB 프로토콜 프로그램을 갖는 ASIC 칩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도 2a와 도 2b에서 VSync.는 수직 동기 신호, HSync.는 수평 동기 신호, PCLK와 MCLK는 클럭 신호를, 데이터[7:0]는 화상 데이터를 지시한다.
도 3은 상기 휴대폰 본체의 내부에 장착되는 CDMA 칩의 구성을 보여주는 다이어그램이다.
50은 휴대폰용 CDMA 칩이고, 60은 상기 휴대폰 본체 상에 설치된 액정 표시 소자(LCD)이다. 상기 휴대폰용 CDMA 칩(50)은 간략하게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슬레이브 모듈(50a),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슬레이브 모듈(50a)의 출력 측과 연결된 마이크로 제어 장치(50b), 상기 마이크로 제어 장치(50b)와 연결된 메모리(5c), 그리고 상기 마이크로 제어 장치(50b)의 출력 측과 연결되고 상기 액정 표시 소자(LCD)로 디스플레이 신호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신호 처리부(50d)를 구비한다.
실질적으로,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슬레이브 모듈(50a)은 마이크로 제어 장치(50b)내에 내장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슬레이브 모듈(50a)은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마스터 모듈(40)과 상기 전송 단자(D+) 및 상기 수신 단자(D-)를 통해 상호간 데이터를 교환한다.
참고로, 상기 USB란 유니버셜 시리얼 버스(Universal Serial Bus)의 약어로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 산업의 성장을 위해 상호 접속(Interconnection)의 필요성을 인식한 정보 통신 산업의 선두격인 인텔, 마이크로 소프트, 컴팩, IBM, NEC, DEC 및 Notel등이 개발한 것으로, 진정한 플러그 앤드 플레이(PNP)를 위한 퍼스널 컴퓨터(PC) 주변 장치의 버스(Bus) 규격이다.
이 USB는 새로운 주변 기기가 접속되었을 때 재부팅(Rebooting)이나 셋업 과정 없이 자동 인식으로 최대 127개의 장치를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데이터 전송 속도도 매우 빠르게 향상한 것이다.
그러므로, 도 2a 및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휴대폰의 상기 디지털 카메라에 상기 USB 마스터 모듈(40)을 탑재하면,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상기 휴대폰의 본체에 연결되었을 때, 상기 휴대폰의 디지털 카메라는 상기 휴대폰 본체에 무조건 USB 마스터 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이후, 상기 휴대폰 본체는 상기 내부 USB 슬레이브 모듈(50a)에 의해 상기 수신된 신호가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의 신호임을 인식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상기 USB 마스터 모듈(40)과 상기 휴대폰 본체의 CDMA 퀄컴 칩 내에 위치된 상기 USB 슬레이브 모듈(50a) 사이에는 상기 USB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이 수행된다.
그 결과, 상기 디지털 카메라의 상기 USB 마스터 모듈(40)과 상기 휴대폰 본체의CDMA 퀄컴 칩 내에 위치된 상기 USB 슬레이브 모듈(50a) 사이에서는 초당 15 내지 30 프레임들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상호간 주고받을 수 있다. 따라서, 끊김 없는 동영상이 상기 휴대폰의 상기 액정 표시 소자 상에서 충분히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디지털 카메라를 갖는 상기 휴대폰을 이용하여 필요한 사진을 정지 화상 또는 동화상으로 촬영하고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디지털 카메라 내에 USB 마스터 모듈을 설치하여 휴대폰 본체의 CDMA 퀄컴 칩 내에 위치된 USB 슬레이브 모듈과 USB 프로토콜을 이용한 통신이 수행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끊김 없는 동영상을 휴대폰의 디스플레이 창을 통해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또 다른 장치로 전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 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5)

  1. 화상을 촬영하는 영상 센서, 상기 촬영된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칩, 그리고 상기 처리된 화상 신호를 US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 단자들을 통해 전송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마스터 모듈을 갖는 디지털 카메라; 그리고
    상기 처리된 화상 신호를 상기 US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수신 단자들을 통해 수신하는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슬레이브 모듈을 갖는 칩과 상기 화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하는 액정 표시 소자를 갖는 본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휴대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가 외장형인 경우에는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마스터 모듈이 외장 카메라에 내장되고, 상기 카메라가 상기 휴대폰 본체에 내장되는 경우에는 상기 USB 마스터 모듈이 상기 본체 내부에 내장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휴대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마스터 모듈은 USB 마스터 코어(Core), USB 마스터/슬레이브 전용 칩 그리고 USB 프로토콜 프로그램을 갖는 ASIC 칩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휴대폰.
  4.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마스터 모듈과 USB 슬레이브 모듈을 동시에 내장하고 전기적, 기구적 스위칭을 통하여 휴대폰과 USB 인터페이스 화상 통신을 수행할 때는 상기 USB 마스터 모듈로 동작되고, PC에 연결되어 PC 카메라로 동작 할 때에는 상기 USB 슬레이브 모듈로서 동작할 수 있는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리얼 인터페이스용 USB 마스터 모듈은 USB 마스터 코어(Core), USB 마스터/슬레이브 전용 칩 그리고 USB 프로토콜 프로그램을 갖는 ASIC 칩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KR2020010040937U 2001-12-29 2001-12-29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및 이 디지털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KR200270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937U KR200270464Y1 (ko) 2001-12-29 2001-12-29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및 이 디지털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937U KR200270464Y1 (ko) 2001-12-29 2001-12-29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및 이 디지털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8448A Division KR20020023922A (ko) 2001-12-29 2001-12-29 Usb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및 이 디지털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464Y1 true KR200270464Y1 (ko) 2002-04-06

Family

ID=7311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937U KR200270464Y1 (ko) 2001-12-29 2001-12-29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및 이 디지털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46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641A (ko) * 2002-03-12 2003-09-19 블루코드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와 그를 내장하는 개인 휴대 정보단말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641A (ko) * 2002-03-12 2003-09-19 블루코드테크놀로지 주식회사 데이터 인터페이스 장치와 그를 내장하는 개인 휴대 정보단말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7654B2 (en) Camera for use with personal digital assistants with high speed communication link
JP3556489B2 (ja) 充電器
JP2002094848A (ja) 画像通信装置、画像入力装置および画像出力装置
JP3556486B2 (ja) 充電器及び携帯電話機
US71030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 function expansion method
KR20020023922A (ko) Usb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및 이 디지털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JP2000184105A (ja) 撮像装置
KR200270464Y1 (ko)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및 이 디지털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KR100487305B1 (ko)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
KR200282140Y1 (ko) 엠엠씨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카메라가 장착되는휴대폰
JP2002190877A (ja) 撮像装置、通信装置、画像データ送信方法、通信装置の発呼方法、プログラム、通信装置の発呼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KR100360309B1 (ko) 분리형 송수신 모듈을 갖는 휴대용 전화기
JP2003134334A (ja) 画像サイズ変換装置、画像入出力装置、画像サイズ変換方法、記憶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4198136B2 (ja) 携帯情報端末
JP2003250119A (ja)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通信方法
KR100387066B1 (ko)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화상전화기와 그를 위한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KR100661326B1 (ko) 영상 정보 송신 이동 통신 단말 장치
JP3734417B2 (ja) 携帯情報端末及びディジタルカメラ
JP2000197161A (ja) アダプタ装置および該アダプタ装置を備える電子カメラシステム
JP2000115732A (ja) 携帯型テレビ電話
KR20040107071A (ko) 블루투스가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
JP3642667B2 (ja) 携帯形情報通信用の端末における電源制御装置
KR100498335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외장형 카메라 장치
JPH11196215A (ja) 携帯端末のファクシミリ通信方法及び装置
KR200267869Y1 (ko) 휴대용 정보 단말기와 휴대용 디지털 장치를 상호접속하는 커넥터 전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