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305B1 -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 - Google Patents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305B1
KR100487305B1 KR10-2001-0068203A KR20010068203A KR100487305B1 KR 100487305 B1 KR100487305 B1 KR 100487305B1 KR 20010068203 A KR20010068203 A KR 20010068203A KR 100487305 B1 KR100487305 B1 KR 100487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cd
blocks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cont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102A (ko
Inventor
신진국
조경환
이종무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8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305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51Manufacturing of individual cells out of a plurality of cells, e.g. by dic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비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은 부피로 대화면을 표시하는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는 개수가 고정된 하나 이상의 LCD 블록, 상기 하나 이상인 각각의 LCD 블록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와 모바일 기기를 연결하는 커넥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Mobile Liquid Crystal Display}
본 발명은 멀티비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은 부피로 대화면을 표시하는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기술의 발달로 모바일 기기들의 대역폭이 크게 향상되어 한번에 많은 데이터를 무선으로 주고받을 수 있게 되었고,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까지 핸드폰으로 즐길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 컨텐츠의 다양화에도 불구하고 소형화에 중점을 두는 모바일 기기의 특성상 큰 화면을 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휴대성이 장점인 PCS와 같은 경우, 일반적으로 단순히 길쭉한 형태의 바(bar)형, 바(bar)형의 키 패드 부분에 뚜껑을 달아놓은 것 같은 플립형, 단말기 표시소자인 LCD(Liquid Crystal Display)부분과 키 패드 부분을 분리하여 접을 수 있도록 한 폴더형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기 표시소자인 LCD는 기존의 CRT 디스플레이에 비해서 두께가 얇아 공간을 적게 차지하며, 전력 소모가 적어 모바일 기기의 디스플레이 조건을 모두 갖추고 있어 PCS, PDA 등의 디스플레이 소자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 PCS나 PDA등에 사용되던 LCD는 모바일 기기와 함께 포함되어 사용되므로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없다.
또한, 상기 모바일 기기와 연결하여 별도로 사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경우 큰 크기의 디스플레이를 만들 수 있으나 휴대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LCD들을 블록화 시켜 디스플레이를 크게 하면서도 전체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높일 수 있는 휴대용 액정표시 소자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조 특징에 따르면, 개수가 고정된 하나 이상의 LCD 블록, 상기 하나 이상인 각각의 LCD 블록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와 모바일 기기를 연결하는 커넥터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하나 이상의 LCD 블록들간에는 화상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부가 포함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LCD 블록들은 소형이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로는 하나의 화상신호를 상기 고정된 개수인 하나 이상의 LCD 블록 각각에 맞는 신호를 나누어준다.
이상과 같은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개수가 가변적인 하나 이상의 LCD 블록, 상기 하나 이상의 LCD 블록이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이는 하나 이상의 단자, 상기 하나 이상의 LCD 블록이 외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단자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수가 가변적인 하나 이상의 LCD 블록들은 서로 대칭이다.
그리고, 상기 하나 이상의 LCD 블록에는 각각의 자신의 위치에 맞게 화상 신호를 추출하는 컨트롤러를 자체에 내장한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를 받아들이는 단자가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 하나의 단자로만 신호를 받아들이고 전달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수가 고정된 휴대용 액정 표시소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수가 고정된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는 소형인 하나 이상의 LCD 블록(31, 32, 33, 34)과, 상기 LCD 블록(31, 32, 33, 34)에 디스플레이 되도록 화상신호를 처리하는 컨트롤러(30)로 구성되는데, 상기 소형인 하나 이상의 LCD 블록(31, 32, 33, 34)과 컨트롤러(30)로 구성되는 휴대용 액정 표시소자는 임의의 모바일 기기(10)와 커넥터(20)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소형인 블록 수가 고정된 LCD(31, 32, 33, 34) 각각의 사이에는 화상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연결부(30a, 30b, 30c, 30d)가 있다.
또한, 상기 도 1에 도시된 각각의 LCD 블록(31, 32, 33, 34)을 지나는 실선은 상기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컨트롤러(30)로부터 화상신호를 전달하는 경로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러(30)는 하나의 화상신호를 각각의 LCD 블록(31, 32, 33, 34)으로 나누어주는 역할을 하므로, 각각의 LCD 블록(31, 32, 33, 34)들이 서로 다른 화상을 출력하는데, 상기 컨트롤러(30)가 단순히 신호를 복제하여 같은 신호를 고정된 개수의 LCD 블록으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화상신호를 각각의 LCD 블록(31, 32, 33, 34)들에 맞는 신호로 나눈다.
예를 들면, 상기 컨트롤러(30)가 800*600의 해상도를 가지는 화상 신호를 상기 모바일 기기(10)로부터 전송 받으면, 고정된 개수 4개의 200*150의 신호로 나누어 상기 각각의 LCD 블록(31, 32, 33, 34)으로 전달한다.
여기서, LCD 블록의 개수는 상황에 따라서 임의로 제작이 가능하다.이때, 상기 LCD 블로 개수는 상황에 따라서 네 개가 아닌 다른 개수로 제작이 가능할 것이다. 다만, LCD 블록의 개수가 늘어날 때 컨트롤러의 크기, 전력 소모의 증가 등을 고려해야 하고, 하나의 LCD 패널을 사용한 경우보다 휴대성이 떨어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상기 도 1처럼 고정되어 있는 모델과는 달리 어느 한도내에서 사용자의 임의대로 LCD 블록의 개수를 바꾸어 디스플레이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개수 조절 가능한 블록 수가 가변적인 하나의 소형 LCD 블록을 나타내고 있고, 도 3은 개수 조절 가능한 블록 수가 가변적인 하나 이상의 LCD 블록을 나타낸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와 도3을 함께 참고하여 설명하면, 개수 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는 사용자의 임의대로 LCD의 개수를 바꾸어 디스플레이 크기를 조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각각의 LCD 블록은 대칭적인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LCD 블록수가 고정된 경우, 전체적으로 신호를 나누어주는 하나의 컨트롤러(30)만 존재하는 것과는 달리 각각의 LCD 패널이 자신의 위치에 맞게 화상 신호를 추출하는 컨트롤러를 자체에 내장한다. 이때, 각각의 LCD 블록에 컨트롤러를 내장함으로서, LCD 블록의 크기는 증가할 수 있으나, LCD 블록의 개수가 가변적이기 때문에 발생될 수 있는 계산량의 증가 및 복잡한 회로의 구성 등의 문제들을 보다 쉽게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수 조절 가능한 하나의 소형 LCD 블록에는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이는 두 군대의 단자(40, 41)와, 외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두 군대의 단자(42, 43)가 존재한다.
그리고, 상기 도 3은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와 같은 구조의 소형 LCD 블록을 임의의 개수만큼 조립을 하여 이 임의의 개수만큼의 LCD 블록들이 모두 같은 영상 신호를 받아들인다.
예를 들면, 도 3의 2행 2열에 있는 LCD 블록과 같이 신호를 받아들이는 두 단자가 모두 다른 블록과 연결되어 있는 경우, 하나의 단자로부터만 신호를 받아서 신호간 충돌을 막아야 한다.
다시 설명하면, 1행 1열의 LCD 블록은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이는 단자(50, 51) 중 하나의 단자(50)로만 신호를 받아드리고, 1행 2열의 LCD 블록 또한 상기 1행 1열의 외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52, 53)중 하나의 단자(52)로 상기 1행 2열의 신호를 받아들이는 단자(54, 55)중 하나의 단자(54)로 영상신호를 전송 받는다.
이때, 도 2에서 나타내고 있는 상기 블록 수가 가변적인 LCD 블록은 도 1과 같이 하나의 컨트롤러(30)를 통해 각각의 LCD 블록에 전달되는 영상이 다른 것과는 달리, 모든 LCD 블록이 동일한 영상신호를 갖게 된다. 따라서, 각 LCD 블록은 자신이 출력해야 하는 신호를 골라내기 위해서는 동일한 영상 중 자신이 출력해야 하는 신호를 자기 자신의 좌표와 전체 화면의 크기를 계산한다.
즉, 가로와 세로 축의 블록 개수를 연결단자에 각 블록의 좌표값을 주고받을 수 있는 핀(pin)을 추가하고 좌표값을 처리하도록 알고리즘화하여 영상을 출력한다. 또한, LCD 모듈과 모바일 기기의 연결에 문제가 될 수 있는 것은 PDA 등의 기기에서 디스플레이를 위한 연결단자를 따로 제공하고 있지 않는다는데 있다. 그러나 최신의 PDA 제품들은 보통 확장 슬롯이나 USB 포트 등을 제공하여 모뎀,LAN 카드 및 메모리 등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면 된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액정 표시소자를 확장 슬롯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a는 Palm(PDA)의 확장 슬롯의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b는 도 4a의 확장 슬롯을 이용한 주변기기들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확장 슬롯이나 포트(port)를 사용하여 액정 표시 소자로 화상신호를 전달할 수 있는 장치를 폭넓게 제공한다.
그리고 변환 커넥터를 제공하여 소형 LCD를 일반 PC 등과 연동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LCD 블록을 통해 대화면의 동영상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까지 이동 중에도 생생하게 제공받을 수 있고, 특히 부피가 적고 소형이기 때문에 휴대가 간편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실시예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블록 수가 고정된 휴대용 액정 표시소자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수가 가변적인 하나의 소형 LCD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블록 수가 가변적인 하나 이상의 LCD 블록을 나타낸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액정 표시소자를 확장 슬롯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와 연결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모바일 기기 20 : 커넥터
30 : 컨트롤러 31, 32, 33, 34 : LCD 블록
30a, 30b, 30c, 30d : 연결부

Claims (8)

  1. 개수가 고정된 하나 이상의 LCD 블록;
    상기 하나 이상인 각각의 LCD 블록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LCD 블록 내에 구비되어 상기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컨트롤러;
    상기 컨트롤러와 모바일 기기를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정 표시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LCD 블록들간에는 화상 신호를 전달하는 연결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하나의 화상신호를 상기 고정된 개수인 하나 이상의 LCD 블록 각각에 해당하는 신호로 나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
  5. 개수가 가변적인 하나 이상의 LCD 블록;
    상기 하나 이상인 각각의 LCD 블록에 화상이 디스플레이 되도록 상기 LCD 블록 내에 구비되어 상기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컨트롤러;
    상기 하나 이상의 LCD 블록이 외부로부터 신호를 받아들이는 하나 이상의 단자;
    상기 하나 이상의 LCD 블록이 외부로 신호를 전달하는 하나 이상의 단자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수가 가변적인 하나 이상의 LCD 블록들은 서로 대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
  7. 삭제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신호를 받아들이는 단자가 하나 이상의 신호를 전달하는 단자와 연결되어 있을 경우, 하나의 단자로만 신호를 받아들이고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
KR10-2001-0068203A 2001-11-02 2001-11-02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 KR100487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203A KR100487305B1 (ko) 2001-11-02 2001-11-02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203A KR100487305B1 (ko) 2001-11-02 2001-11-02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102A KR20030037102A (ko) 2003-05-12
KR100487305B1 true KR100487305B1 (ko) 2005-05-04

Family

ID=2956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203A KR100487305B1 (ko) 2001-11-02 2001-11-02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3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425B1 (ko) * 2002-12-24 2007-05-22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087416B1 (ko) * 2003-12-24 2011-11-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착탈식 액정표시장치 및 화상표시방법
KR100652660B1 (ko) * 2004-08-24 2006-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용 단말기의 영상 표시 방법
KR100709141B1 (ko) * 2005-03-11 2007-04-20 주식회사 에스앤디미디어 입체 엘씨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113194B1 (ko) * 2009-06-29 2012-02-15 양인석 내장형 문 고정 스토퍼
KR101436040B1 (ko) * 2013-10-08 2014-08-29 주식회사 베프스 확장형 디스플레이 장치
KR200497723Y1 (ko) * 2019-04-03 2024-02-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탈부착식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156A (ja) * 1994-05-31 1995-12-1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携帯型電子機器
JPH09311737A (ja) * 1996-05-24 1997-12-02 Sony Corp 表示装置
JPH1063195A (ja) * 1996-08-13 1998-03-06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00024658A (ko) * 2000-02-26 2000-05-06 전정희 분리형 모니터 또는 다기능 분리 및 확장가능 다중모니터를 장착한 휴대용컴퓨터
KR20030026621A (ko) * 2001-09-26 2003-04-03 김시환 휴대용 멀티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3156A (ja) * 1994-05-31 1995-12-1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携帯型電子機器
JPH09311737A (ja) * 1996-05-24 1997-12-02 Sony Corp 表示装置
JPH1063195A (ja) * 1996-08-13 1998-03-06 Sony Corp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00024658A (ko) * 2000-02-26 2000-05-06 전정희 분리형 모니터 또는 다기능 분리 및 확장가능 다중모니터를 장착한 휴대용컴퓨터
KR20030026621A (ko) * 2001-09-26 2003-04-03 김시환 휴대용 멀티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102A (ko) 2003-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2571B2 (en) Interchangeable display modules for portable handheld devices
KR100951158B1 (ko) 고속 데이터 인터페이스
US7315265B2 (en) Double data rate serial encoder
WO2019105449A1 (zh) 天线装置及移动终端
CN111489681B (zh) 显示面板及电子设备
US7818484B2 (en) Multimedia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8180398B2 (en) Multimedia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KR100487305B1 (ko) 휴대용 액정 표시 소자
WO2008070288A1 (en) Input devices incorporating pixels and photo sensors
KR20000025422A (ko) 통신단말기의화상통신장치및방법
KR20090102055A (ko) 듀얼 표시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듀얼 표시장치 및 이를갖는 듀얼표시 핸드폰
US20060077170A1 (en) Driving circuit and multi-display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030016292A1 (en) Image data control system and method
CN114640879B (zh) 无线扩展坞、无线扩展坞系统及系统的投屏方法
KR100735705B1 (ko) 화상 통신 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화상통신 방법
US20050007373A1 (en) Graphics controller providing flexible access to a graphics display device by a host
CN207283693U (zh) 一种智能投影机系统及装置
KR20020023922A (ko) Usb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및 이 디지털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JP2005260462A (ja) 遅延検出装置および遅延調整装置
KR100387066B1 (ko)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화상전화기와 그를 위한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
KR200270464Y1 (ko) Usb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및 이 디지털카메라를 갖는 휴대폰
KR102384298B1 (ko)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마더보드 및 운영 시스템
US20220086389A1 (en) Split-type display system
KR200291131Y1 (ko) 이동 단말기
KR200282140Y1 (ko) 엠엠씨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디지털카메라가 장착되는휴대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