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02055A - 듀얼 표시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듀얼 표시장치 및 이를갖는 듀얼표시 핸드폰 - Google Patents

듀얼 표시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듀얼 표시장치 및 이를갖는 듀얼표시 핸드폰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02055A
KR20090102055A KR1020080027282A KR20080027282A KR20090102055A KR 20090102055 A KR20090102055 A KR 20090102055A KR 1020080027282 A KR1020080027282 A KR 1020080027282A KR 20080027282 A KR20080027282 A KR 20080027282A KR 20090102055 A KR20090102055 A KR 200901020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ub
signal
imag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2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7656B1 (ko
Inventor
마츠모토 카즈히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272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7656B1/ko
Priority to US12/330,987 priority patent/US20090243958A1/en
Priority to JP2008333977A priority patent/JP5559475B2/ja
Publication of KR20090102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0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7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7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듀얼 표시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듀얼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듀얼표시 핸드폰이 개시된다. 듀얼표시 핸드폰은 내부에 중앙 처리유닛을 구비하는 메인몸체 및 메인 표시유닛과 서브 표시유닛을 구비하는 듀얼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메인 표시유닛은 메인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초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메인신호를 주고받고, 메인신호에 응답하여 메인영상을 표시한다. 서브 표시유닛은 메인 표시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브신호를 주고받고, 상기 서브신호에 응답하여 서브영상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메인 몸체와 초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통신을 하는 메인 표시유닛이 메인몸체와 서브 표시유닛 사이를 연결시키는 허브 기능을 더 수행함에 따라, 듀얼표시 핸드폰은 고속 통신을 수행하면서 낮은 제조단가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표시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듀얼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듀얼표시 핸드폰{DUAL DISPLAYING METHOD, DUAL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DUAL DISPLAYING METHOD AND DUAL DISPLAY HANDPHONE HAVING THE DUAL 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핸드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메인영상 및 서브영상을 구현할 수 있는 듀얼 표시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듀얼 표시장치 및 이를 갖는 듀얼표시 핸드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듀얼표시 핸드폰은 열었을 때 메인영상를 표시하고, 닫혔을 때 서브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폴더 타입(folder type)의 핸드폰을 의미한다.
상기 듀얼표시 핸드폰은 내부에 중앙처리 유닛을 구비하는 메인몸체 및 상기 메인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듀얼 표시장치를 포함하고, 이러한 듀얼 표시장치는 상기 메인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유닛 및 상기 서브 영상을 표시하는 서브 표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몸체는 상기 듀얼 표시장치와 신호를 주고받음으로써, 상기 듀얼 표시장치를 제어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메인몸체는 상기 메인 표시유닛 및 상기 서브 표시유닛과 각각 신호를 주고받음으로써, 상기 메인 표시유닛 및 상기 서브 표시유닛을 각각 제어한다.
한편, 근거리를 초고속으로 통신할 수 있는 초고속 직렬 인터페이스(High-Speed Serial interface: HSSI) 방식이 상기 듀얼표시 핸드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듀얼표시 핸드폰이 상기 초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초고속 통신을 할 수 있는 배선들 및 구동회로들을 구비하여야 하는데, 상기 배선들 및 상기 구동회로들을 구비할 경우 제조단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초고속 통신을 수행하면서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는 듀얼 표시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듀얼 표시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적합한 듀얼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듀얼 표시장치를 구비하는 듀얼표시 핸드폰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듀얼 표시방법으로, 우선 초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High-Speed Serial Interface: HSSI) 방식으로 메인신호를 메인 표시유닛으로 전송한다. 이어서, 상기 메인신호에 응답하여, 서브신호를 상기 메인 표시유닛에서 서브 표시유닛으로 전송한다.
상기 서브신호는 시리얼 주변 인터페이스(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방식으로 상기 메인 표시유닛에서 상기 서브 표시유닛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표시유닛이 메인영상을 표시할 때, 상기 서브 표시유닛은 서브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서브 표시유닛이 상기 서브영상을 표시할 때, 상기 메인 표시유닛은 상기 메인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듀얼 표시장치는 메인 표시유닛 및 서브 표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표시유닛은 외부의 메인 시스템과 초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메인신호를 주고받고, 상기 메인신호에 응답하여 메인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메인 표시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브신호를 주고받고, 상기 서브신호에 응답하여 서브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서브 표시유닛은 상기 메인 표시유닛과 시리얼 주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서브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상기 메인 표시유닛은 상기 메인신호에 응답하여 메인영상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서브 표시유닛과 상기 서브신호를 주고받는 메인 콘트롤러과, 상기 메인영상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영상을 표시하는 메인영상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메인 인터페이스부, 메인영상 메모리, 메인영상 구동부 및 연결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메인 시스템과 상기 메인신호를 주고받고, 상기 메인신호에 응답하여 메인영상 제어신호, 메인영상 데이터 및 서브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는 상기 메인신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메인영상 데이터를 인가받아 저장한다. 상기 메인영상 구동부는 상기 메인영상 제어신호 및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메인영상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영상 출력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서브영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 표시유닛과 상기 서브신호를 주고받는다.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서브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서브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로의 상기 서브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서브신호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는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서브영상 신호를 인가받아 저장하고,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저장된 상기 서브영상 신호를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는 상기 메인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인영상 저장영역 및 상기 서브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서브영상 저장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와 별도로,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서브영상 신호를 인가받아 저장하고,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저장된 상기 서브영상 신호를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서브신호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신호 메모리는 먼저 저장된 데이터가 먼저 리드아웃(read-out)되는 FIFO(First In First Out) 메모리일 수 있다.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는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부터 타임아웃(Time-out) 시간 동안 상기 메인신호를 수신 받지 못했을 때,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로의 상기 서브영상 신호의 출력이 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는 상기 타임아웃(Time-out) 시간의 정보를 저장하는 타임아웃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타임아웃(Time-out) 시간의 정보는 상기 서브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변경되어 상기 타임아웃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서브영상 신호는 상기 서브 표시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코드, 및 상기 서브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영상 신호는 상기 서브 데이터의 끝을 알리는 종결 코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상기 서브 데이터를 카운팅하여 상기 서브 데이터의 개수를 상기 메인 콘트롤러 내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듀얼표시 핸드폰은 메인몸체 및 듀얼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몸체는 내부에 중앙 처리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듀얼 표시장치는 메인 표시유닛 및 서브 표시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 표시유닛은 상기 메인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초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메인신호를 주고받고, 상기 메인신호에 응답하여 메인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서브 표시유닛은 상기 메인 표시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브신호를 주고받고, 상기 서브신호에 응답하여 서브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서브 표시유닛은 상기 메인 표시유닛과 시리얼 주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서브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표시유닛이 메인 몸체와 초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통신을 하면서, 상기 메인몸체와 서브 표시유닛 사이를 연결시키는 허브 기능을 더 수행함에 따라, 듀얼표시 핸드폰은 듀얼 표시장치 및 상기 메인몸체 사이에서 고속 통신을 수행하면서 낮은 제조단가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표시 핸드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듀얼표시 핸드폰 중 듀얼 표시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메인 콘트롤러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의 서브 콘트롤러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3에서 서브신호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메인 콘트롤러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서브영상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3 또는 도 5의 서브신호 제어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P : 메인몸체 CPU : 중앙 처리유닛
DP : 듀얼 표시장치 MDP : 메인 표시유닛
SDP : 서브 표시유닛 100 : 메인 콘트롤러
200 : 메인영상 표시부 300 : 서브 콘트롤러
400 : 서브영상 표시부 110 : 메인 인터페이스부
120 : 메인영상 구동부 130 : 메인영상 메모리
140 : 서브신호 제어부 150 : 연결 인터페이스부
160 : 서브신호 메모리 132 : 메인영상 저장영역
134 : 서브영상 저장영역 144 : 서브신호 제어회로
146 : 타임아웃 메모리 10 : 메인신호
20 : 서브신호 30 : 메인영상 출력신호
40 ; 서브영상 출력신호 116 : 서브영상 신호
118 : 서브 제어신호 142 : 서브 출력신호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듀얼표시 핸드폰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듀얼표시 핸드폰은 메인몸체(MP) 및 상기 메인몸체(MP)와 신호를 주고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듀얼 표시장치(DP)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듀얼 표시장치(DP)는 상기 메인몸체(MP)와 초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High-Speed Serial Interface: HSSI) 방식으로 메인신호(10)를 서로 주고받고, 상기 메인신호(10)에 응답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듀얼 표시장치(DP)는 상기 메인몸체(MP)와 폴더 타입(folder type)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듀얼표시 핸드폰은 폴더 타입의 핸드폰일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MP)는 외부의 통신 기지국과 무선으로 신호를 주고받는다. 즉, 상기 메인몸체(MP)는 상기 통신 기지국으로부터 외부전파를 수신하고, 내부전파를 상기 통신 기지국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메인몸체(MP)는 상기 외부전파에 포함된 외부정보를 처리하고, 상기 내부 전파에 포함될 내부정보를 처리하는 중앙 처리유닛(CPU)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몸체(MP)는 상기 외부정보 및 상기 내부정보에 응답하여, 상기 듀얼 표시장치(DP)와 상기 초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메인신호(10)를 주고받는다.
상기 듀얼 표시장치(DP)는 메인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유닛(MDP) 및 서브영상을 표시하는 서브 표시유닛(SDP)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표시유닛(MDP) 및 상기 서브 표시유닛(SDP)은 액정 표시장치일 수 있다.
상기 메인영상은 외부의 다른 핸드폰과 통신을 수행할 때 필요한 메인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서브영상은 시간, 날짜 등과 같은 서브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상기 서브 표시유닛(SDP)은 상기 메인 표시유닛(MDP)에 비해 낮은 해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표시유닛(MDP)은 상기 메인몸체(MP)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초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메인신호(10)를 주고받고, 상기 메인신호(10)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영상을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초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은 근거리를 초고속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방법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초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은 약 52Mbps의 최대 전송속도를 갖고, 약 50개의 커넥터 포인트들을 통해 신호를 주고 받으며, 차등 이미터 회로(differential emitter-coupled logic)를 이용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서브 표시유닛(SDP)은 상기 메인 표시유닛(MDP)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브신호(20)를 주고받고, 상기 서브신호(20)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영상을 표시한다. 즉, 상기 메인신호(10)는 상기 메인영상 및 상기 서브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서브 표시유닛(SDP)은 상기 메인 표시유닛(MDP)과 시리얼 주변 인터페이스(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방식으로 상기 서브신호(20)를 주고받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시리얼 주변 인터페이스 방식은 3개의 배선들을 이용하여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통신방식을 의미한다. 즉, 첫 번째 배선은 상기 메인 표시유닛(MDP)에서 상기 서브 표시유닛(SDP)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배선이고, 두 번째 배선은 상기 서브 표시유닛(SDP)에서 상기 메인 표시유닛(MDP)으로 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배선이며, 세 번째 배선은 상기 메인 표시유닛(MDP)에서 상기 서브 표시유닛(SDP)으로 클럭신호를 전송할 때 사용되는 배선이다.
한편, 상기 메인 표시유닛(MDP)이 상기 메인영상을 표시할 때, 상기 서브 표시유닛(SDP)은 상기 서브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서브 표시유닛(SDP)이 상기 서브영상을 표시할 때, 상기 메인 표시유닛(MDP)은 상기 메인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상기 듀얼표시 핸드폰이 열렸을 때 상기 메인영상을 표시하고, 닫혔을 때 상기 서브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다르게, 상기 메인영상 및 상기 서브영상이 동시에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듀얼표시 핸드폰 중 듀얼 표시장치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표시유닛(MDP)은 메인 콘트롤러(100) 및 메인영상 표시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서브 표시유닛(SDP)은 서브 콘트롤러(300) 및 서브영상 표시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는 도 1의 상기 메인몸체(MP)와 상기 초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메인신호(10)를 주고받는다.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는 상기 메인신호(10)에 응답하여 메인영상 출력신호(30)를 출력한다. 상기 메인영상 표시부(200)는 상기 메인영상 출력신호(30)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영상을 표시한다.
상기 서브 콘트롤러(300)는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와 상기 시리얼 주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서브신호(20)를 주고받는다. 상기 서브 콘트롤러(300)는 상기 서브신호(20)에 응답하여 서브영상 출력신호(40)를 출력한다. 상기 서브영상 표시부(400)는 상기 서브영상 출력신호(40)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영상을 표시한다.
도 3은 도 2의 메인 콘트롤러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는 메인 인터페이스부(110), 메인영상 구동부(120), 메인영상 메모리(130), 서브신호 제어부(140) 및 연결 인터페이스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는 도 1의 상기 메인몸체(MP)와 상기 초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메인신호(10)를 주고받는다.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메인신호(10)에 응답하여, 메인영상 제어신호(112), 메인영상 데이터(114), 서브영상 신호(116) 및 서브 제어신호(118)를 각각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듀얼표시 핸드폰이 열렸을 때 상기 메인영상 제어신호(112) 및 상기 메인영상 데이터(114)를 출력하고, 상기 듀얼표시 핸드폰이 닫혔을 때, 서브영상 신호(116) 및 서브 제어신호(118)를 출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는 상기 메인영상 제어신호(112), 상기 메인영상 데이터(114),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 및 상기 서브 제어신호(118)를 모두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메인영상 구동부(120)는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상기 메인영상 제어신호(112)를 인가받는다.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130)는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상기 메인영상 데이터(114)를 인가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130)는 상기 메인영상 데이터(114)를 프레임(frame) 단위로 저장할 수 있는 프레임 버퍼(frame buffer)일 수 있다.
상기 메인영상 구동부(120)는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130)에 저장된 상기 메인영상 데이터(114)를 읽어 드릴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메인영상 구동부(120)는 상기 메인영상 제어신호(112) 및 상기 메인영상 데이터(114)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영상 출력신호(3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영상 구동부(120)는 메인영상 콘트롤러, 메인영상 구동드라이버, 직류-직류 컨버터 및 오실레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130)는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를 인가받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130)는 상기 메인영상 데이터(114)를 저장하는 메인영상 저장영역(132) 및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를 저장하는 서브영상 저장영역(13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서브영상 저장영역(134)은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130)의 전체 저장용량 중에서 상기 서브영상 신호의 저장을 위해 할당된 영역을 의미한다.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140)는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상기 서브 제어신호(118)를 인가받는다.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140)는 상기 서브 제어신호(118)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150)로의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의 출력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140)는 상기 서브 제어신호(118)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서브 출력신호(142)를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130)로 출력한다.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130)는 상기 서브 출력신호(142)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영상 저장영역(134)에 저장된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를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 중 상기 서브영상 저장영역(134)에 먼저 저장된 데이터가 나중에 저장된 데이터보다 먼저 출력된다.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150)는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130)로부터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를 인가받고,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신호(20)를 도 2의 상기 서브 콘트롤러(300)로 전송한다.
도 4는 도 2의 서브 콘트롤러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서브 콘트롤러(300)는 서브 인터페이스부(310), 서브영상 구동부(320) 및 서브영상 메모리(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부(310)는 도 3의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150)와 상기 시리얼 주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서브신호(20)를 주고받는다.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부(310)는 상기 서브신호(20)에 응답하여, 서브영상 제어신호(312) 및 서브영상 데이터(314)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서브영상 구동부(320)는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부(310)로부터 상기 서브영상 제어신호(312)를 인가받는다. 상기 서브영상 메모리(330)는 상기 서브 인터페이스부(310)로부터 상기 서브영상 데이터(314)를 인가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영상 메모리(330)는 상기 서브영상 데이터(314)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할 수 있는 프레임 버퍼일 수 있다.
상기 서브영상 구동부(320)는 상기 서브영상 메모리(330)에 저장된 상기 서브영상 데이터(314)를 읽어 드릴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서브영상 구동부(320)는 상기 서브영상 제어신호(312) 및 상기 서브영상 데이터(314)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영상 출력신호(4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영상 구동부(320)는 서브영상 콘트롤러, 서브영상 구동드라이버, 직류-직류 컨버터 및 오실레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서 서브신호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메인 콘트롤러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는 도 3의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130)와 별도로 서브신호 메모리(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신호 메모리(160)는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를 인가받아 저장한다. 여기서, 상기 서브신호 메모리(160)는 먼저 저장된 데이터가 먼저 리드아웃(read-out)되는 FIFO(First In First Out) 메모리일 수 있다.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140)는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상기 서브 제어신호(118)를 인가받는다.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140)는 상기 서브 제어신호(118)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의 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서브 출력신호(142)를 상기 서브신호 메모리(160)로 출력한다.
상기 서브신호 메모리(160)는 상기 서브 출력신호(142)에 응답하여, 내부에 저장된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를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가 도 3의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130)와 별도로 상기 서브신호 메모리(160)를 더 포함할 경우, 비교적 고해상도의 영상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는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가 상기 서브신호 메모리(160)를 더 포함할 경우, 도 2의 상기 서브 표시유닛(SDP)은 비교적 높은 해상도를 갖는 상기 서브영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가 상기 서브신호 메모리(160)를 더 포함할 경우, 도 2의 상기 메인 표시유닛(MDP) 및 상기 서브 표시유닛(SDP)은 동시에 상기 메인영상 및 상기 서브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도 3의 서브영상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3의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는 도 2의 상기 서브 표시유닛(SDP)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코드(Command Code), 및 상기 서브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는 상기 서브 데이터의 끝을 알리는 종결 코드(Terminator Cod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종결 코드는 하나의 영상그룹에 대한 데이터가 끝났다는 것을 알려주는 코드이다.
예를 들어, 상기 메인 표시유닛(MDP)은 상기 종결 코드를 통해 하나의 영상그룹 단위로 데이터를 상기 서브 표시유닛(SDP)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도 3의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는 상기 서브 데이터를 카운팅(counting)하여 상기 서브 데이터의 크기를 상기 메인 콘트롤러(100) 내의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 또는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140)는 상기 서브 데이터의 열의 수를 카운팅하여, 상기 서브 데이터의 열의 수를 도 3의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130)의 상기 서브영상 저장영역(134) 내에 저장하거나, 도 5의 상기 서브신호 메모리(160) 내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서브 데이터의 열의 수는 하나의 영상그룹의 크기를 결정하는 변수로서, 상기 메인 표시유닛(MDP)은 상기 서브 데이터의 열의 수를 통해 상기 영상그룹 단위로 데이터를 상기 서브 표시유닛(SDP)으로 전송할 수 있다.
도 8은 도 3 또는 도 5의 서브신호 제어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 도 5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140)는 타임아웃(time-out) 기능을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140)는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가 도 1의 상기 메인몸체(MP)로부터 타임아웃 시간 동안 상기 메인신호(10)를 수신 받지 못했을 때,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150)로의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의 출력이 개시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가 상기 메인몸체(MP)로부터 상기 타임아웃 시간 동안 상기 메인신호(10)를 수신 받지 못했을 때,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140)는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130)의 상기 서브영상 저장영역(134) 또는 상기 서브신호 메모리(160) 내에 저장되어 있던 상기 서브영상 신호(116)를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150)로 출력시킬 수 있다. 그로 인해, 도 2의 상기 듀얼 표시장치(DP)는 자동적으로 상기 서브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140)는 서브신호 제어회로(144) 및 타임아웃 메모리(14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신호 제어회로(144)는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110)에서 인가된 상기 서브 제어신호(118)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 출력신호(142)를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130) 또는 상기 서브신호 메모리(160)로 출력한다.
상기 타임아웃 메모리(146)는 상기 타임아웃 시간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상기 타임아웃 메모리(146)는 상기 서브신호 제어회로(144)로 상기 타임아웃 시간의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서브신호 제어회로(144)는 상기 타임아웃 시간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타임아웃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타임아웃 메모리(146) 내에 저장된 상기 타임아웃(Time-out) 시간의 정보는 상기 서브 제어신호(118) 내의 타임아웃 변경신호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타임아웃 메모리(146)는 소거가능 읽기 전용 메모리(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메인 몸체는 듀얼 표시장치의 메인 표시유닛과 초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고속으로 메인신호를 주고받고, 상기 메인 표시유닛은 상기 듀얼 표시장치의 서브 표시유닛과 시리얼 주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저속으로 서브신호를 주고받는다. 즉, 상기 메인 표시유닛은 상기 메인몸체와 상기 서브 표시유닛 사이를 연결시키는 허브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듀얼표시 핸드폰은 상기 메인몸체 및 상기 메인 표시유닛 사이에서 고속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동시에, 상기 메인몸체 및 상기 서브 표시유닛 사이의 통신라인의 제거를 통해 상기 듀얼표시 핸드폰의 제조단가를 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0)

  1. 초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High-Speed Serial Interface: HSSI) 방식으로 메인신호를 메인 표시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메인신호에 응답하여, 서브신호를 상기 메인 표시유닛에서 서브 표시유닛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듀얼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신호는
    시리얼 주변 인터페이스(Serial Peripheral Interface: SPI) 방식으로 상기 메인 표시유닛에서 상기 서브 표시유닛으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유닛이 메인영상을 표시할 때, 상기 서브 표시유닛은 서브영상을 표시하지 않고,
    상기 서브 표시유닛이 상기 서브영상을 표시할 때, 상기 메인 표시유닛은 상기 메인영상을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방법.
  4. 외부의 메인 시스템과 초고속 시리얼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메인신호를 주고받고, 상기 메인신호에 응답하여 메인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유닛; 및
    상기 메인 표시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브신호를 주고받고, 상기 서브신호에 응답하여 서브영상을 표시하는 서브 표시유닛을 포함하는 듀얼 표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표시유닛은 상기 메인 표시유닛과 시리얼 주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서브신호를 주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표시유닛은
    상기 메인신호에 응답하여 메인영상 출력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서브 표시유닛과 상기 서브신호를 주고받는 메인 콘트롤러: 및
    상기 메인영상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영상을 표시하는 메인영상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상기 메인 시스템과 상기 메인신호를 주고받고, 상기 메인신호에 응답하여 메인영상 제어신호, 메인영상 데이터 및 서브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 인터페이스부;
    상기 메인신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메인영상 데이터를 인가받아 저장하는 메인영상 메모리;
    상기 메인영상 제어신호 및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메인영상 데이터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영상 출력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영상 구동부; 및
    상기 서브영상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서브 표시유닛과 상기 서브신호를 주고받는 연결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서브 제어신호를 인가받고, 상기 서브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로의 상기 서브영상 신호의 출력을 제어하는 서브신호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는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서브영상 신호를 인가받아 저장하고,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저장된 상기 서브영상 신호를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영상 메모리는
    상기 메인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인영상 저장영역; 및
    상기 서브영상 신호를 저장하는 서브영상 저장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상기 서브영상 신호를 인가받아 저장하고,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저장된 상기 서브영상 신호를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는 서브신호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신호 메모리는
    먼저 저장된 데이터가 먼저 리드아웃(read-out)되는 FIFO(First In First Out) 메모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는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메인 시스템으로부터 타임아웃(Time-out) 시간 동안 상기 메인신호를 수신 받지 못했을 때,
    상기 메인 인터페이스부에서 상기 연결 인터페이스부로의 상기 서브영상 신호의 출력이 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신호 제어부는
    상기 타임아웃(Time-out) 시간의 정보를 저장하는 타임아웃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타임아웃(Time-out) 시간의 정보는
    상기 서브 제어신호에 응답하여 변경되어 상기 타임아웃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장치.
  16.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영상 신호는
    상기 서브 표시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어 코드; 및
    상기 서브영상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서브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영상 신호는
    상기 서브 데이터의 끝을 알리는 종결 코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콘트롤러는
    상기 서브 데이터를 카운팅하여 상기 서브 데이터의 크기를 상기 메인 콘트롤러 내의 메모리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표시장치.
  19. 내부에 중앙 처리유닛을 구비하는 메인몸체; 및
    상기 메인몸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초고속 직렬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메인신호를 주고받고, 상기 메인신호에 응답하여 메인영상을 표시하는 메인 표시유닛, 및 상기 메인 표시유닛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서브신호를 주고받고, 상기 서브신호에 응답하여 서브영상을 표시하는 서브 표시유닛을 구비하는 듀얼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듀얼표시 핸드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표시유닛은 상기 메인 표시유닛과 시리얼 주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상기 서브신호를 주고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표시 핸드폰.
KR20080027282A 2008-03-25 2008-03-25 듀얼 표시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듀얼 표시장치 및 이를갖는 듀얼표시 핸드폰 KR101497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7282A KR101497656B1 (ko) 2008-03-25 2008-03-25 듀얼 표시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듀얼 표시장치 및 이를갖는 듀얼표시 핸드폰
US12/330,987 US20090243958A1 (en) 2008-03-25 2008-12-09 Method of displaying dual images, dual display device for performing the method and dual display mobile phone having the dual display device
JP2008333977A JP5559475B2 (ja) 2008-03-25 2008-12-26 デュアル表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27282A KR101497656B1 (ko) 2008-03-25 2008-03-25 듀얼 표시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듀얼 표시장치 및 이를갖는 듀얼표시 핸드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055A true KR20090102055A (ko) 2009-09-30
KR101497656B1 KR101497656B1 (ko) 2015-02-27

Family

ID=41116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27282A KR101497656B1 (ko) 2008-03-25 2008-03-25 듀얼 표시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듀얼 표시장치 및 이를갖는 듀얼표시 핸드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243958A1 (ko)
JP (1) JP5559475B2 (ko)
KR (1) KR1014976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3286B (zh) * 2010-09-06 2016-05-11 元太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平面顯示裝置
US9966043B2 (en) * 2012-10-26 2018-05-08 Nec Display Solutions, Ltd. Identifier control device, identifier control system, multi-screen display system, identifier controlmethod, and program
CN104995888B (zh) * 2013-02-12 2018-11-16 Nec显示器解决方案株式会社 电子设备和用于控制电子设备的方法
JP2015225232A (ja) * 2014-05-28 2015-12-14 株式会社デンソー 映像信号伝送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US10234932B2 (en) * 2015-07-22 2019-03-19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 multiple-processor system
US11284003B2 (en) 2015-07-29 2022-03-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36138B2 (en) 2015-07-29 2018-04-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72990A (ja) * 2000-06-12 2002-03-12 Sharp Corp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JP3876708B2 (ja) * 2001-12-21 2007-02-07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液晶駆動装置
JP2004093717A (ja) * 2002-08-30 2004-03-2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100539263B1 (ko) * 2004-05-14 2005-1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패널 구동 시스템 및 구동 방법
JP4219902B2 (ja) * 2005-01-25 2009-02-04 京セラ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文字入力方法及び文字入力プログラム
KR100666603B1 (ko) * 2005-03-24 2007-01-09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멀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의 동작 방법
JP4428272B2 (ja) * 2005-03-28 2010-03-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ドライバ及び電子機器
KR100693863B1 (ko) * 2005-09-12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JP2007108268A (ja) * 2005-10-12 2007-04-26 Epson Imaging Devices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296862B1 (ko) * 2006-02-14 2013-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양방향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7656B1 (ko) 2015-02-27
JP2009237539A (ja) 2009-10-15
US20090243958A1 (en) 2009-10-01
JP5559475B2 (ja)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102055A (ko) 듀얼 표시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듀얼 표시장치 및 이를갖는 듀얼표시 핸드폰
US7804497B2 (en) Display driving circuit,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devices
KR100720652B1 (ko)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KR100666603B1 (ko) 멀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멀티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의 동작 방법
EP1213657A2 (en) Dual interface serial bus
CN108292990A (zh) 通信系统和通信方法
WO2006059868A1 (en) Display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031371B (zh) 单线投屏系统及方法
EP3780534A1 (en) Intelligent interactive all-in-one machine
US20110098088A1 (en) Multimedia dat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N103744478A (zh) 一种蓝牙无线显示器及其控制方法
CN102063857B (zh) 集成电路装置以及电子设备
US7075543B2 (en) Graphics controller providing flexible access to a graphics display device by a host
WO2008054076A1 (en) An apparatus for direct-transmitting data for portable
TWI386807B (zh) 數位資料介面裝置訊息格式
KR100715522B1 (ko) 카메라 컨트롤 장치, 영상 데이터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CN111028753B (zh) 数据驱动延迟补偿装置及其方法、显示装置
KR200246472Y1 (ko)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디지털 카메라
CN101577099A (zh) 串行外围接口电路及具有串行外围接口电路的显示器装置
KR100681194B1 (ko) 디스플레이부 및 카메라 구동을 위한 일체형 집적회로를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068021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059563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JP2009032211A (ja) 携帯電子機器
US20050093819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data transmission method of the same
KR100791176B1 (ko) 디지털 데이터 폭 정합을 통한 인터페이스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