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0275Y1 - 샤워기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샤워기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0275Y1
KR200270275Y1 KR2020020001076U KR20020001076U KR200270275Y1 KR 200270275 Y1 KR200270275 Y1 KR 200270275Y1 KR 2020020001076 U KR2020020001076 U KR 2020020001076U KR 20020001076 U KR20020001076 U KR 20020001076U KR 200270275 Y1 KR200270275 Y1 KR 2002702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fixed
shower head
present
h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10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원
Original Assignee
강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원 filed Critical 강동원
Priority to KR20200200010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02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02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027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샤워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욕실의 벽면에 장착된 수도 전과, 상기 수도 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연결 프레임을 매개체로 샤워헤드와 연결되는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는 접착부재를 매개로 내수성이 강한 금속 피막 층이 형성된 철판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에는 상기 철판에 고정되는 자석이 샤워헤드의 급수방향과 반대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샤워기의 샤워헤드를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자유자재로 조절하며 고정시킬 수 있고, 또 그 고정되는 높낮이 위치를 사용자의 신장 조건에 맞춰 자유자재로 조절하며 사용한다.

Description

샤워기의 고정장치{Fixing apparatus of shower}
본 고안은 샤워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샤워기의 샤워헤드를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자유자재로 조절하며 고정시킬 수 있고, 또 그 고정되는 높낮이 위치를 사용자의 신장 조건에 맞춰 자유자재로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샤워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샤워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10)는 연결 프레임(13)을 매개체로 연결호스(11)와 샤워헤드(12)가 연결된다.
상기 연결호스(11)의 일단부는 욕실에 장착된 수도 전(20)과 기밀을 유지한 상태에서 연결되고, 상기 샤워헤드(12)는 헤드와 연결호스(11)를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3)이 벽면(W)에 장착된 걸림고리(30)에 걸림 지지된 상태에서 고정된다.
따라서, 샤워를 할 경우에는 수도 전(20)의 급수모드를 샤워로 변경한 후 걸림고리(30)로부터 샤워헤드(12)를 분리한 상태에서 사용하거나 또는 걸림고리(30)에 샤워헤드(12)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샤워기(10)를 사용할 때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즉, 걸림고리(30)는 욕실의 벽면(W)에 일정한 높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고정되고 샤워기(10)는 사용할 때마다 걸림고리(30)로부터 샤워헤드(12)를 분리한 상태에서 사용해야 하므로 걸림고리(30)가 비교적 높게 장착될 경우 신장이 작은 어린이와 여성들이 사용하기에는 샤워헤드(12)를 걸림고리(30)로부터 분리 및 고정시키기 어려운 사용상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예를 들어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앉은 상태에서 샤워를 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위치의 걸림고리(30)에 고정된 샤워헤드(12)로부터 공급받는 물의 방향이 일정하지 않아 샤워헤드(12)로부터 원활하게 물을 공급받으며 샤워를 할 수 없으므로 한 손으로 샤워헤드(12)를 들고 샤워를 하거나, 또는 별도의 용기에 샤워헤드(12)를 통하여 공급받는 물을 저수하며 사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와 같은 샤워기에 대한 사용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샤워기의 샤워헤드를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자유자재로 조절하며 고정시킬 수 있고, 또 그 고정되는 높낮이 위치를 사용자의 신장 조건에 맞춰 자유자재로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샤워기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앉은 상태에서 샤워를 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 샤워헤드의 고정 위치를 사용자가 앉은 위치로 고정시킨 후 샤워헤드를 통하여 원활하게 물을 공급받으며 샤워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샤워기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샤워기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고정장치의 요부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샤워기 11;연결호스
12;샤워헤드 13;연결프레임
14;자석 20;수도 전
40;접착부재 41;철판
42;피막층 "W";벽면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욕실의 벽면에 장착된 수도 전과, 상기 수도 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연결 프레임을 매개체로 샤워헤드와 연결되는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는 접착부재를 매개로 내수성이 강한 금속 피막 층이 형성된 철판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에는 상기 철판에 고정되는 자석이 샤워헤드의 급수방향과 반대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와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의 사용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종래와 동일한 부분,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한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이 적용되는 샤워기(10)는 욕실의 벽면(W)에 장착된 수도 전(20)과 연결된다.
즉, 상기 수도 전(20)에는 연결호스(11)의 일단부가 연결되고 연결호스(11)의 타단부는 연결 프레임(13)을 매개체로 샤워헤드(12)와 연결된다.
그러나, 여기서 본 고안의 지배적인 특징부는, 상기 벽면(W)에는 접착부재(40)를 매개로 내수성이 강한 금속이 도금되어 피막 층(42)이 형성된 철판(41)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13)에는 상기 철판(41)에 고정되는 자석(14)이 상기 샤워헤드(12)에서 급수되는 방향과 상응하는 반대 방향에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비된다는 점이다.
상기 피막 층(42)은 내수성이 강한 크롬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또 다른 금속으로 사용할 수도 있고, 합성수지재로 사용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벽면(W)에 대해 철판(41)을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부재(40)는 양면 테이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반적인 접착제 또는 별도의 못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철판(41)은 폭이 좁고 길게 구성된 것을 벽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접착시켜 사용할 수 있지만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와 방향으로 자유자재로 변화를 추구하며 접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처음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가 설치된 전체적인 상태는 도 2 내지 도 3과 같은 상태가 된다.
즉, 이 상태는 샤워기(10)의 연결 프레임(13)에 구비된 자석(14)의 자력을 이용하여 철판(41)에 부착시킨 고정된 상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10)의 사용상 특징부는,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샤워기(10)를 사용할 때에는 상기 철판(41)으로부터 샤워헤드(12)를 분리하여 사용하고, 또 고정시킬 때에는 사용자의 팔에 닿는 편한 위치에 고정시킨다는 점이다.
또한,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샤워기(10)의 샤워헤드(12)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철판(41)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물이 공급되는 방향과 사용자가 앉은 위치와 일치하는 높이로 샤워헤드(12)의 높낮이를 조절한 상태에서 고정시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따라서, 사용자의 신체 조건과 신장의 크기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샤워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샤워기 고정장치에 의하면, 샤워기의 샤워헤드를 사용자의 신장에 맞춰 자유자재로 조절하며 고정시킬 수 있고, 또 그 고정되는 높낮이 위치를 사용자의 신장 조건에 맞춰 자유자재로 조절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하는 특징이 있다.
또 본 고안은,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또는 앉은 상태에서 샤워를 할 수밖에 없는 경우에 샤워헤드의 고정 위치를 사용자가 앉은 위치로 고정시킨 후 샤워헤드를 통하여 원활하게 물을 공급받으며 샤워를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 편리성을 부여할 수 있는 특징도 있다.
한편, 지금까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사용이 가능하다.

Claims (1)

  1. 욕실의 벽면에 장착된 수도 전과, 상기 수도 전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타단부는 연결 프레임을 매개체로 샤워헤드와 연결되는 샤워기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는 접착부재를 매개로 내수성이 강한 금속 피막 층이 형성된 철판이 수직방향으로 고정되고;
    상기 연결 프레임에는 상기 철판에 고정되는 자석이 샤워헤드의 급수방향과 반대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기의 고정장치.
KR2020020001076U 2002-01-14 2002-01-14 샤워기의 고정장치 KR2002702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076U KR200270275Y1 (ko) 2002-01-14 2002-01-14 샤워기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1076U KR200270275Y1 (ko) 2002-01-14 2002-01-14 샤워기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0275Y1 true KR200270275Y1 (ko) 2002-03-28

Family

ID=73116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1076U KR200270275Y1 (ko) 2002-01-14 2002-01-14 샤워기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027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030B1 (ko) 2022-01-04 2022-08-05 전설미 탈착이 용이한 샤워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0030B1 (ko) 2022-01-04 2022-08-05 전설미 탈착이 용이한 샤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87301S1 (en) Shower head, especially for body showers
US20230405614A1 (en) Showerhead with pin plate
KR200270275Y1 (ko) 샤워기의 고정장치
US5025510A (en) Toilet having hygienic cleaning apparatus
JP3519685B2 (ja) シャワー用の調整可能な支持具
JP2017020195A (ja) 水栓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洗面化粧台
US4924534A (en) Toilet having hygienic cleaning apparatus
KR200217010Y1 (ko) 샤워기헤드 탈부착구
AU2003288123A1 (en) Shower support
JP5138973B2 (ja) シャワーヘッド
KR200351100Y1 (ko) 슬라이드 부스의 높낮이 조정구
US20030034405A1 (en) Shower device
JP2578883B2 (ja) シャワー装置
JP2004092326A (ja) 水栓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3732786B2 (ja) シャワー装置
KR101834161B1 (ko) 샤워용품 지지장치
JP2000064380A (ja) 蛇 口
KR200259557Y1 (ko) 흡착식 욕실용 액세서리 홀더
KR200270863Y1 (ko) 욕실용품 부착구조를 갖는 욕실
KR200266213Y1 (ko) 단독형세면기
KR950009623Y1 (ko) 각도조절기가 설치된 샤워기
JPS5937113Y2 (ja) 浴そう
JP2006183388A (ja) 吐水管
JP1737598S (ja) シャワーヘッドホルダー
JP3145577B2 (ja) 水 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