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8391Y1 -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 - Google Patents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8391Y1
KR200268391Y1 KR2020010037730U KR20010037730U KR200268391Y1 KR 200268391 Y1 KR200268391 Y1 KR 200268391Y1 KR 2020010037730 U KR2020010037730 U KR 2020010037730U KR 20010037730 U KR20010037730 U KR 20010037730U KR 200268391 Y1 KR200268391 Y1 KR 200268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platform
aerial
work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7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한
Original Assignee
이종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한 filed Critical 이종한
Priority to KR2020010037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83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8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8391Y1/ko

Links

Landscapes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소작업을 위한 고소작업대에서 작업대의 승강을 위한 승강수단에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장비의 상승 및 하강시에 설정된 높이 및 위치에서 장비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의 편리함과 함께 조작실수로 인한 시설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소 작업위치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접근할 때 사용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고소작업대(10)에서 작업대(11)의 승강을 위한 승강수단(13)에 그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20)를 부착하되, 상기 높이조절장치(20)는 승강수단(13)의 높낮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승강수단(13)에 적어도 하나이상 장착되는 높이감지센서(21)와; 상기 높이감지센서(21)에서 출력된 신호를 작업자가 설정한 높이조절기(22)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23)와; 상기 비교기(23)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장비작동을 제어하는 장비제어부(24);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Device for working at high place adhesion hight control apparatus}
본 고안은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대의 승강을 위한 승강수단에 높이를 감지하는 높이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장비의 상승 및 하강시에 설정된 높이 및 위치에서 장비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의 편리함과 함께 조작실수로 인한 시설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대라 함은 별도의 장비없이 고소 작업위치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접근할 때 사용되는 장비로서, 특히, 배관 공사, 덕트 공사, 미장 공사, 건물 외벽공사 등을 진행할 때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고소 작업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퀴가 장착되는 이동수단(112)과, 고소 작업위치에서 필요한 공구와 자재를 적재하여 작업자가 고소 작업을 진행하는 작업대(111)와, 상기 이동수단(112)의 상단부와 작업대(111)의 하단부 사이에 절첩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대(111)를 고소 작업위치로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113)으로 이루어지며,
그 작동은 작업대(111)를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을 통해 고소 작업을 하기 위한 위치로 이동한 다음, 상기 작업대(111)에 작업에 필요한 공구와 자재를 적재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탑승한 후, 상기 승강수단(113)의 작동에 의해 작업대(111)가 상승하여 작업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승강수단(113)의 작동에 의해 작업대(111)가 원위치로 하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고소 작업대(110)를 사용하여 고소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상기 작업대(111)를 승강수단(113)을 통해 승강할 때에 작업자가 원하는 높이를 맞추기위해서 지금까지는 작업대(111)의 바닥 또는 승강수단(113)의 일측에 설치되는 다수의 리미트스위치 혹은 고소작업대(110)를 조작하기 위한 조이스틱 등으로 장비의 높이제어를 하게 되는 데, 이와같은 종래의 고소작업대를 이용하게 되면, 승강수단(113)을 통한 작업대(111)의 높이조절에 큰 어려움이 발생하였다.
특히, 전등의 설치작업이나 덕트의 설치 등 일정높이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작업 즉, 1회 작업후 이동하여 같은 작업을 반복하는 경우 일일이 작업자가 작업높이를 맞춰야 하는 불편함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조작중 실수로 천정이나 기타 시설물 등과 충돌로 인해 시설물이 파손되거나, 작업자가 다치게 되는 등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어 부상의 위험이 상존함은 물론, 조작레버나 스위치의 합선 및 파이프나 기타 공구에 의한 오작동의 우려 또한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는 고소작업을 위한 고소작업대에서 작업대의 승강을 위한 승강수단에 높이조절장치를 설치하여 장비의 상승 및 하강시에 설정된 높이 및 위치에서 장비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작업의 편리함과 함께 조작실수로 인한 시설물의 파손을 방지하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 고소작업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0 ; 고소작업대 11 ; 작업대
12 ; 이동수단 13 ; 승강수단
20 ; 높이조절장치 21 ; 높이감지센서
22 ; 높이조절기 23 ; 비교기
24 ; 장비제어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고소 작업위치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접근할 때 사용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고소작업대에서 작업대의 승강을 위한 승강수단에 그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를 부착하되, 상기 높이조절장치는 승강수단의 높낮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승강수단에 적어도 하나이상 장착되는 높이감지센서와; 상기 높이감지센서에서 출력된 신호를 설정된 높이조절기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장비작동을 제어하는 장비제어부;로 이루어진다.
즉, 작업대의 승강수단에 설치되는 높이조절장치를 통해 장비의 상승 및 하강시에 정위치에서 장비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업의 편리함과 함께 조작실수로 인한 시설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는 도 2내지 도 3에서와 같이, 고소위치에서 작업을 위해 신속하고 안전하게 접근하기 위한 고소작업대(10)에서 작업대(11)의 승강을 위한 승강수단(13)에 승강수단(13)의 높낮이를 감지하여 제어할 수 있는 높이조절장치(20)를 설치한다.
이때, 상기 높이조절장치(20)는 작업대(11)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수단(13)의 일측에 그 높낮이를 감지할 수 있는 높이감지센서(21)를 하나이상 장착한다.
이어, 작업대(11)에는 상기 높이감지센서(21)에서 출력된 신호를 작업자가 설정한 높이조절기(22)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비교기(23)를 설치하고, 그 비교기(23)에는 비교기(23)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장비작동을 제어하는 장비제어부(24);를 연결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에 의하면, 고소위치에서의 작업을 위해 작업대(11)가 상승하거나, 작업이 완료되어 하강하고자 하는 경우에 고소작업대(10)에 설치되는 승강수단(13)이 승하강하게 된다.
이때, 작업대(11)를 작업위치로 승강시키기위한 승강수단(13)에 설치되어 승강수단(13)의 높낮이를 감지하는 높이감지센서(21)가 그 높이를 감지하여 그 감지된 신호를 비교기(23)에 출력하게 된다.
이에따라, 비교기(23)에서는 높이감지센서(21)에서 출력된 신호와 사용자가 높이조절기(22)를 통해 설정된 설정값을 서로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게 되며, 상기 작용으로 비교기(23)에서 출력된 제어신호는 비교기(23)와 연결설치된 장비제어부(24)로 전달되어 장비작동을 쉽고 용이하게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설정한 높이 및 위치에서 작업대(11)가 정확하게 정지하게 되어 작업자의 부상우려를 최소화하여 안전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기물파손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작업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작업대에 승강수단의 높낮이를 감지하여 제어하는 높이조절장치를 설치하므로서, 장비의 상승 및 하강시에 설정된 높이 및 위치에서 장비의 작동을 자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 작업의 편리함과 함께 조작실수로 인한 시설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이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고소 작업위치에 신속하고 안전하게 접근할 때 사용되는 고소작업대에 있어서,
    상기 고소작업대(10)에서 작업대(11)의 승강을 위한 승강수단(13)에 그 높낮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장치(20)를 부착하되, 상기 높이조절장치(20)는 승강수단(13)의 높낮이를 감지하기 위하여 승강수단(13)에 적어도 하나이상 장착되는 높이감지센서(21)와; 상기 높이감지센서(21)에서 출력된 신호를 작업자가 설정한 높이조절기(22)의 설정값과 비교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23)와; 상기 비교기(23)에서 출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장비작동을 제어하는 장비제어부(2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이감지센서가 부착된 고소작업대.
KR2020010037730U 2001-12-06 2001-12-06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 KR200268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730U KR200268391Y1 (ko) 2001-12-06 2001-12-06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7730U KR200268391Y1 (ko) 2001-12-06 2001-12-06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8391Y1 true KR200268391Y1 (ko) 2002-03-16

Family

ID=73113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7730U KR200268391Y1 (ko) 2001-12-06 2001-12-06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839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572B1 (ko) * 2006-08-30 2007-08-16 (주)한성티앤아이 고소작업용 차량
KR102672980B1 (ko) * 2023-07-20 2024-06-05 곽수찬 고소작업장치의 제어방법
KR20240080565A (ko) 2022-11-30 2024-06-07 주식회사 신호테크 고소작업대용 틸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9572B1 (ko) * 2006-08-30 2007-08-16 (주)한성티앤아이 고소작업용 차량
KR20240080565A (ko) 2022-11-30 2024-06-07 주식회사 신호테크 고소작업대용 틸팅 장치
KR102672980B1 (ko) * 2023-07-20 2024-06-05 곽수찬 고소작업장치의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0686B1 (ko) 고소작업차의 승강 조절 장치
KR100962299B1 (ko) 고소작업대의 자동제동장치
KR100933361B1 (ko) 고소작업대
KR101547432B1 (ko)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KR20070047071A (ko) 안전장치가 설치된 고소 작업대
KR101812231B1 (ko) 과 상승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200268391Y1 (ko) 높이조절장치가 부착된 고소작업대
KR101605992B1 (ko)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KR20090091903A (ko) 소부재 취부용 지지대
US5685392A (en) Multiple lift platform with lateral movement
KR20090038619A (ko)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자동거리 조절장치
KR102205520B1 (ko) 끼임사고방지를 위한 고소작업장치
KR102152456B1 (ko) 고소작업차의 전도 방지 시스템
KR100364515B1 (ko) 건축용 승강 이동식 작업대의 자동 수평 조절장치
KR20200113470A (ko) 고소작업차용 안전 유압제어시스템, 그리고 유압제어시스템을 이용한 유압제어 방법
JPH0618120U (ja) ブーム作業車の安全装置
KR102271544B1 (ko) 적층된 사다리들을 인출하여 각각의 사다리들의 횡봉이 일치되게 정렬시키는 장치
KR102638014B1 (ko) 위험 경보 기능을 갖춘 탑승함
KR102672980B1 (ko) 고소작업장치의 제어방법
KR102452300B1 (ko) 천장패널 부착장치
KR102418197B1 (ko) 시스템실링 리프팅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실링 모듈 설치방법
KR20160042201A (ko) 전복방지 기능을 갖는 고가 사다리 소방차
JPH0423919Y2 (ko)
KR100625092B1 (ko) 고가사다리 자동차 안전운전범위 자동지정 시스템
KR200281000Y1 (ko) 호이스트 크레인의 수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