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7041Y1 -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히터 롤러 장치 - Google Patents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히터 롤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7041Y1
KR200267041Y1 KR2020010038450U KR20010038450U KR200267041Y1 KR 200267041 Y1 KR200267041 Y1 KR 200267041Y1 KR 2020010038450 U KR2020010038450 U KR 2020010038450U KR 20010038450 U KR20010038450 U KR 20010038450U KR 200267041 Y1 KR200267041 Y1 KR 2002670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heater roller
roller
heater
righ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84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성철
Original Assignee
주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성철 filed Critical 주성철
Priority to KR20200100384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704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70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7041Y1/ko

Links

Landscapes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히터 롤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방우측홀더(403), 후방우측홀더(404), 전방좌측홀더(405) 및 후방좌측홀더(406)가 하부지지대(401)상에서 고정되며, 전방우측홀더(403), 후방우측홀더(404), 전방좌측홀더(405) 및 후방좌측홀더(406)는 2단으로 구성되어, 전방우측홀더(403)와 전방좌측홀더(405) 사이에는 전방상부히터롤러(410)와 전방하부히터롤러(440)가 그리고, 후방우측홀더(404)와 후방좌측홀더(406) 사이에는 후방상부히터롤러(415)와 후방하부히터롤러(441)가 구비되며, 전방우측홀더(403)에는 슬라이딩 홈(409, 409')이 상하의 2단 각각에 형성되어, 전방상부히터롤러(410)와 전방하부히터롤러(440)의 일측을 지지하는 베어링홀더(422, 422')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409, 409')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필름(450)은 공기압에 의해 각각 히터 롤러에 밀착되고, 그 사이로 통과하는 선도체와 라미네이팅된다.
1차와 2차 공정으로 생산하기 때문에 기계의 스피드를 일정 이상 높혀도 종래의 1차공정으로 끝나는 1쌍의 히터롤러에 의한 공정보다 더욱 좋은 제품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Description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히터 롤러 장치 { HEATER ROLLER APPARATUS FOR FLAT CABLE MACHINE }
본 고안은 플랫 케이블 제작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2개의 필름 사이에 선도체를 접합시키는 히터롤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랫 케이블 제작기는 두 장의 히트 실링 필름(이하, 필름이라 한다)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다수의 선도체를 열접착 또는 열융착시킨 플랫 케이블을 제작하는 장치이며, 상기 플랫 케이블(이하, 케이블이라 한다)은 컴퓨터의 장치나 디지털 기기 간의 접속 등에 사용되는 평형 다심 케이블로서, 평편 케이블 또는 카드 케이블이라고도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와 같은 플랫 케이블 제작기는 와이어 랙(10)에 장착되는 80가닥 이상의 도체 보빈(11)에 권취되어 있는 선도체를 좌우양측의 필름 랙(20)에 권취되어 있는 필름 사이에 열접착 또는 열융착시켜서 케이블을 제작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작동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좌우양측의 필름 랙(20)에 권취되어 있는 필름은 내부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필름 캡스턴 롤러(21)와 필름 텐션 조절용 가이드 롤러(22)를 경유하여 펀처(30)로 인도된다.
상기 펀처(30)는 상기 케이블의 단말 가공을 위하여 케이블의 단말 사양에 따라서 다양한 크기로 필름을 펀칭하여 창내기 작업을 하며, 이송 실린더(40)에 의해 필름을 따라가면서 창내기 작업을 한다(즉, 펀칭시에는 필름의 찢으짐을 방지할려고 필름과 같은 방향으로 이동하고, 펀칭완료되면 원위치로 되돌아 옴). 상기 필름은 이송판(35)상에서 이송된다.
상기 펀처(30)에 의해 소정의 크기로 펀칭창이 형성된 필름은 계속해서 서포터(50)로 인도된다.
상기 서포터(50)는 상기 케이블의 커넥터에 케이블이 용이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하여 케이블의 단말 부위(커넥터 삽입부위)에 덧씌워지는 보강 테이프를 필름의 펀칭창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에 열접착하며, 상기와 같이 펀칭창에 보강 테이프가 열접착된 필름은 냉각판(60)에 의해 냉각된 후 히터롤러장치(70)로 인도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와이어 랙(10)의 도체 보빈(11)에 권취되어 있는 선도체는 도체 분리 롤러(80)와 내부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와이어 캡스턴 롤러(90)와 피치 롤러(100)를 경유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상기 히터롤러장치(70)로 인도된다.
상기와 같이 소정 크기의 펀칭창이 형성되고 펀칭창에 보강 테이프가 접착되어 있는 필름과, 상기 필름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는 선도체는 상기 히터롤러장치(70)로 인도되어 열융착되고, 냉각 롤러(110)에 의해 냉각된 후 텐션 조절 롤러(120)를 경유하여 슬리터(130)로 인도된다.
이때, 상기 텐션 조절 롤러(120)는 에어 실린더(140)와 연동하여 상기 히터롤러(70)로부터 인도되는 케이블의 텐션을 조절하며, 상기 슬리터(130)는 케이블을 일정한 폭으로 절단한다.
상기와 같이 일정한 폭으로 절단된 케이블은 가이드 롤러(150)와 내부 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케이블 캡스턴 롤러(160)를 경유하여 케이블 와인더(170)에 권취된다.
또한, 상기 슬리터(130)에 의해 일정한 폭으로 절단된 케이블의 잔여 스크랩은 스크랩 가이드 롤러(180)를 경유하여 스크랩 와인더(190)에 권취된다.
도 1에 도시된 오퍼레이션 패널(200)은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제반 작동을 제어하며, 컨트롤 박스(210)는 상기 히터롤러장치(70)와 서포터(50)의 작동 온도 및 서포터(50)의 보강 테이프 리딩 타임을 조절하고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구정 전압 및 전류를 디스플레이한다.
이상과 같은 같은 플랫 케이블 제작기에 있어서, 특히 상기 히터롤러장치(70)의 구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고정된 하부지지대(301)에서 양측으로 전방우측홀더(303) 및 전방좌측홀더(305)가 고정된다. 상기 전방우측홀더(303) 및 전방좌측홀더(305)의 후방에는 후방우측홀더(304) 및 후방좌측홀더(306)가 고정된다. 상기 전방우측홀더(303) 및 전방좌측홀더(305)에는 전방히터롤러(310)가 구비되고, 상기 후방우측홀더(304) 및 후방좌측홀더(306)에는 후방히터롤러(315)가 구비된다.
상기 후방히터롤러(315)의 롤러샤프트(317)은 후방우측홀더(304) 및 후방좌측홀더(306)에 각각 베어링지지되며, 전후로 이동하지 않고 고정된다.
반면에, 전방히터롤러(310)의 롤러 샤프트(320)는 전방우측홀더(303) 및 전방좌측홀더(305) 내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한 베어링홀더(322, 323)에 베어링 지지된다.
전방히터롤러(310)의 롤러샤프트중 한 곳은 조정손잡이(330)의 단부와 연결되어 있다. 전방우측홀더(303) 및 전방좌측홀더(305)에는 슬라이딩 홈(309)이 형성되어 베어링홀더(322, 323)이 전후이동가능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홀더(322, 323)는 조정손잡이(330)를 회전시킴에 따라 롤러샤프트(320)가 전후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되는 것이다.
전방 및 후방 히터롤러(310, 315) 사이에는 필름들(350)과 이들 필름사이에 선도체(352)가 이동된다. 필름(350)은 공기압에 의해 각각 히터 롤러에 밀착되고, 그 사이로 통과하는 선도체와 라미네이팅된다. 필름은 이러한 라미네이팅 직전에 그 수축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판(60)을 통과하게 되는데, 차가운 냉각판(60)을 통과한 필름을 1번의 공정으로서만 라미네이팅 시킬려면 히터롤러의 온도 및 공기압력을 최대한 높여야 한다.
또한, 온도 및 공기압을 높인다하더라도 기계의 스피드가 일정 이상만 되면 필름이 히터롤러를 순식간에 통과하기 때문에 완전한 라미네이팅이 힘들게 된다.
더욱이, 히터롤러의 온도를 높이면, 그 스킨층인 실리콘이 자주 파손되는 문제로서, 실리콘이 빨리 경화되어 딱딱해진다.
높은 열에 높은 공기압을 주므로 히터롤러를 통과한 필름이 마치 짖이겨 지나가듯 통과하기 때문에 선도체의 선간 피치가 잘 안맞게 된다. 선간 피치가 기본적으로 안맞으면 제품의 모든 규격이 허용오차를 크게 벗어날 수 있다.
더욱이, 라미네이팅이 잘 안되면, 필름과 필름 사이에 기포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2번의 공정으로 라미네이팅시켜 히터롤러에 낮은 온도를 줄 수 있게 하고, 기계의 스피드를 다소 높이더라도 라미네이팅이 정상적으로 되게하는 데 있다.
상기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히터 롤러 장치는 전방우측홀더, 후방우측홀더, 전방좌측홀더 및 후방좌측홀더가 하부지지대상에서 고정되며,
전방우측홀더, 후방우측홀더, 전방좌측홀더 및 후방좌측홀더는 2단으로 구성되어, 전방우측홀더와 전방좌측홀더 사이에는 전방상부히터롤러와 전방하부히터롤러가 그리고, 후방우측홀더와 후방좌측홀더 사이에는 후방상부히터롤러와 후방하부히터롤러가 구비되며,
전방우측홀더에는 슬라이딩 홈이 상하의 2단 각각에 형성되어, 전방상부히터롤러와 전방하부히터롤러의 일측을 지지하는 베어링홀더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필름은 공기압에 의해 각각 히터 롤러에 밀착되고, 그 사이로 통과하는 선도체와 라미네이팅된다.
도 1은 종래의 플랫 케이블 제작기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히터 롤러 장치의 평면도
도 3은 종래의 히터 롤러 장치로서 도 2의 A-A 선 단면도
도 4는 종래의 히터 롤러 장치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히터 롤러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히터 롤러 장치로서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히터 롤러 장치의 정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베어링 홀더의 분리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와이어 랙 11: 도체 보빈
20: 필름 랙 21: 필름 캡스턴 롤러
22: 가이드 롤러 30: 펀처
31: 본체 프레임 32: 구동 실린더
50: 서포터 60: 냉각판
70: 히터롤러 80: 도체 분리 롤러
90: 와이어 캡스턴 롤러 100: 피치 롤러
110: 냉각 롤러 120: 텐션 조절 롤러
130: 슬리터 140: 에어 실린더
150: 가이드 롤러 160: 케이블 캡스턴 롤러
170: 케이블 와인더 180: 스크랩 가이드 롤러
190: 스크랩 와인더 200: 오퍼레이션 패널
210: 컨트롤 박스 401 : 하부지지대
403 : 전방우측홀더 404 : 후방우측홀더
405 : 전방좌측홀더 406 : 후방좌측홀더
409. 409' : 슬라이딩 홈 410 : 전방상부히터롤러
422, 422' : 베어링홀더 415 :후방상부히터롤러
440 : 전방하부히터롤러 441 : 후방하부히터롤러
450 : 필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히터롤러 장치의 평면도로서, 전방우측홀더(403), 후방우측홀더(404), 전방좌측홀더(405) 및 후방좌측홀더(406)가 고정된다. 이들은 모두 하부지지대(401)상에서 고정된다.
전방우측홀더(403), 후방우측홀더(404), 전방좌측홀더(405) 및 후방좌측홀더(406)는 2단으로 구성되어 도 6과 같이, 전방우측홀더(403)와 전방좌측홀더(405) 사이에는 전방상부히터롤러(410)와 전방하부히터롤러(440)가 구비된다. 도 6에서 도시되지 않고, 도 7에서 도시된 후방우측홀더(404)와 후방좌측홀더(406) 사이에는 후방상부히터롤러(415)와 후방하부히터롤러(441)가 구비된다.
전방우측홀더(403)에는 슬라이딩 홈(409, 409')이 상하의 2단 각각에 형성되어, 전방상부히터롤러(410)와 전방하부히터롤러(440)의 일측을 지지하는 베어링홀더(422, 422')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409, 409')내에서 이동가능하게 한다. 상부베어링홀더(422)는 조정실린더(431)에 의해서 그 위치가 제어되며, 하부베어링홀더(422')는 조정손잡이(430)에 의해서 그 위치가 제어된다.
상기 상부베어링홀더(422) 및 하부베어링홀더(422')는 도 5의 평면도에서 화살표방향 즉 후방히터롤러(415, 441) 쪽으로 이동하여, 전방히터롤러(4010, 440) 가 후방히터롤러(415, 441)에 가깝게 또는 멀게 조정가능하게 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전방우측홀더(403)의 슬라이딩 홈(409, 409')에 상부베어링홀더(410)와 하부베어링홀더(440)가 삽입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상부베어링홀더(410)는 조정실린더(431)에 의해서, 그리고 하부베어링 홀더(440)는 조정손잡이(430)에 의해서 별개로 전후 이동가능하게 된다.
도 9에서와 같이, 상부 및 하부 우측히터롤러(410, 440)와 상부 및 하부좌측히터롤러(415, 441) 사이에는 필름(45)과 필름 사이에 선도체(452)가 통과한다.
필름(450)은 공기압에 의해 각각 히터 롤러에 밀착되고, 그 사이로 통과하는 선도체와 라미네이팅된다. 필름은 이러한 라미네이팅 직전에 그 수축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판(60)을 통과하게 되는데, 차가운 냉각판(60)을 통과한 필름을 2번의 공정으로서 라미네이팅 시키므로 히터롤러의 온도 및 공기압력가 높지 않아도 된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부 전방 및 후방 히터롤러(410, 415) 사이에서는 냉각판(60)을 지나온 필름(450)과 선도체(452)를 가접착하면서 예열을 한다. 이들 히터롤러(410, 415) 사이의 간격은 조정실린더(431)에 의해서 조정된다.
상기의 상부 전방 및 후방 히터롤러(410, 415)는 적은 공기압과 낮은 온도를 가지므로 제품의 기본이라 할 수 있는 선간 피치가 정확하게 형성되어서 가접착한 상태로 되면서 하부 전방 및 후방 히터롤러(44, 441)로 이송시킨다. 하부 전방 및 후방 히터롤러(44, 441)는 상부 전방 및 후방 히터롤러(410, 415) 보다 좀 더 높은온도를 가져서 안벽한 라미네이팅 작업이 완수되게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히터 롤러 장치는 1차와 2차 공정으로 생산하기 때문에 기계의 스피드를 일정 이상 높혀도 종래의 1차공정으로 끝나는 1쌍의 히터롤러에 의한 공정보다 더욱 좋은 제품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상부 전방 및 후방 히터롤러는 낮은 공기압과 낮은 온도로 가접착 및 예열을 하기 때문에 히터롤러에 코팅된 실리콘의 수명이 연장되고, 경하되어지는 속도가 길어지게 된다. 더욱이, 선도체의 선간 피치가 가접착으로 인하여 정확하게 되고, 이로써 제품에 오차가 없게 되며, 필름과 필름 사이에 기포가 생기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히터 롤러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고,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에 속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전방우측홀더(403), 후방우측홀더(404), 전방좌측홀더(405) 및 후방좌측홀더(406)가 하부지지대(401)상에서 고정되며,
    전방우측홀더(403), 후방우측홀더(404), 전방좌측홀더(405) 및 후방좌측홀더(406)는 2단으로 구성되어, 전방우측홀더(403)와 전방좌측홀더(405) 사이에는 전방상부히터롤러(410)와 전방하부히터롤러(440)가 그리고, 후방우측홀더(404)와 후방좌측홀더(406) 사이에는 후방상부히터롤러(415)와 후방하부히터롤러(441)가 구비되며,
    전방우측홀더(403)에는 슬라이딩 홈(409, 409')이 상하의 2단 각각에 형성되어, 전방상부히터롤러(410)와 전방하부히터롤러(440)의 일측을 지지하는 베어링홀더(422, 422')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 홈(409, 409')내에서 이동가능하게 되어,
    필름(450)은 공기압에 의해 각각 히터 롤러에 밀착되고, 그 사이로 통과하는 선도체와 라미네이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히터 롤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베어링홀더(422)는 조정실린더(431)에 의해서 그 위치가 제어되며,하부베어링홀더(422')는 조정손잡이(430)에 의해서 그 위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히터 롤러 장치.
KR2020010038450U 2001-12-13 2001-12-13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히터 롤러 장치 KR2002670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450U KR200267041Y1 (ko) 2001-12-13 2001-12-13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히터 롤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8450U KR200267041Y1 (ko) 2001-12-13 2001-12-13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히터 롤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7041Y1 true KR200267041Y1 (ko) 2002-03-06

Family

ID=7311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8450U KR200267041Y1 (ko) 2001-12-13 2001-12-13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히터 롤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704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632B1 (ko) * 2004-07-06 2005-03-14 주성철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라미네이팅 방법
KR20170034764A (ko) 2015-09-21 2017-03-29 주성철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에 구비된 이중구조의 히트롤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CN112635110A (zh) * 2019-09-24 2021-04-09 进营全球株式会社 将pct膜作为绝缘覆盖层的ffc及其制造方法
CN114446513A (zh) * 2020-11-04 2022-05-06 进营全球株式会社 柔性扁平电缆与包含柔性扁平电缆的叠层母排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3632B1 (ko) * 2004-07-06 2005-03-14 주성철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라미네이팅 방법
KR20170034764A (ko) 2015-09-21 2017-03-29 주성철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에 구비된 이중구조의 히트롤러 장치와 이를 이용한 라미네이팅 방법
CN112635110A (zh) * 2019-09-24 2021-04-09 进营全球株式会社 将pct膜作为绝缘覆盖层的ffc及其制造方法
CN114446513A (zh) * 2020-11-04 2022-05-06 进营全球株式会社 柔性扁平电缆与包含柔性扁平电缆的叠层母排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3007154A (ja) フラットケーブル製造装置
KR200267041Y1 (ko)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히터 롤러 장치
CN110212232A (zh) 锂电池复合机、热压复合系统及其复合方法
JP2001143538A (ja) シールドフラット電線並びにその製造方法および加工装置
CN102227760A (zh) Acf粘贴装置及显示装置的制造方法
KR100473632B1 (ko)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라미네이팅 방법
KR200326479Y1 (ko) 플랫케이블 제작기의 펀쳐장치
KR100501676B1 (ko)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히트롤러 사이의 소형롤러장치
US20050023717A1 (en) Method for producing thermoplastic resin sheet
KR100639090B1 (ko) 수지 필름의 접속방법 및 접속장치
KR200265718Y1 (ko)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필름 이송장치
KR200169815Y1 (ko)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서포터
KR200265719Y1 (ko)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 장치
JPH05234434A (ja) テープ状電線の製造装置
JP2009009909A (ja) フラットケーブル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200325280Y1 (ko)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슬리팅 장치
KR20050033588A (ko) 플렉시블 플렛 케이블 제작기의 활주장치.
KR20130066982A (ko) 다기능 플렉시블 플랫 케이블 제조장치
WO2022237339A1 (zh) 切片装置及叠片系统
JP3513739B2 (ja) ラミネート型フラットケーブルの製造方法
KR200325281Y1 (ko) 플랫케이블 제작기의 보강테이프 접착 장치
CN219116747U (zh) 送片装置及卷绕系统
KR200326480Y1 (ko) 플랫케이블 제작기의 펀쳐 및 서포터 이동 장치
JP2525114B2 (ja) ラミネ―トシ―トの製造方法
KR200168142Y1 (ko) 플랫 케이블 제작기의 펀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