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371Y1 -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371Y1
KR200266371Y1 KR2020010035259U KR20010035259U KR200266371Y1 KR 200266371 Y1 KR200266371 Y1 KR 200266371Y1 KR 2020010035259 U KR2020010035259 U KR 2020010035259U KR 20010035259 U KR20010035259 U KR 20010035259U KR 200266371 Y1 KR200266371 Y1 KR 2002663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eating plate
coupled
circumferential surface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5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영
Original Assignee
김상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영 filed Critical 김상영
Priority to KR2020010035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3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3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37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머리의 진행방향으로 근접 이동하면서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 뒤로 젖혀지는 머리를 지지함으로써 부상의 발생률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내주면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볼스크류를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길게 형성된 기판과; 양측 날개편에 머리의 위치를 감지하여 소형D/C모터를 구동시키는 2개의 적외선센서와 내주면에 슬라이딩편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지지판과 외주면에 정지스위치가 부설된 안착판과; 상기 기판과 안착판의 내측에 장착되어 안착판을 전/후로 이동시기는 작동수단과; 상기 각 부재를 감싸며 안착판의 이동에 따라 신축되는 절첩부를 갖는 외피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안착판이 머리에 근접되어있으므로 충동이나 추돌 등의 교통사고로 인하여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발생되는 머리나 목뼈 등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Impact sucking apparatus of head rest}
본 고안은 머리의 진행방향으로 근접이동하면서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 발생되는 충격으로 인하여 뒤로 젖혀지는 머리를 지지함으로써 부상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적외선센서에 의해 머리의 위치를 감지하여 헤드레스트가 항시 머리의 근접위치로 놓이도록 하여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발생되는 부상으로부터 머리와 목뼈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레스트는 운전중 머리를 보호하거나 또는 휴식을 취하는 경우에 이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헤드레스트는 단순히 외피의 내부에 충전물을 충만시킨 구성이다.
또 고급승용차의 경우에는 헤드레스트의 각도를 전/후로 가변하기 위한 각도조절장치가 부가된 것도 제안되어 상용화되고있는 추세인 것이다.
이는 교통사고시 헤드레스트와 머리가 10㎝정도 떨어져 있어 급작스러운 충격에 의해서 뒤로 젖혀지는 머리를 지지하지 못하므로 목뼈가 부러지거나 하는 등의 치명적인 부상을 입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운전중 머리의 근접위치에 헤드레스트가 위치하도록 하여 사고 발생시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부상을 방지하기 위한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내주면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볼스크류를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길게 형성된 기판과; 양측 날개편에 머리의 위치를 감지하여 소형D/C모터를 구동시키는 2개의 적외선센서와 내주면에 슬라이딩편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지지판과 외주면에 정지스위치가 부설된 안착판과; 상기 기판과 안착판의 내측에 장착되어 안착판을 전/후로 이동시기는 작동수단과; 상기 각 부재를 감싸며 안착판의 이동에 따라 신축되는 절첩부를 갖는 외피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의 작동수단은 중앙을 기점으로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형성되어 일측의 소형 D/C모터에 의해서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하부에 베어링이 결합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의 일측단부가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전측의 안착판의 이면에 마련된 지지판에 결합되는 슬라이딩편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 및 이로부터 얻게되는 특유의 효과 등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을 결합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a)는 안착판이 전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
(b)는 안착판이 후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지지봉 2…안내레일 3…스트로크 조절스위치 5…기판
6…정지스위치 7…지지판 8…날개편 9…적외선 센서
9a…제1센서 9b…제2센서 10…안착판 11…스크류
11a…오른나사 11b…왼나사 12…소형D/C모터 13…베어링
15…볼스크류 17…슬라이딩편 20…작동수단 23…절첩부
25…커버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상태를 예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결합시킨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a)는 안착판이 전측으로 이동한 상태의 평면도, (b)는 안착판이 후측으로 이동한상태의 평면도이다.
동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은 기판(5)과 안착판(10)의 내측에 상기 안착판(10)을 전,후로 이동시키게 되는 작동수단(20)이 장착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기판(5)은 박판의 철판을 직방형상으로 절단한 것으로서, 하부에는 시트에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지지봉(1)이 일체로 용접되어 있고, 이면에는 후술하는 작동수단(20)을 구성하는 샤프트(11) 및 볼스크류(15)를 좌/우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레일(2)이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고정되어 있다.
안내레일(2)에는 상기 볼스크류(15)의 스트로크를 제어하기 위하여 내측과 외측에 2개의 스트로크 조절스위치(3a,3b)가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장착되어 있다.
스트로크 조절스위치(3a,3b)의 간격은 후술하는 안착판(10)의 전/후 이동량과 동일한 것으로서 대략 5∼10㎝ 내외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작동수단(20)에 의해 전/후로 이동하는 안착판(10)은 전면에는 정지스위치(6)가 마련되고 이면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한 2개의 지지판(7)이 고정되고 양측에 형성된 날개편(8)에는 2개의 적외선 센서(9)가 배설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 적외선 센서(9)는 대략 2㎝ 정도의 간격을 유지하여 제1센서(9a)와 제2센서(9b)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센서(9a)는 안착판(10)과 머리(H)가 일정이상의 간격으로 벌어지면 소형D/C모터(12)를 작동시켜 안착판(10)을 전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센서(9b)는 머리(H)와 안착판(10)이 근접되면 소형모터(12)를 작동시켜 안착판(10)을 후측으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또 정지스위치(6)는 교통사고 등과 같이 급작스럽게 머리가 뒤로 젖혀질 경우 소형D/C모터(12)의 작동을 정지시켜 안착판(10)이 후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시키게 되는 기능을 갖는 것이다.
그리고 기판(5)과 안착판(10)의 내측에 장착되어 머리위치에 따라 안착판(10)을 전/후로 이동시키게 되는 작동수단(20)은 하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즉, 중앙을 기점으로 오른나사(11a)와 왼나사(11b)가 형성되어 일측에 장착된 소형D/C모터(12)에 의해서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샤프트(11)와, 상기 샤프트(11)에 나사결합되고 상부와 하부에 안내레일(3)에 정합되는 볼베어링(13)이 결합되는 볼스크류(15)와, 일측은 상기 볼스크류(15)에 타측은 안착판(10)의 이면에 마련된 지지판(7)에 결합되는 슬라이딩편(17)으로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결합된 외측에는 연질재료로 이루어진 커버(25)를 외삽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커버(25)의 내측에는 상기 작동수단(20)에 의해 전/후로 이동되는 안착판(10)의 작동에 대응하도록 신축 가능한 절첩부(23)가 마련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자동차에 시동을 걸 경우 헤드레스트를 구성하는 적외선 센서(9)가 작동하여 안착판(10)이 머리(H)의 근접위치로 이동하고, OFF시에는 안착판(10)이 자동으로 수축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본 고안의 구체적인 작동은 운전시 안착판(10)의 외표면과 운전자의 머리(H)가 대략적으로 2㎝ 내외로 근접되도록 안착판(10)을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해 운전자의 목이 뒤로 젖혀지므로 인하여 발생되는 부상을 방지하게 된다.
이는 도 3 (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안착판(10)에서 운전자의 머리(H)가 2㎝를 벗어나게 되면 제1센서(9a)의 감지에 의해 소형D/C모터(12)를 구동시키게 된다.
상기 소형D/C모터(12)가 구동하게되면 샤프트(11)가 회전하면서 이에 나사 결합되어 있는 볼스크류(13)는 내측으로 이동되면서 안착판(10)을 전측으로 밀어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볼스크류(15)의 상/하부에 결합된 슬라이딩편(17)에 의해서 안착판(10)을 전측으로 밀어서 머리(H)에 근접되는 것이다.
또한 운전자의 머리(H)가 안착판(10)의 외표면과 2㎝ 이내로 진입하면 자동으로 후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도3(b)에서와 같이 제2센서(9b)의 감지에 의해 소형D/C모터(12)는 역회전하면서 볼스크류(15)가 외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슬라이딩편(17)에 의해 안착판(10)이 수축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과정에서 외측을 감싸고 있는 커버(25)는 신축 가능한 절첩부(23)에 의해서 안착판(10)의 이동에 관계없이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운전중 운전자의 머리(H)와 안착판(10)이 항시 2㎝ 정도의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사고로 인하여 머리(H)에 가해지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치명적인 부상의 발생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머리를 받치게되는 안착판을 작동수단에 의해 자동적으로 전/후로 이동하면서 항시 안착판이 머리에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충돌이나 추돌 등의 교통사고로 인하여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발생되는 머리나 목뼈 등의 부상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2)

  1. 내주면에 상/하로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볼스크류를 안내하는 안내레일이 길게 형성된 기판과; 양측 날개편에 머리의 위치를 감지하여 소형D/C모터를 구동시키는 2개의 적외선센서와 내주면에 슬라이딩편의 일단부가 결합되는 지지판과 외주면에 정지스위치가 부설된 안착판과; 상기 기판과 안착판의 내측에 장착되어 안착판을 전/후로 이동시기는 작동수단과; 상기 각 부재를 감싸며 안착판의 이동에 따라 신축되는 절첩부를 갖는 외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중앙을 기점으로 오른나사와 왼나사가 형성되어 일측의 소형D/C모터에 의해서 양방향으로 회전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삽입되고 상/하부에는 안내레일에 정합되는 베어링이 결합되는 볼스크류와; 상기 볼스크류의 일측단부가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전측의 안착판의 이면에 마련된 지지판에 결합되는 슬라이딩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
KR2020010035259U 2001-11-16 2001-11-16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 KR2002663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259U KR200266371Y1 (ko) 2001-11-16 2001-11-16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5259U KR200266371Y1 (ko) 2001-11-16 2001-11-16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1336A Division KR20030040764A (ko) 2001-11-16 2001-11-16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6371Y1 true KR200266371Y1 (ko) 2002-03-02

Family

ID=73112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5259U KR200266371Y1 (ko) 2001-11-16 2001-11-16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3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846B1 (ko) * 2014-12-29 2016-02-15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3846B1 (ko) * 2014-12-29 2016-02-15 현대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248131A1 (en) Airbag apparatus
JPH0450052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EP1238851A1 (en) A motor vehicle
KR200266371Y1 (ko)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
KR20030040764A (ko)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
JP2016203692A (ja) 車室内構造
KR100384018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볼스터 조절 장치
JP2018172002A (ja) アームレスト
JP2001334907A (ja) スライド位置検知装置
KR100435342B1 (ko) 버스용 보조 시트
JP2020083237A (ja) アームレスト装置
US202400671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ng a passenger of a vehicle
JP7380413B2 (ja) 自動運転車両における乗員拘束装置
KR20080015218A (ko) 차량 시트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동장치
KR0185446B1 (ko) 자동차의 범퍼
KR0153655B1 (ko) 챠량용 시이트의 보울스터 조절장치
KR100387629B1 (ko) 자동차용 안전 시트 구조
KR200266435Y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의 쿠션 높이 조절 장치
KR19980034863A (ko) 운전자 보호용 헤드 레스트
JP2542578Y2 (ja) 2ドア車の助手席の移動装置
KR970074208A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전.후 이동조절장치
KR200200652Y1 (ko) 차량용 시트
KR0138858Y1 (ko) 자동차용 안전시트
KR100342547B1 (ko) 차량사고시 승객의 목부위 손상방지 시트(seat)
KR100521591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