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291Y1 -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 - Google Patents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291Y1
KR200265291Y1 KR2020010036900U KR20010036900U KR200265291Y1 KR 200265291 Y1 KR200265291 Y1 KR 200265291Y1 KR 2020010036900 U KR2020010036900 U KR 2020010036900U KR 20010036900 U KR20010036900 U KR 20010036900U KR 200265291 Y1 KR200265291 Y1 KR 2002652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bale arm
arm
slider
line sli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69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낙스
Priority to KR20200100369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29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2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291Y1/ko

Links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은 낚시할 때 사용하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의 회전에 의해 젖혀진 베일 암이 원위치되어 스풀에 라인을 안내하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베일 암의 일단과 암 레버 사이에서 결합되어 일체화를 이루고, 베일 암측 면이 상기 베일 암의 마주하는 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접착함으로써 외력의 작용시 상기 베일 암을 지지하며, 라인과의 접촉면적이 증대하여 라인 이탈시 다시 제 위치를 찾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이다. 본 고안에 따른 라인 슬라이더는 베일 암을 따라서 형성된 완곡면을 가지는 원뿔 모양의 3차원 입체 구조 형상으로 인해 라인과의 마찰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서 기존 ABS 라인 슬라이더와 같이 라인이 걸림으로써 파먹는 현상을 해소하였다. 또한 베일 암의 일단을 라인 슬라이더가 지지하도록 하여 외력의 작용으로 인해 베일 암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Line slider of spinning reel having 3-dimensional shape}
본 고안은 낚시할 때 사용하는 스피닝 릴을 구성하는 라인 슬라이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로터의 회전에 의해 젖혀진 베일 암이 원위치되어 스풀에 라인을 안내하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베일 암의 일단과 암 레버 사이에서 결합되어 일체화를 이루고, 베일 암측 면이 상기 베일 암의 마주하는 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접착함으로써 외력의 작용시 상기 베일 암을 지지하며, 라인과의 접촉면적이 증대하여 라인 이탈시 다시 제 위치를 찾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릴은 베일 암을 앞으로 젖혀서 캐스팅 후 포인트를 잡게 되면, 회전 손잡이를 동작하여 로터의 회전에 의해 젖혀진 베일 암이 원위치됨과 동시에 라인이 라인 슬라이더의 제 위치를 찾아 들어가고 라인이 팽팽할 때까지 스풀에 감는 동작을 한다. 이 상태에서 만약 고기가 잡히게 되면 회전 손잡이를 감았다 풀었다 하면서 고기를 낚아 올리는 것이다. 이때 라인 슬라이더가 받는 힘은 베일 암이 휠 정도로 큰 힘을 받으며 라인 슬라이더로부터 라인이 이탈되었다가 다시 제 위치를 찾는 등의 동작을 반복하며 심할 경우에는 라인이 끼거나 꼬임으로서 로터의 동작이 제한을 받는다.
종래 스피닝 릴을 구성하는 라인 슬라이더(2)(도 1 참조)는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에 등록번호 20-0144789호로 개시된 라인 슬라이더와 같이 원통 모양의 라인 슬라이더(2)가 주종을 이룬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라인 슬라이더(2)를 참조하면, 라인 슬라이더의 베일 암측 면(4)은 아래쪽 암 레버측 면(5)과 같이 평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베일 암(8)과 라인 슬라이더(2) 사이의 각은 직각을 이루고 있다. 따라서 외력 P가 베일 암(8)과 라인 슬라이더(2)가 결합된 부분에 작용하는 경우 종래의 베일 암은 내측으로 휘는 변형을 일으킨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일 힘을 많이 받는 베일 암(8)과 라인 슬라이더(2)의 접착면은 라인 슬라이더로부터 이탈시 라인이 다시 제 위치로 갈 수 있도록 하는 완충 역할을 하는데 종래의 라인 접촉면은 작기 때문에 이탈시 라인이 바로 자유 상태로 되어 라인이 끼거나 꼬일 수 있는 원인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라인 슬라이더는 라인의 장력을 그대로 유지하며 스풀에 라인을 안내하며, 제 위치로부터 이탈시 라인 슬라이더의 마찰면에 의해 다시 제 위치로 찾아가는 것을 용이하게 하여 스풀에 라인을 안정적으로 안해하는 라인 슬라이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라인 슬라이더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슬라이더를 포함한 스피닝 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라인 슬라이더, 베일 암 및 암 레버가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그 좌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스피닝 릴 2 : 종래 라인 슬라이더
3 : 라인 슬라이더 4 : 베일 암측 면
5 : 암 레버측 면 6 : 완곡면
7 : 라인 접촉면 8 : 베일 암
9 : 암 레버 10 : 스풀
11 : 로터 12 : 회전 손잡이
13 : 몸체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는, 로터의 회전에 의해 젖혀진 베일 암이 원위치되어 스풀에 라인을 안내하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베일 암의 일단과 암 레버 사이에서 결합되어 일체화를 이루고, 베일 암측 면이 상기 베일 암의 마주하는 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접착함으로써 외력의 작용시 상기 베일 암을 지지하며, 라인과의 접촉면적이 증대하여 라인 이탈시 다시 제 위치를 찾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1은 종래 라인 슬라이더(2)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인 슬라이더를 포함한 스피닝 릴(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라인 슬라이더(3), 베일 암(8) 및 암 레버(9)가 결합된 사시도이고, 도 4의 (a)는 도 3의 정면도이고 (b)는 그 좌측면도이다.
도 1에는 베일 암측 면(4)과 베일 암(8)이 직각으로 형성된 종래 라인 슬라이더(2)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 라인 슬라이더(2)는 원통 모양을 가지며 베일 암측 면(4)은 베일 암(8)과 직각을 이루는 평면이기 때문에 라인이 라인 슬라이더로부터 이탈되면, 바로 자유 상태가 되어 꼬이거나 끼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외력 P가 작용하는 경우 베일 암만이 외력을 버텨내므로 베일 암이 내측으로 휘는 현상이 발생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일 암(8)과 라인 슬라이더(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피닝 릴(1)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피닝 릴(1)은 몸체(13) 좌측에 부착된 회전 손잡이(12)를 감고 푸는 동작에 의해 로터(11)를 회전시키며 동시에 스풀(10)이 직선 운동을 하여 라인이 스풀(10)에 감겨지거나 풀어진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라인 슬라이더(2)와 달리, 본 고안에 따른 스피닝 릴(1)을 구성하는 라인 슬라이더(3)는 베일 암측 면(4)은 평면이 아니라 베일 암(8)을향하여 연장되어 완곡면(6)을 가지는 원뿔 모양의 3차원 입체 형상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베일 암(8)은 기존의 스테인레스 Ф1.8, Ф2 대신에 알루미늄 Ф3의 파이프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중량을 약 18% 가량 줄이며 변형시 복원력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그 감소된 중량은 회전 손잡이(12) 작동시 로터(1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여 스피닝 릴(1)의 회전 발란스를 용이하게 한다.
베일 암(8), 라인 슬라이더(3) 및 암 레버(9)의 결합 구조 및 그 내부의 기능은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에 등록번호 20-0144789호로 개시된 종래 라인 슬라이더(2)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스피닝 릴로부터 분리한 라인 슬라이더(3), 베일 암(8) 및 암 레버(9)가 일체화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종래 라인 슬라이더(2)와 베일 암 사이의 각은 직각을 이루었으나 본 고안에 따른 라인 슬라이더(3)는 베일 암측 면(4)이 베일 암(8)을 향하여 연장되는 완곡면(6)을 가지며, 그 완곡면(6)의 배면은 베일 암(8)에 접착되어 있다. 따라서 고기가 잡힌 경우와 같이 외력 P가 작용하는 경우 본 고안을 이루는 라인 슬라이더(3)는 베일 암(8)의 일단을 지지하여 베일 암(8)이 내측으로 변형을 일으키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라인 슬라이더(3), 베일 암(8) 및 암 레버(9)가 일체화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4(b)는 그 좌측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을 구성하는 라인 슬라이더(3)는 베일 암측 면(4)이 종래와 같이 평면이 아니며 마주하는 베일 암(8)을 향하여 연장됨으로써 완곡면(6)의 배면이 베일 암(8)과 접하는 원뿔 모양의 3차원 입체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완곡면(6)의 배면과 베일 암측 면은 서로 접착되어 있고, 베일 암(8)은 암 레버 면(5)의 좌측면 홈에 고정되어 일체를 이루고 있다. 라인은 라인 슬라이더(3)의 하단과 암 레버 면(5) 사이의 홈에 위치하기 때문에 암 레버 면(5) 좌측에 형성되는 라인 접촉면(7)은 스피닝 릴(1)에서 가장 힘을 많이 받는 부위이다.
일반적인 경우 라인은 제 위치에서 스풀(10)에 라인을 안내하지만, 큰 고기가 잡힌 경우나 급격한 회전 손잡이(12)의 동작으로 외력 P가 작용하면 라인 슬라이더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하며 줄이 엉킬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에 따른 스피닝 릴(1)의 라인 슬라이더(3)와 베일 암(8)이 접착하여 형성되는 라인 접촉면(7)은 종래 스피닝 릴의 면 보다 그 면적이 훨씬 크기 때문에 라인이 라인 접촉면(7)과 일으키는 마찰력도 증대하여 줄이 자유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이 다시 제자리로 찾아 갈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마찰면 역할을 하는 상기 라인 접촉면(7)은 외력 P에 대하여 라인 슬라이더(3)가 베일 암(8)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베일 암(8)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외력이 작용하여도 변형을 일으키지 않으며 라인을 스풀(10)에 안정적으로 안내하는 라인 슬라이더(3)를 고안하여 스피닝 릴(1)의 사용시 줄이 끼거나 꼬이는 경우를 방지하였다. 본 고안의 기술적인 범위는 반드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적 범위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이나 응용예가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라인을 스풀에 안내하는 라인 슬라이더는 베일 암을 따라서 형성된 완곡면을 가지는 원뿔 모양의 3차원 입체 구조 형상으로 인해 라인과의 마찰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서 기존 ABS 라인 슬라이더와 같이 라인이 걸림으로써 파먹는 현상을 해소하였다. 따라서, 라인이 라인 슬라이더의 제 위치에서 이탈시 바로 자유상태가 되어 끼거나 꼬이는 현상을 방지한다. 또한, 베일 암의 일단을 라인 슬라이더가 지지하도록 하여 외력의 작용으로 인해 베일 암의 변형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로터의 회전에 의해 젖혀진 베일 암이 원위치되어 스풀에 라인을 안내하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에 있어서,
    상기 베일 암의 일단과 암 레버 사이에서 결합되어 일체화를 이루고, 베일 암측 면이 상기 베일 암의 마주하는 면을 향하여 연장되어 접착함으로써 외력의 작용시 상기 베일 암을 지지하며, 라인과의 접촉면적이 증대하여 라인 이탈시 다시 제 위치를 찾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
KR2020010036900U 2001-11-29 2001-11-29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 KR2002652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900U KR200265291Y1 (ko) 2001-11-29 2001-11-29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6900U KR200265291Y1 (ko) 2001-11-29 2001-11-29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5291Y1 true KR200265291Y1 (ko) 2002-02-21

Family

ID=73071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6900U KR200265291Y1 (ko) 2001-11-29 2001-11-29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291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1295B2 (ja) 被着体に、接着、被覆、着色物質のフィルムを付着するための携帯型装置
KR200265291Y1 (ko) 3차원 입체형상을 갖는 스피닝 릴의 라인 슬라이더
KR100405160B1 (ko) 낚시용스피닝릴
KR100235776B1 (ko) 낚싯대용 도사환
US5845858A (en) Fishing spinning reel
JP2008092809A (ja) 浮き止めとそれを用いた釣り用浮き
JP3737228B2 (ja) 糸ガイド
JP2000236784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021087419A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糸案内機構
US5673867A (en) Spinning reel for fishing having a fishline entanglement preventive member
JP3320291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H11266765A (ja) 糸付き釣り針用包装体
JP3156905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18174877A (ja) 釣用天秤
JP3472684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釣り糸案内機構
JP2534841Y2 (ja) 中通し竿
JP2522048Y2 (ja) 中通し竿
JP2548004Y2 (ja) 中通し竿
JP2915796B2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ル
JP2004242650A (ja) 2通りに使える釣糸ガイド
JPH0445512Y2 (ko)
KR970000005Y1 (ko) 낚시줄 감개
JP2534845Y2 (ja) 中通し竿
KR20230001155U (ko) 멀티플 낚시채비
JP2566959Y2 (ja) 結束装置の巻紐収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