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5079Y1 - 자동차의비상등점등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비상등점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5079Y1
KR200265079Y1 KR2019980003465U KR19980003465U KR200265079Y1 KR 200265079 Y1 KR200265079 Y1 KR 200265079Y1 KR 2019980003465 U KR2019980003465 U KR 2019980003465U KR 19980003465 U KR19980003465 U KR 19980003465U KR 200265079 Y1 KR200265079 Y1 KR 200265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light
switch
emergency
rela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4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7654U (ko
Inventor
김방병
Original Assignee
김방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방병 filed Critical 김방병
Priority to KR20199800034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507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76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6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5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5079Y1/ko

Links

Landscapes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장치(An alarm lamp switching device circuit of an automobile)에 관한 것으로, 비상등스위치(1)를 다기능스위치레버(20)의 외측단부에 구비되게 한 것으로, 본 고안은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비상등을 작동시킬 때 허리를 굽히지 않고 차분히 다기능스위치레버에 구비된 비상등스위치를 온 시키므로서 비상등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비상등의 작동이 용이하여 편리성이 향상되고, 전방을 주시하며 비상등을 작동시킬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장치{An alarm lamp switching device of an automobile}
본 고안은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등스위치를 다기능스위치레버에 구비되게 하므로 비상등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비상등은 자동차 운행 또는 정차 중에 위험 상황을 타 차량의 운전자에게 알려주어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상과 같은 비상등은 별도의 등을 구비하지 않고 기존의 좌측 및 우측 방향지시등을 사용한다.
이상과 같은 비상등은 카오디오가 결합되는 크래쉬패드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비상등스위치에 의하여 동작되게 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비상등스위치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일정주기로 전원을 단속하여 출력하는 플레쉬유니트로부터 전원을 입력받아 좌측 및 우측 방향지시등으로 각각 출력하여 상기 좌측 및 우측 방향지시등이 동시에 점등되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비상등스위치가 크래쉬패드에 구비되어 있는 관계로 인하여 상기 비상등스위치를 온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허리를 굽히고 손을 뻗어서 작동시켜야 하므로 사용하기 불편함이 많다.
특히, 자동차 운행 중에 비상등을 작동시키는 상황은 위급한 상황으로서 전방을 주시하며 신속하게 동작시켜야 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비상등스위치를 온시키기 위하여는 허리를 굽혀야 하므로 허리를 굽히는 순간 시선이 전방에서 이탈되어 수초간 위험한 상황에 노출되게 되며, 허리를 굽힐 때 상체로 인하여 핸들이 돌아가 사고의 위험성이 놓은 문제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비상등스위치를 다기능스위치레버에 설치하므로써 비상등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회로 구성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보인 회로 구성도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상등스위치 1a : 끼움돌기 2 : 비상등릴레이
20 : 다기능스위치레버
21 : 전조등 손잡이 캡 22 : 다기능스위치파이프
23 : 전조등스위치
11 : 플레쉬유니트 32 : 방향지시등스위치
33 : 방향지시등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일 실시예를 보인 회로 구성도이다.
본 고안은 비상등을 작동시킴에 있어서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즉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상등스위치(1)를 원터치 푸시버튼형 스위치로 하여 다기능스위치레버(20)의 자유단부(외측단부)에 구비되게 하고,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상등스위치(1)는 하부에 까움돌기(1a)를 돌출 형성하여 다기능스위치레버(20)에 구비되어 있는 전조등 손잡이 캡(21)의 내측에 수납되게 함과 더불어 다기능스위치파이프(22)에 끼워 결합되게 한다.
그리고,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쉬유니트(31)와 좌측 및 우측 방향지시등(33) 사이에 비상등릴레이(2)를 구비하고, 상기 비상등릴레이(2)가 비상등스위치(1)에 의하여 동작되게 비상등스위치(1)의 일측단자는 비상등릴레이(2)의 릴레이접지단과 접속되게 함과 더불어 타측단자는 전조등스위치(23)의 접지단에 접속되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일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향지시를 위해 운전자가 다기능스위치레버(20)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시키면 이동방향에 따라 방향지시등스위치(32)가 좌측 방향지시등 또는 우측 방향지시등과 접속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은 소정주기에 따라 단속적으로 전원을 출력하는 플레쉬유니트(31)와 방향지시등스위치(32)를 통해 선택된 방향지시등으로 공급되고, 단속적인 전원흐름에 따라 선택된 방향의 방향지시등이 점멸하여 방향을 지시하개 된다.
한편, 운전자가 위험상황을 인식하여 다기능스위치레버(20)의 자유단부에 설치된 원터치 푸쉬버튼형 비상등스위치(1)를 눌러 온시키면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비상등릴레이(2)로 공급되어 비상등릴레이(2)가 작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플레쉬유니트(31)와 비상등릴레이(2)를 통해 좌측 및 우측 방향지시등(33)에 동시에 공급되어 좌측 및 우측의 방향지시등(33)을 동시에 점멸시키게 되므로 양쪽 방향지시등이 비상등으로서 작동하여 위험상황을 타 자동차의 운전자에게 경고하게 된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스위치레버(20)에 구비한 비상등스위치(1)를 2 회로 스위치로 형성하여 일측단자는 플레쉬유니트 (31)에 접속하고 나머지 두 단자는 좌측 및 우측 방향지시등(33)에 각기 접속되게 하므로써, 별도의 비상등릴레이(2)를 구비하지 않고도 비상등을 작동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바와 같이 다기능스위치레버(20)에 구비되어 있는 본 고안을 구비한자동차를 운행 중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비상등을 작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다기능스위치레버(20)에 구비되어 있는 원터치 푸쉬버튼형의 비상등스위치(1)를 눌러 온 상태가 되게 한다. 이상과 같이 비상등스위치(1)를 온 시키면 배터리로부터의 전원이 플레쉬유니트(31)와 비상등스위치(1)를 통해 바로 좌측 및 우측 방향지시등(33)으로 동시에 공급되어 좌측 및 우측 방향지시등이 비상등으로서 동시에 점멸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위급한 상황이 발생하여 비상등을 작동시킬 때 허리를 굽히지 않고 차분히 다기능스위치레버에 구비된 비상등스위치를 온 시키므로써 비상등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비상등의 작동이 용이하여 편리성이 향상되고, 전방을 주시하며 비상등을 작동시킬 수 있어 안전성이 향상된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비상등스위치를 다기능스위치레버의 외측단부에 구비되게 한 것으로서, 상기 비상등스위치(1)는 하부에 끼움돌기(1a)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다기능스위치레버(20)에 구비되어 있는 전조등 손잡이 캡(21)의 내측에 수납되게 하는 한편 다기능스위치파이프(22)에 끼워 결합되게 하고, 플레쉬유니트(31)와 좌우방향지시등(33)사이에 비상등릴레이(2)를 구비시키며, 상기 비상등릴레이(2)가 비상등스위치(1)에 의하여 동작되게 비상등스위치(1)의 일측단자는 비상등릴레이(2)의 릴레이접지단에 접속되게 함과 더불어 타측단자는 전조등스위치(23)의 접지단에 접속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비상등 점등장치.
KR2019980003465U 1998-03-10 1998-03-10 자동차의비상등점등장치 KR200265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65U KR200265079Y1 (ko) 1998-03-10 1998-03-10 자동차의비상등점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465U KR200265079Y1 (ko) 1998-03-10 1998-03-10 자동차의비상등점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54U KR19990037654U (ko) 1999-10-15
KR200265079Y1 true KR200265079Y1 (ko) 2002-11-18

Family

ID=69713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465U KR200265079Y1 (ko) 1998-03-10 1998-03-10 자동차의비상등점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50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82B1 (ko) 2006-11-22 2007-05-02 전찬웅 금형 냉각수관 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082B1 (ko) 2006-11-22 2007-05-02 전찬웅 금형 냉각수관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654U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65079Y1 (ko) 자동차의비상등점등장치
KR100369039B1 (ko) 차량의 관성을 이용한 비상등 점멸장치
KR200213854Y1 (ko) 스티어링 휠에 장착되는 비상등 스위치
KR970004948Y1 (ko) 차량용 제동보조등
KR0156408B1 (ko) 자동 비상등 작동시스템
KR100517696B1 (ko) 자동차의 비상등과 전조등 자동점멸장치
KR200204379Y1 (ko) 고무호스를 이용한 안전 표시 장치
KR200223582Y1 (ko) 비상등자동소등장치
KR0120293Y1 (ko) 방향지시등 작동장치
KR200197084Y1 (ko) 차량브레이크 페달의 가압에 따른 제동등 제어장치
KR0166288B1 (ko) 자동차의 방향 표시등 장치
KR200277833Y1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점등시스템
KR200272547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스위치 구조
KR0135020Y1 (ko) 자동차 제동상태 표시 시스템
KR200224011Y1 (ko) 차량의 전조등 및 와이퍼 자동제어 장치
KR0117791Y1 (ko) 자동차의 비상등 회로
KR200162181Y1 (ko) 비상등 자동점멸장치
JP3003685U (ja) 車両等の補助停止合図灯の制御装置
KR0127894Y1 (ko) U턴 표시 및 비상등점멸시 방향표시를 할 수 있도록한 차량용 비상등 점멸회로
KR0128528Y1 (ko) 후진용 경보장치
KR19990009842A (ko) 자동차의 점멸장치
KR19990011560U (ko) 변속 레버에 장착되는 비상등 스위치
KR19980045021U (ko) 자동차의 제동등 점멸장치
KR19990011429U (ko) 자동차의 방향지시등
GB1596256A (en) Signalling equipment for motor road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