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9947Y1 - 무테안경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무테안경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9947Y1
KR200259947Y1 KR2020010030876U KR20010030876U KR200259947Y1 KR 200259947 Y1 KR200259947 Y1 KR 200259947Y1 KR 2020010030876 U KR2020010030876 U KR 2020010030876U KR 20010030876 U KR20010030876 U KR 20010030876U KR 200259947 Y1 KR200259947 Y1 KR 2002599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lens
assembly
bridge
fixing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훈
Original Assignee
안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광훈 filed Critical 안광훈
Priority to KR2020010030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99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99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9947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1쌍의 안경렌즈와 그 사이에 조립되는 연결구 및 양측안경렌즈와 그에 조립되는 다리테연결구간의 상호조립구조를 개선한 무테안경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조립수단으로 사용되는 볼트의 구조 및 상기 볼트와 연결구 및 다리테연결구사이의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단순화함으로서 조립성 및 생산성 향상효과, 불량률 최소화 효과, 생산단가 절감효과등을 공히 얻을 수 있도록 한 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무테안경 조립구조{AN ASSEMBLY STRUCTURE OF RIMESS SPECTACLES}
본 고안은 일반인들사이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안경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 조립테가 없는 속칭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단순화 하므로서 생산성 향상효과, 제작단가 절감효과 및 제작공정과정에서의 불량률 최소화 효과 등을 공히 얻을 수 있도록 한 무테안경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제품화되어 있는 안경에는 시력보완을 목적으로하는 안경이외에도 운전자용 선그라스, 돋보기, 패션용 안경 등 다양한 종류의 안경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안경은 점차적으로 패션화되어 가면서 최근에는 착용시 중량감을 거의 느낄 수 없을 정도로 경량화된 무테안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무테안경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테(도시되지않음)에 연결되는 다리테연결구(1)와 렌즈(2)를 소정간격으로 연결구(1)에 고정설치되는 2개의 보울트(3)및 너트(4)로서 조립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 무테안경의 조립구조에 있어서는 자체 무게를 최대한 경량화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초소형으로 제작되는 연결구(1)에 2개의 보울트(3)를 용접방식으로 고정해야만하는 공정상의 난점이 있었을 뿐만아니라 그에 조립되는 렌즈(2)에는 상기 1쌍의 보울트(3)에 정확하게 일치되는 1쌍의 고정공(5)을 관통형성해주어야만하는 작업공정상의 난점이 있었던 바 그 작업과정에서 렌즈(2)가 파손되는 경우가 비일비재하여 원가상승의 주요인으로 부각되고 있었고 그에 따라 취성이 강한 렌즈(2)의 파손율을 최소화 시켜주기위한 수단으로 각 고정공(5)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해 주어야만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는 연결구(1)에 의한 사용자의 시야장애요인으로 부각되는 등의 폐단이 노출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은 도2에 도시된바와 같이 양측의 렌즈(2)사이에 위치되면서 렌즈(2)를 연결조립하게 되는 코다리 연결구(6)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발생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 조립구조의 폐단을 다소나마 해소하고자 안출된 개선방안으로서 도2에 도시된 바와같이 코다리 연결구(6)양측에 각각 1개씩의 고정볼트(3)를 고정설치하여 조립대상의 안경렌즈(3)에 관통형성되는 단수개의 고정공(5)에 삽착시켜준 후 너트(4)로서 조립토록함과 동시에 상기 코다리 연결구(6)에 고정설치되는 코받침(7)과 코다리 연결구(6)사이에 렌즈지지편(8)을 형성하여 렌즈(2) 끝단을 접촉지지토록하는 2점 조립식 조립방식이 안출된 바 있으나 이 역시 조립대상의 렌즈(2)끝단으로부터 코다리 연결구(1)상의고정볼트(3)사이에 존재하는 거리 및 렌즈(3)에 관통형성되는 고정공(5)과 코다리 연결구(6)상의 렌즈지지편 (8)사이에 존재하게되는 거리를 상호 정확하게 맞춰주어야만 하는 작업공정상의 난점이 노출되고 있어 그에 따른 불량률 증가현상 및 생산성 저하현상을 배제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와같은 조립방식의 문제점은 도1에 도시된 다리테연결구(1)의 경우에 있어어서도 동일하게 발생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종래 무테안경조립구조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연구개발된것으로서, 조립수단으로 사용되는 보울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다리테연결구와 코다리연결구 및 그에 조립되는 안경렌즈 사이를 1점 조립식으로 조립토록하는 간단한 방안을 제공하여 그 조립구조의 단순화 효과 및 조립공정 과정에서의 불량률 최소화 효과와 그에 따른 생산성 향상효과 및 생산원가 절감효과를 공히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이다.
도1은 종래 무테안경조립구조에 있어서, 렌즈와 다리테연결구 사이의 조립구조를 예시한 참고도
도2는 종래 무테안경 조립구조에 있어서, 양측렌즈와 코다리연결구사이의 조립구조를 예시한 참고도
도3은 본고안에 있어서, 다리테 연결구와 렌즈사이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제1실시 예시도
도4는 본고안에 있어서, 양측렌즈와 코다리연결구사이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제1실시 예시도
도5는 도3및 도4에 적용된 볼트의 구조를 발췌하여 나타낸 참고사시도
도6은 본 고안에 있어서, 다리테 연결구와 렌즈사이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제2실시 예시도
도7은 본 고안에 있어서, 양측렌즈와 코다리연결구 사이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제2실시 예시도
도8은 도6및 도7에서 적용된 볼트의 구조를 발췌하여 나타낸 참고사시도
도9는 본 고안에 있어서, 다리테 연결구 및 코다리연결구와 렌즈사이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제3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다리테 연결구 12 : 코다리 연결구
11a, 12a, 11b, 12b : 삽착공
13, 20, 30 : 고정볼트
13a, 20d, 30d : 두부 13b, 20a, 30a :나사부
13c, 20b, 30b : 경사부
13d, 20c, 30c : 주름살 14 : 렌즈
15 : 고정공 17 : 너트
30e : 평면부
도3내지 도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것인바, 다리테연결구(11)와 코다리연결구(12)내측에 고정설치되는 고정볼트(13)의 두부(13a)와 나사부(13b)사이에 상광하협의 경사부(13c)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부(13c)외면은 외단이 날까로운 톱니형태의 주름살(13d)을 요철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고안의 제1실시예는 도3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14)에 관통형성되는 단수개의 고정공(15)을 고정볼트(13)의나사부(13b)에 삽입시킨상태에서 패킹(16)및 너트(17)를 나사부(13b)에 순차적으로 결합한후 너트(17)를 조여주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조립공정을 완료하게 되며,이때 고정볼트(13)의 나사부(13b)직경과 동일내경을 갖는 렌즈(14)의 고정공(15) 외단부위가 상광하협형태로 형성된 공정볼트(13)의 경사부(13c)에 접촉되는 상태에서 너트(17)를 계속 조여주게 됨에따라 톱니형태로 요철 형성된 주름살(13d)부위일부가 고정공(15)외단부위를 파고들어가게 되면서 렌즈(14)를 고정시켜주는 효과가 발생된다.
이와같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는 다리테 연결구(11)와 코다리 연결구(12)의 조립위치 단수개의 고정볼트(13)만을 고정설치해줌과 동시에 조립대상의 렌즈(14)에는 상기 고정볼트(13)에 대응되는 하나의 고정공(15)만을 관통형성해주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1점 조립식으로 상호조립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도6내지 도8은 다리테연결구(11)와 코다리연결구(12)의 외측부로부터 렌즈(14)를 조립해주는 경우 적용하도록된 본고안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인바, 다리테 연결구(11)및 코다리 연결구(12)에 각각 관통형성되는 삽착공(11a, 12a)에 일치삽입되는 고정볼트(20)의 나사부(20a)상측에 상광하협의 경사부(20b)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부(20b)의 외경에는 톱니형태의 주름살(20c)를 형성하여 이루는 한편 경사부(20b)의 상단에는 직경이 다소 큰 두부(20b)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의 제2실시예는 도6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정위치에 고정공(15)이 관통형성된 렌즈(14)를 조립대상인 다리테 연결결구(11)및 코다리 연결구(12) 외측에 위치시켜주면서 각각의 고정공(15)및 삽착공(11a, 12a)에 공히 끼워지는 상태로 고정볼트(20)를 삽착시켜준 후 나사부(20a)에 너트 (17)를 체결하여 조여주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다리테연결구(11)와 코다리 연결구(12)및 렌즈(14)를 상호조립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볼트(20)의 나사부(20a)직경과 동일내경을 갖는 렌즈(14)의 고정공(15)내경외단부위가 상광하협형태의 경사부(20b)에 접촉되는 상태에서 너트(17)를 계속적으로 조여주게 됨에 따라 톱니형태로 요철형성된 경사부(20b)상의 주름살(20c)일부가 내경외단부위로 파고들어가게 되면서 렌즈(14)를 고정시켜주게 되며 고정볼트(20)상단의 두부(20d)부위는 렌즈(14)외면에 접촉 지지되면서 견고한 상태의 렌즈고정 효과가 실현되게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역시 1점조립식으로 무테안경을 신속간편하게 조립토록한 것인바 그 효과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와 대동소이하다.
도9는 상기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다소 변형한 본 고안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것인바, 주름살(30c)이 외경에 형성된 경사부(30b)와 상기 경사부(30b)보다 다소 직경이 큰 두부(30d)를 갖는 고정볼트(30)의 나사부(30a)양측면 일부를 절단하여 평면부(30e)를 형성하고 렌즈(14)가 조립되는 다리테연결구(11)또는 코다리 연결구(12)에는 상기 고정볼트(30)의 나사부(30a)와 동일형상을 갖는 삽착공(11b, 12b)을 관통형성하여 구성된 것이다.
이와같은 볼고안의 제3실시예는 렌즈(14)에 관통형성된 고정공(15)과 다리테 연결구(11)또는 코다리연결구(12)상에 관통형성된 삽착공(11b, 12b)에 공히 끼워지는 상태로서 고정볼트(30)의 나사부(30a)를 삽착시켜준 후 너트(17)를 조여 주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조립공정을 신속하게 완료할 수 있게되고 고정공(15)의 내경외단부위로 경사부(30b)에 형성된 주름살(30c)이 파고들어가면서 렌즈(14)가 고정조립되는 작용은 전술한 본 고안의 제 1, 2 실시예와 동일하며 고정볼트(30)의 나사부(30a)에 평면부(30e)가 마련되면서 각각의 삽착공(11b, 12b)에 긴밀하게 끼워져 있음에 따라 너트(17)의 체결작업시 고정볼트(30)가 체결력에 의해 공회전될 우려를 완전히 배제해주게됨에 따라 조립작업이 보다 원활하게 실현되는 부수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무테안경의 조립수단으로 사용되는 고정볼트의 구조를 개선하여 1점조립방식으로의 조립이 가능토록 함으로서 조립고정과정에서의 불량률 최소화 효과는 물론 그 조립공정과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 향상효과와 원가 절감효과를 공히 얻을 수 있도록 한 유익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4)

  1. 다리테연결구(11)와 코다리연결구(12)및 1쌍의 렌즈(14)를 상호조립하여 하나의 안경을 완성하는 무테안경조립구조에 있어서, 다리테 연결구(11)와 렌즈(14)및 코다리 연결구(12)와 렌즈(14)간의 상호 조립이 하나의 고정볼트를 이용한 1점조립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조립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조립수단으로 사용되는 고정볼트(13)의 두부(13a)와 나사부(13b)사이에 상광하협의 경사부(13c)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경사부(13c)외경을 톱니형태의 주름살(13d)로 요철형성하여 고정볼트(13)를 이루는 한 편, 다리테 연결구(11)와 코다리 연결구(12)의 내측적정부위에 상기고정볼트(13)의 두부부위를 고정설치하고 조립대상의 렌즈(14)에 관통형성된 고정공(15)을 상기 고정볼트(13)의 나사부(13b)에 삽착시킨 상태로 너트(17)를 체결하여 상호조립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점 조립식 무테안경조립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름살(20c)을 갖는 나사부(20a)상단의 경사부(20b)상단에 직경이 다소 큰 두부(20d)를 형성하여 조립수단으로 사용되는 고정볼트(20)를 이루고, 상호조립대상인 다리테 연결구(11) 및 코다리연결구(12)의 삽착공(11a, 12a)과 렌즈(14)의 고정공(15)을 상호일치시킨 상태에서 상기고정볼트(20)를 끼워 넣고 나사부(20a)에 너트(17)를 체결하여 상호조립토록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1점 조립식 무테안경조립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주름살(30c)이 외경에 형성된 경사부(30b)와 상기경사부(30b)보다 다소 큰 직경의 두부(30d)를 갖는 고정볼트(30)의 나사부(30a)양측에 평면부(30e)를 형성하여 조립수단으로 사용되는 고정볼트(30)를 이루고, 조립대상인 다리테연결구(11)와 코다리 연결구(12)에는 상기 나사부(30a)단면과 동일형태를 갖는 삽착공(11b, 12b)를 관통형성하여 하나의 고정볼트(30)에 의한 렌즈(14)와 다리테연결구(11)및 렌즈(14)와 코다리 연결구(12)를 상호조립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접조립식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20010030876U 2001-10-10 2001-10-10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02599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876U KR200259947Y1 (ko) 2001-10-10 2001-10-10 무테안경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876U KR200259947Y1 (ko) 2001-10-10 2001-10-10 무테안경 조립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2374A Division KR100458377B1 (ko) 2000-12-08 2001-10-10 무테안경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9947Y1 true KR200259947Y1 (ko) 2002-01-09

Family

ID=73069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876U KR200259947Y1 (ko) 2001-10-10 2001-10-10 무테안경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994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5870A (en) Rimless spectacles with its lenses supported and clipped at three points
US6474812B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auxiliary spectacles with main spectacles by means of magnetic clips
TW401523B (en) Screw for securing an optical lens to a clasp, clasp for retaining an optical lens, and method of forming a custom clip-on assembly for eyeglasses
KR200259947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040007245A (ko) 간단한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
KR100458377B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US20030133071A1 (en) Assembly structure of rimless spectacles
KR200224512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JPH07287197A (ja) メガネ
KR200222096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0198589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CN216160930U (zh) 一种镜片及无框眼镜
WO2002046830A1 (en) An assembly structure of rimless spectacles
KR200259954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0407816Y1 (ko) 안경과 선셰이드클립어셈블리
JPH1164801A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JPH1164802A (ja) メガネフレーム
KR200164632Y1 (ko) ㄷ자 연결고리를 가진 무테 안경.
KR200273938Y1 (ko)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JPH07287200A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ツル継手構造
KR200220749Y1 (ko) 무테안경의 구조
JP3005683U (ja) メガネ
KR200364388Y1 (ko) 안경 다리
JP2001125050A (ja) リムレス眼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2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