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0749Y1 - 무테안경의 구조 - Google Patents

무테안경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0749Y1
KR200220749Y1 KR2020000031820U KR20000031820U KR200220749Y1 KR 200220749 Y1 KR200220749 Y1 KR 200220749Y1 KR 2020000031820 U KR2020000031820 U KR 2020000031820U KR 20000031820 U KR20000031820 U KR 20000031820U KR 200220749 Y1 KR200220749 Y1 KR 2002207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bridge
glasses
lens
eye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182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한
Original Assignee
김태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한 filed Critical 김태한
Priority to KR202000003182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074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07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0749Y1/ko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테안경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탄성이 유지되도록 일단 소정위치가 절곡된 절곡부를 갖는 안경다리와, 상기 안경다리를 안경렌즈에 결합시키기 위한 안경다리의 결합수단과, 상기 일측 안경렌즈와 타측 안경렌즈를 결합고정시키는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를 양측 안경렌즈에 결합시키기 위한 브릿지의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양측 안경렌즈의 결합고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를 간소화 함과 동시에 안경다리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수의 감소를 꽤하여 조립시간의 단축과 원가의 절감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무테안경의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무테안경의 구조{Structure of the rimless spectacles}
본 고안은 무테안경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정의 탄성이 유지되도록 일단 소정위치가 절곡된 절곡부를 갖는 안경다리와, 상기 안경다리를 안경렌즈에 결합시키기 위한 안경다리의 결합수단과, 상기 일측 안경렌즈와 타측 안경렌즈를 결합고정시키는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를 양측 안경렌즈에 결합시키기 위한 브릿지의 결합수단을 포함함으로써, 양측 안경렌즈의 결합과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를 간소화 함과 동시에 안경다리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부품수의 감소를 꽤하여 조립시간의 단축과 원가의 절감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무테안경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무테안경(1)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렌즈(2)를 지지하는 안경테가 없다.
따라서, 양측 안경렌즈(2)의 양측에 각각 결합공(3)을 적어도 한 쌍씩 형성한 후,안경다리(4)의 고정부(5)에 형성된 고정볼트(6)를 삽입시켜, 여기에 고정너트(7)를 도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체결시킴으로서, 안경렌즈(2)가 고정부(5)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상기 일측 안경렌즈(2)와 타측 안경렌즈(2)를 고정하여 서로 연결함으로써 안경렌즈(2)가 사용자의 양쪽 눈가에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브릿지(8)도 상술한 바와 같이 마련된 결합공(3)으로 브릿지(8)에 형성된 고정볼트(6)를 삽입시킨 후 고정너트(7)로 체결함으로써 양측 안경렌즈(2)가 브릿지(8)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5)에는 경첩(9)이 마련되어 안경다리(4)의 회동공(10)을 경첩(9)에 삽입시키 힌지축(11)으로 결합시킨 후 힌지축(11)에 형성된 나사부(12)에 고정너트(7)를 체결하여 안경다리(4)가 힌지축(11)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다수개의 고정볼트(6)와 고정너트(7)를 이용하여 안경렌즈(2)와 브릿지(8),고정부(5)가 결합됨으로써, 미숙련자가 미숙한 체결을 이룰 경우 자칫 안경렌즈(2)가 파손될 우려가 있었으며, 상기 안경렌즈(2)에 브릿지(8)와 안경다리(4)가 완전하게 결합되었다 하더라도, 안경의 사용기간이 오래되면 될 수록 고정볼트(6)가 헐거워지므로 이때마다 사용자가 고정볼트(6)를 체결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아울러, 종래의 안경은 고정볼트(6)와 나사,고정부(5) 등 각 부품의 수가 많기 때문에 각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장비의 증가로 제조원가가 상승하며 각 부품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므로 최종적으로 생산시간이 지연되며 원재료가 증가되어 원가를 상승시키는 비효율적인 문제점 등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은 무테안경의 안경렌즈에 안경다리와 브릿지를 좀더 손쉽게 결합시킬 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견고한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며, 안경다리의 부품 수를 감소시키고 제조시간의 단축은 물론 부품을 제조하는 장비를 축소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소정의 탄성이 유지되도록 일단 소정위치가 절곡된 절곡부를 갖는 안경다리와, 상기 안경다리를 안경렌즈에 결합시키기 위한 안경다리의 결합수단과, 상기 일측 안경렌즈와 타측 안경렌즈를 결합고정시키는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를 양측 안경렌즈에 결합시키기 위한 브릿지의 결합수단을 포함함으로써 달성된다.
도 1은 종래 안경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싯도.
도 3은 본 고안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부호의 설명-
101-절곡부 102-안경다리 103-안경렌즈
104-브릿지 105-제1결합공 106-절곡단부
107-후크 108-제1결합돌기 109-제1결합관
110-제2결합공 111-제2결합돌기 112-제2결합관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도2내지 도3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정의 탄성이 유지되도록 일단 소정위치가 절곡된 절곡부(101)를 갖는 안경다리(102)와, 상기 안경다리(102)를 안경렌즈(103)에 결합시키기 위한 안경다리의 결합수단과, 상기 일측 안경렌즈(103)와 타측 안경렌즈(103)를 결합고정시키는 브릿지(104)와, 상기 브릿지(104)를 양측 안경렌즈(103)에 결합시키기 위한 브릿지의 결합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안경다리의 결합수단은 안경렌즈(103)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공(105)과, 상기 제1결합공(105)에 대응되도록 안경다리(102)의 절곡단부(106)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107)가 형성된 제1결합돌기(108)와, 상기 제1결합공(105)에 삽입된 제1결합돌기(108)로 억지끼움되며 제1결합공(105)과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중공된 제1결합관(109)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브릿지의 결합수단은 양측 안경렌즈(103)의 타측과 일측 소정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110)과, 상기 브릿지(104)에서 제2결합공(110)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107)가 형성된 제2결합돌기(111)와, 상기 제2결합공(110)에 삽입된 제2결합돌기(111)로 억지끼움되며 제2결합공(110)과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2결합관(11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안경다리(102)의 절곡부(101)가 소정의 탄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비교적 얇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기술을 도2내지 도3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일측 안경렌즈(103)의 타측과 타측 안경렌츠의 일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2결합공(110)으로 브릿지(104)의 제2결합돌기(111)을 삽입한다.
그리고, 상기 브릿지(104)의 제2결합돌기(111)가 삽입된 반대편 제2결합공(110)으로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결합관(112)을 삽입하면, 상기 제2결합공(110)내에서 제2결합돌기(111)의 후크(107)의 경사면을 따라 제2결합관(112)이 삽입되는 바, 상기 제2결합관(112)을 가압하여 억지로 끼워넣도록 함으로써, 제2결합관(112)의 살이 패이면서 삽입되어 후크(107)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때, 제2결합관(112)이 제2결합공(110) 내측에서 제2결합돌기(111)와 제2결합공(110)을 조이게 되어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경다리(102)를 안경렌즈(103)에 결합시킬 때에는 안경렌즈(103)에 형성된 제1결합공(105)으로 안경다리(102)의 절곡단부(106)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108)를 삽입하는 바, 이때에도, 상기 제1결합공(105)으로 제1결합관(109)을 강제로 삽입하면 제1결합관(109)의 살이 도3과 같이 패이면서 삽입되어, 제1결합돌기(108)가 후크(107)에 의해 제1결합공(10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안경다리(102)에 형성된 절곡부(101)는 소정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절곡부(101)에서 안경다리(102)가 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에는 상기 절곡부(101)를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다리(102)의 두께보다 비교적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무테안경 안경렌즈에 형성된 제1,제2결합공의 일측으로 안경다리와 브릿지에 형성된 제1,제2결합돌기를 삽입하고, 타측에서 제1,제2결합관을 억지끼움함으로써 손쉽고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제품의 구조를 간소화 하여 제경비와 장비를 감축시키고 제조시간을 단축하여 좀 더 질 높고 저렴한 제품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쟁력있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게 하는 매우 훌륭한 고안이다.

Claims (4)

  1. 소정의 탄성이 유지되도록 일단 소정위치가 절곡된 절곡부를 갖는 안경다리와,
    상기 안경다리를 안경렌즈에 결합시키기 위한 안경다리의 결합수단과,
    상기 일측 안경렌즈와 타측 안경렌즈를 결합고정시키는 브릿지와,
    상기 브릿지를 양측 안경렌즈에 결합시키기 위한 브릿지의 결합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의 결합수단은 안경렌즈의 일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결합공과,
    상기 제1결합공에 대응되도록 안경다리의 절곡단부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가 형성된 제1결합돌기와,
    상기 제1결합공에 삽입된 제1결합돌기로 억지끼움되며 제1결합공과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중공된 제1결합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의 결합수단은 양측 안경렌즈의 타측과 일측 소정위치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결합공과,
    상기 브릿지에서 제2결합공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크가 형성된 제2결합돌기와,
    상기 제2결합공에 삽입된 제2결합돌기로 억지끼움되며 제2결합공과 대응되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2결합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다리의 절곡부가 소정의 탄력으로 절곡될 수 있도록 비교적 얇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의 구조.
KR2020000031820U 2000-11-14 2000-11-14 무테안경의 구조 KR2002207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820U KR200220749Y1 (ko) 2000-11-14 2000-11-14 무테안경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1820U KR200220749Y1 (ko) 2000-11-14 2000-11-14 무테안경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0749Y1 true KR200220749Y1 (ko) 2001-04-16

Family

ID=73091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1820U KR200220749Y1 (ko) 2000-11-14 2000-11-14 무테안경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074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40995B1 (ja) 眼鏡のレンズ止着機構
KR200259088Y1 (ko) 마그네틱클립을 이용한 보조안경 체결구조
RU2345391C2 (ru) Углубленный шарнир для придания упругости дужкам очков
CA2433700A1 (en) Eyeglass with simple connecton structure and screwless hinge
KR200220749Y1 (ko) 무테안경의 구조
KR200410499Y1 (ko) 무테안경의 렌즈지지구조
KR200364408Y1 (ko) 안경다리 조립구조
CN219574516U (zh) 眼镜框和眼镜
JP2003255275A (ja) ヒンジ無し眼鏡テンプル
KR200174266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110026736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KR200347386Y1 (ko) 무테 안경의 렌즈와 프레임 결합구조
KR200289965Y1 (ko) 무테안경의 연결구조
KR200405194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안경다리 회전방지구조
KR200364388Y1 (ko) 안경 다리
KR200398032Y1 (ko) 테 없는 안경의 렌즈 유동 방지용 고정판
KR200276589Y1 (ko) 안경 렌즈 고정 구조
KR200391512Y1 (ko) 안경테의 다리 연결장치
KR200194187Y1 (ko) 렌즈테가 없는 안경의 조립장치
KR200222096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080003637U (ko) 와이어 타입 안경테
TWM642651U (zh) 眼鏡三點換片結構
KR20100005958U (ko) 안경다리의 힌지 조립 구조
KR20030064117A (ko) 무테 안경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