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2096Y1 - 무테안경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무테안경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2096Y1
KR200222096Y1 KR2020000034391U KR20000034391U KR200222096Y1 KR 200222096 Y1 KR200222096 Y1 KR 200222096Y1 KR 2020000034391 U KR2020000034391 U KR 2020000034391U KR 20000034391 U KR20000034391 U KR 20000034391U KR 200222096 Y1 KR200222096 Y1 KR 2002220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ixing
connector
assembled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43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훈
Original Assignee
안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광훈 filed Critical 안광훈
Priority to KR20200000343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20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20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2096Y1/ko
Priority to PCT/KR2001/001809 priority patent/WO2002046830A1/en
Priority to US10/203,362 priority patent/US20030133071A1/en
Priority to AU2002214341A priority patent/AU2002214341A1/en

Links

Landscapes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무테안경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경렌즈에 조립되는 안경다리테의 연결구에 파이프형의 나사관을 몰입고정시킴과 동시에 그 양측 또는 일측에는 끝단이 뾰족한 고정용 돌기를 돌출형성시켜주는 한편, 조립대상의 렌즈에는 상기 나사관이 일치결합되는 고정공을 관통형성하여 렌즈와 안경다리테를 상호 간편히 조립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순구조로서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조립성 및 생산성 향상효과, 불량률 최소화효과, 생산단가 절감효과등을 공히 얻을 수 있도록 한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무테안경 조립구조{AN ASSEMBLY STRUCTURE OF RIMESS SPECTACLES}
본 고안은 일반인들 사이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렌즈조립테가 없는 속칭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단순화함으로서 생산성 향상효과, 제작단가 절감효과 및 제작과정에서의 불량률 최소화 효과를 공히 얻을 수 있도록 한 무테안경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보급되고 있는 안경에는 시력보완을 목적으로 하는 안경외에도 차광용 선그라스, 돋보기, 패션용 안경등 다양한 종류가 제품화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안경은 점차적으로 패션화되어 가면서 최근에는 렌즈고정테가 없는 무테안경의 출시가 활성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무테안경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테에 연결되는 연결구(1)에 1쌍의 고정보울트(2)를 고착설치하고 조립대상의 렌즈(3)에는 상기 고정보울트(2)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고정공(4)을 관통형성하여 상호조립시킨후 완충와셔(5)와 고정너트(6)를 이용하여 고정조립시키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립구조에 있어서는, 렌즈(3)와 다리테연결구(1)를 2점조립식으로 조립고정시켜주는 구조를 선택하고 있었음에 따라 렌즈(3) 끝단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적정간격을 갖는 1쌍의 고정공(4)을 정확하게 관통형성해주어야만 하는 작업공정상의 난점이 노출되고 있었으며, 또한 렌즈(3) 자체가 취성이 강해 잘 깨지는 특성이 있는 상태에서 고정공(4)을 관통형성해주어야만 하는 관계로 각 고정공(4) 사이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해주어야만 했던바, 결과적으로는 연결구에 의한 사용자의 시야장애요인이 되고 있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안경다리테에 연결되는 연결구에 파이프형 나사관을 고착시켜줌과 동시에 그 양측 또는 어느 일측에는 끝단이 뾰족한 고정돌기를 돌출형성시켜주고 상기 연결구에 대응조립되는 렌즈에는 나선관이 일치결합되는 다수개의 고정공을 관통형성하여 상호조립되도록 하는 단순방안으로 조립구조를 개선함으로서 그 조립공정과정의 단순화 효과는 물론 조립공정과정에서의 불량률 최소화효과, 생산성향상효과 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이다.
도 1 은 종래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를 나타낸 참고도.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를 부분발췌하여 나타낸 참고도.
도 3 은 본 고안이 적용된 연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발췌사시도.
도 4 는 렌즈에의 조립수단으로 볼트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연결구 12 : 안경다리테 13 : 렌즈
14 : 고정공 15 : 나사관 16 : 고정볼트
17 : 고정돌기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테(12)에 연결되는 연결구(11) 일측 전면중앙에 나사관(15)을 고착설치함과 동시에 그 일측 또는 양측에는 끝단이 뾰족한 고정돌기(17)를 돌출형성하여 이루는 한편, 연결구(11)에 대응조립되는 렌즈(13)에는 나사관(15)이 일치삽입되는 고정공(14)을 관통형성하여 상호조립후 별개의 고정볼트(16)로서 체결조립토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렌즈(13)에 관통형성된 고정공(14)에 연결구(11)상의 나사관(15)을 삽입결합시켜준 상태에서 렌즈(13)와 안경다리테(12)간의 상호조립 각도를 적절히 조정설정해준후 고정볼트(16)를 나사관(15)에 체결고정해주는 간단한 과정을 통해 조립과정을 완료할 수 있게되며, 이때 고정볼트(16)가 나사관(15)내로 점점조여지는 과정에서 나사관(15) 양측 또는 일측에 형성된 고정돌기(17)의 첨단부가 렌즈(13) 표면을 서서히 파고 들어가 체결작업 종료시 렌즈(13)와 연결구(11)가 상호 고정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은 연결구(11)에 고착되는 조립수단으로서 나사관(15)이 아닌 볼트(18)를 적용해준 실시예를 나타낸 것인바, 이경우 체결수단으로 너트(19)를 이용하는 것만 다를뿐 그외의 작용효과는 본 고안 대동소이하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무테안경에 있어서의 렌즈와 안경다리테 연결구의 상호조립수단으로 하나의 나사관 또는 볼트와 하나 또는 두개의 고정돌기를 이용토록하는 단순구조의 무테안경 조립수단을 제공함으로서, 조립공정에 따른 렌즈에의 천공작업시 빈번히 발생하는 파손 우려를 효과적으로 배제하여 불량률 최소화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였음은 물론 생산, 조립작업의 단순화효과 및 그에 따른 생산가 절감효과를 공히 얻을 수 있도록 한 유익한 고인인 것이다.

Claims (3)

  1. 안경다리테(12)에 연결되는 연결구(11) 중앙에 나사관(15)을 고착함과 동시에 그 일측에는 끝단이 뾰족한 고정돌기(17)를 돌출형성하고, 연결구(11)에 대응조립되는 렌즈(13)에는 나사관(15) 삽착용 고정공(14)을 관통형성하여 고정볼트(16)로서 상호 조립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조립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구(11)의 나사관(15) 양측에 고정돌기(17)을 돌출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조립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구(11)에 볼트(18)를 고착하여 너트(19)로서 체결조립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조립구조.
KR2020000034391U 2000-12-08 2000-12-08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02220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391U KR200222096Y1 (ko) 2000-12-08 2000-12-08 무테안경 조립구조
PCT/KR2001/001809 WO2002046830A1 (en) 2000-12-08 2001-10-25 An assembly structure of rimless spectacles
US10/203,362 US20030133071A1 (en) 2000-12-08 2001-10-25 Assembly structure of rimless spectacles
AU2002214341A AU2002214341A1 (en) 2000-12-08 2001-10-25 An assembly structure of rimless spectac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4391U KR200222096Y1 (ko) 2000-12-08 2000-12-08 무테안경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2096Y1 true KR200222096Y1 (ko) 2001-05-02

Family

ID=73061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4391U KR200222096Y1 (ko) 2000-12-08 2000-12-08 무테안경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20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26493Y2 (ko)
KR200222096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0224512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0410499Y1 (ko) 무테안경의 렌즈지지구조
KR200231370Y1 (ko) 무테안경 조립용 나사
CN212364741U (zh) 一种方便组装的无框眼镜
KR200198589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CN219958011U (zh) 一种超薄耐磨防红外镜片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KR200259947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CN216848364U (zh) 一种眼镜的连接结构
CN216248626U (zh) 一种免焊接的眼镜
CN218956935U (zh) 眼镜框眼镜架的可变镜框锁紧装置
CN216160930U (zh) 一种镜片及无框眼镜
KR200255301Y1 (ko) 무테 안경렌즈 고정구조
KR200347243Y1 (ko) 무테안경용 다리 고정구조
KR200164632Y1 (ko) ㄷ자 연결고리를 가진 무테 안경.
CN212364740U (zh) 一种无框眼镜的连接结构
KR200259954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0174266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0222097Y1 (ko) 안경테의 코기둥 결합 구조
KR200354107Y1 (ko) 무테안경 렌즈고정장치
KR200194187Y1 (ko) 렌즈테가 없는 안경의 조립장치
KR200229456Y1 (ko) 렌즈에 구멍을 내지 않는 무테 안경
KR200243731Y1 (ko) 안경테용 코기둥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