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8589Y1 - 무테안경 조립구조 - Google Patents

무테안경 조립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8589Y1
KR200198589Y1 KR2020000011833U KR20000011833U KR200198589Y1 KR 200198589 Y1 KR200198589 Y1 KR 200198589Y1 KR 2020000011833 U KR2020000011833 U KR 2020000011833U KR 20000011833 U KR20000011833 U KR 20000011833U KR 200198589 Y1 KR200198589 Y1 KR 2001985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assembly
assembly structure
fixing
screw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18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광훈
Original Assignee
안광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광훈 filed Critical 안광훈
Priority to KR20200000118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85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85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85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Abstract

본 고안은 무테안경 조립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안경다리테에 연결되는 다리테 연결구에 파이프형의 나사관을 몰입고착시키고 그 일측에는 고정핀을 일체로 돌출형성시키는 한편, 조립대상의 렌즈 끝단에는 상기 고정된 삽착용 안착홈을 그 일측에는 상기 나사관 삽착용 고정공을 각각 형성하여 상호조립시킨후 별개의 고정볼트를 렌즈 내측부로부터 나사관에 내입체결토록하는 간단한 방안으로 조립구조를 개선함으로서,
조립성 및 생산성 향상효과, 생산단가 절감효과, 불량률 최소화효과 등을 공히 얻을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사용자의 착용시 우려되는 안전사고 완전배제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도록 한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무테안경 조립구조{AN ASSEMBLY STRUCTURE OF RIMLESS SPECTACLES}
본 고안은 일반대중들 사이에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안경에 관한 것으로,특히 렌즈 조립테가 없는 속칭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를 개선하여 착용시의 안전사고 우려를 완전히 배제함과 동시에 조립구조의 단순화에 따른 생산성 향상효과와 제작단가 절감효과 및 제작과정에서의 불량률 감소효과를 공히 기대할 수 있도록 한 무테안경 조립구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보급되고 있는 안경에는 시력보안을 목적으로 하는 안경외에도 차광용 썬글라스, 돋보기, 패션용 안경등 여러 가지 종류가 있으며 이러한 안경도 점차적으로 패션화되어가면서 급기야는 렌즈고정테가 없는 무테안경까지 제품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무테안경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테에 연결되는 다리테 연결구(1)에 1쌍의 고정보울트(2)를 고착설치하고 조립대상의 렌즈(3)에는 상기 고정보울트(2)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고정공(4)을 관통형성하여 상호조립시킨후 연질수지재등의 완충와셔(5)와 고정너트(6)를 이용하여 고정조립시키고 있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조립구조에 있어서는 렌즈(3)와 다리테 연결구(1) 그점 조립식으로 조립고정시켜주는 구조를 선택하고 있었던바, 렌즈(3) 끝단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에 적정간격을 갖는 1쌍의 고정공(4)을 정확하게 관통형성해주어야만 했던 관계로 그 작업공정 과정이 매우 난해하였다.
또한, 취성이 강해 잘 깨지는 특성이 있어 각각의 고정공(4) 거리를 충분히 확보해 주어야만 했던 관계로 착용시의 사용자 시야확보가 매우 어려웠던 폐단이 있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착용시 렌즈 내측부를 필히 돌출되게 되는 1쌍의 고정보울트(2)는 착용자가 안경에 불의의 타격을 받을 때 눈꺼풀이나 눈을 찌르게 될 우려가 높아 항시 안전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소하고자 연구개발된 것으로, 안경다리테에 연결되는 다리테 연결구에 적정길이를 갖는 파이프형의 나사관을 몰입고착시켜줌과 동시에 그 일측에는 고정핀을 돌출형성시켜주는 한편, 조립대상의 렌즈 끝단에는 상기 고정핀이 삽착지지되는 안착홈을 그 일측에는 상기 나사관에 대응하는 1개의 고정공을 관통형성하여 상호조립후 별개 준비되는 고정볼트를 나사관에 내입체결해주는 간단한 방안으로 조립구조를 개선함으로서, 그 조립공정 과정의 단순화 효과는 물론 고정보울트가 내입상태로 조립되도록 하면서 착용시의 안전사고 우려가 완전히 배제되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이다.
도 1 은 종래 무테안경 조립구조를 예시한 참고도.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된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를 예시한 발췌 분해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이 적용된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를 예시한 발췌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다리테 연결구 3 : 렌즈 11 : 나사관
도 2 내지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테(10)에 연결되는 다리테 연결구(1)에 소정길이의 파이프형 나사관(11)을 내입고착시키과 동시에 그 일측에는 고정핀(12)을 돌출형성하고, 조립대상의 렌즈끝단에는 상기 고정핀(12)이 삽착되는 안착홈(13)을 그 일측에는 상기 나사관(11)이 삽입고정되는 고정공(14)을 관통형성하여 상호조립후 별개의 고정볼트(15)를 체결하여 고정조립토록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7 은 렌즈 연결구를 8은 코발침대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고안은 고정핀(12)이 일체로서 돌출형성되는 다리테 연결구(1) 소정위치에 적정깊이의 요입홈을 형성하여 소정규격의 나사관(11)을 삽착고정 시켜주고 상기 고정핀과 나사관(11)에 각각 대응하는 안착홈(13) 및 고정공(14)을 렌즈에 형성하여 상호조립후 고정볼트(15)를 내입상태로 간단히 고정조립시켜주게 되는바, 그 조립공정 과정의 대폭적인 간소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른 생상성향상 효과와 생상가 절감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완제품의 렌즈 내측에 보울트등의 완제품의 렌즈 내측에 보울트 등의 돌기물이 없어짐에 따른 안전사고 우려 배제 효과까지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구성은 1쌍의 렌즈를 연결조립해주는 렌즈연결구와 렌즈상호간의 조립수단으로도 공히적용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도수나 종류에 따른 렌즈의 직경(두께) 규격이 다소 차이가 난다하더라도 고착대상의 나사관 길이를 적절히 조절설정해주는 간단한 방안을 통해 적절히 대응할 수 있게 되는 등의 부가효과까지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무테안경의 조립구조를 가장효과적으로 간소화함으로서; 조립성 향상효과, 생산가 절감효과, 불량률 최소화 효과등은 물론 사용자의 착용시 안전사고 완전배제 효과까지 얻을 수 있게 되면서 양질의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매우 실용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안경다리테(10)에 연결되는 다리테 연결구(1)에 파이프형 나사관(11)을 고착설치함과 동시에 그 일측에는 고정핀(12)을 돌출형성하고, 렌즈(3) 끝단에는 상기 고정핀(12)이 삽착되는 안착홈(13)을 그 일측에는 나사관(11)이 삽입되는 고정공(14)을 각각 형성하여 상호조립하며. 별개의 고정볼트(15)를 렌즈(3) 내측에서 내입체결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20000011833U 2000-04-25 2000-04-25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01985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833U KR200198589Y1 (ko) 2000-04-25 2000-04-25 무테안경 조립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1833U KR200198589Y1 (ko) 2000-04-25 2000-04-25 무테안경 조립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8589Y1 true KR200198589Y1 (ko) 2000-10-02

Family

ID=19653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1833U KR200198589Y1 (ko) 2000-04-25 2000-04-25 무테안경 조립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858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5870A (en) Rimless spectacles with its lenses supported and clipped at three points
KR200198589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0385176Y1 (ko) 무테안경
KR101861187B1 (ko) 조립성이 개선된 안경테
KR200222096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CN212364741U (zh) 一种方便组装的无框眼镜
KR200347243Y1 (ko) 무테안경용 다리 고정구조
KR200405194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안경다리 회전방지구조
CN218350640U (zh) 一种方便更换镜片的眼镜
CN216310433U (zh) 一种具有新型结构的无边框眼镜
JP3688247B2 (ja) フリーサイズ眼鏡
KR200174266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0407816Y1 (ko) 안경과 선셰이드클립어셈블리
KR200246391Y1 (ko) 절곡철선 안경테
KR200231370Y1 (ko) 무테안경 조립용 나사
KR200252993Y1 (ko) 탄성 안경다리용 연결구
KR200259954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KR200381236Y1 (ko) 반무테 안경
KR200250423Y1 (ko) 무테안경용 연결구
KR200255285Y1 (ko) 경첩이 일체된 안경다리
JPH0862546A (ja) 眼鏡フレーム
KR200259947Y1 (ko) 무테안경 조립구조
JPH04114124A (ja) 眼鏡フレーム、レンズ一体眼鏡
EP1057071A1 (en) Eyeglasses with metal wire frame
KR200431459Y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코받침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